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668B1 -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668B1
KR101006668B1 KR1020087017160A KR20087017160A KR101006668B1 KR 101006668 B1 KR101006668 B1 KR 101006668B1 KR 1020087017160 A KR1020087017160 A KR 1020087017160A KR 20087017160 A KR20087017160 A KR 20087017160A KR 101006668 B1 KR101006668 B1 KR 10100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rtable terminal
mode
holding
hold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037A (ko
Inventor
다까시 우에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7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state of one of the communicating parties, e.g. available memory capacity
    • H04N1/3338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state of one of the communicating parties, e.g. available memory capacity according to transient characteristics or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Abstract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가 갖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촬영 대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11)과, 소지 상태를 검출하는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과,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이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서 화상 잘라내기 수단(11)의 유효/무효를 절환하는 절환 수단(13)을 적어도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 소지 상태, 절환 수단, 화상 잘라내기 수단,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손 떨림

Description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APPARATUS FOR SWITCHING PICKED-UP IMAGE PROCESSINGS OF TV TELEPHONE FUNCTION}
본 발명은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가 갖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촬영 화상의 화상 처리를 제어하는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기에는 많은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기능으로 TV 전화 기능이 있다.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는, 이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손에 들고, 얼굴 가까이에서 대면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TV 전화 기능(예를 들면, 카메라 등의 광학계)이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가까이의 얼굴을 적절한 크기로 촬영하기 위해, 화각이 예를 들면 40도 이상인 표준 또는 광각의 광학계를 사용한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와 얼굴(촬영 대상)의 거리를 떨어뜨려 촬영하면, 촬영 화면에 비치는 인물에 대한 얼굴의 비율이 작아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손에 들고 사용한 경우에는, 화면 내의 인물의 얼굴이 적절한 비율로 되지만, 휴대 단말기를 책상 등에 두고 통화한 경우에는, 촬영 화면에 비치는 인물에 대한 얼굴의 비율이 작아지게 되어, 표정의 판별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TV 전화 기능에서는, 손 떨림에 의한 화면의 흔들림을 캔슬하는 처리나, 인물 위치 인식 또는 얼굴 위치 인식의 기술을 이용하여 인식한 화면 내의 얼굴 부분을 잘라내어 확대한 것을 상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처리 등의 화상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처리 능력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전력 소비도 커지게 된다.
특허 문헌 1은, 확실하게 인물 검출을 행함과 함께, 인물의 이동이 있어도 보기 쉬운 화면 표시를 행함으로써, 인물 화상의 적절한 표시를 행하는 텔레비전 회의 단말기의 화면 표시 제어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는, 충분한 잘라내기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면서, 손 떨림 보정 기능의 고품위화를 도모한 촬상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은, 손 떨림 등이 발생한 경우의 영상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촬영 앵글의 부적절함을 유저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 표시를 대상물의 촬영 영상으로 절환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05175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26639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56849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는,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갖는 카메라에 의해 얻는 촬영 화상에서의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촬영 대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어,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행하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과,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소지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일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절환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환 수단은, 소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소지 상태일 때에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소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화상 잘라내기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화상 잘라내기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화상 잘라내기 수단이 인식하는 촬영 대상이란, 예를 들면 인물의 얼굴이다.
즉,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불필요한 기능은 정지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화상 절환 장치를 실현하는 휴대 단말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상태와 각 상태에서의 촬영 화상을 설명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10)는,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이하 「휴대 단말기」라고 함)가 갖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얻은 촬영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어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11)과,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손에 들고 있는 상태(이하 「소지 상태」라고 함)를 검출하는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과,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이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서 화상 잘라내기 수단(11)의 유효/무효를 절환하는 절환 수단(13)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절환 수단(13)은,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이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소지 상태인 경우에, 화상 잘라내기 수단(11)의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시킨다. 또한, 절환 수단(13)은,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이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 화상 잘라내기 수단(11)에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시킨다.
