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980B1 -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 Google Patents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980B1
KR100692980B1 KR1020050099185A KR20050099185A KR100692980B1 KR 100692980 B1 KR100692980 B1 KR 100692980B1 KR 1020050099185 A KR1020050099185 A KR 1020050099185A KR 20050099185 A KR20050099185 A KR 20050099185A KR 100692980 B1 KR100692980 B1 KR 10069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
pug
blade
assembled
bra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선 filed Critical 박정선
Priority to KR102005009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by screw or worm
    • B28B3/222Screw or worm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3/00Apparatus or methods for mixing clay with other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 및 보도블럭 등을 제조하는 토련기의 혼련부에 장착되어 점토나 황토 등의 원료를 반죽함과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한 퍼그브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토련기의 혼련부 내부에서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상에 각기 독립된 구조로서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선상으로 조립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퍼그브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복수개로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은 상기한 회전축상에 나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토련기, 혼련부, 회전축, 퍼그브레이드, 상·하부브레이드, 지지축

Description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Pug blade of brick mol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동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동 실시예의 조립상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동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조립상태도.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 기술의 퍼그브레이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련기본체 10 : 혼련부
11 : 진공부 12 : 압출부
13 : 토출마우스 14 : 회전축
2,3,4 : 퍼그브레이드 2a,3a,4a : 상부브레이드
2b,3b,4b : 하부브레이드 5,6,7 : 지지축
51,61,71 : 상부 52,62,72 : 하부
본 발명은 벽돌 및 보도블럭 등을 제조하는 토련기의 혼련부에 장착되어 점토나 황토 등의 원료를 반죽함과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한 퍼그브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및 보도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토련기는 원료를 혼합 반죽하면서 이송시키는 혼련부와, 혼련부에서 배출된 반죽원료에서 공기를 빼내주는 진공부와, 진공부를 거친 반죽원료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압출부와, 압출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원료를 압출성형금형으로 토출시키는 토출마우스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 토련기의 혼련부에는 회전축에 원료를 혼합 반죽하기 위한 다수의 퍼그브레이드가 장착되는데, 상기한 퍼그블레이드는 제각기 독립된 구조로 조립된 상태에서 혼련부의 회전축상에 나선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며, 또한 각 퍼그브레이드들은 회전축이 회전할 때 원료를 혼련하는 작동과 밀어내는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퍼그브레이드들은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종래 토련기의 혼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퍼그브레이드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 구조적 특징으로 볼 때 도 10 내지 도 12 각각에 도시된 것들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퍼그브레이드(200)는 혼련부의 회전축(100)을 관통하는 조립 공(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지지축(210)의 하부(212)와 일체로 형성된 채 회전축(100)에서 돌출되는 상부(211)에 볼트와 너트의 나사체결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퍼그브레이드(200)의 전면(201)은 원료를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이면(202)에는 상기한 상부(211)를 끼워줄 수 있는 조립홈(203)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퍼그브레이드(200)는 혼련하고자 하는 원료에 대하여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한 이면(202)의 양단은 전면(201)측을 향해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퍼그브레이드(300)는 혼련부의 회전축(100)을 조립공(110)에 하부(312)가 일정 깊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축(310)의 상부(311)에 볼트와 너트의 나사체결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퍼그브레이드(300)의 전단(301)는 도끼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302)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는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단(303)은 전단(301)에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뾰죽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후단(302)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볼트가 