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454B1 -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454B1
KR100693454B1 KR1019980053321A KR19980053321A KR100693454B1 KR 100693454 B1 KR100693454 B1 KR 100693454B1 KR 1019980053321 A KR1019980053321 A KR 1019980053321A KR 19980053321 A KR19980053321 A KR 19980053321A KR 100693454 B1 KR100693454 B1 KR 100693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user
connector
cords
radio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838A (ko
Inventor
가즈아키 오키에비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08Portable audio devices, e.g. walkman, discman, radio, MP3 player,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몸에 휴대형 전자기기를 착용하기 위한 홀더에 있어서, 코드루프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코드루프는 전자기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코드루프는 상기 코드루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커넥터를 가지고, 이후에 소정의 힘보다 크게 당기는 힘이 인가되는 순간 코드루프가 풀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라디오 수신기세트, 테이프 기록기, 디스크 플레이어, 라디오폰등과 같은 휴대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하는 동안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목에 걸어 사용하도록 고안된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라디오 수신기, 테이프 기록기, 디스크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쉽게 휴대하도록 소형화되어 고안되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휴대전자기기는 옷의 주머니, 가방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휴대하였다.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움직일 때, 예를 들면 조깅을 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이런 형태의 전자기기가 요구되었다.
상기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손에 잡지 않고 목에 걸수 있고, 걷거나 조깅등과 같이 움직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가 제안되었다.
사용자의 목 등에 걸어서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목에 걸어 사용하는 코드루프(cord loop)를 휴대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기기는, 코드루프가 어떤 물체에 의해 사고로 잡혀 끌리게 되면 당기는 힘이 직접 목부분에 가해져 사용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나무들이 즐비해 있는 가로수길 또는 거리를 따라 조깅을 하는 경우에, 코드루프가 낮은 나무 가지에 걸리게 되거나 사용자가 기차나 전차를 타고 내릴 때, 코드루프 끝의 전자기기가 문틈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당기는 힘이 사용자의 목에 직접 인가되어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비록 극단적인 경우이기는 하지만, 불가능하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목 또는 다른 부분에 걸어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에 인가된 소정의 힘보다 더 크게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바로 사용자의 몸에서 제거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에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편안함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사용자의 목에 걸도록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인출되고 소정의 힘보다 더 크게 당기는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 목에서 쉽게 풀리어 제거되는 모걸이형 코드루프로 이루어진 라디오 수신기, 테이프 기록기 및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원공급선 및/또는 신호공급선 등을 포함하는 전기코드가 코드루프에 일체되어, 코드루프의 외형을 단순하게 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어폰을 귓바퀴에 꼽거나 머리 주위에 착용한 헤트폰의 접속코드의 선단부(leading portion)가 사용자의 머리 또는 귀 주위에 위치하도록 목걸이형 코드루프를 코드 커넥터에 하나의 요소로서 제공함으로서, 이어폰 코드의 길이를 줄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그 외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된 휴대용 라디오 수신기 및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좀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 1 ∼ 도 12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휴대형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도면부호(1)로 나타낸 휴대형 라디오 수신기로 AM 및 FM방송을 수신하도록 고안되었다. 라디오 수신기본체(1)는 AM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 라디오 수신회로를 내장하고, 적어도 라디오 수신회로와 수신한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건전지와 건전지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갖는다.
라디오 수신기본체(1)는 수신된 주파수를 읽기 위해 다이얼 표시부(4)를 케이스의 정면에 설치한다. 라디오 수신기본체(1)는 전지수납부, 수신 주파수 튜닝다이얼(3), 음향 볼륨 조절기(5), AM/FM대역 선택기(6), 전원 온/오프 스위치(7)를 억세스(access)하기 위해 전지수납부 덮개(2)을 본체의 배면에 설치한다.