도 1에 도시하는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10)에는, 휴대 단말기의 손 떨림을 검출하여 촬영 화상을 보정하는 손 떨림 방지 수단(14)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절환 수단(13)은,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이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소지 상태인 경우에, 손 떨림 방지 수단(14)에 촬영 화상의 손 떨림 보정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절환 수단(13)은,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이 검출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 손 떨림 방지 수단(14)에 의한 촬영 화상의 손 떨림 보정 처리를 정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화상 절환 장치(10)를 실현하는 휴대 단말기(20)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휴대 단말기(2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s) 등의 촬상 소자)(21)와, 카메라(21)를 구동하는 드라이버(22)와, 휴대 단말기(20)의 손 떨림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23)와, 가속도 센서(23)를 구동하는 드라이버(24)와, 카메라(21)에서 생성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인 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25)와, 얼굴 인식 처리부(25)에서 인식한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촬영 화상으로부터 잘라내는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와, 손 떨림량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의 손 떨림을 보정하는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와, 휴대 단말기(20)의 상태에 따라 촬영 화상에 행하는 화상 처리(얼굴 잘라내기 처리/손 떨림 방지 처리)를 절환하는 절환 제어부(28)와, 얼굴 잘라내기 처리 또는 손 떨림 보정 처리 후의 촬영 화상을 소정의 프로토콜로 인코드하는 인코더(29)와, 인코드된 촬영 화상의 데이터(이하 「표시 화상」이라고 함)를 디코더에 의해 디코드하여 휴대 단말기(20)에 표시함과 함께, 데이터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상대에게 표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TV 전화 제어부(30)와, 통신 상대에게 표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부(31)를 적어도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불휘발성/휘발성의 메모리(예를 들면, RAM이나 EEPROM)를 당연히 구비한다.
그리고, CPU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드라이버(22, 24), 얼굴 인식 처리부(25),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 절환 제어부(28), 인코더(29), TV 전화 제어부(30) 등을 실현한다.
카메라(21)가 생성한 촬영 화상은,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입력된다. 얼굴 인식 처리부(25)에 촬영 화상이 입력되면, 얼굴 인식 처리부(25)가, 촬영 화상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 다. 그리고,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가, 인식한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버스트 샷이 얻어지는 범위)를 촬영 화상으로부터 추출한다.
따라서, 촬영 화상의 전체에 대하여 인물의 얼굴의 비율이 작은 경우라도,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잘라내기 처리부(26)가, 촬영 화상을 예를 들면 버스트 샷 화상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촬영된 인물의 표정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촬영 화상이 입력되면,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는, 가속도 센서(23)의 센서 값으로부터 손 떨림량을 산출하여 촬영 화상을 보정한다. 따라서, 보정된 촬영 화상은, 휴대 단말기(20)의 손 떨림에 의해 생긴 피사체의 상의 흔들림이 제거된다.
여기에서, 절환 제어부(28)는, 가속도 센서(23)에서 얻은 가속도로부터 휴대 단말기(20)의 상태(소지 상태/소지 상태가 아닌 상태)를 검출(판별)한다. 그리고, 절환 제어부(28)는, 휴대 단말기(20)의 상태에 따라서,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해 행해지는 화상 잘라내기 처리와,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해 행해지는 손 떨림 방지 처리를 배타적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가 아닌 상태인 경우에는,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한 손 떨림 방지 처리를 정지시키고,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시한 촬영 화상을 인코더(29)에 출력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한 손 떨림 방지 처리를 개시한다. 그리고, 손 떨림 방지 처리를 실시한 촬영 화상을 인코더(29)에 출력한다.
인코더(29)에서는, 입력된 촬영 화상을, 필요에 따라서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4)나,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국제 전기 통신 연합 전기 통신 표준화 부문)에 준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TV 전화 제어부(30)는, 인코드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상대에게 송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코드(33)에 출력하여 도시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촬영 화상을 표시한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에서, 도 1에 도시한 화상 잘라내기 수단(11)은,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해 실현되고,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과 절환 수단(13)은, 가속도 센서(23), 드라이버(24) 및 절환 제어부(28)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손 떨림 방지 수단(14)은, 가속도 센서(23), 드라이버(24) 및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해 실현된다.
