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533B1 -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533B1
KR100690533B1 KR1020050014820A KR20050014820A KR100690533B1 KR 100690533 B1 KR100690533 B1 KR 100690533B1 KR 1020050014820 A KR1020050014820 A KR 1020050014820A KR 20050014820 A KR20050014820 A KR 20050014820A KR 100690533 B1 KR100690533 B1 KR 10069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mage forming
switching
unit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108A (ko
Inventor
도모히로 오노
다마키 호소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5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162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9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0109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9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for presence detection, authent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 부품이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교환 부품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부, 교환 부품, 전환부, 제어부, 동작 모드 유지부, 부품 착탈식 장치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IMAGE FORMING APPARATUS, PART DETACHAB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제 1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제 2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5는 부품 착탈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6(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 트.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11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 12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부
11 : 제어부
12 : 동작모드 유지부
20, 60 : 전환부
30, 70 : 교환 부품
50 : 동작부
211: 리더 라이터부
212 : 유저 인터페이스(UI)부
214 : 본체 메모리
215 : 프린트 엔진부
216 : 컨트롤러부
221 : 유닛 메모리
본 발명은 교환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드럼 카트리지나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이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보통, 장치 본체의 제조자는 순정품이나 권장품 등, 상기 제조자가 그 사용을 인정하고 있는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상정하여, 이 경우에 소정의 화상 품질이나 안전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장치 본체의 설계 및 제조를 행한다.
이와 같이 설계 제조된 장치 본체에 대하여 모조품, 위조품, 해적판 등, 그 사용이 인정되고 있지 않는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 이 경우에서의 동작은 제조자의 상정 범위 밖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불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품질상의 문제, 오동작, 장치 본체의 고장 또는 인쇄 용지의 파손(찢어짐, 구김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해서, 장착된 교환 부품이 순정품 등인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순정품 등이 아닌 경우에 화상 형성 동작을 금지하거나 경고를 표시하거나 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2002-331686호 공보 참조).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평 1-200272호 공보에는 감광체(感光體) 드럼을 포함 하는 카트리지의 종류를 식별하여, 다른 카트리지의 장전 시에 그 취지를 표시하고, 복사 동작을 금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소 64-57272호 공보에는 수명이 다한 유닛의 장착이 판단되었을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본체의 기동(起動)을 정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사용이 제조자가 인정하고 있지 않는 모조품 등의 교환 부품의 사용은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소비자 중에는 모조품 등의 사용을 희망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사정은,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넓게는 교환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품 착탈식의 장치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전문 지식을 가진 서비스 엔지니어가 서비스용 툴(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의 서비스 모드, 전용 지그, 전용 PC 등)을 사용하여 전환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유저에 의한 자유로운 전환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유저로서는 동작 모드의 전환때마다 서비스 엔지니어를 부르지 않으면 안되어 불편하다. 또한, 제조자 또는 판매자로서는 동작 모드의 전환때마다 서비스 엔지니어를 설치 장소에 파견해야 하므로, 비용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 교환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부와, 이 화상 형성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교환 부품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착탈식 장치로서, 교환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교환 부품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갖고, 상기 교환 부품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교환 부품이 장착 가능한 피장착부와, 상기 피장착부에 상기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이 종이 등의 기록재에 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방식으로서, 전자 사진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지만, 인쇄 방식은 잉크젯 방식 등 다른 방식이어도 좋다.
도 1에서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부(10)와, 이 화상 형성부(1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10)는 1 이상의 교환 부품(3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 본체부이며, 실질적으로 고정적인 부분이다. 화상 형성부(10)는 장착된 교환 부품(30)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부(10)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원고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재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교환 부품(30)은 일반적으로는 소모했을 경우에 적당하게 교환되는 부품이다. 교환 부품(30)으로서는,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 현상 유닛, 토너 카트리지, 전사 유닛, 정착 유닛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부(10)의 제조자(이하, 메이커라고 칭한다)는 순정(純正)의 교환 부품(30)이 화상 형성부(10)에 장착되었을 경우를 상정하여, 이 경우에 소정의 품질(화상 품질, 내구 성능, 안전 성능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화상 형성부(10)의 설계ㆍ제조를 행한다. 따라서, 시장에서 메이커 순정의 교환 부품(30)이 화상 형성부(10)에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순정품에 한정되지 않고 권장품 등 그 사용이 메이커가 인정하고 있는 것이라면, 다른 메이커제의 교환 부품(30)이어도, 상기 교환 부품(30)이 장착되었을 경우의 동작은 메이커의 상정 범위 내이므로, 어느 정도의 품질이 기대된다. 또한, 본건의 명세서에서는 메이커 순정품이나 메이커 권장품 등, 그 사용이 메이커의 인정을 받고 있는 교환 부품을 「인증품」이라고 칭한다.
한편, 시장에서는 그 사용이 메이커의 인정을 받고 있는 교환 부품(30)(인증품) 이외에 모조품, 위조품, 해적판 등 그 사용이 메이커가 인정하고 있지 않는 교환 부품(30)이 유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건의 명세서에서는 모조품, 위조품, 해적판 등 그 사용이 메이커의 인정을 받지 않은 교환 부품을 「비인증품」이라고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자 중에는 모조품 등의 비인증품의 사용을 희망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그러나, 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의 동작은 메이커의 상정 범위 밖이므로, 비인증품을 인증품과 마찬가지로 취급했을 경우, 상정 외의 동작에 의한 여러가지의 불이익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부(10)의 동작 모드로서, 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 이외에, 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 비인증품 모드는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한 동작 모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최저한의 기능에 더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실현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최저한의 기능이란, 기록재에 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기능, 즉 화상 형성 기능이다. 한편,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희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화상 형성 기능을 유지하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오동작, 고장 등)을 회피하기 위해서 인증품 모드로 실현되는 기능을 제한한다.
전환부(20)는 화상 형성부(10)의 동작 모드를 인증품 모드와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한다. 이 전환부(20)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함으로써,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환부(20)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전환은 수동 또는 자동 어느 쪽의 형태로 행하여도 상관없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2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 중, 화상 형성에 관한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감광체 드럼(1a)과, 이 감광체 드럼(1a)의 표면을 일정하게 대전하는 대전기(1b)와, 대전된 감광체 드럼(1a)의 표면에 정전잠상(靜電潛像)을 형성하는 레이저 주사 광학계(ROS: Raster Output Scanner)(1c)와, 이 정전잠상을 토너에서 현 상하는 현상기(1d)와, 감광체 드럼(1a)에 형성된 토너 상을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전사롤(1e)과, 전사 후의 토너 상을 기록재(P)에 정착시키는 정착기(1f)와, 감광체 드럼(1a) 상의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클리너(1g)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중 감광체 드럼(1a)과 대전기(1b)와 클리너(1g)는 일체화된 드럼 카트리지(30A)를 구성하고 있다. 이 드럼 카트리지(30A)는 교환 부품(30)으로서, 화상 형성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밖에, 화상 형성부(10)에는, 현상기(1d)에 보급되는 토너가 충전된 토너 카트리지(30B)가 교환 부품(30)으로서 화상 형성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외에, 즉 ROS(1c), 현상기(1d), 전사롤(1e) 및 정착기(1f)는 화상 형성부(10)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0) 측에는 대전기(1b)에 대전 바이어스(bias)를 인가(印加)하는 대전용 전원(10B)과, ROS(1c)의 레이저 광원을 구동하는 노광용 전원(10C)과, 현상기(1d)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현상용 전원(10D)과, 전사롤(1e)에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전사용 전원(10E)과, 정착기(1f)의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착용 전원(10F)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0) 측에는 이들 전원(10B∼10F)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1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10)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 컨트롤 패널은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터치 패널식의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본건의 명세서에서는, 사용자로서는 일반 사용자 외에 화상 형성 장치(1)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자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서비스 엔지니어 등도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상기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 이외에, 화상 형성부(10) 측에 동작 모드 유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동작 모드 유지부(12)는 인증품 모드 또는 비인증품 모드 중 어느 것을 동작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개서(改書)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동작 모드 유지부(12)의 정보는 전환부(20)에 의해 개서되고, 제어부(11)에 의해 판독되어, 제어부(11)에 의한 제어에 사용된다. 즉, 전환부(20)는 동작 모드 유지부(12)의 정보를 개서함으로써 화상 형성부(1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30A) 및 토너 카트리지(30B)에는, 각각 화상 형성 동작에 이용되는 제어 정보 등을 기억하는 불휘발성 메모리(31A. 31B)가 부착되어 있다. 이 불휘발성 메모리(31A, 31B)에 대한 정보의 읽고 쓰기는 화상 형성부(10)에 설치된 리더 라이터부(13A, 13B)에 의해 행하여진다. 여기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31)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이며, 리더 라이터부(13)와 무선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다만, 불휘발성 메모리(3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리더 라이터부(13)와 유선으로 정보를 교환하여도 좋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전체의 개략 동작과 비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으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일반적인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개략 동작>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동작에 대해서 제 1 동작예 및 제 2 동작예를 나타낸다.