지지축(310)의 상부(311)를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퍼그브레이드(400) 역시 회전축(100)의 조립공(110)에 하부(412)가 일정 깊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축(410)의 상부(411)에 고정상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퍼그브레이드(400)의 전단(401) 역시 도끼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402)은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403)은 전단(401)에서 연장된 채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후단(402)에는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조립공(403)으로 지지축(410)의 상부(41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후단(402)의 상측에서 볼트를 지지축(410)의 상부(411) 상단에 나사조립하여 퍼그브레이드(400)를 지지축(410)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각 퍼그브레이드(200,300,4000)들은 모두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련기의 혼련부에서 원료를 혼련하는 과정에서 원료와의 마찰작용은 상측부분에서 심하게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퍼그브레이드는 주로 상측부분(도 9 내지 도 11의 빗금친부분 참조)이 가장 많이 마모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상측부분의 마모가 심하게 진행되었을 때에는 원료의 혼련작동이 잘 않될 뿐 아니라 이송작동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와 같이 퍼그브레이드의 상측부분이 어느 정도 마모가 진행되었을 때에도 하측부분은 거의 마모되지 아니한 상태이나 상측부분의 마모로 인하여 퍼그브레이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벽돌 및 보도블럭을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퍼그브레이드를 교체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마모된 퍼그브레이드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토련기를 정지시키고 혼련부에 있는 원료를 전량 수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는바, 이러한 문제점들은 곧바로 벽돌 및 보도블럭 제품의 생산원가에 반영되어 제품의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이러한 요인은 벽돌 및 보도블럭 제품의 가격경쟁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퍼그브레이드를 마모가 잘되는 부분과 잘 않되는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 형성하여 제작한 다음 조립식으로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토련기의 혼련부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원료를 혼련하는 각 퍼그브레이드들이 원료의 혼련작동 및 이송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심하게 마모되었을 때에는 퍼그브레이드들 각각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마모되지 아니한 부분은 그대로 놔두고 마모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퍼그브레이드를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또한 퍼그브레이드의 마모된 부분을 교체하는데 따른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벽돌 및 보도블럭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토련기의 혼련부 내부에서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상에 각기 독립된 구조로서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나선상으로 조립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퍼그브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복수개로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은 상기한 회전축상에 나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의 전면은 평면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부브레이드의 이면에 형성되는 상부조립홈은 상측은 막히고 하측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한 하부브레이드의 이면에 형성되는 하부조립홈은 상,하측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부브레이드는 하부브레이드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전단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의 후단에는 지지축에 부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한 체결볼트들의 머리부는 각 브레이드의 후단에 매설되고 나사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의 후단에는 지지축의 상부가 삽입되는 상,하부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부브레이드의 하단조립면에는 하부브레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브레이드의 상단조립면에는 상기한 조립돌기가 끼워지는 조립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동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동 실시예의 조립상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상동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 조립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부호 1은 토련기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토련기본체(1)의 일측에는 점토나 황토 등의 원료를 혼합 반죽하면서 이송시키는 혼련부(10)와, 상기한 혼련부에서 이송되는 반죽원료에서 공기를 빼내주는 진공부(11)와, 상기한 진공부를 거친 반죽원료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압출부(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압출부의 배출단에는 압출성형금형이 장착되는 토출마우스(13)가 조립 설치된다.
