KR100694444B1 -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 Google Patents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444B1
KR100694444B1 KR1020050063982A KR20050063982A KR100694444B1 KR 100694444 B1 KR100694444 B1 KR 100694444B1 KR 1020050063982 A KR1020050063982 A KR 1020050063982A KR 20050063982 A KR20050063982 A KR 20050063982A KR 100694444 B1 KR100694444 B1 KR 10069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ar canal
angle
point
surv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040A (ko
Inventor
최규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5006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4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측량기를 이용한 필요개소의 측량값으로 오차 보정값을 고려한 삼각함수를 이용한 산출식에 의해 정확한 전선의 이도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차 발생을 줄이고, 측정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송전선로 전선의 무게와 당기는 힘에 의해 결정되는 전선경과곡선과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직선과의 거리를 측량법을 개발함으로써 전선 가선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도측정치를 추적관리하여 전력선 고장요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측량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전선의 이도를 직접측량함으로써 극히 적은 오차로 전선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한 지점에서 구간내 모든 전선의 이도를 측량할 수 있으므로 이도측정 비용절감은 물론 가선이도의 정확한 시공으로 전선가선 품질향상으로 고장발생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용 프로그램의 개발로 사용자의 편의도모와 측량결과의 추적관리를 가능케 하여 송전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 이도를 측량하기 위하여 측량기 및 자료준비를 하고, 측량점을 선정하고, 측량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철탑중심 수평거리 측량 및 지지점 연직각을 측량하는 단계와, 두 철탑의 수평각도를 측량하는 단계와, 이도선의 수평각도를 산정하는 단계와,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산정하는 단계와, 오차보정값으로 계산된 두 지지점 높이와 이도선의 수평거리를 이용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구하는 단계와, 신설구간의 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선이도, 수평각도, 이도기준점, 연직각

Description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Direct survey method for wire dip}
도 1은 종래의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원리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원리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피타고라스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연직각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오차발생요인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이도측량시 기본정보 입력화면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이도측량시 지지물 측량값 입력화면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이도측량시 기존선로 이도측량 화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이도측량시 신설선로 이도결정 화면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측량값 보기 화면이다.
도 1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표준암길이 화면이다.
도 1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선로명 관리 화면이다.
이 발명은 전력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측량기를 이용한 필요개소의 측량값으로 오차 보정값을 고려한 삼각함수를 이용한 산출식에 의해 정확한 전선의 이도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차 발생을 줄이고, 측정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송전선로 전선의 무게와 당기는 힘에 의해 늘어지게 되는 전선경과곡선과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의 거리(이도)를 측량하는 법을 개발함으로써 전선 가선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도측정치를 추적관리하여 전력선 고장요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측량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전선의 이도를 직접측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오차로 전선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한 지점에서 구간내 모든 전선의 이도를 측량할 수 있으므로 이도측정 비용절감은 물론 가선이도의 정확한 시공으로 전선가선 품질향상으로 고장발생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용 프로그램의 개발로 사용자의 편의도모와 측량결과의 추적관리를 가능케 하여 송전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철탑의 양 지지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전선의 버텍스(vertex)를 연결하는 최단직선거리를 전선이도(D)라고 한다. 상기한 버텍스(vertex)는 철탑의 양 지지점을 연결하였을때 전선이 만드는 곡선의 최저점을 말한다.