(제 1 동작예)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제 1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본 동작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교환 부품(30)이 드럼 카트리지(30A) 뿐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면(S111), 전환부(20)는 장착되어 있는 드럼 카트리지(30A)로부터 이 카트리지가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드럼 카트리지(30A)가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12). 예를 들면, 전환부(20)는 리더 라이터부(13A)에 의해 불휘발성 메모리(31A)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암호화 정보가 정확하게 부호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품 여부를 판별한다. 다만,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드럼 카트리지(30A)에 붙어 있는 바코드(도시 생략)나 드럼 카트리지(30A)의 물리 특성치 등 다른 정보여도 좋다. 또한, 인증품인지 여부의 판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전환부(20)는 비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3). 구체적으로는, 드럼 카트리지(30A)가 비인증품이며 또한 현재의 동작 모드가 인증품 모드일 경우에, 비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현재의 동작 모드는 동작 모드 유지부(12)에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인식된다.
비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113:YES), 사용자에 대하여 비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을 촉구한다(S114).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패널 등의 표시 화면 상에 전환을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화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전환 조작이 실행되면, 전환부(20)는 상기 전환 조작에 의거하여 전환 지시를 접수한다(S115). 그리고, 전환부(20)는 전환 지시에 따라, 동작 모드 유지부(12)의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인증품 모드에서 비인증품 모드로 전환한다(S116).
여기에서, 소정의 전환 조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조작이 있다. 이 경우, 전환부(20)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패스워드와 대조하고, 일치하는 경우에 전환 지시를 접수한다. 이 때, 기기 관리자나 서비스 엔지니어 등, 특정인 만이 패스워드를 알 수 있도록 하면, 전환 조작을 특정인에 한정할 수 있다. 다만, 전환 조작의 구체적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환 조작으로는 일반 사용자에 의한 컨트롤 패널의 일반 사용자용 화면으로부터의 입력 조작, 기기 관리자에 의한 컨트롤 패널의 관리자용 화면으로부터의 입력 조작, 서비스 엔지니어에 의한 컨트롤 패널의 엔지니어용 화면으로부터의 입력 조작, 메인터넌스용의 기기(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의 입력 조작, 화상 형성 장치(1)에의 전환용 지그의 접속, 인터넷이나 LAN 등의 네트워크 경유에서의 입력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오동작 등의 불이익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화상 형성 동작이 금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113:NO), 전환 부(20)는 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7). 구체적으로는, 드럼 카트리지(30A)가 인증품이며 또한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일 경우에, 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117:YES), 사용자에 대하여 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을 촉구한다(S118).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패널 등의 표시 화면 상에 전환을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화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전환 조작이 실행되면, 전환부(20)는 상기 전환 조작에 의거하는 전환 지시를 접수한다(S119). 그리고, 전환부(20)는 전환 지시에 따라 동작 모드 유지부(12)의 정보를 전환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비인증품 모드로부터 인증품 모드로 전환한다(S120). 또한, 전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비인증품 모드가 유지된 채 화상 형성 동작은 허가된다.
인증품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S117:NO), 스텝(S121)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처리가 끝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복사 버튼의 누름이나 인쇄 요구의 수신 등, 화상 형성의 시작 지시를 받을 때까지 대기한다(S121:NO). 그리고, 화상 형성의 시작 지시를 접수하면(S121:YES), 제어부(11)는 동작 모드 유지부(12)에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한다(S122).
인증품 모드에서 동작해야 할 취지의 정보가 판독되었을 때(S123:YES), 제어부(11)는 미리 설정된 인증품 모드로 화상 형성부(10)가 동작하도록, 전원(10B∼10F) 등을 제어한다(S124). 한편, 비인증품 모드에서 동작해야 할 취지의 정보가 판독되었을 경우(S123:NO), 제어부(11)는 미리 설정된 비인증품 모드에서 화상 형성부(10)가 동작하도록, 전원(10B∼10F) 등을 제어한다(S125).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는 인증품 또는 비인증품의 드럼 카트리지(30A)에 적당한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동작예에서는 사용자의 전환 조작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고 했지만, 전환부(20)가 자동적으로 전환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드럼 카트리지(30A)나 그 포장의 외관 등으로부터, 상기 드럼 카트리지(30A)가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서 동작 모드의 전환 조작을 행하여도 좋다.
(제 2 동작예)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제 2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본 동작예에서는 교환 부품(30)으로서 드럼 카트리지(30A) 및 토너 카트리지(30B)의 양쪽을 고려하다. 또한,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동작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면(S131), 전환부(20)는 드럼 카트리지(30A) 및 카트리지(30B)의 각각에 대하여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132). 그리고, 이 판별의 결과를 동작 모드 유지부(12)에 기입한다(S133). 따라서, 동작 모드 유지부(12)에는 드럼 카트리지(30A) 및 토너 카트리지(30B)의 각각에 대해서, 인증품 또는 비인증품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유지된다.
전환부(20)에 의한 정보의 기입이 끝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의 개시 지시를 받을 때까지 대기한다(S134:NO). 그리고, 화상 형성의 개시 지시를 접수하면(S134:YES), 제어부(11)는 동작 모드 유지부(12)에 유지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한다(S135).
판독된 정보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30A) 및 토너 카트리지(30B) 모두 인증품일 경우(S136:YES), 제어부(11)는 화상 형성부(10)가 인증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10B∼10F) 등을 제어한다(S137). 한편, 그 이외의 경우, 즉 드럼 카트리지(30A) 및 토너 카트리지(30B) 중 적어도 하나가 비인증품일 경우(S136:NO), 제어부(11)는 화상 형성부(10)가 비인증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1OB∼10F) 등을 제어한다(S138). 이 때, 제어부(11)는 어떤 교환 부품(30)이 비인증품인지에 따라 화상 형성부(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인증품 모드는 비인증품의 조합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11)는 드럼 카트리지(30A)만이 비인증품인 경우에는 대전 바이어스를 제한하고, 토너 카트리지(30B)만이 비인증품인 경우에는 토너 잔량의 표시 기능을 정지시키며, 양쪽이 비인증품인 경우에는 대전 바이어스의 제한 및 토너 잔량 표시 기능의 정지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비인증품의 조합에 따라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동작예에서는 전원이 온(ON)일 때, 교환 부품(30)의 판별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교환 부품(30)의 장착이나 본체 커버의 개폐를 검지했을 때 등, 적당한 타이밍에서 판별을 행할 수 있다.