라디오 수신기본체(1)는 2개의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유지하기 위해 그 일측부에 고안된다. 라디오 수신기본체(1) 안쪽에,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유지기(retainer)(18)로 그 끝이 일체로고정된다.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의 일측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라디오 수신기본체(1)에서 인출된다. 따라서 인출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의 말단은 각각 피메일 및 메일(female and male)커넥터(42 및 41)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일측의 제 1코드(11)와 피메일 커넥터(42) 한쌍과 타측의 제 2코드(12)와 메일 커넥터(41) 한쌍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10A)로 나타낸 목걸이형 코드루프로 일체로 형성된다. 목걸이형 코드루프(10A)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머리 위에서 목주위(실제로는 목과 어깨사이의 경계부)에 코드루프(10A)를 착용하여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몸 또는 옷의 주머니에 라디오 수신기본체(1)를 유지한다.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코드루프(10A)를 목주위에 착용할 때 코드루프(11 및 12)가 사용자 몸의 형체에 잘 맞도록 충분히 유연성이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제 1코드(11)는 코어(core)로서 동선으로 만들어진 도선(13) 및 도선(13)에 형성된 합성수지외장(14)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3개의 선(15)과 이 3개의 선(15)을 덮는 헌겊덥개(16) 및 이 헌겊덥개(16)위에 형성된 발수성외장(17)을 포함한다. 3개의 도선(13)중 하나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에 내장된 전원(밧데리)에서 전원을 이어폰에 공급하는 전원선으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이어폰에 공급하는 신호선으로서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FM방송을 수신하는 안테나(또는 접지선으로서)로서 사용된다.
제 2코드(12)는 복수의 합성수지수지 선과 이 선 위에 형성된 헌겊덥개 및 이 선 위에 형성된 발수성외장으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한 것처럼,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 안쪽에 커플러(18)로 그 말단이 일체로고정된다. 커플러(18)는 반대편 끝이 서로 겹쳐지도록 일반적으로는 U자형태로 구부러진 얇은 금속이다. 나사구멍이 커플러(18)의 반대편에 겹쳐진 부분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나사(19)가 나사구멍을 통해서 설치되어 커플러(18)내에 있는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의 말단을 안전하게 조여준다.
제 1코드(11)내의 선(15)의 각 도선(13)는 코어(11)에서 인출되어 라디오 수신기본체(1)내에 설치된 인쇄배선기판(20)에 설치된 접속단자(21)에 접속함으로써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인쇄배선기판(20)은 라디오 수신회로와 전원회로를 형성하는 전원장치 등을 그 위에 설치한다.
지지 슬리브(support sleeve)(22)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의 말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개구말단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구멍 및 지지 슬리브를 관통하여 인출된다. 따라서 이 지지 슬리브(22)는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로 라디오 수신기본체(1) 를 좀더 확실하게 유지할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42)는 코드루프를 목에 착용할 때 사용자의 목의 측면을 따라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질의 폴리염화비닐 및 탄성중합체 등의 유연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진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피메일 커넥터(42)는 타원형 링이 서로 형성된 한쌍의 아치형(25a 및 25b)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아치형(25a 및 25b)부분은 피메일 커넥터(42)가 성형될 때 이들 사이에 아치형 중심개구(26)를 한정한다.
이어폰(또는 헤드폰)(27)은 라디오 수신기본체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라디오 청취기로 사용된다. 이어폰(27)에서 인출된 이어폰 코드(28)는 이어폰(27)이 접속된 말단에 그 반대편의 말단에 접속된 이어폰 플러그(29)를 갖는다. 이어폰 플러그(29)는 아치형(25a 및 25b)부분의 연결점에서 피메일 커넥터(42)의 일측 말단부에 설치된 이어폰잭(3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접속된다. 피메일 커넥터(42)는 중심개구(26)에 구멍(31)이 개방되는 말단부에서 형성되고 이어폰 플러그(29)가 삽입되어 진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피메일 커넥터(42)는 또한 제 1코드(11)의 말단이 피메일 커넥터(42)로 인출되는 부시링(bush ring)(33)의 말단에 설치된다. 즉, 피메일 커넥터(42)를 위한 주형에 설치하기 위해서, 제 1코드(11)의 말단과 이어폰잭(30)과 부시링(33)이 그곳을 통과하고, 이들이 그 주형에 삽입되면 피메일 커넥터(42)의 재료의 삽입에 의해 형성된다. 코드(11)의 3개의 도선(13)은 이어폰잭(30)의 접속피스(connection pieces)에 대응해서 접속된다.
