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18B1 -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 Google Patents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18B1
KR100693118B1 KR1020010064549A KR20010064549A KR100693118B1 KR 100693118 B1 KR100693118 B1 KR 100693118B1 KR 1020010064549 A KR1020010064549 A KR 1020010064549A KR 20010064549 A KR20010064549 A KR 20010064549A KR 100693118 B1 KR100693118 B1 KR 10069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flat plate
plate
groove
t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315A (ko
Inventor
사사오카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7Operator supported tools, e.g. using a harness for supporting the tool or power un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7Lifting devices; Depth regulation devices; Moun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64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gripping member formed from, biased by, or mounted on resilient member
    • Y10T24/4468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gripping member formed from, biased by, or mounted on resilient member with operator for moving biased engaging fa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작기에 핸들바와 스키드(skid)를 장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지지브라켓(20)은 스키드(45)가 그 내부를 통해 삽입되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21), 및 핸들바(40)를 수납하는 크기로 된 수납부(24)를 포함한다. 이 실린더형 부재와 수납부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일 플레이트를 벤딩함에 의해 두 개로 하여 형성된다.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형성된 홈부(51), 상기 홈부의 좌측 및 우측으로 위치된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곡선부(53, 54) 및 좌우 곡선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연결부(30, 32)를 포함한다.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는 각각 좌우 돌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는 좌우 돌출부에 의해 강화된다. 이 플레이트가 두 개로 휘어질 때 평판 플레이트부는 함께 결합하여 홈부가 실린더형 부재를 형성한다. 동시에 곡선부가 상호 마주하여 수납부를 제공한다. 더욱이 연결부는 경작기(10)의 케이싱(11)에 연결되도록 상호 마주한다.

Description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Support bracket for use with ti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라켓을 채용한 경작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지브라켓의 투시사시도이고,
도 3은 아직 지지브라켓으로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4는 지지브라켓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6-6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7-7선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싱글 플레이트를 프레스 작업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고,
도 9a 내지 9c는 도 3의 플레이트를 지지브라켓으로 형성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이고,
도 10은 종래 경작기에 사용되는 브라켓을 도시한 도이다.
*부호의 설명*
10...경작기 11...경작기 본체 20...지지브라켓
21...홈부 24...수납부 30, 32...직선부
34, 36...평판부 35, 37...돌출부 40...핸들바
45...스키드 50...플레이트 51...실린더형 부재
53, 54...곡선부 60...볼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경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경작기에 핸들바와 스키드(skid)를 장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농업기계에 핸들바와 스키드를 부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브라켓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런 브라켓의 일예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58-41103호 "주행형 이동 농기"의 명칭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것으로 경작기(100)의 브라켓을 도 10에 도시한다. 경작기(100)는 그의 본체(101)로부터 뒤쪽 상 방향으로 신장하는 핸들바(102)를 포함한다. 이 핸들바(102)는 여기에 부착된 조작 핸들(103)을 갖는다.
핸들바(102)는 그 저단에 위치된 저부장착부재(102a)를 갖는다. 이 부재(102a)는 볼트(104)를 통해 본체(101)에 부착된다. 핸들바(102)는 그의 상단(102b)에 부착된 저부브라켓(105)을 가진다. 저부브라켓(105)은 볼트(106)에 의해 본체(101)에 장착된다. 따라서, 배열된 핸들바(102)는 경작기(100)의 본체(101)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한다.
핸들(103)은 그의 저단(103a)에 장착된 상부브라켓(107)을 갖는다. 이 브라켓(107)은 볼트(108)를 통하여 브라켓(105)에 부착된다. 이런 배열은 핸들바(102) 에 핸들(103)의 부착을 허용한다.
브라켓(107)은 그의 후단에 제공된 실린더형 부재재(109)를 갖는다. 스키드(110)는 이 부재(109)를 통해 삽입된다. 스키드(110)는 경작기(100)의 경작 날이 작동되는 선택된 깊이로 토양을 관통하게 된다.
경작기(100)의 본체(101)에 핸들바(102) 및 스키드(110)를 장착하는 것은 세 가지 부품, 즉 저부브라켓(105), 상부브라켓(107) 및 실린더형 부재재(109)가 필요하다.
