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611B1 -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611B1
KR100691611B1 KR1020060015534A KR20060015534A KR100691611B1 KR 100691611 B1 KR100691611 B1 KR 100691611B1 KR 1020060015534 A KR1020060015534 A KR 1020060015534A KR 20060015534 A KR20060015534 A KR 20060015534A KR 100691611 B1 KR100691611 B1 KR 10069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ticket
ticket
pocket
park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천우
Original Assignee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권이 자동으로 교체 공급되는 주차권 발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차권 발권기는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주차권 이송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서 전면의 인출공을 통해 주차권이 낱장의 형태로 개별 인출되도록 하는 발권기 본체; 상기 발권기 본체의 후방에서 연결된 주차권 이송부에서 분기되어 주차권 이송을 위한 드라이브 롤러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이송라인이 내장되고, 상기 이송라인의 하단부에 상기 발권기 본체로 공급되는 주차권이 투입되는 포켓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 포켓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이 각 이송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드라이브 롤러를 선택 구동시키는 일방향 클러치가 상기 이송라인 사이에 장착된 주차권 공급부;를 포함하며, 주차권 발급 중단에 따른 차량의 입차 지연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소수의 관리자에 의해 다수의 발권기가 관리됨에 따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주차권의 완전 소진에 의한 경제적 이점이 도출될 수 있다.
주차권 인출공, 이송롤러, 발권기 본체, 제1포켓, 제2포켓, 제1이송라인, 제 2이송라인, 센서, 드라이브 롤러, 일방향 클러치, 스토퍼 링, 컨트롤 보드

Description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asses having two pocke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가 연결된 주차권 발권기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가 연결된 주차권 발권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가 연결된 주차권 발권기의 타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주차권 인출공 12. 위치감지센서
13. 이송롤러 20. 발권기 본체
30. 주차권 공급부 31. 제1포켓
32. 제2포켓 33. 제1이송라인
34. 제2이송라인 33a,34a. 포켓 센서
33b,34b. 드라이브 롤러 구동센서
33c,34c. 주차권 감지센서
35,35. 드라이브 롤러 37. 일방향 클러치
38. 스토퍼 링 40. 주차권 이송부
50. 컨트롤 보드 60. 모터
본 발명은 주차권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주차권 발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주차권 투입 포켓이 구비된 주차권 공급부를 통해 주차권 발권기에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되는 주차권이 상기 주차권 발권기 전면의 인출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측의 투입 포켓에 투입되는 주차권이 소진되었을 때 예비 포켓으로 투입된 예비 주차권이 자동으로 공급됨에 따라 다수의 주차권 발권기에 대한 관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주차권 발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자동차의 대중화와 더불어 대형 건물이 급속히 늘어남에 따라 입주민 또는 외부 차량의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도 점차 대형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차장을 관리하는 전문 인력과 주차 설비 관련 장치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주차장은 자동자가 입고 또는 출고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를 별도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자동차의 무단 출입을 제어하고 차량의 입차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차단기 및 주차권 발권기와, 주차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주차요금 정산기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주차장의 관리 인력을 대체하여 주차 관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인 발권기 및 무인 정산기가 주로 설치되고 있는 바, 한 명의 관리자가 다수의 무인 기기를 관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차장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주차권 발권기는 발권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차량 차단기와 연동됨에 따라 상기 입구를 통해 입차한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권 발권기에서 발행되는 주차권을 인출해야만 상기 차단기가 작동하여 차량의 주차장 입고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주차권 발권기는 계속적으로 입차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권을 발급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소정 크기의 주차권이 공급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주차권 발권기는 발권기 본체 내부에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서 동작하는 롤러 구동에 의해서 주차권이 롤(Roll) 형태로 권취된 팩을 통해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권 발권기는 발권기 본체 내부에 주차권이 롤 형태로 권취된 하나의 팩이 내장되고, 상기 팩의 직상부로 단위 주차권이 해권되면서 이송됨에 따라 발권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인출구를 통해 인출된다.