이어폰잭(30)은 구멍(31)이 중심개구(26)에서 개방되도록 피메일 커넥터(42)에 고정된다. 이어폰(27)의 플러그(29)가 이어폰잭(30)에 삽입되는 경우에, 도 2에서 나타낸 것 처럼 한쌍의 아치형부분(25a 및 26b)로 한정된 중심개구(26)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어폰 플러그(29)가 다른 사물에 의해 잡히거나 또는 접촉되는 일이 드물게 되기 때문에 이어폰잭(30)에 안전하게 접속될 수 있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이어폰 플러그(29)를 거쳐서 이어폰잭(30)에 접속된 이어폰(27)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헤드밴드(35)의 반대측 말단에 제공된 한쌍의 스피커단자(36 및 37)로 오른쪽 및 왼쪽 헤드폰이다.
이어폰 플러그(29)가 FM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라디오 수신기본체(1)세트의 이어폰잭(30)에 접속될 때, 이어폰(27)의 플러그(29)가 접속되는 이어폰 코드(28)는 FM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FM안테나로서 제 1코드(11)에서 선(15)으로 작용한다.
도 3 ∼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피메일 커넥터(42)는, 이어폰잭(30)이 설치된 말단부의 반대편 말단부에, 제 2코드(12)의 말단에 접속된 메일 커넥터(41)가 이탈할 수 있게 접속하는 커플러(25)를 설치한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메일 커넥터(41)는 제 2코드(12)의 말단부가 안전하게 되도록 하는 베이스부(43)를 갖는다. 베이스부(43)는 하나로 만들어진 한쌍의 협지돌기(catching projection)(44 및 45)를 갖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각각의 말단은 결합 폴(engagement pawl)(46 및 47)로서 형성된다. 베이스부(43)는 또한 각각 협지돌기(44 및 45)를 따라 외부로 연장되는 외부돌기(outer projection)(48 및 49)와 외부돌기(48 및 49)의 말단을 접속하는 교락말단벽(bridging end wall)(50)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돌기(48 및 49)는 협지돌기(44 및 45)가 서로 탄력적으로 어긋나는 경우에 협지돌기(44 및 45)가 엇긋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협지돌기(44 및 45)를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메일 커넥터(41)의 교락말단벽(50)은 유지되거나 유지될수 있는 커플러(25) 내부에 형성된 플레이트형 돌기(plate-like projection)(55)가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사이에 끼워지는 슬릿(52)과 커플러(25)내부에 또한 형성된 삽입방향제어돌기(56)가 맞물리게 되는 안내홈(53)을 형성한다. 따라서, 메일 커넥터(41)가 피메일 커넥터(42)의 커플러(25)에 끼워지면, 이것은 각각 슬릿(52)과 안내홈(53)에 끼워진 커플러(25)의 돌기(55 및 56)에 의해 안내된다. 즉, 메일 커넥터(41)는 일직선이 되어 정확하게 커플러(25) 즉 이러한 돌기 때문에 피메일 커넥터(42)에 접속되고, 커플러(25)에 관련하여 잘못된 모난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부터 메일 커넥터(41)를 제한하도록 슬릿과 홈이 함께 작용한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메일 커넥터(41)가 맞물리는 커플러(25)는 거기에서 형성된 소켓(61)을 갖는다. 상기 돌기(55)는 소켓(61)의 내부와 소켓(61)의 최내벽에 형성되고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소켓(61)의 개구를 향해서 연장된다. 상기처럼, 돌기(55)는 메일 커넥터(41)의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사이에 걸린다.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의 각각의 말단에 형성된 폴(pawl)이 맞물리는 홈(62 및 63)이 그 반대측과 중간위치에 형성된다. 결합 홈(62 및 63)사이의 돌기(55)의 잔여 두께(D1)는 한쌍의 폴(46 및 47)사이의 공간(W1)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돌기(55)가 형성되기 때문에, 메일 커넥터(41)가 커플러(25)에 끼워질 때 즉, 피메일 커넥터(42)에 접속될 때,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의 탄력적인 편차의 영향하에 한쌍의 폴(46 및 47)은 안전하게 홈(62 및 63)에 눌려질 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42)에 커플러(25)가 쉽게 고정되기 때문에, 한쌍의 핀형(fin-shaped) 고정피스(64 및 65)가 소켓(61)주위에 형성된다.