세 가지 부품만큼이나 많이 갖는 경작기(100)는 제조비용이 크고, 이렇게 배열된 경작기(100)는 조립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작기의 본체에 핸들바와 스키드를 부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제공되는데, 이 지지브라켓은 스키드가 그 내부를 통해 삽입되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 및 핸들바를 수납하는 크기로 된 수납부를 포함하고; 이 실린더형 부재와 수납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일 플레이트를 두 개로 벤딩함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세로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형성된 홈부; 각각 홈부의 좌측 및 우측으로 위치된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 홈부에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신장하는 좌·우 곡선부로, 우 평판 플레이트부의 우측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우 곡선부, 좌 평판 플레이트의 좌측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좌 곡선부; 및 홈부에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신장하는 좌우 연결부로, 우 곡선부의 우측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우 연결부, 좌 곡선부의 좌측 에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좌 연결부를 포함하고, 플레이트가 두 개로 휘어질 때 홈부는 실린더형 부재로 형성되고, 좌우 곡선부는 각각이 마주되어 수납부를 제공하고, 좌우 연결부는 각각이 마주되어 경작기의 본체에 연결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는 플레이트의 세로로 신장하는 좌우 돌출부를 각각 포함하는데, 우 돌출부는 홈부와 우 곡선부 간에 위치되고, 좌 돌출부는 홈부와 좌 곡선부 간에 위치되어 좌우 돌출부는 홈부가 파여진 방향으로 돌출하여 좌우 돌출부는 각각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를 강화한다.
지지브라켓은 두 개로 휘어진 단일 플레이트이다. 이 플레이트는 스키드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 핸들바를 수납하는 크기로 된 수납부 및 실린더형 부재와 수납부 사이에서 각각 신장하는 평판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가적인 부품을 요하지 않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배열된 브라켓은 조립이 단순하다.
각 평판 플레이트부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돌출부를 제공함에 의해 평판 플레이트부는 강화되고 그에 의해 강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일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나 그 적용 또는 용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경작기 또는 토양 관리기는 일반적으로 참고번호 10으로 나타내어진다. 경작기(10)는 그 상단 상에 장착된 동력원(엔진; 12)을 갖는 본체(케이싱; 11)를 포함한다. 엔진(12)은 클러치기구(13)를 통해 구동샤프트(14)를 회전하도록 작동한다. 구동샤프트(14)의 회전은 기어(피니언; 15a)가 기어(베벨기어; 15b)를 회전시키게 한다. 기어(15b)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 경작샤프트(16, 16; 좌측 것만 도시)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샤프트(16, 16)에 장착된 경작 날(17; 회전시의 외륜을 가상 선으로 도시)이 회전한다. 날(17)이 회전하여 토지를 경작한다.
경작기(10)는 케이싱(11)에 장착된 지지브라켓(20)을 포함한다. 브라켓(20)은 여기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신장하는 핸들바(40)를 포함한다. 핸들바(40)는 그 상단(40a)에 부착되어 후방으로 신장하는 좌우 핸들(43a, 43b)을 갖는다. 브라켓(20)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여기에 장착된 스키드(45)를 갖는다.
스키드(45)는 날(17)이 회전되어 토양을 경작하는 깊이로 토양을 관통한다. 경작작업간에 회전날(17)은 토양을 관통한 스키드(45)에 이해 제공된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생시켜 경작기(10)가 이동 또는 추진되도록 되는 주행형 자주식 경작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은 실린더형 부재(21), 수납부(24), 좌우 연결부(30, 32) 및 실린더형 부재(21)와 수납부(24) 사이에서 양쪽으로 신장하는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를 포함한다. 실린더형 부재(21)는 그 안에 형성된 삽입공(22; 도 4 참고)을 가진다. 스키드(45)는 이 공(22)을 통해 삽입된다. 수납부(24)는 핸들바(40)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좌우 연결부(30, 32)는 케이싱(11)의 상부(11a; 도 4 참고)에 장착되게 된다. 브라켓(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일 플레이트를 벤딩함에 의해 두 개로 하여 제작된다.
