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57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57B1
KR100690857B1 KR1020050117230A KR20050117230A KR100690857B1 KR 100690857 B1 KR100690857 B1 KR 100690857B1 KR 1020050117230 A KR1020050117230 A KR 1020050117230A KR 20050117230 A KR20050117230 A KR 20050117230A KR 100690857 B1 KR100690857 B1 KR 10069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icroprocesso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Camera Alignment)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는 미리 설정된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지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AMERA ALIGNMENT OF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를 측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보정 값을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측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마이크로프로세서 200: 지그부
300: 이동 통신 단말기 400: 피사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Camera Alignment)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BS (Base Station; BS)에 의해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이동하면서 MSC(Mobile Switching Center; MSC)의 스위칭 제어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을 무선 호출 및 무선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음성 통신 뿐만 아니라 기호, 숫자,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통신 및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카메라를 외장 또는 내장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 영상(Subject Image)을 입력 받음으로써, 정지 영상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동영상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통화와 같은 보다 폭 넓은 활용 범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동영상 촬영, 정지 영상 촬영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부가 기능으로서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조 공정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에 대한 테스트 공정을 제대로 해야만 판매 이후에 발생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에 대한 검증만을 수행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Camera Alignment)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Camera Alignment)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는 미리 설정된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와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근거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 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Camera Alignment)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는 미리 설정된 피사체(Subject Image)(400)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0)와; 상기 출력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조절하는 지그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400)와 상기 지그부(200)는 미리 설정된 거리를 근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출력하는 단계(S21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출력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20)와;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때, 상기 출력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S2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판단된 그룹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를 보정하는 제 1 보정 값을 연산하는 단계(S2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연산된 제 1 보정 값을 근거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지그부에 출력하는 단계(S250)와; 상기 지그부가 상기 출력된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각도를 제어하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그룹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나 각도의 정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를 보정하는 제 2 보정 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제 2 보정 값을 근거로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지그부는 상기 출력된 제 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 를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그부(200)와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4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300)가 상기 지그부(20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미리 설정된 피사체(40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400)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카메라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의 상부에 위치하고 좌/우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이미지를 사용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400)를 촬영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100)에 출력한다(S210). 즉,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400) 내의 제 1 내지 제 3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도록 촬영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220).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출력된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교차점의 좌표와 꺽인점의 좌표를 근거로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점이나 꺽인점의 좌표들 중에 X축이나 Y축으로 일치하는 값이 있는 이미지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도는 보정할 필요가 없고 위치만을 보정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때, 상기 출력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그룹을 판단한다(S230).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 각도가 틀어진 정도 예를 들면, 교차점의 개수나 꺽인점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가 틀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가 틀어진 정도에 따른 제 1 그룹은 인접한 면들에 교차점이 2개 이하이거나 꺽인점이 1개 이하인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될 때,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위치를 보정한 후에 각도를 보정하는 보정 값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가 틀어진 정도에 따른 제 2 그룹은 인접하지 않은 면들에 교차점이 2개 이상이거나 꺽인점이 2개 이상인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가 틀어진 정도에 따른 제 3 그룹은 인접한 모든 면들에 교차점이 있는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상기 제 2 그룹이나 제 3 그룹에 포함될 때,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는 보정 값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판단된 그룹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를 보정하는 제 1 보정 값을 연산한다(S240).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판단된 그룹에 대응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 각도를 보정하는 제 1 보정 값을 연산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연산된 제 1 보정 값을 근거로 제 1 제어 신호를 상기 지그부(200)에 출력함으로써(S250), 상기 지그부(200)는 상기 출력된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S260).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근거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보정 값을 연산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보정 값을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때, 상기 출력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 1 그룹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판단된 제 1 그룹에 대응하는 방 법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를 보정하는 보정 값을 연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될 때,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위치를 보정한 후에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미지들은 각도를 보정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교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기준점(K1, K2)을 근거로 상기 이미지의 위치를 보정한 후에 상기 기준점(K1, K2)과 교차점(A, B)를 근거로 각도를 조절하는 보정 값을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지그부(200)가 상기 연산된 제 1 보정 값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피사체(400)를 촬영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출력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것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220).
이에, 상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 위치를 보정하는 제 2 보정 값을 연산한다(S270).