피메일 커넥터(42)에 커플러(25)를 성형하기 위해서, 커플러(25)의 소켓(61)이 이어폰잭(30)이 성형되는 말단에 피메일 커넥터(42)의 반대편 말단에서 개방하는 피메일 커넥터(42)에 대해서 성형 위치에 커플러(25)가 삽입된다. 따라서 커플러(25)는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피메일 커넥터(42)에서 하나로 성형된다.
피메일 커넥터(42)에 설치된 커플러(25)내에 끼워진 제 2코드(12)의 자유단에 메일 커넥터(41)가 하나로 고정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목걸이형 코드루프(10A)를 형성한다.
피메일 커넥터(42)에 제 2코드(12)를 접속하기 위해서, 제 2코드(12)의 말단에서 메일 커넥터(41)가 커플러(25)의 소켓(61)에 끼어진다. 이경우에, 커플러(25)의 플레이트형 돌기(55)와 삽입방향제어돌기(56)가 슬릿(52)과 안내홈(53)에 각각 결합되도록 메일 커넥터(41)가 위치하고, 커플러(25)의 소켓(61)에 고정된다. 돌기(55 및 56)가 슬릿(52)과 안내홈(53)에 각각 결합된 후 메일 커넥터(41)가 커플러(25)에 더 삽입되기 때문에,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가 돌기(55)에 의해 서로 탄력적으로 편향하는 동한 메일 커넥터(41)가 삽입되어, 메일 커넥터(41)의 베이스(43)의 말단면이 커플러의 소켓(61)의 개구말단에 접촉한다. 그리고, 한쌍의 폴(46 및 47)은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의 탄력적의 편향의 효과하에 각각 결합홈(62 및 63)에 결합된다. 따라서, 메일 커넥터(41)는 소정의 유지력으로 커플러(25)에 결합된다.
상기처럼 메일 커넥터(41)를 피메일 커넥터(42)의 커플러(25)에 끼워 넣음으로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서로 한쌍이 되어 코드루프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의 어느 하나가 큰힘에 의해 끌리게 되면, 메일 커넥터(41)는 커넥터(25)의 커플러(25)에서 이탈되게 되고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서로 풀리게 된다. 따라서, 코드루프(10A)가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되는 동안 코드루프(11 및 12)와 라디오 수신기본체(1)중에서 어느 하나에 이러한 당기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메일 커넥터(41)는 커플러(25)에서 이탈되고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서로 풀리게 된다. 코드루프(10A)가 사용자의 목이 매여질 수 있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더는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처럼, 메일 커넥터(41)는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에 의해 돌기(55)의 유지력에 기인해 소정의 유지력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메일 커넥터(41)가 코드루프(코드 11 또는 12)에 인가되는 당기는 힘에 의해 커플러(25)에서 풀리는 경우에, 한쌍의 협지돌기(44 및 45)가 서로 탄력적으로 편향되는 동안 폴(46 및 47)이 홈(62 및 63)에서 풀리게 된다. 그러므로, 메일 커넥터(41)와 커플러(25)는 손상되지 않는다. 코드루프(10A)를 다시 형성하기 위해서, 메일 커넥터(41)가 피메일 커넥터(42)의 커플러(25)에 끼워지고 따라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가 한쌍이 된다.