연결부(30, 32)는 각각 바깥부분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 33)를 갖는다. 돌출부(31, 33)는 각각 그 내부에 형성된 상부 장착공(31a, 33a)을 갖는다. 상부(11a; 도 4 참고)는 연결부(30, 32) 사이에서 케이싱(11)의 상부 장착공(11b; 도 5 참고)과 나란히 공(31a, 33a)에 끼워진다. 그리고 나서, 상부 장착 볼트(60)가 공(11b)을 통해 삽입되고 상부너트(61)가 볼트(60) 상에 단단히 고정되어 이에 의해 브라켓(20)이 케이싱(11)의 상부(11a)에 고정된다.
평판 플레이트부(34, 36)는 실린더형 부재(21)와 수납부(24) 사이에서 신장하는 좌우 돌출부(35, 37; 하나만 도시)를 가진다. 이 돌출부(35, 37)는 평판 플레이트부(34, 36)를 강화하고 이에 의해 평판 플레이트부(34, 36)에 증가된 강도를 제공한다.
스키드(45)는 환상단면의 막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휨부를 갖는다. 스키드(45)는 그 상부(45a)에 형성된 잠금핀(47)을 끼우는 복수의 공(46; 도 6 도시)을 갖는다. 이 공(46)은 각각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다. 스 키드(45)가 조정된 레벨에 유지되도록 잠금핀(47)이 공(46)의 선택된 하나를 통해 삽입된다.
핸들바(40)는 평판부(41, 42; 하나만 도시)를 제공하기 위해 압착된 저단(40b)을 갖는다. 평판부(41, 42)는 각각 그 내부에 형성된 저 장착공(41a, 42a)을 갖는다.
케이싱(11)은 핸들바(40)의 저단(40b)에서 케이싱의 저 장착공(11d)과 나란한 공(41a, 42a)에 끼워진다. 저부 장착 볼트(62)는 공(11d)을 통해 삽입된다. 저부 너트(63)가 볼트(62)상에 채워져 이에 의해 저단(40b)이 케이싱(11)의 저부(11c)에 고정된다.
이렇게 저단(40b)을 압착함에 의해 평판부(41, 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평판부(41, 42)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41a, 42a)을 갖는다. 이들 공(41a, 42a)을 사용함에 의해 저단(40b)이 저부(11c)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런 배열은 핸들바(40)를 케이싱(11)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가적 부재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이에 대해, 도 10에 도시한 종래의 핸들바(102)에 있어서는, 본체(101)에 핸들바(102)의 저단을 부착하기 위해서 저 장착부재(102a)를 핸들바(102)의 저단에 부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핸들바(102)와 달리 핸들바(40)는 부재(102a)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요함이 없이 케이싱(11)에 부착되어 질 수 있다. 이렇게 배열된 핸들바(40)는 간단한 구성의 것으로 생산비용이 저렴하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는 프레스 작업기를 사용하여 미리 형성된 단일 플레이트(50)의 뒷면이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50)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것이다. 플레이트(50)는 그 중앙으로 형성된 홈부(51), 홈부(51)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위치된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와 각각 연속하는 좌우 곡선부(53, 54) 및 각각 좌우 곡선부(53, 54)와 연속하는 좌우 테이퍼부(26, 27)를 갖는 좌우 연결부(30, 32)를 포함한다. 홈부(51)는 플레이트(50)의 세로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한다. 우 곡선부(54)는 우 평판 플레이트부(36)의 우측 에지(36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홈부(5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신장한다. 좌 곡선부(53)는 좌 평판 플레이트부(34)의 좌측 에지(34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홈부(5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신장한다.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는 그 안에 각각 형성된 요홈부(35a, 37a)를 가진다. 요홈부(37a)는 홈부(51)와 우 곡선부(54) 사이에서 신장하고 요홈부(35a)는 홈부(51)와 좌 곡선부(53) 사이에서 신장한다. 돌출부(35, 37)는 플레이트(5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고 홈부(51)가 파여진 방향으로 돌출한다. 우 돌출부(37)는 홈부(51)와 우 곡선부(54) 사이에서 위치되고 좌 돌출부(35)는 홈부(51)와 좌 곡선부(53) 사이에서 위치된다.