경간(span)은 전선 지지점간의 수평거리를 말하는데, 상기한 경간(span)내 전선이 이루는 곡선부의 접선을 이용하여 경간 양측 철탑에서 전선의 지지점과 접선의 높이차를 측정한 값이 각각 "a", "b"일때 전선이도(D)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57
기존의 전선이도 측정법은 전선을 지지하는 양측 철탑에 각각 1명씩 2명이 승탑하여 일정길이에 이도척 및 관측경을 이용하여 전선의 접선을 관측하여 측정구간내의 최대크기의 이도를 계산해내는 간접측정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한 전선이도(D)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선 지지점과 접선간의 높이를 철탑에서 실측하고, 관측점과 이도척 설치점을 설정하고, 관측경과 같은 관측장비로 전선을 관측하여 전선의 접선부를 관측선상에 일치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선의 접선을 이용한 간접 전선이도 측정시, 모든 작업이 철탑상에서 이루어짐으로 오차 증가요인이 증대하고, 철탑의 기울기(Slope)와 복잡한 부재구성으로 정밀도 유지가 곤란하여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 위치별로 이동해야하는 승탑작업으로 측정자의 안전확보 곤란 및 위험성이 산재하게 되고, 전선이도 측정시간 및 동원 인력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상별, 소도체별 정확한 전선이도측정 및 가선이도 유지가 곤란하고, 소도체간 이도차는 소선의 단선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량기를 이용한 필요개소의 측량값으로 오차 보정값을 고려한 삼각함수를 이용한 산출식에 의해 정확한 전선의 이도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차 발생을 줄이고, 측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전선로 전선의 무게와 당기는 힘에 의해 늘어지게 되는 전선경과곡선과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의 거리(이도)를 측량하는 법을 개발함으로써 전선 가선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도측정치를 추적관리하여 전력선 고장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량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전선의 이도를 직접측량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오차로 전선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한 지점에서 구간내 모든 전선의 이도를 측량할 수 있으므로 이도측정 비용절감은 물론 가선이도의 정확한 시공으로 전선가선 품질향상으로 고장발생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용 프로그램의 개발로 사용자의 편의도모와 측량결과의 추적관리를 가능케 하여 송전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구성은, 전선 이도를 측량하기 위하여 측량기 및 자료준비를 하고, 측량점을 선정하고, 측량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철탑중심 수평거리 측량 및 지지점 연직각을 측량하는 단계와, 두 철탑의 수평각도를 측량하는 단계와, 이도선의 수평각도를 산정하는 단계와,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산정하는 단계와, 오차보정값으로 계산된 두 지지점 높이와 이도선의 수평거리를 이용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구하는 단계와, 신설구간의 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원리적으로는, 측량점에서 이도선의 수평거리와 그 선상에 위치하는 두점(전선과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알 수 있는 경우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두 점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전선 이도를 알 수 있으며, 측량점에서 이도선간의 수평거리는 전선양측 지지점간의 거리와 사이각을 이용하여 산출하며, 측량점에서 각각의 전선 지지점간 수평거리는 직접 측량, 지지점 높이는 측량한 수평거리와 연직각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므로, 측량기를 이용한 필요개소의 측량값으로 오차 보정값을 고려한 삼각함수를 이용한 산출식에 의해 정확한 전선의 이도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다.
먼저, 전선 이도를 측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준비를 한다.
1. 측량기 및 자료준비
측량기는 정밀도가 높을수록 오차를 줄 일수 있으며 연직각 최소계측치가 5초 이하인 정밀도를 가져야 한다.
자료로서는, 철탑형 및 높이, 탑체폭 및 암길이, 수평각도 등과 같은 측량 경간의 선로제원과, 신설 구간인 경우 긴선 작업시 해당구간의 이도표와 같은 계산이도를 준비한다.
2. 측량점선정
두 지지물의 탑체부 및 경간내 전선을 관측 할 수 있고 가능하면 측량점과 두 지지물간의 수평거리가 같은 지점을 선택한다.
3. 측량기 설치
측량기 높이는 시준이 용이한 높이로 하고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전선 이도를 측량하기 위한 준비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신설구간의 전선이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과 기설구간의 전선이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을 한다.
1. 신설구간의 전선이도 결정 측량
가. A 철탑의 중심 수평거리 측량 및 지지점 연직각 측량
먼저, A 철탑에 설치한 스타프(표척)를 시준하여 측량기의 수평각을 0°로 조정한 후 상시와 하시의 눈금을 읽어 기록, 이때의 연직각(δ0)을 기록한 후 이도측정 대상전선이 설치된 각 암(arm)의 연직각(δw123)을 측량한다.