상기한 혼련부(10) 내측에는 토련기본체(1)에 설치된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회전축(14)에는 각기 독립된 구조로 조립된 다수의 퍼그브레이드들이 각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나선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퍼그브레이드들은 회전축(14)이 회전함에 따라 원료를 혼합하면서 진공부(11)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회전축(14)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회전축(14)에 조립 설치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과 원료를 혼련하는 구조적 특징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퍼그브레이드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도면에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며, 또한 도면에 구분하여 도시한 각 퍼그브레이드들을 각기 부호 2, 3, 4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는 부호 2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퍼그브레이드(2)는 상,하부 브레이드(2a)(2b)로 분할 형성되어 혼련부 (10)의 회전축(14)상에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축(5) 각각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지지축(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지축(5)은 상,하부(51)(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부(52)는 혼련부(10)의 회전축(14)상에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형성된 각 조립공(14a)을 관통하는 끼워지고, 그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53)는 회전축(14)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너트(54)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회전축(14)에 고정되며, 상기한 상부(51)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4)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상부(51)에는 복수개의 조립공(55a)(55b)이 상,하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그의 하측에는 하부브레이드(2b)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턱(56)이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부 브레이드(2a)(2b) 각각의 전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면에는 상기 지지축(5)의 상부(52)를 수용하기 위한 상,하부 조립홈(2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상부조립홈(21)은 상측은 막혀있고 하측은 열려있으며, 상기한 하부조립홈(22)은 상,하측이 모두 열려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브레이드(2a)(2b) 각각에는 상,하부 조립홈(21)(22)을 관통하는 끼움공(23a)(23b)이 각각 한개씩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끼움공들은 상부브레이드(2a)와 하부브레이드(2b)를 조립 순서대로 지지축(5)의 상부(51)에 조립하였을시 조립공(55a)(55b)와 일치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2)는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2a)(2b)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축(5)의 상부에 조립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조립 설치 되는 것인데, 먼저 지지축(5)의 상부(51)에 돌출 형성된 받침턱(56)에 하부브레이드(2b)가 지지되도록 하부조립홈(22)이 상부(51)에 조립하고 체결볼트(24)를 끼움공(23b)을 통해서 조립공(55b)을 관통하도록 끼워주고, 상기의 조립공(55b)으로 돌출된 체결볼트의 단부에 와샤(25)를 끼우고 너트(26)를 나사조립하게 되면 하부브레이드(2b)는 지지축의 상부(51)에 고정 부착되며, 이어서 상부브레이드(2a)도 같은 방법으로 하부브레이드(2b) 상측에 조립하고 체결볼트(24)와 너트(26)를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하부 브레이드(2a)(2b)는 지지축(5)의 상부(51)에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5)의 상부(51)에 각기 개별적으로 상,하부 브레이드(2a)(2b)로 구성된 퍼그브레이드(2)는 회전축(14)가 회전작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혼련부(10)에 투입된 원료를 혼합 및 반죽하는 혼련작동과 진공부(11)쪽으로 밀어내는 이송작동을 병행하게 되는데, 이때 퍼그브레이드(2)가 회전하면서 원료를 혼련 및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원료와의 마찰작용은 퍼그브레이드(2)의 상측부분 즉, 상부브레이드(2b)에 강하고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빨리 마모되는 반면에, 하부브레이드(2a)에는 마찰작용이 매우 약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마모가 매우 느리게 진행된다.
따라서 하부브레이드(2a)는 거의 마모되지 않고 상부브레이드(2)만 심하게 마모되어 원료를 혼련 및 이송시키는 작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아니할 때에는 퍼그브레이드(2)를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퍼그브레이드(2)는 마모되지 않은 하부 브레이드(2b)는 그대로 놔두고 마모가 심한 상부브레이드(2a)만 교 체할 수 있다. 즉, 상부브레이드(2a)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24)와 너트(26)를 나사풀림하게 되면 지지축(5)의 상부(51)에서 상부브레이드(2a)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상부브레이드(2a)만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하부브레이드(2b)의 교체시기는 대략 상부브레이드(2a)를 5회 이상으로 교체할 때마다 1회 정도 교체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는 부호 3으로 나타낸다.
상기 퍼그브레이드(3)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하부 브레이드(3a)(3b)로 분할 형성되어 회전축(14)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축(6)의 상부(61)에 각기 개별적으로 조립 설치된다.