각 곡선부(53, 54)는 평면으로 보여진 바와 같이 호형으로 된다. 이런 호는 약 90°의 중심각 θ1을 갖도록 형성된다. 좌우 테이퍼부(26, 27)는 각각 곡선부(53, 54)를 따라 배열된다. 우 테이퍼부(27)는 우 곡선부(54)의 우측 에지(54a)로부터 바깥족으로 돌출하고 좌 테이퍼부(26)는 좌 곡선부(53)의 좌측 에 지(53a)로부터 바깥족으로 돌출한다. 모든 홈부(51), 평판 플레이트부(34, 36), 곡선부(53, 54), 테이퍼부(26, 27) 및 연결부(30, 32)는 프레스 작업기를 사용하여 동시에 형성된다.
요홈부(35a, 37a)가 형성되어 이에 의해 각각 좌우 돌출부(35, 37)가 제공된다. 돌출부(35, 37)는 바깥쪽으로(본 도면 평면의 아래 바깥쪽으로 향하는 방향) 돌출한다. 돌출부(35, 37)는 평판 플레이트부(34, 36)를 강화하여 평판 플레이트부(34, 36) 강도가 증가한다.
요홈부(31b, 33b)는 좌우 연결부(30, 32)에 형성되어 이에 의해 좌우 돌출부(31, 33; 도 2 참고)를 제공한다. 이 좌우 돌출부(31, 33)는 좌우 연결부(30, 3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요홈부(31b, 33b)는 그 내에 형성된 상부 장착공(31a, 33a)을 가진다. 홈부(51)는 그 안에 형성된 긴 핀 공(21a, 21a)을 가진다.
화살표 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0)가 두 개로 굽혀질 때, 평판 플레이트부(34, 36)는 함께 움직여 홈부(51)가 실린더형 부재(21; 도 2 참고)로 형성된다. 실린더형 부재(21)는 스키드(45)가 이를 통해 삽입되는 크기로 된다. 동시에 곡선부(53, 54)는 상호 마주보는 관계로 되어 이에 의해 수납부(24)를 제공한다. 곡선부(53, 54)는 평면도에서 보여지듯이 함께 호를 이룬다. 이러한 호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80°의 중심각 θ2을 제공한다. 연결부(30, 32)는 상호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된다. 연결부(30, 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0)를 통해 케이싱(11)에 연결되도록 된다. 상술되어지는 바와 같이, 브라켓(20)은 플레이트(50)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바(40)는 수납부(24)에 상부 및 저부 용접부(56a, 56b)로서 용접된다. 브라켓(20)은 볼트(60)를 통해 케이싱(11)의 상부(11a)에 장착된다. 핸들바(40)의 저단(40b)이 볼트(62) 수단에 의해 케이싱(11)의 저부(11c)에 부착된다.
더욱이, 도 4에서 스키드(45)는 실린더형 부재(21)의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된 상부(45a)를 갖는다. 관통공(46; 도 6 참고)은 잠금핀(47)이 관통공(46)을 통해 삽입되도잠금핀공(21a, 21a)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스키드(45)는 실린더형 부재(21)를 통해 삽입되어 유지된다. 잠금핀(47)은 그의 단부 상에 장착된 코터핀(48; cotter pin)을 포함한다.
도 5를 참고로, 좌우 곡선부(53, 54)는 각각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로부터 신장하여 함께 핸들바(40)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부(24)를 형성한다. 핸들바(40)는 수납부(24)의 좌우 상단(24a, 24b)에 용접되는 용접부(56a, 56a; 도 4 참고)를 제공한다. 핸들바(40)는 수납부(24)의 말단부(25a, 25b)에 용접되는 용접부(57a, 57a)를 제공한다. 연결부(30, 32)는 수납부(24)로부터 신장하는 테이퍼부(26, 27)와 연속한다. 연결부(30, 32)는 케이싱(11)의 상부(11a)에 볼트(60)를 통해 부착된다. 돌출부(35, 37)는 평판 플레이트부(34, 36)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돌출부(35, 37)는 각각 평판 플레이트부(34, 36)를 강화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6을 참고로 하여, 평판 플레이트부(34, 36)의 돌출부(35, 37)는 핸들바(40)의 실린더형 부재(21)로부터 연결부(30, 32)가 케이싱(11)에 확고하게 부착되도록 너트(61)가 상부 장착공(11b)을 통해 삽입된 볼트(60)상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여전히 도 6을 참고로 하여, 스키드(45)의 상부(45a)는 실린더형 부재(21)의 삽입공(22)을 통해 삽입된다. 잠금핀(47)은 핀공(21a, 21a)과 나란히 배열된 관통공(46)을 통해 삽입되어 스키드(45)의 상부(45a)를 실린더형 부재(21)내에 유지한다. 잠금핀(47)의 말단부에 장착된 코터핀(48)은 잠금핀(47)이 우연치 않게 관통공(46)의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을 참고로 한다. 핸들바(40)의 저단(40b) 좌우의 평판부(41, 42)는 각각 그 안에 형성된 저 장착공(41a, 42a)을 가지게 도시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저부(11c)는 케이싱(11)의 저 장착공(11d)이 공(41a, 42a)과 나란히 배치되도록 핸들바(40)의 저단(40b)내에 끼워진다. 저 장착 볼트(62)가 공(11d)을 통해 삽입된다. 너트(63)가 볼트(62)상에 확고히 유지되어 이에 의해 저단(40b)이 케이싱(11)의 저부(11c)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브라켓(20)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어진다.