<비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
이하, 비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해서 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과 대비하면 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 1∼5의 동작예로 나누어 설명하지만, 이들을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제 1 동작예)
우선, 인증품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교환 부품(30)에 제조상의 편차가 생긴다.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1a)의 대전 특성이나 감도(感度)에는 제조상의 편차가 생긴다. 또한, 교환 부품(30)은 그 사용에 따라서 그 특성이 변화한다.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1a)은 사용에 따라 표층이 깎여 그 대전 특성이나 감도가 변화한다. 이와 같은 제조상의 편차나 사용에 따르는 특성의 변화는 화상에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제조상의 편차나 특성의 변화 등을 보정하기 위해 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속성 정보란,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교환 부품(30)에 붙어 있는 바코드(도시 생략), 교환 부품(30)의 물리 특성치 및 이들 정보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해서 대전 바이어스의 제어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인쇄 잡에 앞서, 리더 라이터부(13A)를 통하여 불휘발성 메모리(31A)로부터 드럼 카트리지(30A)의 대전 특성의 제조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보정 데이터는 드럼 카트리지(30A)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불휘발성 메모리(31A)에 기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미리 설정된 기준의 대전 바이어스값을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하고, 보정 후의 대전 바이어스가 출력되도록 대전용 전원(10B)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드럼 카트리지(30A)의 제조상의 편차에 관계없이, 감광체 드럼(1a)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할 수 있다.
또한,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의 이용 목적이 상기의 제조 편차나 특성 변화의 보정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으로, 비인증품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드럼 카트리지(30A)가 비인증품인 경우, 그 드럼 카트리지(30A)의 불휘발성 메모리(31A)에는 부적절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드럼 카트리지(30A)를 구성하는 감광체 드럼(1a)이나 대전기(1b)는 그 특성이 인증품과 다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비인증품의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는 인증품과 전혀 다를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을 화상 형성부(10)의 제어에 이용했을 경우, 상정 외의 동작, 오동작, 고장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불이익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본 동작예의 비인증품 모드에서 화상 형성부(10)는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 대신에, 화상 형성부(10)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비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해서 대전 바이어스의 제어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제어부(11)는 화상 형성부(10)의 소정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상기 기억 영역에 유지되어 있는 비인증품용의 대전 바이어스값을 판독한다. 그리고, 이 비인증품용의 대전 바이어스가 출력되도록 대전용 전원(10B)을 제어한다. 여기서, 비인증품용의 대전 바이어스값은 화상 품질 이상 으로 안전하게 배려한 설정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인증품용의 대전 바이어스값은 고정값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동값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비인증품용의 대전 바이어스값은 환경 온도 등의 요인에 따라 변동하는 값이어도 좋고,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한 값이어도 좋다.
(제 2 동작예)
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토너 카트리지(30B)의 불휘발성 메모리(31B)로부터 토너 잔량 정보를 판독하고, 이 토너 잔량 정보를 사용하여 컨트롤 패널에 토너 잔량을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토너 잔량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불휘발성 메모리(31B)에 유지되어 있는 토너 잔량 정보는 제조 단계에서 초기 값이 설정되며, 인쇄 잡이 발생할 때마다 제어부(11)에 의해 갱신되는 정보이다.
토너 카트리지(30B)가 비인증품인 경우, 제조 단계에서 설정되는 초기값은 부적절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토너의 물성이 인증품과 다르기 때문에, 토너 잔량 정보의 갱신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비인증품의 토너 카트리지(30B)로부터 토너 잔량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토너 잔량의 표시를 행하면, 사용자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동작예의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토너 잔량의 표시 기능 등,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소정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다만, 화상 형성부(10)는 그외 적절하게 실현 가능 한 기능에 대해서는 유지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토너 잔량의 표시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교환 부품(30)의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소정의 기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동작예)
인증품 모드는 교환 부품(30)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소정의 품질(화상 품질, 내구 성능, 안전 성능 등)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품 모드에서의 대전 바이어스, 전사 바이어스, 정착 온도 등의 파라미터는 교환 부품(30)이 인증품으로서의 소정의 특성(예를 들면, 절연 내압, 난연성, 마모성 등)을 만족시키는 것을 전제로 설정된다.
교환 부품(30)이 비인증품일 경우, 상기 소정의 특성이 만족되고 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인증품 모드의 파라미터를 그대로 적용하면, 상정 외의 방전, 온도 상승, 과전류, 부품 마모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동작예의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동작 제한 범위 내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대전 바이어스, 레이저광량, 전사 바이어스, 정착 온도 등의 출력값에 대해서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상한 또는 하한을 설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비인증품 모드에서의 동작 제한 범위는 고장의 방지나 안전성 확보의 관점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 가동 시간, 연속 출력 매수, 인자 속도(프로세스 스피드) 등에 대해서도 인증품보다 엄격한 상한 또는 하한을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동작 제한 범위는 상한이나 하한 이외로부터 규정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 가능한 인쇄 모드(보통지 모드, 얇은 종이 모드, 두꺼운 종이 모드 등)를 제한하거나, 사용 가능한 기록재(보통지, 얇은 종이, 두꺼운 종이, OHP 등)를 제한하거나 할 수 있다.
(제 4 동작예)
상기 제 1∼3의 동작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증품 모드와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이 다르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비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을 화상 형성 장치(1)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인증품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모르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그 취지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동작예의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사용자에 대하여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인 것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 화면 상에 비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표시시킨다. 다만, 통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음성 등에 의한 통지여도 좋다. 또한, 인증품 모드 시에 현재의 동작 모드가 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통지하여도 좋다.
(제 5 동작예)
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가능한 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거나, 보다 고도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이커는 비인증품에 대해서 그 물성이나 성능 등의 속성 정보를 조사하거나 입수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동작예의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부(10)는 교환 부품 (30)의 제조자명 또는 제품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이 식별 정보로부터 인식되는 제조자나 제품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부(10)에는 제조자명 또는 제품명마다 제어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화상 형성부(10)에 의한 제어에 사용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대전 바이어스, 레이저 광량, 정착 온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어떤 비인증품의 제품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는 그 제품의 특성(예를 들면, 감광체의 감도나 토너의 융점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화상 형성부(10)는 컨트롤 패널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조자명이나 제품명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는, 화상 형성부(10)는 교환 부품(30)의 불휘발성 메모리(31)나 바코드 등으로부터 제조자명이나 제품명을 판독한다. 다만, 이 경우 비인증품의 제조자 등에 의해 교환 부품(30)에 미리 그 제품명 등이 기록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화상 형성부(10)는 취득된 제조자명 또는 제품명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
본 동작예의 비인증품 모드에 있어서, 더욱 고품질인 화상을 얻기 위해서 또는 더욱 고도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부(10)는 비인증품의 교환 부품(30)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를 사용하여 동작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속성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교환 부품(30)에 붙어 있는 바코드, 교환 부품(30)의 물리 특성치 및 이들 정보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화상 형성부의 동작 모드로서 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 이외에, 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를 설치하여, 이들 동작 모드를 전환하여 사용한다. 이에 따라,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른 상정 외의 동작, 화상 품질 상의 문제, 오동작, 고장 등의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2) 화상 형성부는, 인증품 모드에서는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속성 정보 대신에 화상 형성부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 의하면,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화상 형성 동작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이 일부 제한되지만,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부적절한 속성 정보의 사용에 따르는 상정 외의 동작, 고장 등의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와의 통신 등, 교환 부품으로부터의 속성 정보의 취득 동작을 생략하는 것으로 하면, 속성 정보의 취득에 걸리는 시간을 할애할 수 있고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예기치 않은 속성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의한 오동작이나 고장 등의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3) 화상 형성부는, 인증품 모드에서는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한다.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 의하면,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에 의거하는 소정의 기능을 정지시키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 기능이 실현되지 않지만,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부적절한 속성 정보의 사용에 따르는 상정 외의 동작, 고장 등의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와의 통신 등, 교환 부품으로부터의 속성 정보의 취득 동작을 생략하는 것으로 하면, 속성 정보의 취득에 걸리는 시간을 할애할 수 있고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예기치 않은 속성 정보가 입력되는 것에 의한 오동작이나 고장 등의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4) 화상 형성부는,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안전성이 고려된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동작 제한 범위 내에서 동작한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 의하면, 동작이나 출력 등을 제한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품질 등의 퍼포먼스가 저하하지만,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의한 상정 외의 방전, 온도 상승, 과전류, 부품 마모를 방지하고, 이들에 의한 고장이나 부품 열화 등을 회피할 수 있다.
