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529B1 - 이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529B1
KR101543529B1 KR1020140052062A KR20140052062A KR101543529B1 KR 101543529 B1 KR101543529 B1 KR 101543529B1 KR 1020140052062 A KR1020140052062 A KR 1020140052062A KR 20140052062 A KR20140052062 A KR 20140052062A KR 101543529 B1 KR101543529 B1 KR 10154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llimation
instrument
data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철원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01C3/2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with adaptation to the measurement of the height of an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24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fixed angles and a base of variable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산악 지형물이나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송전 선로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제1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1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는 제1 시준 단계, 제2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2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제1 측량기를 시준하는 제2 시준 단계, 제1 시준 단계 및 제2 시준단계에서 얻은 데이터를 연산하여, 제2 측량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를 구하고, 최종 좌표를 이용하여 제2 측량점에서의 수평각도(h)를 구하는 수평각도 산출 단계, 수평각도(h)에 맞도록 제2 측량기의 각도를 조절한 후, 측정할 전선에 제2 측량기를 시준하여 수직 각을 구하는 수직 각 확인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전선의 이도값을 구하는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도 측정 방법{DIP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은 이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산악 지형물이나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송전 선로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개의 측량점을 이용하여 전선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념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송전철탑의 양 지지점(Pa,Pb)을 연결하는 직선과 전선(1)의 버텍스(vertex)를 연결하는 최단직선거리를 전선 이도(d)라고 한다. 상기한 버텍스(vertex)는 철탑의 양 지지점(Pa,Pb)을 연결하였을 때 전선(1)이 만드는 곡선의 최저점을 말한다.
송전 선로의 적정 이도 유지는 전선의 장력과 연관된 문제로서, 전선 수명에 큰 영향을 주어 설비고장 예방 및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꼭 필요한 항목이다.
전선 이도 측정을 통하여 송전 선로의 철탑의 전력선이 설계조건에 맞게 가선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선 이도 측정에 의한 적정 이도 유지는 최적의 송전 선로 건설 및 관리에 필요한 시공 품질요건을 갖추게 하여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하기에서 선행기술문헌으로 인용되는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1개의 측량점을 이용하여 전선 이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도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상에서 양측 철탑(A,B)의 전선 지지점(Pa,Pb)이 보이는 측량점(P)에 측량기(10)를 설치하고, 양측 철탑(A,B)중 일측 철탑(A)의 전선 지지점(Pa)에 대해 상기 설치된 측량기(10)를 시준한다. 그리고 타측 철탑(B)의 전선 지지점(Pb)에 대해서도 상기 설치된 측량기(10)를 시준한다. 시준된 시준 값을 통하여 측량점(P)을 기준(0,0,0)으로 한 양측 철탑(A,B)의 전선 지지점(Pa,Pb)의 공간 좌표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도 기준선의 수평각도(h)를 구할 수 있다.
구해진 수평각도(h)에 맞도록 작업자가 측량기(10)의 각도를 조절한 후, 전선(1)의 이도점(E)을 시준하여 수직 각(v)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이도(d)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1개의 측량점(P)을 이용하여 전선 이도(d)를 측정하는 방식은 1곳의 측량점(P)에서 측량기로 3개 지점(송전선로 양쪽 철탑의 두 지지점과 이도점)의 공간좌표를 구하여 이도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써, 반드시 3개 지점을 1곳의 측량점(P)에서 볼 수 있어야 했다. 그에 따라 산악이나 도심지역 등 장애물(수목이나 건조물 등)로 인하여 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도(d)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산악지역은 수목 벌채 후 이도 측정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개발제한구역 이나 녹지 등은 사실상 수목벌채가 어렵다. 건조물의 경우에는 장애물 해소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어 문제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00750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산악 지형물이나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송전 선로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제1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1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는 제1 시준 단계, 제2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2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제1 측량기를 시준하는 제2 시준 단계, 제1 시준 단계 및 제2 시준단계에서 얻은 데이터를 연산하여, 제2 측량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를 구하고, 최종 좌표를 이용하여 제2 측량점에서의 수평각도(h)를 구하는 수평각도 산출 단계, 수평각도(h)에 맞도록 제2 측량기의 각도를 조절한 후, 측정할 전선에 제2 측량기를 시준하여 수직 각을 구하는 수직 각 확인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전선의 이도값을 구하는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제1 시준 단계, 제2 시준 단계, 수평각도 산출 단계, 수직 각 확인 단계, 및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2 개의 측량점을 이용하여 전선 이도를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산악 지형물이나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송전 선로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1개의 측량점을 이용하여 