도 8a는 브라켓(20)으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플레이트(70)의 뒷면을 도시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70)는 프레스 작업기로 작업함에 의해 프레스된 플레이트(72)로 형성된다. 프레스된 플레이트(72)는 도 3을 참고로 보다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그 중앙으로 형성된 홈부(51), 평판 플레이트부(34, 36), 곡선부(53, 54), 테이퍼부(26, 27) 및 연결부(30, 32)를 포함한다.
본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홈부(35a, 37a)가 형성되어져 이에 의해 본 도면 평면의 아래 및 바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술한 돌출부(35, 37)가 제공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된 플레이트(72)에는 그 안에 핀공(21a, 21a)과 상부 장착공(31a, 33a)이 형성되도록 피어싱 또는 관통 조작이 가해진다.
이어서, 프레스된 플레이트(72)에는 프레스된 플레이트(72)를 가지런히 깍아 내는 트리밍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트(50)가 얻어질 수 있다.
도 9a를 참고로 하여, 장대형의 지그(75)는 플레이트(5)의 홈부(51)에 부드럽게 수납된다. 그리고 나서, 플레이트(50)는 지그(75) 주위로 두 개로 휘어져 이에 의해 홈부(51)는 스키드(45)가 이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51)를 형성한다.
동시에 평판 플레이트부(34, 36)가 함께 맞추어지거나 결합되어 이에 의해 곡선부(53, 54)가 상호 대향하는 관계로 된다. 이렇게 배열된 곡선부(53, 54)는 함께 수납부(24)를 제공한다.
핀공(21a, 21a; 좌측 하나만 도시)은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유사하게 상부 장착공(31a, 33a)도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플레이트부(34, 36)는 몇 개소(56c, 56d, 56e)에서 함께 용접된다. 따라서, 브라켓(20)이 얻어질 수 있다.
도 9c를 참고로 하여, 핸들바(40)는 수납부(24)에 수용된다. 핸들바(40)는 용접부분(56a, 56b, 57a; 하나만 도시)에서 수납부(24)에 용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20)은 스키드(45)가 이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21), 핸들바(40)가 수용되는 크기로 된 수납부(24) 및 케이싱(11)에 부착되어지는 연결부(30, 32)를 포함한다. 실린더형 부재(21) 및 수납부(24)는 단일 플레이트를 두 개로 굽히고 평판 플레이트부(34, 36)를 함께 연결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브라켓(20)은 부가적인 부품을 사용함이 없이 형성되어 질 수 있고, 브라켓(20)은 구성이 간단하다.