상기에서의 지지축(6)은 대략 "
Figure 112005059443879-pat00001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회전축(14)에서 돌출되는 상부(61)와 회전축(14)에 고정되는 하부(62)로 구분되며, 상기한 하부(62)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테이퍼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테이퍼부(63)에는 일측이 절개된 확개관(64)이 일부만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테이퍼부(63)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볼트(65)에는 와샤(66)가 끼워져 상기한 확개관(64)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지지축(6)은 테이퍼부(63)에 확개관(64)과 와샤(66) 및 체결볼트(65)가 가조립된 하부(62)를 회전축(14)의 조립공(14a)에 삽입시킨 다음 체결볼트(65)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확개관(64)이 테이퍼부(63)에서 외경이 점차로 커지는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면서 조립공(14a) 내면에 고정되므로서 상기한 하부(62)는 회전축(14)의 조립공(14a)에 견고하고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 축(6)의 상부(61)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조립공(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퍼그브레이드(3)는 분할 형성된 상,하부 브레이드(3a)(3b) 각각의 후단에는 지지축(6)의 상부(61)에 면접촉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를 향해 호형상으로 요입된 호형부(3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호형부(31)에는 체결볼트(33)가 하나 이상씩 돌출 형성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체결볼트(33)의 머리부가 호형부(31)(32) 각각에 매설되고 나사부가 돌출된 구조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브레이드(3b)의 상단조립면(34)와 전단면(35) 각각은 평면 및 단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브레이드(3a)의 하단조립면(36)은 하부브레이드의 상단조립면(34)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단조립면(34)과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부브레이드(3a)의 전단부(37)는 하단조립면(36)에서 하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전단부(37)의 전단부분은 도끼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분은 하부브레이드(3b)의 전단면(35)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커버면(3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할 형성된 퍼그브레이드(3)의 상부브레이드(3a)의 하단조립면(36)에는 조립돌기(38a)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브레이드(3b)의 상단조립면(34)에는 상기의 조립돌기(38a)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립요홈(3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조립돌기(38a)와 조립요홈(38b)은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각형(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선택하여 형 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할 형성된 상,하부 브레이드(3a)(3b)들 각각은 그들의 후단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볼트(33)를 지지축(6)의 상부(61)에 형성된 조립공(67)에 각각 끼워준 다음 너트(39)로 나사체결하는 구조로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3)는 혼련부(10)의 회전축(14)에 설치된 지지축(6)에 도 5의 도시와 같이 조립 설치되는데, 상,하부 브레이드(3a)(3b) 각각은 후단의 호형면(31)(32)에 고정된 체결볼트(33)들이 지지축(6)의 상부에 체결됨과 동시에 조립돌기(38a)와 조립요홈(38b)에 의하여 상,하부 브레이드(3a)(3b)끼리 결합되므로서 조립상태가 매우 견고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립된 퍼그브레이드(3)는 회전축(1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원료를 혼련함과 동시에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때 퍼그브레이드(3)의 상부브레이드(3a)의 몸체와 하부브레이드(3b)의 전단면(35)을 커버하고 있는 전단부(37)가 원료와 마찰되는 작용이 강하고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반면에, 하부브레이드(3b)에는 마찰작용이 아주 약하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하부 브레이드(3a)(3b)로 분할 형성된 퍼그브레이드(3)를 지지축(6)에 조립 설치하여 일정기간동안 사용하므로서 상부브레이드(3a)가 교체하여야 할 정도로 심하게 마모되어 교체해야 할 시기가 되었을 때 하부브레이드(3b)는 거의 마모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퍼그브레이드(3)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심하게 마모된 상부브레이드(3a)만을 교체하게 되는 것이며, 하부브레이드(3b)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부브레이드(3a)가 5회 이상으로 교체할 때마다 1회 정도 교체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4) 역시 상,하부 브레이드(4a)(4b)로 분할 형성되어 지지축(7)에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축(7)은 전술한 실시예(도 4 내지 도 6 참조)와 같이 대략 "