이때, 상기 발권기 본체 내의 주차권이 전부 소진되었을 때에는 발권기의 구동이 멈추게 됨으로써, 주차 차량의 입고 업무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밖에 없으며, 발권기의 주차권 발급 업무가 중단된 시점에 관리자에 의한 주차권 용지의 충전이나 교체 시간동안 차량의 입차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주차권 발권기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기 전에 관리자가 발권기 본체 내의 주차권 소진량을 미리 인지하여 주차권이 전량 소진되기 전에 미리 롤 팩을 교체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여러 대의 발권기를 관리하는 관리자 입 장에서는 발권기마다의 주차권 소진량을 일일이 감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상기 주차권 발권기에 내장된 주차권이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일정량의 주차권이 남게 되면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신호가 중앙의 통제 센터로 수신되면 관리자에 의한 주차권 팩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팩 형태의 주차권이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새로운 팩으로 교체할 시에는 남은 주차권의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주차권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주차권 발권기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발권기 본체의 인출공을 통해 발급되는 주차권이 주차권 공급부에 구비된 한 쌍의 포켓을 통해 공급되고, 일측의 포켓에 공급되는 주차권의 소진 유무에 따라서 자동으로 다른 포켓을 통해 예비 주차권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주차권 발급 중단에 따른 차량의 입차 지연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주차권 발권기가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차권 공급부의 메인 포켓을 통해 공급되는 주차권이 전부 소진되면 일방향 클러치의 작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예비 포켓으로 투입된 주차권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주차권의 소진을 알리는 신호가 컨트롤 보드를 통해 통제센터로 전송됨에 의해서 예비 포켓을 통한 주차권의 공급 중에 메인 포켓 내의 주차권이 충전 가능함으로써, 한 명의 관리자가 다수의 발권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내부에 주차권 이송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서 전면의 인출공을 통해 주차권이 인출되도록 하는 함체형의 발권기 본체와, 주차권의 이송 라인 상에 장착된 드라이브 롤러를 통해 상기 발권기 본체로 주차권이 이송 공급되도록 각각 주차권이 투입되는 한 쌍의 포켓과, 상기 각 포켓에 결합된 드라이브 롤러가 일방향으로 선택 구동되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각 포켓에 투입되는 주차권의 소진 시점의 발생 신호를 검지하는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주차권 발권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발권기 본체는 내부에 장착된 주차권 이송 롤러의 전방에 낱장 분리 가능한 주차권의 대기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 롤러 후방으로 주차권 공급부와 연결된 주차권 이송부가 구비된다.
상기 주차권 이송부는 주차권 공급부에 구비된 각 포켓과 연결되는 데, 상기 포켓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이 상기 주차권 이송부에 안내됨에 따라 발권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주차권 이송부의 하단부는 주차권 공급부 내에서 두 갈래로 구분되어 각 단부측에 주차권 투입 포켓이 결합된 한 쌍의 이송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이송라인은 각각 하부의 포켓을 통해 투입된 주차권이 안내되고, 상기 주차권 이송부에서 분기되는 지점에 스토퍼 링이 장착되어 일측 포켓을 통해 공급되는 주차권만이 선택적으로 발권기 본체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라인 상에는 각각 드라이브 롤러 구동센서와 주차권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안내되는 주차권의 유, 무에 따라 그 검지 신호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드라이브 롤러에 결합된 일방향 클러치를 작동시켜 드라이브 롤러의 선택 구동에 의한 각 포켓을 통한 주차권의 선택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일방향 클러치와 함께 스토퍼 링도 동작하여 일측 이송라인을 통해 주차권이 공급될 때 타측 이송라인은 주차권의 공급 차단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 주차권 발권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주차권 발권기의 구조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의 타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권 발권기(10)는 크게 발권기 본체(20)와 주차권 공급부(30)로 구분된다.