다음에, 철탑에 표척설치자는 표척설치점과 철탑 중심간의 수평거리(ρ)를 측정하여 측량자에게 통보한다.
이어서, 측량한 스타프 시준거리(l)와 연직각(δ0)과 기조사한 철탑규격 자료를 다음의 수식(1) 또는 수식(1)'에 대입하여 측량점과 철탑간 수평 거리(a)를 계산한다.
일반 측량기인 경우에,
Figure 112006087845226-pat00058
(1)
여기서, 시준길이(l= 상시-하시)는 표척을 시준한 상시와 하시의 차이값, 수평거리 보정값(ρ)은 표척설치점과 철탑중심간의 거리이다.
광파 측량기인 경우에,
α = 측량거리 - ρ (1)'
광파측량기는 수평 거리값을 계산 없이 바로 얻을 수 있고, 반사경을 철탑 중심에 세울 경우 철탑 중심간의 수평거리(ρ)를 0으로 설정한다.
나. 두 철탑의 수평각도 측량
A 철탑 시준점의 수평각을 0°도로 설정(Setting)하며, B 철탑을 시준하고 수평각(α)를 측량한다.
다. B 철탑중심 수평거리 및 지지점 연직각 측량
위의 측정 방법을 반복하여 수평거리(b)와 각 암의 연직각(δw,δ1,δ2,δ3)을 측량한다..
라. 이도선의 수평각도 산정(계산식으로 자동산출)
앞에서 구한 두 철탑중심의 수평거리에 오차값을 고려한 보정값을 다음의 수식(3)에 대입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의 이도선 수평거리(x'i)를 구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59
(3)
여기서, k=sx/s = 1/2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0
(3)'
이도선을 시준할 수평각(βi')는 다음의 수식(4)로 구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1
(4)
여기서, k=sx/s = 1/2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2
(4)'
마. 이도기준점의 연직각 산정(계산식으로 자동산출)
오차보정값으로 계산된 두 지지점 높이와 이도선의 수평거리(x'i)를 다음의 수식(5)에 대입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 이도기준점의 연직각(θ'ip)을 구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3
(5)
여기서, k=sx/s = 1/2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4
(5)'
바. 신설구간의 이도 결정(신설구간 긴선이도 측량)
ⓐ 전선이도점 연직각 산정 : 작성된 가선이도 표에서 경간내 임의거리의 전선이도(Di´)를 결정하고 다음의 수식(6)에 대입하여 전선을 시준할 연직각(θ'ic)을 구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5
(6)
여기서, k=sx/s = 1/2 이고,경간내 최대이도가 DiD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6
(6)'
ⓑ 측량기의 수평각을 “βi”에서 연직각을 “θic”에 고정하고 가선하는 전선을 시준하여 가선이도를 결정한다.
이와같이 신설구간의 전선이도의 측량이 끝나면, 다음과 같이 기설구간의 전선이도를 측량한다.
2. 기설구간의 전선이도 측량법
위의 신설구간 전선이도 측량과정중에서 가~마의 과정을 수행한다.
사. 가선된 전선의 이도점 연직각 측량
ⓐ 각 전선별로 산정된 이도선 수평각을 맞추고 연직각만을 조정하여 가선된 전선을 시준하고 이때 연직각(θ'ic)을 읽는다.
ⓑ 측정한 연직각(θ'ic)를 다음의 수식(7)에 대입하여 경간내 임의거리의 전선이도(Di´)를 계산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7
(7)
여기서, k=sx/s = 1/2 이고,경간내 최대이도가 DiD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8
(7)'
여기서, (사용함수)´는 측량점 전방(가까운쪽) 전선의 계산 함수이고, (사용함수)˝는 측량점 후방(먼쪽) 전선의 계산 함수이고, (사용함수)ai 는 a 철탑 i번째 암의 계산 함수이고, (사용함수)i0 는 경간내 최대이도점의 계산함수이고, θ'ip 는 전방측 i번째 암의 이도기준점 연직각이고, θ'ic 는 전방측 i번째 암의 전선 이도점 연직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의 계산식을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도측정 계산식
ⓐ 도 3에서 측량점(O)과 지지점(A)간 수평거리를 a, 전선지지점을 c1, 수평선에서 c1의 높이를 ha1이라면, 측량점에서 지지점의 수평거리 a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69
(광파측량시 수평거리 자동 산출) 식①이 됨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0
식②이 됨
여기서, k는 승수(100), l 은 상시와 하시의 차이다.