이상에 설명한 휴대 단말기(20)의 상세한 처리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301에서, 절환 제어부(28)는, 가속도 센서(23)의 가속도 값으로부터 휴대 단말기(20)의 상태(소지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미리 소 정의 가속도 값을 임계값으로 설정해 두고, 가속도 센서(23)에서 검출하는 가속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휴대 단말기(20)는 소지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휴대 단말기(20)는 소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절환 제어부(28)는, 처리를 스텝 S302로 이행한다.
스텝 S302에서, 절환 제어부(28)는, 스텝 S301에서의 검출 결과가 소지 상태인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03으로 이행하고, 스텝 S301에서의 검출 결과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05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환 제어부(28)는, 휴대 단말기(20)의 상태를 판정할 때에 사용하는 판정 처리 모드와, 촬영 화상에 대한 화상 처리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화상 처리 모드를 갖는다.
판정 처리 모드는,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소지 모드와, 약간 휴대 단말기(20)의 진동을 검출하지만 소지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준소지 모드와, 휴대 단말기(20)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고정 모드의 3개의 모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화상 처리 모드는, 판정 처리 모드의 각 모드로부터,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라고 판단된 것을 나타내는 소지 모드와,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가 아니라고(고정되어 있다고) 판단된 것을 나타내는 고정 모드의 2개의 모드로 이루어진다.
이들 판정 처리 모드와 화상 처리 모드는, 휴대 단말기(20)가 구비하는 메모리 등에 기억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CPU가 참조하거나, 또는 모드의 기입을 행한다.
스텝 S303에서, 절환 제어부(28)는, 판정 모드를 소지 모드로 절환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304로 이행한다. 스텝 S304에서, 절환 제어부(28)는, 화상 처리 모드를 소지 모드로 절환한다.
한편, 스텝 S305에서, 현재의 판정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인 경우에는, 절환 제어부(28)는, 처리를 스텝 S306으로 이행하고, 시각을 기록함과 함께, 판정 처리 모드를 준소지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305에서, 현재의 판정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절환 제어부(28)는, 처리를 스텝 S307로 이행한다. 그리고, 현재의 판정 처리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에는, 절환 제어부(28)는, 처리를 스텝 S308로 이행하고, 현재의 판정 모드를 계속한다(변경하지 않음).
스텝 S309에서, 절환 제어부(28)는, 준소지 모드가 일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준소지 모드의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10으로 이행하고, 현재의 판정 모드를 계속한다(변경하지 않음).
또한, 스텝 S309에서, 준소지 모드의 상태가 일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절환 제어부(28)는, 처리를 스텝 S311로 이행하고, 판정 모드를 고정 모드로 변경한다. 그리고, 스텝 S312에서, 절환 제어부(28)는, 화상 모드를 고정 모드로 절환한다.
이상의 스텝 S301∼S312의 처리에 의해 화상 처리 모드가 결정되면, 절환 제 어부(28)는, 처리를 스텝 S31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스텝 S301∼S312의 처리에서 결정한 화상 처리 모드의 체크를 행한다. 이하, 화상 처리 모드에 따른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313에서, 절환 제어부(28)는, 화상 처리 모드를 체크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인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14로 이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16으로 이행한다.
스텝 S314에서,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는, 가속도 센서(23)로부터 센서 값(가속도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그 센서 값으로부터 손 떨림량을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량은, 센서 값으로부터 촬상 소자(예를 들면, 카메라(21)에 구비되는 CCD) 상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에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이들 이동 거리를 화소수로 변환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손 떨림량의 산출이 종료되면,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는, 처리를 스텝 S315로 이행한다.
스텝 S315에서,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는, 스텝 S314에서 산출한 손 떨림량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의 보정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촬영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손 떨림량분 만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어, 새로운 촬영 화상(손 떨림 보정된 촬영 화상)을 생성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새로운 촬영 화상을 확대/축소하여도 된다.
한편, 스텝 S316에서, 얼굴 인식 처리부(25)는, 촬영 화상에 촬영되어 있는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의 위치와 사이즈를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처리는, 예를 들면 휘도가 높은 부분을 추출하여 인물의 눈의 위치(얼굴의 위치)를 특정한 후에, 눈의 간격으로부터 얼굴의 사이즈를 특정하여도 되고, 촬영 화상에 대하여 윤곽 강조의 처리를 실시한 후에, 미리 준비한 복수의 얼굴의 형상(윤곽)과 각각 비교하여 인물의 얼굴을 특정하여도 된다.