상기 발권기 본체(20)는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어 전면에 주차권 인출공(11)이 구비되고, 내부에 주차권(T)의 위치감지센서(12)와 주차권 이송롤러(13)가 내장 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2)는 주차권 인출공(11)의 인접한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발권기 본체(10)에 연결된 주차권 이송부(40)를 통해 안내되는 주차권(T)의 대기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12)는 그 후방의 주차권 이송롤러(13) 및 발권기 본체(20)의 전면에 설치된 차량 감지센서(도면 미도시)와 연동되며, 상기 차량감지센서가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면 주차권 이송롤러(13)의 작동에 의해서 주차권(T)이 주차권 인출공(11)을 통해서 인출되도록 하고, 새로운 주차권(T)이 상기 위치감지센서(12)에 인식되면 이송롤러(13)의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다음 차량의 진입시까지 주차권의 발권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발권기 본체(10)는 후방으로 주차권 이송을 위한 주차권 이송부(40)가 연장형성되어 그 일단부가 주차권 공급부(3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주차권(T)이 투입되는 한 쌍의 포켓(31)(32)과 연결된다. 즉, 상기 주차권 이송부(40)는 상기 주차권 공급부(30) 내에서 한 쌍의 이송라인(33)(34)으로 분기되어 각 이송라인(33)(34)의 하단부에 제1포켓(31)과 제2포켓(3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포켓(31)은 투입된 주차권(T)이 직상방의 제1이송라인(33)을 통해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메인 포켓의 역할을 하며, 상기 제2포켓(32)은 제1포켓(31)으로부터 투입되는 주차권(T)이 모두 소진되었을 때 상기 제2이송라인(34)을 통해 주차권()이 공급되도록 하는 예비 포켓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소켓(31)과 제2소켓(32)을 통해 투입되는 각 주차권(T)은 상기 각 소켓(31)(32)이 결합된 이송라인(33)(34)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각 이송라인 (33)(34)이 분기된 주차권 이송부(40)를 통해 발권기 본체(20)로 공급된다. 더불어, 상기 각 이송라인(33)(34)을 통한 주차권(T)의 이송은 상기 이송라인(33)(34)에 연결되어 상호 대칭 결합된 한 쌍의 드라이브 롤러(35)(36)의 구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이송라인(33)(34)의 내부에는 주차권(T)의 이송과 주차권 유, 무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33a~33c)(34a~34c)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라인(33)(34)에 연결된 각 소켓(31)(32)과 인접한 위치로부터 포켓 센서(33a)(34a)와 드라이브 롤러 구동센서(33b)(34b) 및 주차권 감지센서(33c)(34c)가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포켓 센서(33a)(34a)는 상기 제1포켓(31)과 제2포켓(32)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T)을 감지하고, 상기 포켓 센서(33a)(33b)에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드라이브 롤러 구동센서(33b)(34b)가 작동하여 각 이송라인(33)(34)에 연결된 드라이브 롤러(35)(36)를 작동시키며, 상기 주차권 감지센서(33c)(34c)는 주차권의 유, 무를 감지하여 드라이브 롤러(35)(36)의 구동 여부의 결정 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차권 감지센서(33c)(34c)의 신호에 의해서 후술될 일방향 클러치(37)와 스토퍼 링(38)의 작동 여부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종 센서(33a~33c)(34a~34c)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상기 발권기 본체(20)의 내부나 주차권 공급부(30) 일측에 장착되는 컨트롤 보드(50)로 수신되며, 상기 컨트롤 보드(50) 내에서의 신호 연산에 의해서 일방향 클러치(37) 및 상기 클러치(37)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6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이송라인(33)(34)에 연결된 드라이브 롤러(35)(36)는 상기 일 방향 클러치(37)에 의해서 그 구동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드라이브 롤러(35)(36)가 주차권 공급부(30) 일측에 설치된 모터(60)의 작동에 의한 메인롤러(61)의 정, 역회전 구동에 의해서 회전될 때, 상기 일방향 클러치(37)에 접촉된 상태의 드라이브 롤러(35)(36)만이 구동됨에 따라 해당 드라이브 롤러(36)가 연결된 이송라인(33)을 따라 주차권(T)의 이송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일방향 클러치(37)는 각 이송라인(33)(34)의 주차권 검지센서(33c)(34c)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의해서 각 드라이브 롤러(35)(36)에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치차 결합되어 선택된 드라이브 롤러(35)(36)가 구동되도록 함에 따라 해당 이송라인(33)(34)의 주차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포켓(31)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T)이 모두 소진되면 제1이송라인(33)의 주차권 감지센서(33c)가 이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 