Figure 112005059443879-pat00002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회전축(14)에서 돌출되는 상부(71)와 회전축(14)에 고정되는 하부(72)로 구분되며, 상기한 하부(72)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테이퍼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테이퍼부(73)에는 일측이 절개된 확개관(74)이 일부만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테이퍼부(73)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볼트(75)에는 와샤(76)가 끼워져 상기한 확개관(74)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지지축(7)은 테이퍼부(73)에 확개관(74)과 와샤(76) 및 체결볼트(75)가 가조립된 하부(72)를 회전축(14)의 조립공(14a)에 삽입시킨 다음 체결볼트(75)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확개관(74)이 테이퍼부(73)에서 외경이 점차로 커지는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면서 조립공(14a) 내면에 고정되므로서 상기한 하부(72)는 회전축(14)의 조립공(14a)에 견고하고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축(7)의 상부(71)는 양측이 절삭되어 단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체결볼트(77)이 나사조립되는 암나사공(7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체결볼트(77)에는 와샤(79)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하부 브레이드(4a)(4b) 각각의 후단에는 상기 지지축(7)의 상부(71)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줄 수 있는 장공형상의 조립부(41)(4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브레이드(4a)의 하단조립면(43)에는 조립돌기(4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브레이드(4b)의 상단조립면(45)에는 상기한 조립돌기(44)가 삽 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립요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브레이드(4a)에서 돌출된 상단부(47)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하부브레이드(4b)의 전단부(48)는 도끼날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퍼그브레이드(4)는 회전축(14)에 하부(72)가 고정 설치된 지지축(7)의 상부에 조립되는데, 도 8의 도시와 같이 지지축(7)의 상부(71)에 하부브레이드(4b)를 먼저 조립하고 이어서 상부브레이드(4a)를 조립한 다음 상부브레이드(4a)의 상부조립공(41) 상단에 와샤(79)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77)를 상부(71)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공(78)에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하부 브레이드(4a)(4b)는 지지축(7)의 상부(71)에 견고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7)에 조립 설치된 퍼그브레이드(4)는 회전축(14)이 회전함에 따라 혼련부(10) 내부를 회전하면서 원료를 혼련하면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4)는 상부브레이드(4a)에서 넓은 폭을 형성된 채 전방으로 돌출된 상단부(47)가 원료를 긁어주는 작동으로 뒤집어주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한 상단부(47)가 원료와의 마찰작용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브레이드(4a)의 상단부(47)에서 마모현상이 빠르게 나타나게 되는 반면에, 하부브레이드(4b)에는 마모현상이 매우 느리게 진행된 된다. 따라서 상기 퍼그브레이드(4)를 지지축(14)에 조립 설치하여 혼련부(10)에 투입된 원료를 긁어주면서 뒤집어주는 작동으로 혼련 및 이송시키는 작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브레이드(4a)의 상단부(47)가 원료를 긁어줌과 동시 뒤집어주는 작동을 수행하지 못할 정 도로 마모되었을 때에는 종래 기술과 같이 퍼그브레이드 전제를 교체하지 않고 상부브레이드(4a)만 교체하고 하부브레이드(4b)는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하부브레이드(4b)는 상부브레이드(4a)를 대략 5회 이상 교체할 때마다 1회 정도 교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의 퍼그브레이드(2,3,4)들 각각은 한 종류만 선택적으로 회전축(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각 퍼그브레이드(2,3,4)들이 혼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며, 원료를 혼련 및 이송시키는 작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각 퍼그브레이드(2,3,4)들은 상부브레이드(2a,3a,4a)를 5회 이상 교체하기 전까지는 하부브레이드(2b,3b,4b)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토련기의 혼련부에 설치된 회전축에 나선상으로 조립 설치되는 퍼그브레이드들이 상,하부 브레이드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점토나 황토 등의 원료를 혼련 및 이송시키는 작업시 원료와의 마찰작용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상부브레이드가 원료를 혼련 및 이송시키는 작동을 원활하게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심하게 마모되었을 때에는 종래와 같이 퍼그브레이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분할 형성된 상부브레이드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서 퍼그브레이드를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퍼그브레이드의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효과는 토련기로 제조되는 벽돌이나 보도블럭 등을 제조하는 업체에게는 토련기의 운전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켜서 가격경쟁력을 높이는데 일조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복수개로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은 토련기의 혼련부 내부에서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상에 각기 독립된 구조를 가진 채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퍼그브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의 전면은 평면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부브레이드의 이면에 형성되는 상부조립홈은 상측은 막히고 하측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한 하부브레이드의 이면에 형성되는 하부조립홈은 상,하측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2. 삭제