얼굴 인식 처리가 종료되면, 얼굴 인식 처리부(25)는, 처리를 스텝 S317로 이행한다.
스텝 S317에서,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는, 스텝 S316에서 특정한 얼굴의 위치로부터 버스트 샷으로 되는 화상 범위를 산정하고, 그 화상을 잘라내어 새로운 촬영 화상(인물의 얼굴이 잘라내어진 촬영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새로운 촬영 화상을 확대/축소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손 떨림 보정 처리 또는 화상 잘라내기 처리가 실시된 촬영 화상은, 인코드(29)를 통해서 TV 전화 제어부(30)에 송신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318로 이행된다.
스텝 S318에서, TV 전화 제어부(30)는, 스텝 S314∼S315에 의한 손 떨림 보정 처리, 또는 스텝 S316∼S317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가 실시된 촬영 화상을 자화상 데이터로 하여, 데이터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상대에게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의 상태와 각 상태에서의 촬영 화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는, 소지 모드시의 상황(a), 그 때의 촬영 화상(b) 및 손 떨림 보정 처리 후의 촬영 화상(c)과, 고정 모드시의 상황(d), 그 때의 촬영 화상(e) 및 화상 잘라내기 처리 후의 촬영 화상(f)을 도시하고 있다.
소지 모드시의 상황(a)은, 도 3에서 도시한 화상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인 경우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40)(또는 피사체(40), 이하 필요에 따라 사용자(40) 또는 피사체(40)라고 함)가 휴대 단말기(20)를 손에 들고, 휴대 단말기(20)와 자신의 얼굴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촬영 화상(b)은, 화상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시에 촬영된 촬영 화상(손 떨림 보정 처리 전의 촬영 화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촬영 화상(b)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0)를 손에 들고 있는 상태(소지 상태)이기 때문에, 촬영 화상에 손 떨림(42)(피사체(40)의 윤곽부에 표시된 굵은 선)이 생긴다.
상기 촬영 화상(b)은,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해 손 떨림 보정 처리가 실시되어, 촬영 화상(c)이 얻어진다. 이 촬영 화상(c)은, 손 떨림 보정 처리 후의 촬영 화상으로서, 인코드(29), TV 전화 제어부(30) 및 데이터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상대에게 보내진 촬영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촬영 화상(c)은, 피사체(40)의 윤곽부에 생겼던 손 떨림(42)이 제거되어 있다.
고정 모드시의 상황(d)은, 도 3에서 도시한 화상 처리 모드가 고정 모드인 경우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20)는 책상 위 등에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20)와 자신의 얼굴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20)와 피사 체(40)의 거리는, 화상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일 때보다 크게 되어 있다.
촬영 화상(e)은, 화상 처리 모드가 고정 모드시에 촬영된 촬영 화상(화상 잘라내기 처리 전의 촬영 화상)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촬영 화상(e)은, 화상 처리 모드가 소지 모드일 때(소지 상태)에 비하여 휴대 단말기(20)와 피사체(40)의 거리가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 화상 전체에 대한 피사체(40)의 얼굴 비율이 작게 되어 있다.
상기 촬영 화상(e)은,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해 화상 잘라내기 처리가 실시되어, 촬영 화상(f)이 얻어진다. 이 촬영 화상(f)은, 화상 잘라내기 처리 후의 촬영 화상으로서, 인코드(29), TV 전화 제어부(30) 및 데이터 통신부(31)를 통하여 통신 상대에게 보내진 촬영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촬영 화상(f)은, 촬영 화상(e)에 찍혀진 피사체(40)의 버스트 샷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10)는, 절환 제어부(28)에 의해 가속도 센서(23)의 센서 값으로부터 휴대 단말기(20)의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21)에서 촬영한 촬영 화상에 대하여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한 손 떨림 보정 처리를 개시함과 함께,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카메라(21)에서 촬영 한 촬영 화상에 대하여 얼굴 인식 처리부(25) 및 얼굴 잘라내기 처리부(26)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개시함과 함께, 손 떨림 방지 처리부(27)에 의한 손 떨림 보정 처리를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절환 제어부(28)가 휴대 단말기(20)의 상태에 따라서 필요한 기능만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손 떨림 보정 처리나 화상 잘라내기 처리와 같은 휴대 단말기(20)에 있어서 고부하로 되는 처리를, 동시에 실행하는 필요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처리 능력이 낮은 CPU를 이용하여도 휴대 단말기(20)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TV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처리 능력이 낮은 CPU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낮은 코스트로 휴대 단말기(20)의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TV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의 각 상태에 필요한 화상 처리만을 행함으로써 여유가 생긴 처리 능력을 손 떨림 보정 처리에 할당함으로써, 소지 상태에서의 촬영 화상의 화질 개선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에 대해서는,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TV 전화 기능을 갖는 다른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지 상태 검출 수단(12)으로서 가속도 센서(23)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된다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면, 정전 용량 센서나 통전 센서 등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20)의 소지 상태를 검출하여도 된다.