ⓑ 이도선의 수평거리(x)와 수평각도(β)
도 4에서 기준점 O에서 두점 A,B간의 거리를 a, b라 하고 두선이 이루는 사이각을 “α”라하고 점A와 점B를 연결하는 선(S)의 임의점(P)을 연결하는 선분
Figure 112005038293633-pat00014
의 길이 x와 수평각 β를 구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의 정의(△AOB)
두변의 길이(a, b)와 낀각(α)의 크기를 알고 있을 때 마주보는 한변의 길이(s)는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1
정의 ①이 됨
그리고, 세변의 길이를 알고 있을 때 변(b)와 마주보는 각(γ)와의 관계는 아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2
정의 ②가 됨
여기서 선분
Figure 112005038293633-pat00017
의 길이(x)를 △OAP에서 위의 정의 ①,②를 사용하여 계산하면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3
상기한 cos(γ)를 정의②로 치환하면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4
여기서, 임의점의 경간비 k=sx/s라 하면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5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6
여기서, s2을 정의①로 치환하면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7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8
식③이 됨
선분
Figure 112005038293633-pat00022
와 선분
Figure 112005038293633-pat00023
가 이루는 각(β)을 정의②을 이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79
위 식에서, 앞에서 구한 x, sx=ks를 치환하면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0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1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2
식④가 됨
ⓒ 이도 기준선상의 연직각(θi1, θi2)
도 5에서 전선의 두지지점 A, B를 포함하고 전선의 이도 기준선과 이도점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A, B점의 Ci 암의 높이를 각각 hai, hbi이고 경간을 S라 하면, 임의거리 Sx를 지나는 이도선의 이도기준점 높이(hx)는
hxi = hai - hi' 이며, 여기서 hi'= sxhi/s , hi= hai-hbi 이므로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3
이다.
측정점에서 이도기준점을 시준한 연직각(θip)은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4
식⑤가 됨.
임의경간의 전선 계산 이도가 Di 일 때 이도점을 시준해야하는 연직각(θic)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5
식⑥이 됨
ⓓ 기설구간의 임의경간 전선이도(Di)
상기한 식①~⑤에서 이도기준점의 연직각(θip)을 계산하여 구하고 이도선상의 전선을 시준한 연직각이 θic 일때 전선 이도(Di)는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6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7
식⑦이 됨
2. 오차보정
ⓐ 오차발생요인
도 6에서 측량점에서 철탑간 수평거리 측량값이 철탑중심부의 값으로 전선지점의 수평거리와 차이가 있고, 철탑위의 길이와 선로 수평각에 의한 전선지지점 위치변동에 따른 수평각도 및 이도선 수평각도 보정이 필요하다.
ⓑ 오차 보정방법
지지점 수평거리는 전후방 전선의 수평거리를 철탑중심의 수평거리에 팔길이의 보정값을 가감한다.
수평각도는 전선지지점의 사이각 변동에 따른 오차보정을 위해 수평각 변동값을 보정한다.
보정된 수평거리와 사이각에 의해 이도선의 수평각과 수평거리 및 이도기준점을 결정함으로써 오차요인을 제거한다.
ⓒ 오차보정 관계식
암 길이 및 선로 수평각에 의한 이도계산에 필요한 지지점 수평거리와 수평각 및 이도선 수평각 보정 관계식은 아래와 같다.