더욱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클립(71)이 라디오 수신기본체(1)에서 연장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클립(71)은 사용자의 옷 일부에 유연성있는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부착하는데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몸에 라디오 수신기본체(1)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클립(71)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로 만들어 진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일반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된 베이스(72)와 코드 유지기(73)를 포함한다. 클립(71)의 베이스(72)는 일반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하는 한쌍의 암(72a 72b)을 포함한다. 돌기(74)는 암(72a 및 72b)의 각각의 내부 표면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암(72a 및 72b)의 양쪽 돌기(74)는 클립(71)이 부착된 사용자 옷의 일부분에서 쉽게 미끄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코드 유지기(73)는 클립베이스(72)의 암(72 a 및 72b)의 외부암(72a)에 설치된다. 코드 유지기(73)는 암(72a)의 외부표면에서 상승하는 피스(73a)와 상승피스(73a)의 상부에 형성되고 베이스(72)의 연장방향으로 직교해서 연장되는 코드 유지피스(73b)를 포함한다. 상승피스(73a)는 코드를 유지하기 위해서 양쪽의 측면(75 및 76)을 반원으로 오목하게 한다. 이들 반원오목부(75 및 76)의 반경은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클립(71)은 다음과 같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반원오목부(75 및 76)의 중간부분에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클립(71)은 클립베이스(72)의 암(72a 및 73b)사이에 옷부분을 조이므로서 사용자의 옷부분, 예를 들면 주머니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사용자의 옷에 고정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의 말단에 지지된 라디오 수신기본체(1)를 사용자의 몸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가 반원오목부(75 및 76)에 고정되기 때문에, 클립(71)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원하는 화살표 방향(A 또는 B)으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따라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따라 클립(71)에 의해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사용자 옷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형 라디오 수신기본체용 홀더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에서 인출된 제 2코드(12)의 말단에 고정된 메일 커넥터(41)를 라디오 수신기본체(1)에서 인출된 제 1코드(11)의 말단에 일체적으로 접속된 피메일 커넥터(42)에 설치된 커플러(25)에 끼워서 목걸이형 코드루프(10)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포함한다. 목걸이형 코드루프(10A)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된다. 상기처럼 클립(71)이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를 사용자 옷의 부분에 유지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 및 라디오 수신기본체(1)는 사용자 몸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를 사용자 몸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에 걸은 목걸이형 코드루프(10A)가 큰 힘으로 끌리게 되면, 예를 들면 코드(11 또는 12) 또는 라디오 수신기본체(1)가 어떤 장애물에 의해 잡혀 끌리게 되면, 메일 커넥터(41)는 피메일 커넥터(42)의 커플러(25)에서 풀리게 되어 제 1 및 제 2코드(11 및 12)는 서로 풀리게 된다. 따라서, 크게 당기는 힘이 사용자의 목에 작용하지 않는다. 즉, 홀더는 사용자의 목 주위에 매우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 있어서, 이어폰은 헤드밴드를 갖는 헤드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귓바퀴에 직접 삽입되는 스피커인 소위 내측형 이어폰을 물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테이프 기록기, 디스크 플레이어, 휴대전화기, 무선전화기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한 것 처럼 라디오 수신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변형을 도 13을 참조해서 이후에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도 1 ∼ 도 12과 같거나 유사한 부분은 같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로 나타내었고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휴대 전화기는 일반적으로 도면부호(101)로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01)를 구성하는데 수화기를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음성 송신부인 마이크로폰(102)이 제 1코드(11)의 가운데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제 1코드(11)와 함께 형성되는 도선(13)을 포함하는 선(15)에 접속된다. 이어폰(27)은 접속플러그(29)에 의해 음성 수신부로서 사용된 커넥터(25)에 설치된 이어폰잭(30)에 접속된다. 휴대전화기(101)에서 마이크로폰(102)으로 인출된 도선은 마이크로폰을 위한 전원 및 신호선을 포함해야 하고 3개이상이 되어야 한다.