Claims (10)

  1.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갖는 카메라에 의해 얻는 촬영 화상에서의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촬영 대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어,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행하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과,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소지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일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절환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절환 수단은, 소지 모드와 준소지 모드와 고정 모드의 3개의 모드로 이루어지는 판정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고정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소지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소지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준소지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절환 수단이 준소지 모드인 경우, 소정 시간만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고정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손 떨림에 의한 손 떨림량을 검출하고, 그 손 떨림량에 따라서 상기 촬영 화상의 손 떨림의 보정을 행하는 손 떨림 방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소지 상태일 때에는, 상기 손 떨림 방지 수단에 의한 손 떨림의 보정을 실행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소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손 떨림 방지 수단에 의한 손 떨림의 보정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3. 삭제
  4.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
    소지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단계,
    절환 수단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일 때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갖는 카메라에 의해 얻는 촬영 화상에서의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촬영 대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어,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절환 수단은, 소지 모드와 준소지 모드와 고정 모드의 3개의 모드로 이루어지는 판정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고정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소지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소지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준소지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절환 수단이 준소지 모드인 경우, 소정 시간만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고정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방법.
  5.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로서,
    상기 TV 전화 기능에 필요한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얻는 촬영 화상에서의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촬영 대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잘라내어,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행하는 화상 잘라내기 수단과,
    상기 TV 전화 기능에 의한 통신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는 소지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일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절환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절환 수단은, 소지 모드와 준소지 모드와 고정 모드의 3개의 모드로 이루어지는 판정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고정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인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소지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소지 모드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준소지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절환 수단이 준소지 모드인 경우, 소정 시간만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지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고정 모드로 이행함과 함께, 상기 화상 잘라내기 수단에 의한 화상 잘라내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화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7017160A 2005-12-28 2005-12-28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KR101006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24127 WO2007077614A1 (ja) 2005-12-28 2005-12-28 Tv電話機能の撮影画像処理切り替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037A KR20080081037A (ko) 2008-09-05
KR101006668B1 true KR101006668B1 (ko) 2011-01-10

Family

ID=3822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160A KR101006668B1 (ko) 2005-12-28 2005-12-28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3938B2 (ko)
JP (1) JP4448177B2 (ko)
KR (1) KR101006668B1 (ko)
CN (1) CN101346990B (ko)
WO (1) WO2007077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542B2 (en) 2005-12-27 2013-11-26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Foreground/background separation using reference images
US7986336B2 (en) * 2006-11-27 2011-07-26 Eastman Kodak Company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indicator
JP5159189B2 (ja) * 2007-06-29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024415A1 (ja) * 2008-08-28 2010-03-04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機器
JP2010154070A (ja) * 2008-12-24 2010-07-08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JP5436975B2 (ja) * 2009-08-21 2014-03-0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の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8878773B1 (en) 2010-05-24 2014-11-04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relative motion as input