(5) 화상 형성부는,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사용자에 통지한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 의하면, 사용자는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비인증품을 장착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인증품 모드 시에서의 기능의 제한을 고장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화상 형성부는,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교환 부품의 제조자명 또는 제품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인식되는 제조자 또는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한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 의하면, 비인증품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화상 형성을 달성할 수 있고, 화상 품질의 향상이나 고도의 기능의 실현을 꾀할 수 있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서, 화상 형성부가 상기의 식별 정보를 교환 부품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으로 하면, 제조자 또는 제품에 따른 적절한 화상 형성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비인증품 모드에서, 화상 형성부가 교환 부품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하면, 비인증품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화상 형성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품질의 향상이나 고도의 기능의 실현을 꾀할 수 있다.
(7) 전환부가 사용자에 의한 전환 조작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으로 했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의사에 의해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사람을 기기 관리자나 서비스 엔지니어에 한정하면, 일반사용자가 잘못해서 동작 모드를 전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전환부가 교환 부품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부품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이 판별의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으로 했을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고 잘못하여 비인증품을 장착했을 경우에도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교환 부품으로서 드럼 카트리지, 현상 유닛, 토너 카트리지, 전사 유닛, 정착 유닛을 예시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 용지 반송롤, 용지 트레이, 이미지 입력 장치(IIT), 화상 데이터 생성 장치, 옵션 장치 등도 예시할 수 있다. 옵션 장치로서는 양면 반송 장치, 트레이리스 양면 반송 장치, 피니셔(스테이플러, 제본, 펀치, 절단기 등의 후 처리장치), 대용량 급지 트레이, 대용량 배지 트레이, 수동 트레이, 특수지 반송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교환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품 착탈식 장치에 대해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부품 착탈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비디오, 하드 디스크 리코더 등), 스피커, 고정 전화,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자동차를 들 수 있다.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그 교환 부품의 하나로서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종이 테이프 등의 기록 매체가 예시된다. 또한, 자동차에서는 그 교환 부품으로서 타이어, 머플러(muffler), 배터리, 에어 클리너, 오일 클리너, 라이트 등이 예시된다.
도 5는 부품 착탈식 장치(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착탈식 장치(2)는 교환 부품(7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작부(50)와, 상기 동작부(50)의 동작 모드를 교환 부품(70)으로서 인증 물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60)를 구비한다.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동작부(50)는 상기 장치로서의 최저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인증품 모드로 실현되는 기능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로서의 최저한의 기능이란, 상기 장치의 용도로부터 유도되는 기본적인 기능이며,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화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이고, 하드 디스크 리코더의 경우에는 정보의 기록ㆍ재생을 행하는 기능이며, 고정 전화의 경우에는 통화 기능이다. 또한, 부품 착탈식 장치(2)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다. 이 화상 형성 장치(200)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이, 종이 등의 기록 매체(P)에 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방식으로서 전자 사진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인쇄 방식은 잉크젯 방식 등 다른 방식이어도 좋다.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10)(이하, 장치 본체라고 칭한다)와, 이 장치 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220)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210)는 교환 부품(220)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장치 본체(210)는 화상 형성 장치(200)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고정적인 부분이다. 장체 본체(210)는 교환 부품(220)이 장착 가능한 피장착부(230)를 갖는다. 교환 부품(220)은 일반적으로는 소모했을 경우에 적당하게 교환되는 부품이다. 도 6(a) 및 도 6(b)에는 교환 부품(220)으로서, 보급용의 토너가 충전된 토너 유닛(220T)과, 감광체 드럼과, 대전기와, 클리너가 일체화된 드럼 유닛(220D)으로 나타나 있다. 토너 유닛(220T), 드럼 유닛(220D)은 각각 피장착부(230T, 230D)에 장착 된다. 다만, 교환 부품(220)은 1개여도 좋고, 3개 이상이여도 좋다. 또한, 교환 부품(22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통, 장치 본체(210)의 제조자는 순정품이나 권장품 등, 상기 제조자가 그 사용을 인정하고 있는 교환 부품(220)(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상정하고, 이 경우에 소정의 화상 품질이나 안전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장치 본체(210)의 설계 및 제조를 행한다. 이렇게 설계 제조된 장치 본체(210)에 대하여 모조품, 위조품, 해적판 등, 그 사용이 제조자에 의해 인정받고 있지 않는 교환 부품(220)(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 이 경우에 있어서 동작은 제조자의 상정 범위 밖이기 때문에, 각종 불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품질상의 문제, 오동작, 장치 본체(210)의 고장, 인쇄 용지의 파손(찢어짐, 구김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해서, 종래의 많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장착된 교환 부품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인증품이 아닐 경우에는 화상 형성 동작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유저 중에는 비인증품의 사용을 희망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210)의 동작 모드로서, 비인증품의 사용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 이외에, 비인증품의 사용을 허용하는 허용 모드를 설치하기로 한다. 허용 모드에서는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의 희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기능을 유지하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을 제한한다. 또한, 금지 모드 및 허용 모드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비인증품의 사용에는 불이익이 따르는 것 및 허용 모드에서는 기능이 제한되는 것에 비추어 보면, 금지 모드와 허용 모드 사이의 전환을 유저가 용이하게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서비스 엔지니어가 상기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상술한 대로 유저로서는 불편하고, 제조자 또는 판매자로서는 코스트가 든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금지 모드와 허용 모드 사이의 전환을 교환 부품(220)의 장착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교환 부품(220)을 동작 모드 전환용의 툴로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교환 부품(220)으로서 통상의 교환 부품(220a)과,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는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의 적어도 2종류를 설치한다. 그리고, 장치 본체(210)는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교환 부품(220b)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한편, 통상의 교환 부품(220a)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모드의 전환은 행하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를 유지한다.
이하,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교환 부품(220)에는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인 유닛 메모리(221)가 부착되어 있다.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에는 유닛 메모리(221)의 소정의 기억 영역(221a)에 장치 본체(21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 동작 모드 전환 정보는 복수의 동작 모드 중 어떤 동작 모드로 전환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한편, 통상의 교환 부품(220a)에서는 유닛 메모리(221)의 상기 소정의 기억 영역(221a)에 전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유닛 메모리(221)는 제조 편차의 보정값이나 사용 이력 등의 제어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겸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닛 메모리(221)는, 여기에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포함되는 반도체 메모리이며, 무선에 의해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행하여진다. 다만, 유닛 메모리(221)는 자기 메모리나 광학 메모리 등 다른 타입의 기억 매체여도 좋다. 또한, 유닛 메모리(221)는 유선으로 억세스되는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유닛 메모리(221)로의 동작 모드 전환 정보의 기입은 특수한 지그, 공구, 또는 라이터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의 위조나 개찬(改竄)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장치 본체(210)는 리더 라이터부(211), 유저 인터페이스(UI)부(212), 본체 메모리(214), 프린트 엔진부(215) 및 컨트롤러부(216)를 구비하고 있다.
리더 라이터부(211)는 유닛 메모리(221)에 대하여 정보의 읽고 쓰기를 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여기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더 라이터부(211)는 유닛 메모리(221)를 포함하는 RFID 태그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유닛 메모리(221)와 비접촉으로 통신을 행하는 커플러이다. 복수의 교환 부품(220)이 장착될 경우에는, 각각의 교환 부품(220)에 대해서 리더 라이터부(211)가 설치된다. 이 때, 하나의 리더 라이터부(211)를 2이상의 교환 부품(220)에 대응시켜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UI부(212)는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유저로부터의 입력 조작의 접수를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조작 버튼, 터치 패널식의 컨트롤 패널 등이다.