상기처럼 이러한 전화기세트에 사용된 홀더는 사용자의 몸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목걸이형 코드루프(10A)를 사용한다.
상기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의 코드는 코드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한쌍이 되어야 한다. 이처럼 휴대형 전자기기를 사용자 몸에 걸은 코드루프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걷거나 조깅같이 사용자가 움직일 때 전자기기를 손에 잡지않고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에 있는 전자기기가 사용중일 때 코드가 접속된 코드 및 전자기기 어느 하나에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코드루프가 사용자의 몸에서 풀리어 자동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큰 충격을 주지않는다. 그러므로, 홀더가 매우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기에서 인출되는 코드는 전원과 신호선을 포함하는 도선을 일체로 하고, 전자기기에서 인출되어 노출되는 선의 수가 줄어들고 사용자의 몸에 착용한 전자기기는 이러한 노출된 선으로 인해 귀찮게 되는 것을 줄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 홀더는 목주위 또는 다른 몸의 부분에 착용할 때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본 실시예에서는 라디오 수신기)용 홀더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지 않은 도 1의 본 발명의 휴대형 라디오 수신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코드루프의 커넥터에서 풀려진 홀더에 포함된 목걸이형 코드루프 중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라디오 수신기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라디오 수신기 홀더의 코드루프의 코드 단면도이다.
도 5는 휴대형 라디오 수신기에 설치된 인쇄배선기판에 목걸이형 코드루프를 포함하는 코드의 접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코드를 연결하는 코드루프에 포함된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피메일 커넥터에 설치된 이어폰잭에 접속되는 이어폰 코드 플러그를 나타내는, 피메일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메일(male) 커넥터에 접속하는 제 2코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피메일 커넥터에 일체된 커플러(coupler)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커플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두 개의 코드가 결합되는 코드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코드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형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라디오 수신기본체 10. 코드루프
11, 12. 제 1코드, 제 2코드 13. 도선
18. 유지기 22. 지지 슬리브
25. 커플러 27. 이어폰
29. 플러그 30. 이어폰잭
31. 구멍 42. 피메일 커넥터
43. 베이스부 44, 45. 협지돌기
71. 클립

Claims (2)

  1.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도출된 전원 공급선 및 신호공급선과,
    이 전원공급선 및 신호공급선의 끝단부에 접속되고, 이어폰 플러그가 착탈 자재로 접속 가능하도록 한 이어폰 잭을 설치한 제 1코드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도출된 끝단에 메일 커넥터를 설치한 제 2의 코드와,
    상기 제 1의 코드의 끝단의 이어폰 잭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의 코드의 끝단의 상기 메일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피메일 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제 2의 코드에 설치된 상기 메일 커넥터가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제 2의 코드와 함께 목걸이형 코드루프를 구성하도록 한 커플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에 접속된 상기 제 2의 코드에 설치된 상기 메일 커넥터는 상기 제 2의 코드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부가될 경우에, 상기 피메일 커넥터로부터의 이탈을 도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코드와 상기 제 2의 코드 사이에 부착되고, 이 제 1의 코드와 제 2의 코드에 따라서 미끄러짐으로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클립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19980053321A 1997-12-08 1998-12-05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 KR100693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7530A JPH11177250A (ja) 1997-12-08 1997-12-08 電子機器
JP97-337530 1997-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838A KR19990062838A (ko) 1999-07-26
KR100693454B1 true KR100693454B1 (ko) 2007-07-09

Family

ID=1830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321A KR100693454B1 (ko) 1997-12-08 1998-12-05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07924B1 (ko)
JP (1) JPH11177250A (ko)
KR (1) KR100693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509B1 (en) * 1999-09-17 2006-10-10 Hasbro, Inc. Sound and image producing system