전선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전선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전선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전선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제1 시준 단계, 제1 전송 단계, 제2 시준 단계, 제2 전송 단계, 수평각도 산출 단계, 수직 각 확인 단계, 제3 전송 단계,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시준 단계에서는 제1 측량기(110)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량기(110)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면, 제1 측량기(110)는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한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를 측량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량기(110)와 제2 측량기(120)의 수평각도 영점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1 측량기(110)의 수평각도 영점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1 측량기(110)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여야 한다. 이는 제1 측량기(110)를 기준으로 하는 공간좌표의 Y축과 제2 측량기(120)를 기준으로 하는 공간좌표의 y축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측량기(110)의 수평각도 영점 조정하는 방법은, 제1 측량기(110)로 제2 측량기(120)를 시준한 상태에서 제1 측량기(110)를 180도를 돌린 상태가 제1 측량기(110)의 수평각도가 0도인 지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전송 단계는 상기 제1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1 시준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1 시준값 데이터는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1 전송 단계는 제1 시준 단계 다음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송은 유선, 무선을 통한 전송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특정 형식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법이라면 그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전송이란 단어가 사용된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제2 시준 단계에서는 제2 측량기(120)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제1 측량기(110)를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량기(120)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제1 측량기(110)를 시준하면, 제2 측량기(120)는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제1 측량기(110)의 공간 좌표를 측량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량기(120)와 제1 측량기(110)의 수평각도 영점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2 측량기(120)의 수평각도 영점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2 측량기(120)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제1 측량기(110)를 시준하여야 한다. 이는 제1 측량기(110)를 기준으로 하는 공간좌표의 Y축과 제2 측량기(120)를 기준으로 하는 공간좌표의 y축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측량기(120)의 수평각도 영점 조정하는 방법은, 제2 측량기(120)로 제1 측량기(110)를 시준한 상태가 제2 측량기(120)의 수평각도가 0도인 지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 전송 단계는 상기 제2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2 시준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2 시준값 데이터는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제1 측량기(110)의 공간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전송 단계는 제2 시준 단계 다음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각도 산출 단계에서는 제1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1 시준값 데이터 및 제2 시준단계에서 얻은 제2 시준값 데이터가 데이터 연산 장치에 의해서 연산된다.
제1 시준값 데이터는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일 수 있고, 제2 시준값 데이터는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제1 측량기(110)의 공간 좌표일 수 있다.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를 구한다는 것은, 제1 측량점(P1)을 (0,0,0)으로 하고, 제1 측량기(110)의 수평각도가 0인 방향을 Y축으로 한 가상의 공간 좌표를 설정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가 무엇인지를 구하는 것이다.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제1 측량기(110)의 공간 좌표를 구한다는 것은, 제2 측량점(P2)을 (0,0,0)으로 하고, 제2 측량기(120)의 수평각도가 0인 방향을 y축으로 한 가상의 공간 좌표를 설정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제1 측량기(110)의 공간 좌표가 무엇인지를 구하는 것이다.
수평각도 산출 단계에서 제1 시준값 데이터 및 제2 시준값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연산 장치의 연산과정 후,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최종 좌표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가 구해질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연산 장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최종 좌표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를 이용하여 제2 측량점(P2)에서의 수평각도(h)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결과 값인 수평각도(h)는 데이터 연산 장치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수직 각 확인 단계에서는 수평각도(h)에 맞도록 제2 측량기(1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렇게 수평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2 측량기(120)는 제1 철탑(A) 및 제2 철탑(B)의 중앙부를 시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측량기(120)의 수평각도를 구해진 수평각도(h)에 맞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제2 측량기(120)를 상하로 각도 조절하면, 제2 측량기(120)는 제1 철탑 및 제2 철탑의 중점(C)과 이도점(E)을 잇는 직선 위의 임의의 지점을 시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2 측량기(120)를 상하로 움직이다가 측정할 전선(1)을 시준하면, 제2 측량기(120)는 이도점(E)을 시준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측량기(120)의 수직 각도를 측정하면 수직 각(v)을 구할 수 있다.