암 보정각(λ) :
λ= 90°-∠B - θ/2
지지점 수평거리 :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8

Figure 112006087845226-pat00089
삭제
수평각도 보정값 :
전방전선 측량시 수평각(α')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0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1
후방전선 측량시 수평각(α'')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2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3
이도선 수평각도 및 수평거리 :
보정된 수평거리 및 수평각으로 식③, 식④를 이용하여 산출
오차 보정값 활용 :
이도 기준점 연직각과 이도점 연직각의 값도 오차 보정값 사용
도 7 내지 도 13은 이도 측량 프로그램의 화면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은 이도측량시 기본정보 입력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8은 이도측량시 지지물 측량값 입력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9는 이도측량시 기존선로 이도측량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0은 이도측량시 신설선로 이도결정 화면을 보여 주고 있다.
도 11은 측량값 보기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2는 표준암길이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3은 선로명 관리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측량기를 이용한 필요개소의 측량값으로 오차 보정값을 고려한 삼각함수를 이용한 산출식에 의해 정확한 전선의 이도를 손쉽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차 발생을 줄이고, 측정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송전선로 전선의 무게와 당기는 힘에 의해 늘어지게 되는 전선경과곡선과 두 지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의 거리(이도)를 측량하는 법을 개발함으로써 전선 가선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도측정치를 추적관리하여 전력선 고장요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측량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전선의 이도를 직접측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오차로 전선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한 지점에서 구간내 모든 전선의 이도를 측량할 수 있으므로 이도측정 비용절감은 물론 가선이도의 정확한 시공으로 전선가선 품질향상으로 고장발생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용 프로그램의 개발로 사용자의 편의도모와 측량결과의 추적관리를 가능케 하여 송전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전선 이도를 측량하기 위하여 측량기 및 자료준비를 하고, 측량점을 선정하고, 측량기를 설치하는 단계;
    철탑중심 수평거리 측량 및 지지점 연직각을 측량하는 단계;
    두 철탑의 수평각도를 측량하는 단계;
    이도선의 수평각도를 산정하는 단계;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산정하는 단계;
    오차보정값으로 계산된 두 지지점 높이와 이도선의 수평거리를 이용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 이도기준점의 연직각을 구하는 단계; 및
    신설구간의 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측량한 스타프 시준거리(l)와 연직각(δ0)과 기조사한 철탑규격 자료를 다음의 수식에 대입하여 측량점과 철탑간 수평 거리(a)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4
    여기서, 시준길이(l= 상시-하시)는 표척을 시준한 상시와 하시의 차이값, 수평거리 보정값(ρ)은 표척설치점과 철탑중심간의 거리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측량한 스타프 시준거리(l)와 연직각(δ0)과 기조사한 철탑규격 자료를 다음의 수식에 대입하여 측량점과 철탑간 수평 거리(a)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α = 측량거리 - ρ
    (반사경을 철탑 중심에 세울 경우 철탑 중심간의 수평거리(ρ)를 0으로 설정한다)
  4. 제 1항에 있어서,
    두 철탑중심의 수평거리에 오차값을 고려한 보정값을 다음의 수식에 대입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의 이도선 수평거리(xi')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5
    여기서, k=sx/s = 1/2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6
  5. 제 1항에 있어서,
    이도선을 시준할 수평각(βi')는 다음의 수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7
    여기서, k=sx/s = 1/2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8
  6. 제 4항에 있어서,
    오차보정값으로 계산된 두 지지점 높이와 이도선의 수평거리(x'i)를 다음의 수식에 대입하여 가공지선 및 각 상별 전선 이도기준점의 연직각(θ'ip)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Figure 112006087845226-pat00099
    여기서, k=sx/s = 1/2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100
  7. 제 4항에 있어서,
    작성된 가선이도 표에서 경간내 임의거리의 전선이도(Di´)를 결정하고 다음의 수식에 대입하여 전선을 시준할 연직각(θ'ic)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Figure 112006087845226-pat00101
    여기서, k=sx/s = 1/2 이고,경간내 최대이도가 DiD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102
  8. 제 7항에 있어서,