JP4304558B2 (ja) * 1999-11-14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機器
WO2002005525A1 (en) * 2000-07-07 2002-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accessory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mobile telephone
TW515623U (en) * 2001-12-05 2002-12-21 Chen Chuen Ling Earphone
CA2376047A1 (en) * 2002-03-05 2003-09-05 Garth W. Whelen Bucket flaps
FR2841417B1 (fr) * 2002-06-25 2004-11-19 Inventel Systemes Radiotelephone portable et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comportant un tel radiotelephone
US7428429B2 (en) * 2002-08-14 2008-09-23 Sync1 Llc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4091832B2 (ja) * 2002-12-13 2008-05-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6929164B1 (en) * 2003-04-11 2005-08-16 Clarence Thomas Neck wrap/brace for holding items and belt article holder for same
US20050131560A1 (en) * 2003-12-12 2005-06-16 Quat Gek H. Connection for audio transfer
US20070160253A1 (en) * 2004-03-31 2007-07-12 Ryuichi Takei Talk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US20060113345A1 (en) * 2004-11-23 2006-06-01 La Loop, Llc. Lanyard assembly
JP4461332B2 (ja) * 2005-01-28 2010-05-12 山本光学株式会社 耳栓およびその耳栓付き首上装着具
JP4278625B2 (ja) * 2005-03-09 2009-06-17 康利 松田 携帯電話用品
CN2809969Y (zh) * 2005-06-07 2006-08-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组件
US20060281504A1 (en) * 2005-06-13 2006-12-14 Pint Elaina M Carrying case for a cell phone wire reel combination
CN2831659Y (zh) * 2005-09-0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耳机组件
US7416099B2 (en) * 2005-10-06 2008-08-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eck str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JP4569449B2 (ja) * 2005-11-22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機
US7643646B2 (en) * 2005-11-29 2010-01-05 Fielding Jr Jerry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US7810750B2 (en) * 2006-12-13 2010-10-12 Marcio Marc Abreu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US7256347B2 (en) * 2005-12-14 2007-08-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rd control and accessories having cord control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900138B2 (ja) * 2007-08-24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ースピーカ装置
US7623352B2 (en) * 2006-02-10 2009-11-24 Boyd Karen A Power supply and speakerphone for handheld devices
US20070229296A1 (en) * 2006-03-15 2007-10-04 Kohrman Anthony J Lanyard with device for playing prerecorded sounds
US20070219655A1 (en) * 2006-03-15 2007-09-20 Erickson Craig S External remote with display accessory
US7537490B1 (en) * 2007-03-27 2009-05-26 Plan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signals from a portable media player
US20100206925A1 (en) * 2007-07-23 2010-08-19 Fielding Jr Jerry Lanyard assembly for audio device
US20090245931A1 (en) * 2008-03-25 2009-10-01 Apple Inc. Small lanyard connector for low profile device
US8746640B2 (en) * 2010-01-31 2014-06-10 Simon Broadley Hanger hook
US8340570B2 (en) * 2010-05-13 2012-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radio frequency tuning to control a portable audio device
JP5418434B2 (ja) * 2010-07-22 2014-02-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ヘッドホン
WO2012156872A1 (en) * 2011-05-17 2012-1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eck cord incorporating earth plane extensions
US20140157825A1 (en) * 2012-06-07 2014-06-12 David A. Nadolny Earphone Catching Neckwear
US9462369B2 (en) * 2013-11-26 2016-10-04 Gritworks, Inc. Ambient and audio earphone system
US10299025B2 (en) 2014-02-07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system
US9936793B2 (en) * 2014-12-28 2018-04-10 Emma Van Fox Grossman Signal cable lanyard