본체 메모리(214)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동작 모드 정보」라고 칭한다)를 포함하는 각종의 정보를 유지하는 기억 매체이며, 예를 들면 NVRAM(Non Volati1e RAM) 등의 개서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프린트 엔진부(215)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따라 기록 매체(P)에 대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며, 레이저 주사 광학계(ROS: Raster Output Scanner), 전사기, 정착기, 각종 모터 및 이것들이나 교환 부품(220)에 바이어스를 인가하거나 전력을 공급하거나 하는 전원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부(216)는 화상 형성 장치(200)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는, 컨트롤러부(216)는 CPU(216a), ROM(216b), RAM(216c) 등이 탑재된 회로 기판이다. 화상 형성 장치(200)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이나 동작 모드 전환부로서의 기능은 ROM(216b)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CPU(216a)에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다만, 상기 각 기능의 실현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용의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상관없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200)의 일반적인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 모드의 전환에 토너 유닛(220T)을 사용하기로 한다. 따라서, 토너 유닛(220T)에는 통상의 교환 부품(220a)인 통상 토너 유닛(220Ta)과,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인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2종류가 설치된다. 통상 토너 유닛(220Ta)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는 전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값「0」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로서, 허용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1」, 또는 금지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2」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전원이 투입되면(S211), CPU(216a)는 본체 메모리(214)로부터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금지 모드」 또는 「허용 모드」)를 판독(S212)하고, 판독한 동작 모드 정보를 RAM(216c)에 기입한다(S213).
이어서, CPU(216a)는 리더 라이터부(211)를 통하여, 토너 유닛(220T)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판독한다(S214). 이 판독을 정상으로 행할 수 없었을 경우(S215:NO),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처리를 행할 수 없으므로, 스텝(S219)으로 이행한다. 판독이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는 이유로서는, 예를 들면 토너 유닛(220T)이 비인증품이거나 통신 시스템의 고장 등을 들 수 있다. 판독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경우에는(S215:YES), CPU(216a)는 판독된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
판독된 값이 「0」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16:YES), 즉 통상 토너 유닛(220Ta)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스텝(S219)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판독된 값이 「0」이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16:NO), 즉,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CPU(216a)는 판독된 값에 따라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S217). 구체적으로는, 판독된 값이 「1」인 경우에는, RAM (216c) 및 본체 메모리(214)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허용 모드」로 수정한다. 이에 따라, 본체 메모리(214)에 「금지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금지 모드에서 허용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본체 메모리(214)에 「허용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결과적으로는 동작 모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판독된 값이 「2」인 경우에는, CPU(216a)는 RAM(216c) 및 본체 메모리(214)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금지 모드」로 수정한다. 이에 따라, 본체 메모리(214)에 「허용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허용 모드에서 금지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본체 메모리(214)에 「금지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결과적으로는 동작 모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가 종료하면, CPU(216a)는 토너 유닛(220T)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S218). 구체적으로는, CPU(216a)는 리더 라이터부(211)를 통하여, 유닛 메모리(221)의 소정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0」으로 수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어떤 전환용 토너 유닛(Tb)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전환은 1회로 한정된다. 즉, 전환용 토너 유닛(Tb)은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해 1회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어떤 토너 유닛(220T)을 복수의 장치 본체(210)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동작 모드의 전환, 즉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용 회수를 1회로 한정하고 있지만, 소정의 복수회로 한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닛 메모리(221)에 사용 회수를 기입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 사용 회수가 소정의 회수에 도달했을 때 기억 영역(221a)의 값을 「0」으로 하면 좋다. 또한, 반드시 사용 회수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스텝(S218)은 생략하여도 상관없다.
스텝(S219)에서는, CPU(216a)는 RAM(216c)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동작 모드 정보가 「금지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금지 모드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19:YES), CPU(216a)는 장착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소정의 판별 방법에 따라서 판별한다(S220). 구체적으로는, CPU(216a)는 토너 유닛(220T)으로부터 상기 유닛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CPU(216a)는 유닛 메모리(2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암호화 정보를 정확하게 부호화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다만,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토너 유닛(220T)에 붙어 있는 홀로그램(도시 생략)이나 토너 유닛(220T)의 물리 특성치 등, 다른 정보여도 좋다. 또한, 인증품인지 여부의 판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증품으로 판별되었을 경우에는(S220:YES), CPU(216a)는 미리 설정된 인증 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200)를 제어한다(S221).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인증품 모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너 유닛(220T)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대응하는 제어 모드이다. 이 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00)가 구비하는 모든 기능이 실현된다.
한편, 인증품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S220:NO), CPU(216a)는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200)에 의한 화상 형성을 금지한다(S222). 이 때, CPU(216a)는 화상 형성 기능이 정지한 이유를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UI부(212)의 디스플레이 상에 비인증품의 토너 유닛(220T)이 장착되어 있는 취지를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219)에 있어서, 금지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S219:NO), 즉 허용 모드인 경우, CPU(216a)는 장착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비인증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200)를 제어한다(S223).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비인증품 모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너 유닛(220T)으로서 비인증품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제어 모드이다. 이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의 희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200)의 화상 형성 기능을 유지하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해 인증품 모드로 실현되는 화상 형성(200)의 기능을 제한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허용 모드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비인증품 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하여도 좋다. 즉, 장착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인증품이면 인증품 모드로 제어하고, 비인증품이면 비인증품 모드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비인증품 모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인증품 모드와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구체예 1∼4로 나누어서 설명하지만, 이들을 적당히 조합하여도 좋다.
(비인증품 모드의 구체예 1)
인증품 모드에서는 CPU(216a)는 제조 편차의 보정이나 화질 유지 등을 위해, 교환 부품(220)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프린트 엔진부(215)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216a)는 유닛 메모리(221)로부터 제어 정보(보정값이나 카운터값 등)를 판독하고, 이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을 위한 각종 전압, 전류, 온도 등을 결정한다. 또한, 교환 부품(220)의 속성 정보로서는, 유닛 메모리(221)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정보 이외에, 예를 들면 교환 부품(220)에 붙어 있는 바코드 정보, 교환 부품(220)의 물리 특성치를 들 수 있다.
어떤 교환 부품(220)이 비인증품인 경우, 그 교환 부품(220)의 유닛 메모리(1)에는 부적절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교환 부품(220)의 물리 특성은 인증품과 다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비인증품의 교환 부품(220)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는 인증품의 것과 완전히 다를 가능성이 있어, 이것을 프린트 엔진부(215)의 제어에 이용했을 경우, 고장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CPU(216a)는 교환 부품(220)으로부터 취득되는 속성 정보 대신에, 장치 본체(210)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프린트 엔진부(215)를 제어한다.
(비인증품 모드의 구체예 2)
인증품 모드에서는, CPU(216a)는 교환 부품(220)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예를 들면, 토너 유닛(220T)의 유닛 메모리(221)로부터 토너 잔량 정보를 판독하고, 이 토너 정보를 사용하여 UI부(212)의 디스플레이에 토너 잔량을 표시시킨다.
토너 유닛(220T)이 비인증품인 경우, 유닛 메모리(221)에는 부정확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비인증품의 토너 유닛(220T)으로부터 토너 잔량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토너 잔량의 표시를 행하면, 유저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비인증품 모드에서에서는, CPU(216a)는 토너 잔량의 표시 기능 등, 교환 부품(220)으로부터 취득한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소정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능은 토너 잔량의 표시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인증품 모드의 구체예 3)
인증품 모드는 교환 부품(220)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된 경우에 소정의 품질이 얻어지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품 모드에서의 각종 전압, 전류, 온도 등의 파라미터는, 교환 부품(220)이 인증품으로서의 소정의 특성(예를 들면, 절연 내압, 난연성, 마모성 등)을 만족시키는 것을 전제로서 설정된다.