제3 전송 단계에서는 수직 각 확인 단계 이후에 수직 각 확인 단계에서 얻은 수직 각(v)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 장치는 수직 각(v) 데이터를 전송 받아 최종적인 이도(d)값을 연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전선(1)의 이도(d)값을 구하는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이도값 도출 단계에서 데이터 연산 장치는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전선(1)의 이도(d)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연산 장치는 제1 전송 단계, 제2 전송 단계, 및 제3 전송 단계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를 연산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연산 과정에서 도출되는 중간 결과 값도 모두 이도(d)값 연산에 이용할 수 있다.
이도값 도출 단계에서 데이터 연산 장치에 의해 연산된 이도(d)값은 데이터 연산 장치의 표시 장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2 개의 측량점을 이용하여 전선 이도를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산악 지형물이나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송전 선로의 이도를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 장치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연산 장치로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를 이용하는 경우 측정 현장에서 바로 이도값을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에 의한 이도 측정의 예시를 [표 1] 내지 [표 7]을 통하여 설명한다.
1. 제2 측량점 ( P2 ) 좌표를 기준좌표(0,0,0)로 하는 철탑 지지점 최종좌표를 구한다.
가. 제1 시준값 데이터
구 분 x y z
제1 철탑 지지점 좌표 25 73 35
나. 제2 시준값 데이터
구 분 x y z
제1 측량기 좌표 0 80 12
제2 철탑 지지점 좌표 109 7 49
다.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한 제1 철탑 지지점의 최종좌표(x,y,z)를 환산한다
- x값은 동일하다. 즉 구하는 x 값은 25이다.
- y값은 제1 철탑 지지점의 y값 73에서 제1 측량기 좌표의 y값 80을 더한 값이다. 즉 구하는 y 값은 153이다.
- z값은 제1 철탑 지지점의 z값 35에서 제1 측량기 좌표의 z값 12를 더한 값이다. 즉, z는 47이다.
구 분 x y z
제1 철탑 지지점 좌표 25 153 47
제2 철탑 지지점 좌표 109 7 49
2. 이도 기준선까지의 수평각도(h)를 구한다.
가. 이도 중심선 좌표를 구한다
- 철탑A, B 지지점 최종 좌표 값을 더한 후 2로 나누면 된다.

이도 중심선 좌표
x y
67 80
나. 수평각도(h)를 구한다.
- 수평각도(h) = ARCTAN(x/y)이다. 만일, 각도 값이 음수이면 양의 수로 변환한다.

수평각도(h)
ARCTAN(x/y) 39.946도
+ 각도로 변환
양의 각도 39.946도
3. 수직 각(v)을 구한다.
가. 측량기를 수평각도(h)만큼 돌린 후,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선의 이도점(E)을 시준하여 수직 각(v)을 구한다.
- 이값은 제2 측량기 값이다.
수직 각(v)(도,분,초) 68 5 53
4. 이도(d)값을 산출한다
이도값 6.01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전선 이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과 유사한 단계를 포함한다. 다만,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달리 반사경을 이용하여 측량기의 시준값을 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에서는 제1 측량기(210)가 있는 지점과 인접한 지점(Q)에 반사경(211)을 설치하고, 제2 측량기(220)에서 제1 측량기(210)를 시준하는 대신에 이 반사경(211)을 시준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이도 측정 방법과 차이가 있다.