USD794491S1 (en) 2015-10-13 2017-08-15 Derek Shanderson Electronic component necklace
US10901224B2 (en) * 2017-04-28 2021-01-26 Intel Corporation Neck mounted computing device with display connectivity
US10187105B2 (en) * 2017-06-19 2019-01-22 Shenzhen Shengmalinuo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Portable product lanyard
US20190306601A1 (en) * 2018-04-02 2019-10-03 Marcus Elorme iPendant Speakerchain
US10728668B2 (en) * 2018-09-07 2020-07-28 Plantronics, Inc. Stable neckband connecting left and right headset capsules
WO2023287817A2 (en) * 2021-07-16 2023-01-19 Carnelian Laboratories Llc Release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065A (en) * 1989-04-04 1991-02-12 Gamma Inc. Accessory communication device for telephone sets
JPH0339694A (ja) * 1989-07-07 1991-02-20 Hitachi Ltd 燃料集合体
KR19990002700U (ko) * 1997-06-28 1999-01-25 구자홍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4718A (en) * 1919-05-27 Katharine g
US1554119A (en) * 1924-01-12 1925-09-15 William F Morgan Support for telephone receiving sets
USRE19609E (en) * 1933-01-14 1935-06-18 Hearing device support
US1983928A (en) * 1934-01-25 1934-12-11 Brown Margery Audiphone cable
US2676738A (en) * 1952-10-03 1954-04-27 Herrick Helen Harness for hearing aid units
US4070553A (en) * 1977-02-10 1978-01-24 Hass William J Personal audio listening system
US4347956A (en) * 1981-01-19 1982-09-07 Berger Rosemary K Hearing aid sheath and body harness
US4485276A (en) * 1981-02-10 1984-11-27 Olympus Optical Co., Ltd. Personal audio device
US4901405A (en) * 1988-08-25 1990-02-20 Grover Alfred H Self-aligning magnetic necklace clasp
US5212734A (en) * 1992-01-23 1993-05-18 Tsao Ye Ming Shoulder-mount speaker and audio equipment
US5222279A (en) * 1992-07-27 1993-06-29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having increased holding power when under load
US5701356A (en) * 1995-12-05 1997-12-23 Hm Electronics Neck engageable transducer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3065A (en) * 1989-04-04 1991-02-12 Gamma Inc. Accessory communication device for telephone sets
JPH0339694A (ja) * 1989-07-07 1991-02-20 Hitachi Ltd 燃料集合体
KR19990002700U (ko) * 1997-06-28 1999-01-25 구자홍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7924B1 (en) 2004-03-16
JPH11177250A (ja) 1999-07-02
KR19990062838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454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
US20040232179A1 (en) Neck strap with integrated wire
CN102804741B (zh) 包括耳机和便携保持装置的耳机系统
CN101843113B (zh) 具有结合的电插座和麦克风口的通讯装置
US20070053544A1 (en) Wireless headphone
US20050069147A1 (en) Headset wire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1211872A1 (en) A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US20070149264A1 (en) Buckle phone
JPH11178081A (ja) 携帯型の電子機器
KR200284358Y1 (ko)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KR100512437B1 (ko) 착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마이크셋의 안전장치체결구
KR200175326Y1 (ko) 헤어밴드 겸용 이어폰
KR20020023611A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KR200359031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연결구
KR200336027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목걸이형 이어폰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180375Y1 (ko) 펜던트형 핸즈 프리
KR100652031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KR200252672Y1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KR200427268Y1 (ko) 무선통신 단말기용 이어 마이크로폰 연결 케이블
KR200255413Y1 (ko) 이어폰 착탈장치
KR200233019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KR200295477Y1 (ko) 착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마이크셋의 안전장치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