비인증품에 대해서는, 상기 소정의 특성이 만족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비인증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인증품 모드의 파라미터를 그대로 적용하면 상정 외의 방전, 온도 상승, 부품 마모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CPU(216a)는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동작 제한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프린트 엔진부(215)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각종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출력 값에 대해서,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상한 또는 하한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비인증품 모드의 구체예 4)
상기 구체예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증품 모드와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동작이 다르다. 이 때문에, 유저는 비인증품 모드 시의 동작을 화상 형성 장치(200)의 고장으로 오인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CPU(216a)는 유저에 대하여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인 것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UI부(212)의 디스플레이 상에 비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표시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 본체(210)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교환 부품(220)의 장착 조작에 의해 행하므로, 전문 지식을 갖지 않는 사람이라도 간단하게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교환 부품(220a)의 교환 작업 과 같은 작업에 의해 전환할 수 있고 복잡한 조작은 요구되지 않으므로, 유저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저는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려고 할 경우, 제조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전환용 교환 부품(220b)을 입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UI부(212)의 조작 등에 의해 전환하는 경우에 비해, 유저에 의한 동작 모드의 전환의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유저에 의한 자유로운 전환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조자 또는 판매자는 유저가 전환을 희망하는 경우, 상기 유저에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을 건네주면 좋다. 이 때문에, 서비스맨을 장치 본체(210)의 설치 장소에 파견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을 건네줄 때, 동작 모드의 전환에 따르는 불이익이나 주의 사항(예를 들면,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유저에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교환 부품(220)으로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과, 그러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지 않은 통상의 교환 부품(220a)의 2종류를 설치하고, 장치 본체(210)에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고, 통상의 교환 부품(220a)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통상의 교환 부품(220a)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작 모드의 전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동작 모드 전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해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을 1회만 사용하므로, 어떤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을 복수의 장치 본체(210)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는 동작 모드로 전환, 즉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30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거의 같으므로,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 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210)에는 상기 장치 본체(210)를 식별하기 위한 개체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210)의 컨트롤러부(216)의 ROM(216b)에는 장치 본체(210)의 개체 식별 번호가 미리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의 유닛 메모리(221)에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와 함께 동작 모드를 전환해야 할 장치 본체(210)의 개체 식별 번호가 미리 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체 식별 번호는 유닛 메모리(221)의 소정의 기억 영역(221b)에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유닛 메모리(221)에의 개체 식별 정보의 기입은 특수한 지그, 공구 또는 라이터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의 위조나 개찬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화상 형성 장치(300)의 전원이 투입되면(S231), CPU(216a)는 본체 메모리(214)로부터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금지 모드」 또는 「허용 모드」)를 판독하고(S232), 판독된 동작 모드 정보를 RAM(216c)에 기입한다(S233).
이어서, CPU(216a)는 토너 유닛(220T)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과 함께, 기억 영역(221b)에 유지되어 있는 개체 식별 기호를 판독한다(S234).
판독이 정상으로 행하여져(S235:YES) 판독된 값이 「0」이 아닌 경우(S236: NO), 즉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CPU(216a)는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b)으로부터 판독된 개체 식별 번호와, ROM(216b)에 유지되어 있는 개체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7). 즉, 장치 본체(210)에 장착된 전환용 토너 유닛(Tb)이 상기 장치 본체(210)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216a)는 개체 식별 번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S237:YES),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S238). 한편,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S237:NO), 그 취지를 UI부(212)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등 소정의 에러 처리를 한 후(S240), 스텝(S241)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이후의 스텝(S241∼S245)은 도 8의 스텝(S219∼S223)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금지 모드에서 허용 모드로의 전환을 희망하는 유저 A는 장치 본체(210A)의 개체 식별 번호 #A를 붙이고, 제조자에게 전환 희망을 신청한다. 이 신청에 따라 제조자는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기억 영역(221b)에 개체 식별 번호 #A를 기입한 후, 상기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을 유저(A)에게 발송한다. 유저 A는 받은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을 장치 본체(210A)에 장착하고 전원을 투입한다. 그러면, 장치 본체(210A)의 동작 모드가 금지 모드에서 허용 모드로 전환한다. 그런데, 유저 A 또는 다른 유저 B가 다른 장치 본체(210B)에 장착했을 경우, 개체 식별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동작 모드는 전환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전환 대상의 장치 본체(210)의 개체 식별 번호와, 장치 본체(210)의 개체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 것을 조건으로서,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 이 때문에, 어떤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에 의해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장치 본체(210)를 한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장치 본체(210)에서의 동작 모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자 또는 판매자는 복수의 장치 본체(210)의 각각의 동작 모드를 파악,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예]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40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실시예는 처리의 고속화나 소비 전력의 삭감을 위해 현재의 동작 모드가 허용 모드일 경우에는, 유닛 메모리(221)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허용 모드에서는 CPU(216a)와 유닛 메모리(221)의 통신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허용 모드에서 금지 모드로의 전환은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에 의해 행하여지지 않고, 예를 들면 서비스 엔지니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 억 영역(221a)에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로서 허용 모드로 전환하여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1」이 저장되어 있다. 역으로 말하면, 금지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2」가 기억 영역(221a)에 저장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은 존재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400)의 전원이 투입되면(S251), CPU(216a)는 본체 메모리(214)로부터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금지 모드」 또는 「허용 모드」)를 판독하고(S252), 판독된 동작 모드 정보를 RAM(216c)에 기입한다(S253).
이어서, CPU(216a)는 RAM(216c)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동작 모드가 금지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54).
현재의 동작 모드가 금지 모드가 아닌 경우(S254:NO), 즉 허용 모드인 경우, CPU(216a)는 토너 유닛(220T)과의 통신을 일체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장착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비인증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400)를 제어한다(S255).
한편, 현재의 동작 모드가 금지 모드일 경우(S254:YES), CPU(216a)는 장착되어 있는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소정의 판별 방법에 따라서 판별한다(S256).
인증품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S256:NO), CPU(216a)는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400)에 의한 화상 형성을 금지한다(S257). 이 때, CPU(216a)는 화상 형성 기능이 정지하고 있는 이유를 유 저에 알리기 위해 UI부(212)의 디스플레이 상에 비인증품의 토너 유닛(220T)이 장착되어 있는 취지를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증품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S256:YES), CPU(216a)는 리더 라이터부(211)를 통하여 토너 유닛(220T)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과, 기억 영역(221b)에 유지되어 있는 개체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S258). 이어서, CPU(216a)는 판독된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59).
판독된 값이「0」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59:YES), 즉 통상 토너 유닛(220T)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CPU(216a)는 인증 모드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400)를 제어한다(S260).
한편, 판독된 값이 「0」이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59:NO), 즉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CPU(216a)는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b)으로부터 판독된 개체 식별 번호와, ROM(216b)에 유지되어 있는 개체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61).
그리고, CPU(216a)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S261:NO),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지 않고, 소정의 에러 처리를 한 후(S262), 인증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400)를 제어한다(S260).
한편, 일치한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S261:YES), CPU(216a)는 금지 모드에서 허용 모드로 전환을 행한 후(S263), 토너 유닛(220T)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S264). 그리고, 비인증품 모드로 동 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400)를 제어한다(S255).
이상과 같이, 교환 부품(220)에 의해 장치 본체(210)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순서로서는 제 2 또는 제 3 실시예의 동작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화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허용 모드에서는 유닛 메모리(221)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으므로, 처리의 고속화나 소비 전력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1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50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거의 같으므로,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 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종류의 교환 부품(220)에 대해서, 통상의 교환 부품(220a)과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의 적어도 2종류가 설치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210)는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이 소정의 조합으로 복수개 장착되었을 경우에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복수 종류의 교환 부품(220)은 드럼 유닛(220D)과 토너 유닛(220T)이며, 이들이 장치 본체(210)에 동시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유닛(220D)에는 통상 드럼 유닛(220Da)과 전환용 드럼 유닛(220Db)의 2종류가 설치되고, 토너 유닛(220T)에는 통상 토너 유닛(220Ta)과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2 종류가 설치된다. 통상 드럼 유닛(220Da) 및 통상 토너 유닛(220Tb)의 각각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는 전환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값「0」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환용 드럼 유닛(220Db) 및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각각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로서, 허용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1」, 또는 금지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2」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복수 종류의 교환 부품(220)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4종류의 토너 유닛이어도 좋다. 또한, 전환용 교환 부품(220b)이 소정의 조합으로 복수개 장착되었을 경우에 전환이 행하여지지만, 이 복수개란, 복수 종류 중 전부여도 좋고 일부여도 좋다. 또한, 소정의 조합이란, 예를 들어 시안과 마젠타로 하는 조합이나, 4색 중 어느 3색으로 하는 조합을 생각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500)의 전원이 투입되면(S271), CPU(216a)는 본체 메모리(214)로부터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금지 모드」 또는 「허용 모드」)를 판독하고(S272), 판독된 동작 모드 정보를 RAM(216c)에 기입한다(S273).