결국,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연산된 제 2 보정 값을 근거로 제 2 제어 신호를 상기 지그부(200)에 출력함으로써(S280), 상기 지그부(200)는 상기 출력된 제 2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 위 치를 제어할 수 있다(S290).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미리 설정된 이미지가 일치하도록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보정 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보정 값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의 각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보정한 후에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정확히 보정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측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미지(점선)에 대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미지를 촬영한 이미지 내에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가 0도, 90도, 180도, 270도로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 예를 들면, 90도를 벗어났을 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함으로써,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실패했음을 제조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상기 지그부에 다시 고정하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수행하기 때문에 카메라 테스트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되는 미리 설정된 피사체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것인지 판단하여 각도를 보정할 때, 상기 촬영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그룹을 판단하고, 그 그룹을 근거로 카메라 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연산하여 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피사체를 적어도 한번 이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8.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출력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그룹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판단된 그룹을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각도를 보정하는 제 1 보정 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연산된 제 1 보정 값을 근거로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 1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지 않을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를 보정하는 제 2 보정 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연산된 제 2 보정 값을 근거로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테스트 용지에 인쇄된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적어도 한번 이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촬영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지 않을 때,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연산하여 그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KR1020050117230A 2005-12-02 2005-12-0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KR10069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30A KR100690857B1 (ko) 2005-12-02 2005-12-0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30A KR100690857B1 (ko) 2005-12-02 2005-12-0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857B1 true KR100690857B1 (ko) 2007-03-09

Family

ID=3810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230A KR100690857B1 (ko) 2005-12-02 2005-12-0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5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724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페이져에서 선택된 알람음 발생 방법
KR19990025724U (ko) * 1997-12-17 1999-07-05 추호석 아이 티 씨 조정시스템의 카메라 각도 보정장치
JPH11234706A (ja) 1998-02-16 1999-08-27 Sharp Corp テレビカメラ映像調整装置
KR20020077685A (ko) * 2001-04-02 2002-10-14 한국과학기술원 동심원 패턴을 이용한 카메라 내부변수 보정시스템 및카메라 보정방법
KR20050068015A (ko) * 2003-12-29 2005-07-05 김용욱 휴대폰 카메라 렌즈의 검사 및 접착재 고정방법
KR20050075898A (ko) * 2004-01-16 2005-07-25 (주)코미 카메라 모듈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2886A (ko) * 2005-01-13 2006-07-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테스트하는 방법
KR20060091142A (ko) * 2005-02-14 2006-08-18 주식회사 팬택 평활렌즈 및 전용피사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성능 테스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724A (ko) * 1997-09-13 1999-04-06 윤종용 페이져에서 선택된 알람음 발생 방법
KR19990025724U (ko) * 1997-12-17 1999-07-05 추호석 아이 티 씨 조정시스템의 카메라 각도 보정장치
JPH11234706A (ja) 1998-02-16 1999-08-27 Sharp Corp テレビカメラ映像調整装置
KR20020077685A (ko) * 2001-04-02 2002-10-14 한국과학기술원 동심원 패턴을 이용한 카메라 내부변수 보정시스템 및카메라 보정방법
KR20050068015A (ko) * 2003-12-29 2005-07-05 김용욱 휴대폰 카메라 렌즈의 검사 및 접착재 고정방법
KR20050075898A (ko) * 2004-01-16 2005-07-25 (주)코미 카메라 모듈의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2886A (ko) * 2005-01-13 2006-07-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테스트하는 방법
KR20060091142A (ko) * 2005-02-14 2006-08-18 주식회사 팬택 평활렌즈 및 전용피사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성능 테스트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90025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668B1 (ko)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CN108111828B (zh) 投影设备校正方法、装置及投影设备
EP184121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of-focus shooting using portable terminal
JP2014526823A (ja) 立体画像ペアの改善された切り取り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7006016A (ja) 撮影装置
US20170372679A1 (en)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Text Size and a Method Thereof
JP2014531860A (ja) 立体視画像ペアの条件付き表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69085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얼라인먼트를 제어하는 장치 및그 방법
CN116883515B (zh) 光学环境调整方法及光学标定装置
US20150042684A1 (en) Projection methods and projection devices
TWI766206B (zh) 影像的修正方法及其裝置
JP7377614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送信制御方法
CN110848907A (zh)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339179A (zh) 投影校正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投影设备
CN112073642B (zh) 多摄像头设备的视频录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US20060008172A1 (en) Image compensa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imaging device
CN104602097A (zh) 一种基于人眼跟踪的调整观看距离的方法及全息显示装置
KR10144210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8062778B (zh) 一种拍摄装置的位置调节方法及控制装置
JP2019009653A (ja) インターホン機器におけるカメラモジュールの調整方法
CN110717944A (zh) 一种相机标定在智能手机、摄像头、数码相机里的应用
CN111629107B (zh) 终端的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JP7308131B2 (ja) 光学調整装置
JP6995447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US8736686B2 (en) Method for judging whether lens and sensing element of image pickup device are parall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