플레이트부(34, 36)는 수납부(24)와 실린더형 부재(21) 사이에서 각각 신장하는 돌출부(35, 37)를 포함하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한다. 즉, 평판 플레이트부(34, 36)는 돌출부(35, 37)에 의해서 강화되고 그래서 강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스키드(45)는 브라켓(20)의 실린더형 부재(21)를 통해 삽입되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브라켓(20)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브라켓(20)은 케이싱(11)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비록 각도 θ1, θ2는 각각 상술한 바의 실시형태에서 대략 90도, 180도로 설정되었으나 이는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브라켓은 두 개로 휘어진 단일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이 플레이트는 스키드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 핸들바를 수납하는 크기로 된 수납부 및 실린더형 부재와 수납부 사이에서 각각 신장하는 평판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부가적인 부품을 요하지 않으며, 그 조립이 단순하다. 또, 각 평판 플레이트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렇게 돌출부를 제공함에 의해 평판 플레이트부는 강화되고 그에 의해 강도가 증가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삭제
  2. 스키드가 그 내부를 통해 삽입되는 크기로 된 실린더형 부재(21); 및
    핸들바를 수납하는 크기로 된 수납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부재(21)와 상기 수납부(24)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일 플레이트(70)를 벤딩함에 의해 두 개로 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70)의 세로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형성된 홈부(51);
    각각 상기 홈부(51)의 좌측 및 우측으로 위치된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36);
    상기 홈부(51)에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신장하는 좌·우 곡선부(53,54)로, 상기 우 평판 플레이트부(36)의 우측 에지(36a)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상기 우 곡선부(54), 상기 좌 평판 플레이트(34)의 좌측 에지(34a)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상기 좌 곡선부(53); 및
    상기 홈부(51)에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신장하는 좌우 연결부(30,32)로, 상기 우 곡선부(54)의 우측 에지(54a)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상기 우 연결부(32), 상기 좌 곡선부(53)의 좌측 에지(53a)로부터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상기 좌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70)가 두 개로 휘어질 때 상기 홈부(51)는 상기 실린더형 부재(21)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곡선부(53, 54)는 각각이 마주되어 상기 수납부(24)를 제공하고, 상기 좌우 연결부(30, 32)는 각각이 마주되어 경작기(10)의 본체(11)에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는 상기 플레이트의 세로로 신장하는 좌우 돌출부(35,37)를 각각 포함하는데, 상기 우 돌출부(37)는 상기 홈부(51)와 상기 우 곡선부(54) 간에 위치되고, 상기 좌 돌출부(35)는 상기 홈부(51)와 상기 좌 곡선부(53) 간에 위치되어 상기 좌우 돌출부(35,37)는 상기 홈부(51)가 파여진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좌우 돌출부(35,37)가 각각 상기 좌우 평판 플레이트부(34, 36)를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KR1020010064549A 2000-10-24 2001-10-19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KR100693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4473A JP3816327B2 (ja) 2000-10-24 2000-10-24 管理機のハンドルポスト支持ブラケット
JPJP-P-2000-00324473 2000-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315A KR20020032315A (ko) 2002-05-03
KR100693118B1 true KR100693118B1 (ko) 2007-03-12

Family

ID=1880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549A KR100693118B1 (ko) 2000-10-24 2001-10-19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51752B2 (ko)
EP (1) EP1201110B1 (ko)
JP (1) JP3816327B2 (ko)
KR (1) KR100693118B1 (ko)
CN (1) CN1159961C (ko)
DE (1) DE60106709T2 (ko)
TW (1) TW537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7620A1 (en) * 2006-12-01 2008-06-05 Michael Marcinczyk Clearing device and method
US7866409B2 (en) 2007-09-06 2011-01-11 Honda Motor Co., Ltd. Tilling machine transport and storage apparatuses and methods
US8627897B2 (en) 2008-09-03 2014-01-14 Black & Decker Inc. Tiller housing
US7963344B2 (en) 2008-09-03 2011-06-21 Black & Decker Inc. Tiller with removable battery
US8066081B2 (en) * 2008-11-26 2011-11-29 Honda Motor Co., Ltd. Small-sized tiller
US8434563B2 (en) 2010-02-26 2013-05-07 Schiller Grounds Care, Inc. Device for cultivating soil or brushing debris
WO2013144410A1 (es) 2012-03-30 2013-10-03 Micromag 2000, S.L. Atenuador de radiación electromagnética
US9167737B2 (en) * 2013-05-22 2015-10-27 Carts & Tools Technology, Inc. Garden impl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149A (en) * 1964-03-03 Garden tiller
JPS48113211U (ko) * 1972-03-27 1973-12-25
JPS5945158A (ja) * 1982-09-08 1984-03-13 Yamagoshi Seisakusho:Kk 印字装置
JPS5945158U (ja) * 1982-09-18 1984-03-26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管理機
KR20010064549A (ko) * 1999-12-29 2001-07-09 손 경 식 시알리다제 안티센스 rna를 이용하여 세포주에서시알리다제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782A (en) * 1905-07-25 Arthur H Porter Lantern-holder.