이어서, CPU(216a)는 드럼 유닛(220D) 및 토너 유닛(220T)의 각각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판독한다(S274). 이 판독을 정상으로 행할 수 없었을 경우(S275:NO),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처리를 행할 수는 없으므로, 스텝(S282)으로 이행한다. 판독이 정상으로 행하여졌을 경우(S275: YES), CPU(216a)는 드럼 유닛(220D)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76).
드럼 유닛(220D)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0」인 경우(S276:YES), 즉 통상 드럼 유닛(220Da)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스텝(S282)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드럼 유닛(220D)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0」이 아닌 경우(S276:NO), 즉 전환용 드럼 유닛(220Db)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CPU(216a)는 토너 유닛(220T)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77).
토너 유닛(220T)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0」인 경우(S277:YES), 즉 통상 토너 유닛(220Ta)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스텝(S282)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토너 유닛(220T)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0」이 아닌 경우(S277:NO), 즉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CPU(216a)는 드럼 유닛(220D)의 기억 영역(221a)으로부터 판독된 값과, 토너 유닛(220T)의 기억 영역(221a)으로부터 판독된 값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78).
일치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278:YES), CPU(216a)는 도 8의 스텝(S217)과 같이, 판독된 값에 따라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S279). 그리고, 도 8의 스텝(S218)과 같이, 드럼 유닛(220D) 및 토너 유닛(220T)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고(S280), 스텝(S282)으로 이행한다.
한편,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S278:NO), CPU(216a)는 그 취지를 UI부(212)에 표시시키는 등, 소정의 에러 처리를 한 후(S281), 스텝(S282)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스텝(S282)에서는, CPU(216a)는 RAM(216c)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동작 모드 정보가 「금지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82).
금지 모드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82:YES), CPU(216a)는 장착되어 있는 드럼 유닛(220D) 및 토너 유닛(220T)이 모두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소정의 판별 방법을 따라서 판별한다(S283).
모두 인증품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S283:YES), CPU(216a)는 미리 설정된 인증품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500)를 제어한다(S284). 한편, 어느 하나가 인증품이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S283:NO), CPU(216a)는 화상 형성 장치(500)에 의한 화상 형성을 금지한다(S285).
금지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82:YES), 즉 허용 모드인 경우, CPU(216a)는 장착되어 있는 드럼 유닛(220D) 및 토너 유닛(220T)이 인증품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비인증품 모드로 동작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500)를 제어한다(S286).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교환 부품(220)에 대해서 통상의 교환 부품(220a)과 전환용 교환 부품(220b)을 설치하고, 전환용 교환 부품(220b)이 소정의 조합으로 복수개 장착되었을 경우에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므로, 동작 모드의 전환의 자유도를 보다 제한할 수 있고, 잘못된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종류 중 전부에 대해서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전환을 행한다고 하면, 보다 확실하게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 종류 중 일부의 전환용 교환 부품(220b)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전환을 행한다고 하면, 전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전환의 자유도를 제한하면서 전환을 간이화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2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600)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 2∼5의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유닛(220D) 및 토너 유닛(220T)의 각각에 대해서 동작 모드(금지 모드 또는 허용 모드)가 설정된다. 따라서, 드럼 유닛(220D)에 대해 비인증품의 사용을 금지하는 드럼 금지 모드와, 비인증품의 사용을 허용하는 드럼 허용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또한 토너 유닛(220T)에 대해 비인증품의 사용을 금지하는 토너 금지 모드와, 비인증품의 사용을 허용하는 토너 허용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전환용 드럼 유닛(220Db)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는 드럼 허용 모드로 전환해야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 「1」, 또는 드럼 금지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 「2」가 저장된다. 또한,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는 토너 허용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 「1」, 또는 토너 금지 모드로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 「2」가 저장된다.
도 12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600)의 전원이 투입되면(S291), CPU(216a)는 본체 메모리(214)로부터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드럼 금지 모드」 또는 「드럼 허용 모드」, 「토너 금지 모드」 또는 「토너 허용 모드」)를 판독하고(S292), 판독한 동작 모드 정보를 RAM(216c)에 기입한다(S293).
이어서, CPU(216a)는 리더 라이터부(211)를 통하여, 드럼 유닛(220D)의 유닛 메모리(221)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판독한다(S294). 이 판독을 정상으로 행할 수 없었을 경우(S295:NO), 동작 모드의 전환에 관한 처리를 행할 수 없으므로, 스텝(S299)으로 이행한다. 판독이 정상으로 행하여졌을 경우(S295: YES), CPU(216a)는 판독된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96).
판독된 값이 「0」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96:YES), 즉 통상 드럼 유닛(220Da)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 스텝(S299)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드럼 유닛(220D)에 대해서는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고, 현재의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판독된 값이 「0」이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S296:NO), 즉 전환용 드럼 유닛(220Db)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 CPU(216a)는 판독된 값에 따른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S297). 구체적으로는, 판독된 값이 「1」인 경우에는, RAM (216c) 및 본체 메모리(214)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드럼 허용 모드」로 수정한다. 이에 따라, 본체 메모리(214)에 「드럼 금지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드럼 금지 모드에서 드럼 허용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본체 메모리(214)에 「드럼 허용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결과적으로는 드럼 유닛(220D)에 대하여 동작 모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판독된 값이 「2」인 경우에는, CPU(216a)는 RAM(216c) 및 본체 메모리(214)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드럼 금지 모드」로 수정한다. 이에 따라, 본체 메모리(214)에 「드럼 허용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드럼 허용 모드에서 드럼 금지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본체 메모리(214)에 「드럼 금지 모드」가 유지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결과적으로는 드럼 유닛(220D)에 대해서는 동작 모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동작 모드의 전환 처리가 종료하면, CPU(216a)는 드럼 유닛(220D)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무효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S298). 구체적으로는, CPU(216a)는 드럼 유닛(220D)의 유닛 메모리(221)의 소정의 기억 영역(221a)에 유지되어 있는 값을 「0」으로 수정한다.
스텝(S299)에서는, 토너 유닛(220T)에 대해서 스텝(S294∼S298)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S300)에서는, CPU(216a)는 RAM(216c)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에 따라 화상 성형 장치(60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럼 유닛(220D)에 대하여 동작 모드 정보가 「드럼 금지 모드」이면 비인증품의 사용을 금지하고, 「드럼 허용 모드」이면 비인증품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토너 유닛(220T)에 대하여 동작 모드 정보가 「토너 금지 모드」이면 비인증품의 사용을 금지하고, 「토너 허 용 모드」이면 비인증품의 사용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드럼 금지 모드와 드럼 허용 모드의 사이의 전환을 전환용 드럼 유닛(220Db)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하고, 토너 금지 모드와 허용 모드 사이의 전환을 전환용 토너 유닛(220Tb)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양방의 전환을 전환용 토너 드럼 유닛(220Db) 또는 전환용 토너 유닛(220Tb) 중 어느 한 쪽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양쪽의 전환을 전사 유닛 등의 다른 교환 부품(220)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210)는 복수의 동작 모드로 이루어지는 동작 모드 그룹을 복수 갖는다. 여기에서는, 드럼 금지 모드와 드럼 허용 모드로 이루어지는 동작 모드 그룹 및 토너 금지 모드와 토너 허용 모드로 이루어지는 동작 모드 그룹을 갖는다. 그리고, 장치 본체(210)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각 동작 모드 그룹에 대하여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 이 때문에, 유저의 희망 등, 다양한 사정에 따라 최적의 동작 모드 패턴을 간단한 전환 조작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3개 이상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 1, 동작 모드 2, …, 동작 모드 N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 전환용의 교환 부품(220b)의 기억 영역(221a)에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 전환해야 할 취지를 나타내는 값 「1」, 「2」, …, 「N」을 유지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지 모드와 허용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동작 모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수 요금의 과금 방법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전환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보수 요금의 과금 방법으로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대로, 화상 형성 매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에 대하여 과금하는 방법이나, 교환 부품(22O)의 값에 보수 요금을 포함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비접촉 통신의 주파수대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는 나라에 대응하기 위해, 유닛 메모리(221)와의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모드와 행하지 않는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정착성이 나쁜 러프한 종이를 사용하는 유저나 지역에 대응하기 위해서, 보통 모드와 정착 온도 조절이 높게 설정된 러프지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기온이 비교적 높은 지역, 표준적인 지역, 비교적 낮은 지역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종 히터의 온/오프 설정이나 정착 온도 조절의 설정이 다른 고온 모드, 보통 모드, 저온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 부품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함으로써, 비인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희망을 만족시키면서 비인증품의 사용에 따르는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33)

  1. 교환 부품이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교환 부품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증품 모드로 실현되는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며,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속성 정보 대신에 상기 화상 형성부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며,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동작 제한 범위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의 제조자명 또는 제품명을 나타 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인식되는 제조자 또는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사용자에 의한 전환 조작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이 인증품인지의 여 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부품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며, 이 판별의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교환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작부와,
    상기 동작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교환 부품으로서, 인증품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인증품 모드와, 인증품 이외의 것이 장착된 경우에 대응하는 비인증품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동작부는 장치로서의 최저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증품 모드로 실현되는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며,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속성 정보 대신에 상기 동작부에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며,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소정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인증품 모드보다 엄격한 동작 제한 범위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현재의 동작 모드가 비인증품 모드인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의 제조자명 또는 제품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로부터 인식되는 제조자 또는 제품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비인증품 모드에서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의 속성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사용자에 의한 전환 조작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교환 부품으로부터 상기 교환 부품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교환 부품이 인증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며, 이 판별의 결과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착탈식 장치.