보드(50)로부터 수행되는 롤러 변경 명령에 의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37)가 제2이송라인(34)에 연결된 드라이브 롤러(36)로 결합됨으로 인하여 제2포켓(32)으로 투입되는 주차권(T)이 제2이송라인(34)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포켓(31)에 연결된 제1이송라인(33)을 통해 주차권(T)이 드라이브 롤러(35)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될 때 상기 각 이송라인(33)(34)의 분기 지점에 설치된 스토퍼 링(38)에 의해서 제2이송라인(34)이 차단됨으로써, 일측의 제1이송라인(33)을 통한 주차권(T)의 공급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포켓(32)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T)이 전량 소진되면 앞서 설명된 절차와 동일하게 제1포켓(31)을 통한 주차권(T)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주차권 발권기의 동작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주차권 발권기에 대한 동작 과정을 아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차권 발권기(10)는 먼저, 발권기 본체(20)와 연결된 주차권 공급부(30)의 제1포켓(31)을 통해 롤 형태로 권취된 주차권(T)의 인입 단부를 투입하여 제1이송라인(33)으로 유입되면, 상기 제1이송라인(33)의 드라이브 롤러 구동센서(33b)에 의해 주차권(T)이 검지되고 그 검지 신호가 주차권 공급기(30) 일측의 컨트롤 보드(50)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제1이송라인(33)과 연결된 드라이브 롤러(35)를 구동시켜 주차권(T)을 상부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권기 본체(20) 내의 이송 롤러(13)에 맞물려 상기 주차권 인출공(11)을 통한 발권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주차권 공급부(30)의 다른 포켓인 제2포켓(32)으로 상기 제1포켓(31)의 투입 과정과 마찬가지로 주차권(T)을 투입하여 제2이송라인(34)의 주차권 감지센서(34c)의 장착 위치까지 주차권(T)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권기 본체(20)로의 공급 대기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상기 제1포켓(31)을 통해 발권기 본체(20)로 주차권(T)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제1이송라인(31)에 연결된 드라이브 롤러(35)에 일방향 클러치(37)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드라이브 롤러(35)의 자체적인 구동에 의해서 상기 발권기 본체(20) 내의 이송 롤러(13)가 공급중인 주차권(T)을 견인하게 된다. 즉, 제1포켓(31) 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T)은 상기 드라이브 롤러(35)의 자체 구동에 의해서 제1이송라인(33)을 통해 상기 발권기 본체(20)로 연속 공급되고, 공급된 주차권(T)은 발권기 본체(20)의 주차권 인출공(11)을 통해 차량의 진입 인식때마다 낱장으로 발권된다.
이때, 상기 제2포켓(32)을 통해 투입된 주차권(T)은 상기 이송라인(33)(34)의 분기 지점에 장착된 스토퍼 링(38)에 의해서 그 이송 진로가 차단되어 상기 발권기 본체(20)로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제1포켓(31)을 통한 주차권(T)의 투입량이 전량 소진되면, 상기 제1이송라인(31) 상에 설치된 주차권 감지센서(33c)를 통해 주차권 소진을 감지하게 되어 소정의 신호가 컨트롤 보드(50)에 의해서 감지되고, 이와 동시에 스토퍼 링(38)이 반대측 이송라인, 즉 제1이송라인(33)측으로 밀리면서 제2이송라인(34)의 진로가 개방된다.
다음, 상기 제1이송라인(33)의 주차권 감지센서(33c)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서 주차권 공급부(30) 일측의 모터(60)를 역회전시킴과 동시에 일방향 클러치(37) 작동으로 제2포켓(32)으로 투입된 주차권을 상기 발권기 본체(20)의 이송 롤러(13)에 물리도록 하여 상기 주차권 인출공(11)을 통한 발권 대기 위치로 이송시킴과 아울러 제2포켓()과 제2이송라인()을 통한 연속적인 주차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이송라인(33)의 주차권 감지센서(33a)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은 컨트롤 보드(50)는 자체 연산에 의해서 제1포켓(31)에 투입되는 주차권이 전량 소진됐음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의 통제센터(도면 미도시)로 송신하게 되고, 관리자는 통제센터의 메세지를 파악하여 상기 제2포켓(32)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T)이 소진되기 전 제1포켓(31)에 롤 형태의 다른 주차권 팩을 공급함으로써, 주차권의 발권 중지 및 이에 따른 주차 차량의 입차 지연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차권 발권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티켓 발매기나 영수증 발행기등의 발권 기능을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권 발권기는 발권기 본체의 인출공을 통해 발급되는 주차권이 주차권 공급부에 구비된 한 쌍의 포켓을 통해 공급되고, 일측의 포켓에 공급되는 주차권의 소진 유무에 따라서 자동으로 다른 포켓을 통해 예비 주차권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주차권 발급 중단에 따른 차량의 입차 지연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소수의 관리자에 의해 다수의 발권기가 관리됨에 따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주차권의 완전 소진에 의한 경제적 이점이 도출될 수 있다.