반사경(211)은 제1 측량기(210)보다 크기도 클 뿐만 아니라 반사율도 현저하게 높으므로 제2 측량기(220)가 제1 측량기(210) 대신 반사경(211)을 시준함으로써 측량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만, 이렇게 반사경(211)을 시준할 경우, 제1 측량기(210)의 공간 좌표 대신에 반사경(211)의 공간 좌표가 측정되는 것이므로, 이를 보정해 주어야 정확한 이도(d)값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에서는 제1 측량기(210)와 반사경(211) 사이의 변위값을 측정하고 이를 계산 과정에 반영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이도(d)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제1 시준 단계, 제1 전송 단계, 제2 시준 단계, 제2 전송 단계, 변위값 측정 단계, 변위값 전송 단계, 수평각도 산출 단계, 수직 각 확인 단계, 제3 전송 단계,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시준 단계에서는 제1 측량기(210)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량기(210)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면, 제1 측량기(210)는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한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를 측량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량기(210)와 제2 측량기(220)의 수평각도 영점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1 측량기(210)의 수평각도 영점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1 측량기(210)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여야 한다. 제1 측량기(210)의 수평각도 영점을 조정하는 방법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제1 전송 단계는 상기 제1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1 시준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1 시준값 데이터는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시준 단계에서는 제2 측량기(220)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제1 측량기(210)와 인접하여 부착된 반사경(211)을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량기(220)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반사경(211)을 시준하면, 제2 측량기(220)는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반사경(211)의 공간 좌표를 측량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량기(220)와 제1 측량기(210)의 수평각도 영점이 서로 일치하도록 제2 측량기(220)의 수평각도 영점을 조정한 상태에서, 제2 측량기(220)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반사경(211)을 시준하여야 한다.
제2 측량기(220)의 수평각도 영점 조정하는 방법은, 제2 측량기(220)로 반사경(211)을 시준한 상태가 제2 측량기(220)의 수평각도가 0인 지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 전송 단계는 상기 제2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2 시준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2 시준값 데이터는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반사경(211)의 공간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변위값 측정 단계는 제1 측량기(210)의 지점과 반사경(211)이 있는 지점 간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도 3에서는 반사경(211)이 제1 측량기(210) 보다 z축으로 s만큼 아래로 떨어져 있으므로, 이 값을 변위값으로 측정하면 된다. 이 변위값은 이후 이도(d)값을 계산하는 계산 과정에서 보정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변위값 전송 단계는 변위값 측정 단계 이후에 변위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연산 장치를 사용하여 연산하기 위하여 변위값 테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수평각도 산출 단계에서는 제1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1 시준값 데이터, 제2 시준단계에서 얻은 제2 시준값 데이터, 및 변위값 데이터가 데이터 연산 장치에 의해서 연산된다.
제1 시준값 데이터는 제1 측량점(P1)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공간 좌표일 수 있고, 제2 시준값 데이터는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공간 좌표 및 반사경(211)의 공간 좌표일 수 있다. 변위값 데이터는 제1 측량기(210)와 반사경(211) 사이의 변위값일 수 있다.
수평각도 산출 단계에서 제1 시준값 데이터, 제2 시준값 데이터, 및 변위값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연산 장치의 연산과정 후,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최종 좌표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가 구해질 수 있다. 변위값 데이터는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최종 좌표를 구하는 과정에서 보정 값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연산 장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의 최종 좌표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를 이용하여 제2 측량점(P2)에서의 수평각도(h)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결과 값인 수평각도(h)는 데이터 연산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수직 각 확인 단계에서는 수평각도(h)에 맞도록 제2 측량기(2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렇게 수평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2 측량기(220)는 제1 철탑(A) 및 제2 철탑(B)의 중앙부를 시준할 수 있게 된다.
제1 철탑 및 제2 철탑의 중앙부를 시준한 상태에서 제2 측량기(220)를 상하로 움직이다가 측정할 전선(1)을 시준하면, 제2 측량기(220)는 이도점(E)을 시준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측량기(220)의 수직 각도를 측정하면 수직 각(v)을 구할 수 있다.
제3 전송 단계에서는 수직 각 확인 단계 이후에 수직 각 확인 단계에서 얻은 수직 각(v)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 장치는 수직 각(v) 데이터를 전송 받아 최종적인 이도(d)값을 연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전선(1)의 이도(d)값을 구하는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한다.