FR434838A (fr) * 1910-10-04 1912-02-14 Rudolf Diesel Soupape de distribution équilibrée pour moteurs
US1903863A (en) * 1930-08-12 1933-04-18 Howard A Hayden Connecting rod end
US2650404A (en) * 1951-05-11 1953-09-01 Albert J Dalpiaz Adjustable clamp
US3906592A (en) * 1974-04-25 1975-09-23 Nissan Motor Wiring or piping clamp
US4224784A (en) * 1978-06-14 1980-09-30 Hansen Lee A Attachment for line trimmer
DE3027553C2 (de) * 1979-08-02 1982-02-11 Honda Giken Kogyo K.K., Tokyo Kultivator mit vertikalem Motor
JPS5841103A (ja) 1981-09-03 1983-03-10 飛島建設株式会社 補修用リフレクシヨンクラツク防止マツトおよびこれを用いるコンクリ−ト構造物の補修方法
US4526756A (en) * 1982-05-10 1985-07-02 Evergreen Industries, Inc. Device for interconnecting specimen collecting tubes
JPS59210803A (ja) * 1983-05-13 1984-1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耕耘機
US5255546A (en) * 1988-05-31 1993-10-26 Strider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inflatable articles and securing mobile articles to other objects
JPH04110358A (ja) 1990-08-31 1992-04-10 Shinto Paint Co Ltd 塗料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してなる電着塗料組成物
US5317807A (en) * 1992-08-25 1994-06-07 Finger Concepts, Inc. Wheeled support structure for lawn string trimmers
JP2890230B2 (ja) * 1993-07-06 1999-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用エンジンにおけるエンジンカバー構造
US6488101B1 (en) * 1999-09-02 2002-12-0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i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149A (en) * 1964-03-03 Garden tiller
JPS48113211U (ko) * 1972-03-27 1973-12-25
JPS5945158A (ja) * 1982-09-08 1984-03-13 Yamagoshi Seisakusho:Kk 印字装置
JPS5945158U (ja) * 1982-09-18 1984-03-26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管理機
KR20010064549A (ko) * 1999-12-29 2001-07-09 손 경 식 시알리다제 안티센스 rna를 이용하여 세포주에서시알리다제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64549 - 688200
5904515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7857B (en) 2003-06-21
EP1201110A1 (en) 2002-05-02
EP1201110B1 (en) 2004-10-27
US20020046846A1 (en) 2002-04-25
CN1349728A (zh) 2002-05-22
US6651752B2 (en) 2003-11-25
CN1159961C (zh) 2004-08-04
JP3816327B2 (ja) 2006-08-30
DE60106709D1 (de) 2004-12-02
JP2002127951A (ja) 2002-05-09
DE60106709T2 (de) 2005-03-10
KR20020032315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118B1 (ko)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US4640366A (en) Cultivator
JP6449096B2 (ja) フロントローダフレーム、フロントローダフレームを備えるフロントローダ、及びフロントローダを備える作業車両
US4245705A (en) Apparatus for taking off vibratory power for tractor
KR102345576B1 (ko) 전륜구동 접이식 자전거의 베벨기어박스
JPH09191702A (ja) 2軸の車軸ロータ型小形管理機
CN105191521A (zh) 电动微耕机
JPH01289402A (ja) 歩行型の農用作業車
KR200186260Y1 (ko) 경운기용 다용도 작업기
GB2142512A (en) Cultivators
JP2701123B2 (ja) 農用中耕機
JPH11332304A (ja) 管理機の耕耘部構造
KR102639019B1 (ko) 보행형 작업기
JP4605764B2 (ja) 管理機の補助輪取付機構
JP2566506Y2 (ja) 耕耘機
KR900002960Y1 (ko) 동력 쟁기
JP2754754B2 (ja) 移植装置
JP4171369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フレーム
JP2000245201A (ja) 管理機
JPH09205801A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入力軸
JPH0337369Y2 (ko)
JPS6310648Y2 (ko)
JP2009261250A (ja) 乗用型農作業機
JPH08317705A (ja) 管理機のダッシュ防止装置
JPS6297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