  3. 복수개로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은 토련기의 혼련부 내부에서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상에 각기 독립된 구조를 가진 채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퍼그브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부브레이드에 하부브레이드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전단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의 후단에는 지지축에 부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볼트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한 체결볼트들의 머리부는 각 브레이드의 후단에 매설되고 나사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4. 복수개로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은 토련기의 혼련부 내부에서 회전작동을 하는 회전축상에 각기 독립된 구조를 가진 채 나선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축들 각각의 상부에 체결볼트와 너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퍼그브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하부 브레이드 각각의 후단에는 지지축의 상부가 삽입되는 상,하부 조립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퍼그브레이드는 분할된 상부브레이드의 하단조립면에는 하부브레이드를 향해 돌출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브레이드의 상단조립면에는 상기한 조립돌기가 끼워지는 조립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KR1020050099185A 2005-10-20 2005-10-20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KR10069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85A KR100692980B1 (ko) 2005-10-20 2005-10-20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185A KR100692980B1 (ko) 2005-10-20 2005-10-20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980B1 true KR100692980B1 (ko) 2007-03-12

Family

ID=3810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185A KR100692980B1 (ko) 2005-10-20 2005-10-20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9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082A (en) 1989-11-27 1991-10-29 J.C. Steele & Sons, Inc. Replaceable pug mill blade
KR19980020873A (ko) * 1996-09-12 1998-06-25 김정국 패들 믹서의 패들 날개 각도 조절장치
KR20010056574A (ko) * 1999-12-15 2001-07-04 구자철 아스콘 품질 향상을 위한 믹서게이트와 암 샤프트 분진누출방지장치 및 패들암과 팁 마모지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082A (en) 1989-11-27 1991-10-29 J.C. Steele & Sons, Inc. Replaceable pug mill blade
KR19980020873A (ko) * 1996-09-12 1998-06-25 김정국 패들 믹서의 패들 날개 각도 조절장치
KR20010056574A (ko) * 1999-12-15 2001-07-04 구자철 아스콘 품질 향상을 위한 믹서게이트와 암 샤프트 분진누출방지장치 및 패들암과 팁 마모지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23C (zh) 二轴混炼机
EP2778292B1 (en) Heavy machine-operated sieve screen bucket
KR19980703772A (ko) 열가소성 재료 제조 장치
KR200426412Y1 (ko) 압축 파쇄기
US3734148A (en) Grinder
KR100692980B1 (ko)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KR101737098B1 (ko) 균질성이 향상된 소일시멘트 제조장치
CN209794059U (zh) 双级真空挤出机的挤出装置
KR100655117B1 (ko)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CN211636770U (zh) 一种球磨机滚筒结构及球磨机
KR100692979B1 (ko) 토련기의 원료 혼련용 퍼그브레이드
EP1166878A1 (en) Roughly fragmenting blade and crushing device using the same
CN208359067U (zh) 一种陶瓷原料化浆机
JP2007044587A (ja) スプル・ランナ等の廃材樹脂のロータリー式樹脂材料供給装置
CN214439585U (zh) 一种链锤式塑料粉碎机
JP2008284484A (ja) 破砕装置
KR100642253B1 (ko) 압축 파쇄기
JP5215565B2 (ja) 押出成形機
CN114130301A (zh) 一种鸡精用便于更换刀头的造粒机
CN112454749A (zh) 一种塑料颗粒的破碎装置
RU2298470C2 (ru) Гранулирующий шнековый пресс
CN1151897C (zh) 一种除石机
CN114960818B (zh) 一种处理大体积土块破碎机
CN217248707U (zh) 混合机刮刀结构
CN210632077U (zh) 一种发酵饲料颗粒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