이도값 도출 단계에서 데이터 연산 장치는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전선(1)의 이도(d)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연산 장치는 제1 전송 단계, 제2 전송 단계, 변위값 전송 단계, 및 제3 전송 단계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를 연산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연산 과정에서 도출되는 중간 결과 값들을 이도(d)값 연산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도값 도출 단계에서 데이터 연산 장치에 의해 연산된 이도(d)값은 데이터 연산 장치의 표시 장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은 반사경(211)을 이용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2 개의 측량점을 이용하여 산악 지형물이나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전선 이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연산 장치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는 연산이 가능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도 측정 방법에 의한 이도 측정의 예시를 [표 8] 내지 [표 15]를 통하여 설명한다.
1. 제2 측량점 ( P2 ) 좌표를 기준좌표(0,0,0)로 하는 철탑 지지점 최종좌표를 구한다.
가. 제1 시준값 데이터
구 분 x y z
제1 철탑 지지점 좌표 25 73 35
나. 제2 시준값 데이터
구 분 x y z
반사경의 좌표 0 80 11
제2 철탑 지지점 좌표 109 7 49
다. 변위값 데이터
구 분 x y z
변위값 0 0 1
라. 제2 측량점(P2)을 기준으로 한 제1 철탑 지지점의 최종좌표(x,y,z)를 환산한다
- x값은 동일하다. 즉 구하는 x 값은 25이다.
- y값은 제1 철탑 지지점의 y값 73에서 반사경 좌표의 y값 80을 더한 값이다. 즉 구하는 y 값은 153이다.
- z값은 제1 철탑 지지점의 z값 35에서 반사경 좌표의 z값 11 및 변위값의 z값 1을 더한 값이다. 즉, z는 47이다.
구 분 x y z
제1 철탑 지지점 좌표 25 153 47
제2 철탑 지지점 좌표 109 7 49
2. 이도 기준선까지의 수평각도(h)를 구한다.
가. 이도 중심선 좌표를 구한다
- 철탑A, B 지지점 최종 좌표 값을 더한 후 2로 나누면 된다.

이도 중심선 좌표
x y
67 80
나. 수평각도(h)를 구한다.
- 수평각도(h) = ARCTAN(x/y)이다. 만일, 각도 값이 음수이면 양의 수로 변환한다.

수평각도(h)
ARCTAN(x/y) 39.946도
+ 각도로 변환
양의 각도 39.946도
3. 수직 각(v)을 구한다.
가. 측량기를 수평각도(h)만큼 돌린 후, 측정하고자 하는 전력선의 이도점(E)을 시준하여 수직 각(v)을 구한다.
- 이값은 제2 측량기 값이다.
수직 각(v)(도,분,초) 68 5 53
4. 이도(d)값을 산출한다
이도값 6.01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전선
10: 측량기
110,210: 제1 측량기
120,220: 제2 측량기
211: 반사경
A: 제1 철탑
B: 제2 철탑
C: 제1 철탑 및 제2 철탑의 중점
d: 이도
E: 이도점
P1: 제1 측량점
P2: 제2 측량점
Pa: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
Pb: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
h: 수평각도
v: 수직 각

Claims (6)

  1. 제1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1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시준 단계;
    제2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2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상기 제1 측량기를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시준 단계;
    상기 제1 시준 단계 및 상기 제2 시준단계에서 얻은 데이터를 연산하여, 상기 제2 측량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를 구하고, 상기 최종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측량점에서의 수평각도(h)를 구하는 수평각도 산출 단계;
    상기 수평각도(h)에 맞도록 상기 제2 측량기의 각도를 조절한 후, 측정할 전선에 상기 제2 측량기를 시준하여 수직 각을 구하는 수직 각 확인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선의 이도값을 구하는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이도 측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준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1 시준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제2 시준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2 시준값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및
    상기 수직 각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수직 각 확인 단계에서 얻은 수직 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제3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각도 산출 단계는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가 전송 받은 상기 제1 시준값 데이터 및 상기 제2 시준값 데이터를 연산하고 그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며,
    상기 이도값 도출 단계는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가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선의 이도값을 연산하고 그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 방법.