US8723912B2 (en) 2010-07-06 2014-05-13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Scene background blurring including face modeling
JP2012068713A (ja) 2010-09-21 2012-04-0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088924B1 (en) 2011-08-04 2018-10-02 Amazon Technologies, Inc. Overcoming motion effects in gesture recognition
US8683054B1 (en) * 2011-08-23 2014-03-25 Amazon Technologies, Inc. Collaboration of device resources
US9223415B1 (en) 2012-01-17 2015-12-29 Amazon Technologies, Inc. Managing resource usage for task performance
EP2909699A1 (en) * 2012-10-22 2015-08-26 VID SCALE, Inc. User presence detection in mobile devices
EP2739044B1 (en) 2012-11-29 2015-08-12 Alcatel Lucent A video conferencing server with camera shake detection
US8761448B1 (en) 2012-12-13 2014-06-24 Intel Corporation Gesture pre-processing of video stream using a markered region
US9104240B2 (en) * 2013-01-09 2015-08-11 Intel Corporation Gesture pre-processing of video stream with hold-off period to reduce platform power
US9292103B2 (en) 2013-03-13 2016-03-22 Intel Corporation Gesture pre-processing of video stream using skintone detection
CN104580874B (zh) * 2013-10-22 2019-1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设备及其实现拍照的方法
CN105282481B (zh) * 2014-07-18 2018-08-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视频会议处理方法及系统
KR102627244B1 (ko) * 2016-11-30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홍채 인식을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
US10917571B2 (en) 2018-11-05 2021-02-09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e device control based on determination of blur value of objects in images
CN111669499B (zh) * 2020-06-12 2021-11-19 杭州海康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防抖方法、装置及视频采集设备
JP7335463B1 (ja) 2023-01-31 2023-08-29 セーフィー株式会社 携帯用の撮像装置、映像処理システム、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755A (ja) * 1996-05-30 1998-02-20 Fujitsu Ltd テレビ会議端末の画面表示制御装置
JPH11266391A (ja) * 1998-03-17 1999-09-28 Canon Inc 撮像装置
JP2000156849A (ja) 1998-06-29 2000-06-06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199A (en) * 1991-01-31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nterphone with television
US5742329A (en) * 1992-10-26 1998-04-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in video conference system or the like
JPH10150597A (ja) 1996-11-18 1998-06-0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US20010052928A1 (en) * 2000-05-22 2001-12-20 Kazuyuki Imagawa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051316A (ja) * 2000-05-22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通信端末
US6614994B2 (en) * 2000-08-02 2003-09-02 Nikon Corporation Shake detection device, optical device, camera system, and interchangeable lens
JP2004015367A (ja) * 2002-06-06 2004-01-15 Nikon Corp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755A (ja) * 1996-05-30 1998-02-20 Fujitsu Ltd テレビ会議端末の画面表示制御装置
JPH11266391A (ja) * 1998-03-17 1999-09-28 Canon Inc 撮像装置
JP2000156849A (ja) 1998-06-29 2000-06-06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6990B (zh) 2011-07-27
JP4448177B2 (ja) 2010-04-07
WO2007077614A1 (ja) 2007-07-12
US20090002478A1 (en) 2009-01-01
CN101346990A (zh) 2009-01-14
KR20080081037A (ko) 2008-09-05
JPWO2007077614A1 (ja) 2009-06-04
US8063938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668B1 (ko) Tv 전화 기능의 촬영 화상 처리 절환 장치
CN110012224B (zh) 摄像头防抖系统、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575443B2 (ja) 顔画像の補正
CN106575027B (zh) 摄像装置及其被摄体跟踪方法
JP4781440B2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469727B1 (ko) 통화자의 얼굴을 화면 가운데에 위치시킬 수 있는화상통신용 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190032061A (ko)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5117661A (ja) 携帯用端末機の自動ズーミング制御装置及び方法
US8836763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3D information obtaining system
CN112219393A (zh) 便携信息终端
KR2010008104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CN109936697B (zh) 一种视频拍摄目标跟踪方法和装置
CN10666436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802158B (zh) 切换摄像头的方法与电子设备
US960930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6894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촬영 이미지 합성 장치 및방법
CN107071277B (zh) 一种光绘拍摄装置、方法和移动终端
WO2014141653A1 (ja) 画像生成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KR20100028315A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KR20080106668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JP2014045404A (ja) 携帯端末
US7663676B2 (en) Image compo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JP2013081101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762891B2 (en) Terminal device, image shooting system and image shooting method
KR100697627B1 (ko)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