Claims (6)

  1.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주차권 이송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서 전면의 인출공을 통해 주차권이 낱장의 형태로 개별 인출되도록 하는 발권기 본체 외부에 개별적인 모듈로써 설치되며,
    상기 발권기 본체의 후방에서 연결된 주차권 이송부에서 분기되고, 실질적으로 주차권을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드라이브 롤러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이송라인과;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의 하단부에 상기 발권기 본체로 공급되는 주차권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투입되도록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포켓과;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 사이에 상기 드라이브 롤러와 연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각 포켓을 통해 투입되는 주차권이 각 이송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공급되도록 드라이브 롤러를 선택 구동시키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이송라인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토퍼 링:을 포함하는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하단부에 결합된 포켓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고, 각 포켓을 통해 주차권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여 각 이송라인에 연결된 드라이브 롤러가 구동되도록 하는 포켓 센서 및 드라이브 롤러 구동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소켓을 통해 공급되는 주차권의 유, 무를 감지하여 상기 일방향 클러치와 스토퍼 링의 작동 여부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가 결합된 드라이브 롤러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권 감지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센서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수신되어 수신된 신호 연산에 의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 구동 및 상기 클러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의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트롤 보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KR1020060015534A 2006-02-17 2006-02-17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KR10069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534A KR100691611B1 (ko) 2006-02-17 2006-02-17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534A KR100691611B1 (ko) 2006-02-17 2006-02-17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611B1 true KR100691611B1 (ko) 2007-03-12

Family

ID=3810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534A KR100691611B1 (ko) 2006-02-17 2006-02-17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807B1 (ko) * 2015-02-05 2015-04-17 주식회사 자우텍 정산 시스템의 카드 회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360A (ko) * 1997-08-22 1999-03-15 윤종용 통행권의 연속 발행이 가능한 통행권발행기
JPH1196409A (ja) 1997-09-24 1999-04-09 Autonics:Kk 券類発行装置
KR100231264B1 (ko) 1997-05-16 1999-11-15 이평언 2웨이 티켓 발권기
KR100263347B1 (ko) 1998-03-31 2000-08-01 윤종용 통행권발행기의 통행권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264B1 (ko) 1997-05-16 1999-11-15 이평언 2웨이 티켓 발권기
KR19990017360A (ko) * 1997-08-22 1999-03-15 윤종용 통행권의 연속 발행이 가능한 통행권발행기
JPH1196409A (ja) 1997-09-24 1999-04-09 Autonics:Kk 券類発行装置
KR100263347B1 (ko) 1998-03-31 2000-08-01 윤종용 통행권발행기의 통행권 수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807B1 (ko) * 2015-02-05 2015-04-17 주식회사 자우텍 정산 시스템의 카드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9887B2 (ja) 搬送用自走車の充電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CA1229920A (en) Apparatus for dealing with bills
EP1892680B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US20120285787A1 (en) Bill depositing and dispensing device
WO2016137281A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4775783A (en) Transaction system
WO2011009325A1 (zh) 一种自动发卡机
KR100691611B1 (ko) 두 개의 포켓을 갖는 주차권 자동공급 장치
KR100230583B1 (ko) 통행권의 연속 발행이 가능한 통행권발행기
CN103258368A (zh) 介质正反面翻转装置及介质交易装置
JPH0636229B2 (ja) 貨幣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01171A (ja) 遊技場における有価媒体搬送装置
EP3376479A1 (en) Sheet processing system,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housing section
KR102646237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EP4246473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190633B2 (ja) 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3097946B2 (ja) 自動取引装置群管理方法と群管理システム
JP2005135058A (ja) リライトカードの処理装置
JP3574177B2 (ja) 券処理装置
JPH11283077A (ja) 紙幣回収払出装置
JP2548391B2 (ja) 現金入出金装置
KR20210019877A (ko) 금융 자동화 기기용 종이 매체 수납 장치
JP3985088B2 (ja) 紙幣識別装置
KR20230139891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S622398A (ja) 現金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