  4. 제1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1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을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시준 단계;
    제2 측량점에 설치되며 수평각도 영점조정이 완료된 제2 측량기를 이용하여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 및 상기 제1 측량기와 인접하여 부착된 반사경을 시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시준 단계;
    상기 제1 측량기와 상기 반사경 사이의 변위값을 측정하는 변위값 측정 단계;
    상기 제1 시준 단계와 상기 제2 시준단계에서 얻은 데이터 및 상기 변위값을 근거로 연산하여, 상기 제2 측량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철탑의 전선 지지점(Pa) 및 제2 철탑의 전선 지지점(Pb)의 최종 좌표를 구하고, 상기 최종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측량점에서의 수평각도(h)를 구하는 수평각도 산출 단계;
    상기 수평각도(h)에 맞도록 상기 제2 측량기의 각도를 조절한 후, 측정할 전선에 상기 제2 측량기를 시준하여 수직 각을 구하는 수직 각 확인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선의 이도값을 구하는 이도값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이도 측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준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1 시준값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제2 시준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시준 단계에서 얻은 제2 시준값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상기 변위값 측정 단계 이후에 상기 변위값을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변위값 전송 단계; 및
    상기 수직 각 확인 단계 이후에 상기 수직 각 확인 단계에서 얻은 수직 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에 전송하는 제3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각도 산출 단계는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가 전송 받은 상기 제1 시준값 데이터, 상기 제2 시준값 데이터, 및 상기 변위값을 근거로 연산하고 그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며,
    상기 이도값 도출 단계는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가 상기 각 단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선의 이도값을 연산하고 그 결과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 장치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P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도 측정 방법.
KR1020140052062A 2014-04-30 2014-04-30 이도 측정 방법 KR10154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62A KR101543529B1 (ko) 2014-04-30 2014-04-30 이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62A KR101543529B1 (ko) 2014-04-30 2014-04-30 이도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29B1 true KR101543529B1 (ko) 2015-08-10

Family

ID=5388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062A KR101543529B1 (ko) 2014-04-30 2014-04-30 이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157A (ko)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가선 이도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선 방법
KR20200050237A (ko) * 2018-11-01 2020-05-1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송전선 디플렉션 감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3B1 (ko) 2008-12-03 2011-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JP2011229231A (ja) 2010-04-16 2011-1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弛度観測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03B1 (ko) 2008-12-03 2011-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JP2011229231A (ja) 2010-04-16 2011-1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弛度観測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157A (ko) 2016-11-04 2018-05-1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가선 이도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선 방법
KR20200050237A (ko) * 2018-11-01 2020-05-1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송전선 디플렉션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166021B1 (ko) * 2018-11-01 2020-10-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송전선 디플렉션 감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503B1 (ko) 송전선로 이도 측정 방법
CN106526636A (zh) 一种基于北斗定位的高精度变形监测装置和方法
KR20120051981A (ko) Gnss를 이용한 건물의 수직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543529B1 (ko) 이도 측정 방법
AU2010337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directing antennas
CN110645901A (zh) 建筑工程动态监测系统及使用方法
CN106192769A (zh) 高桥墩滑模施工垂直度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458988A (zh) 基于uwb无线测距技术的抱杆倾角测量方法
US9821453B2 (en) Line scribing method of line scriber
CN107254969B (zh) 一种曲面建筑物的红外线三维定位装置及定位施工方法
CN103022945B (zh) 一种输电线路耐张塔跳线安装方法
KR101249912B1 (ko) 영상처리를 위한 유사영상물 위치조정용 이미지인식 처리시스템
KR20070009040A (ko) 전선이도 직접 측량방법
KR101185397B1 (ko)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9793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기준점기반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처리시스템
CN103575257A (zh) 不通视条件下的直线延伸全站仪定位测量方法
CN107843243A (zh) 一种高层建筑外立面激光测量校正系统及方法
CN114413850A (zh) 一种基于SRTM 90m DEM的单点火点定位方法
KR20180075028A (ko) 송전철탑 변위측정용 다중수평 고정장치
CN102535482B (zh) 一种土石方平基的方法
CN104101314B (zh) 多层次皮带机中心线一次性定位方法
JP5510187B2 (ja) 鋼構造物の合わせ面の加工方法
KR100645020B1 (ko)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492220B1 (ko) 기상 변화에 따른 오차 발생을 최소화하는 오차 소거 정밀 기준점 측량장치
CN204421905U (zh) 一站定线式激光指向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