    측정한 연직각(θ'ic)를 다음의 수식에 대입하여 경간내 임의거리의 전선이도(Di´)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Figure 112006087845226-pat00103
    여기서, k=sx/s = 1/2 이고,경간내 최대이도가 DiD 일때
    Figure 112006087845226-pat00104
KR1020050063982A 2005-07-15 2005-07-15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KR10069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982A KR100694444B1 (ko) 2005-07-15 2005-07-15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982A KR100694444B1 (ko) 2005-07-15 2005-07-15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040A KR20070009040A (ko) 2007-01-18
KR100694444B1 true KR100694444B1 (ko) 2007-03-12

Family

ID=3801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982A KR100694444B1 (ko) 2005-07-15 2005-07-15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4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3B1 (ko) * 2008-12-03 2011-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KR20160069106A (ko) 2014-12-08 2016-06-16 중소기업은행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방법
WO2016200192A1 (ko) * 2015-06-12 2016-12-15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측량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410A1 (it) * 2012-03-16 2013-09-17 Ricerca Sul Sist Energetico Rs E S P A Apparato per la misurazione della distanza da terra di una linea elettrica aerea
CN114894096B (zh) * 2022-03-23 2024-05-03 江苏江南检测有限公司 一种一体式山区铁塔倾斜度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908A (ja) 1982-03-29 1983-10-04 Hitachi Cable Ltd 送電線架設における弛度測定方法
JPH02306102A (ja) * 1989-02-15 1990-12-19 Hitachi Cable Ltd 送電線の弛度測定方法および緊線方法ならびに工具
JPH03222615A (ja) * 1990-01-27 1991-10-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架空線弛度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908A (ja) 1982-03-29 1983-10-04 Hitachi Cable Ltd 送電線架設における弛度測定方法
JPH02306102A (ja) * 1989-02-15 1990-12-19 Hitachi Cable Ltd 送電線の弛度測定方法および緊線方法ならびに工具
JPH03222615A (ja) * 1990-01-27 1991-10-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架空線弛度測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3B1 (ko) * 2008-12-03 2011-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KR20160069106A (ko) 2014-12-08 2016-06-16 중소기업은행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방법
WO2016200192A1 (ko) * 2015-06-12 2016-12-15 (주)선운 이앤지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측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040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503B1 (ko)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KR100694444B1 (ko)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KR101552589B1 (ko)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가공철탑전선의 이도, 실장 관측 및 산출방법
JP7074043B2 (ja) 設備状態検出装置、設備状態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16014B (zh) 测量和计算森林蓄积参数的方法
CN103322875A (zh) 输电线路门型杆施工用的水平尺
CN203349818U (zh) 输电线路门型杆施工用的水平尺
CN114858140B (zh) 基于标靶装置的深埋隧洞结构面点云坐标变换方法及设备
CN109556581A (zh) 一种基于全站仪在浮动平台上的测量方法
CN105783849B (zh) 一种岩层真倾角和真走向的测量系统及方法
KR101271048B1 (ko) 선로용 좌표측량 프리즘타켓
CN205957883U (zh) 一种狭长空间内壁垂直度测量仪和测量装置
CN206269779U (zh) 架空光缆弧垂测量装置
CN110345906A (zh) 隧道拱顶下沉的实时标高测量方法及测量装置
CN108592875B (zh) 一种新型接触式隧洞收敛监测系统收敛位移的计算方法
KR200381978Y1 (ko)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CN109238253B (zh) 一种基于投影原理的建筑测绘方法及系统
CN115374511B (zh) 一种地铁隧道监测三维控制网仿真设计系统和方法
CN208042925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工程管理尺
KR100820339B1 (ko) 지하공간으로의 기준점 측량방법
JP2002340522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方法
JP2846447B2 (ja) 架空線弛度測定方法
CN114030394A (zh) 一种地铁接触网全参数无轨测量施工方法
KR101543529B1 (ko) 이도 측정 방법
KR20180075028A (ko) 송전철탑 변위측정용 다중수평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