  23.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갖고,
    상기 교환 부품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갖고,
    상기 교환 부품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 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전환용 교환 부품과, 그러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지 않는 통상의 교환 부품의 적어도 2종류가 설치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전환용의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통상의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교환 부품에 대해서, 상기 전환용의 교환 부품과 상기 통상의 교환 부품의 적어도 2종류가 설치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전환용의 교환 부품이 소정의 조합으로 복수개 장착되었을 경우에,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했을 경우,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부품은,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정보와 함께 동작 모드가 전환되어야 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개체 식별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개체 식별 정보와 자기의 개체 식별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정보는 특수한 공구를 사용해야만, 상기 교환 부품에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식별 정보는 특수한 공구를 사용해야만, 상기 교환 부품에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복수의 동작 모드로 이루어지는 동작 모드 그룹을 복수 갖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각 동작 모드 그룹에 대해서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그 사용이 제조자에 의해 인정되고 있지 않는 교환 부품의 사용을 금지하는 금지 모드와, 상기 교환 부품의 사용을 허용하는 허용 모드 사이에서, 동작 모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교환 부품이 장착 가능한 피장착부와,
    상기 피장착부에 상기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기 교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의거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33.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교환 부품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서,
    상기 동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전환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있는 전환용 교환 부품과, 그러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지 않는 통상의 교환 부품의 적어도 2종류의 교환 부품이 장착 가능한 피장착부와,
    상기 피장착부에 상기 전환용의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교 환 부품에 유지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전환 정보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통상의 교환 부품이 장착되었을 경우에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유지하는 동작 모드 전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KR1020050014820A 2004-04-30 2005-02-23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KR100690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5290 2004-04-30
JP2004135290A JP2005316228A (ja) 2004-04-30 2004-04-30 画像形成装置および部品着脱式装置
JPJP-P-2004-00159082 2004-05-28
JP2004159082A JP4720109B2 (ja) 2004-05-28 2004-05-28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108A KR20060043108A (ko) 2006-05-15
KR100690533B1 true KR100690533B1 (ko) 2007-03-09

Family

ID=3493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820A KR100690533B1 (ko) 2004-04-30 2005-02-23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9494B2 (ko)
EP (2) EP1591261B1 (ko)
KR (1) KR100690533B1 (ko)
DE (1) DE60200502688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8211B2 (ja) * 2004-04-2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50781B2 (ja) *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KR100692464B1 (ko) * 2004-05-17 2007-03-09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2005326736A (ja) * 2004-05-17 2005-11-24 Fuji Xerox Co Ltd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システム
US7242873B2 (en) * 2004-05-17 2007-07-10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4650780B2 (ja) *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7003658A (ja) * 2005-06-22 2007-01-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KR20070001635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0717016B1 (ko) * 2005-07-2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JP4577783B2 (ja) 2006-04-25 2010-11-10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7881632B2 (en) * 2006-11-09 2011-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fixing operation with auxiliary power source
JP4186126B2 (ja) * 2006-12-26 2008-1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02007020762A1 (de) * 2007-05-03 2008-11-13 OCé PRINTING SYSTEMS GMBH Elektrografisches Druck- oder Kopiergerät
US7995934B2 (en) * 2007-09-20 2011-08-09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AU2008316545A1 (en) * 2007-10-25 2009-04-30 Futurelogic, Inc. Modular transaction printer
US20110058201A1 (en) * 2009-09-08 2011-03-1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arts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JP5736238B2 (ja) * 2011-05-30 2015-06-17 Hoya株式会社 動作保護装置、動作保護ソフトウェア、及び動作保護方法
US8890672B2 (en) 2011-08-29 2014-11-18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Metal tooth detection and locating
JP6478486B2 (ja) * 2013-11-20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11625B2 (en) 2015-05-22 2017-04-04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Industrial machine component detection and performance control
US10024034B2 (en) 2015-11-12 2018-07-17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heavy machine wear
KR102390147B1 (ko) *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6930B2 (ja) 1987-08-28 1997-10-22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H01200272A (ja) 1988-02-03 1989-08-11 Fuji Xerox Co Ltd 感光体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の識別装置
JP3413052B2 (ja) * 1996-04-23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制御方法
US6158837A (en) * 1997-09-19 2000-12-12 Xerox Corporation Printer having print mode for non-qualified marking material
JP4274332B2 (ja) 1998-02-20 2009-06-0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476704B2 (ja) * 1999-03-30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006702A (ja) * 2000-06-26 2002-01-1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
JP2002244370A (ja) * 2000-11-16 2002-08-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331686A (ja) 2001-05-09 2002-11-19 Toppan Printing Co Ltd 消耗品、機器本体、機器、モジュール、消耗品の製造方法、及び消耗品の判断方法。
US6678482B2 (en) 2001-09-17 2004-01-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itability of replaceable component
JP2003145735A (ja) * 2001-11-09 2003-05-21 Canon Inc プリント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ト方法
JP2003285520A (ja) 2002-03-27 2003-10-07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US7296873B2 (en) * 2003-10-08 2007-11-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Printing device, printing method, prin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6881D1 (de) 2011-04-28
EP1591261B1 (en) 2011-03-16
US7139494B2 (en) 2006-11-21
US20050244170A1 (en) 2005-11-03
KR20060043108A (ko) 2006-05-15
EP1591261A2 (en) 2005-11-02
EP1955862A1 (en) 2008-08-13
EP1591261A3 (en)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533B1 (ko) 화상 형성 장치, 부품 착탈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US7177553B2 (en) Part determination device, part attachment and detachmen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rt determination method
US72337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842915B (zh) 图像形成装置、系统和方法
US95576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placement component management memory
US7286775B2 (en) Image formation device enabling switching display of remaining developing agent in monochrome printing mode
CN104580796A (zh) 图像形成装置及其动作方法
JP4582121B2 (ja) 画像形成装置、同装置の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EP050953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36661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設定方法
JP2006085120A (ja) 画像形成装置、作像プロセス機器、及び作像プロセス機器の情報の記録方法
US74698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unit used for the same
CN103838101A (zh) 可切换系统速度的图像形成装置
CN100489675C (zh) 成像装置、部件可拆卸设备、以及成像装置主体
JP2010008774A (ja) 画像形成装置
JP4026540B2 (ja) プリンタ、その設定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90669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3629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JP4720109B2 (ja) 画像形成装置
JP4840576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11366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4240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72749A (ja) 画像形成装置
US10498912B2 (en) Image forming device, multifunction peripheral,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device
JP200501058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条件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