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103B1 -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103B1
KR100690103B1 KR1020040088891A KR20040088891A KR100690103B1 KR 100690103 B1 KR100690103 B1 KR 100690103B1 KR 1020040088891 A KR1020040088891 A KR 1020040088891A KR 20040088891 A KR20040088891 A KR 20040088891A KR 100690103 B1 KR100690103 B1 KR 10069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sphingosine
liposome
liposome compositio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831A (ko
Inventor
김선기
조상우
이은옥
양은희
최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PCT/KR2004/0029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044217A1/en
Priority to US10/579,081 priority patent/US20070104774A1/en
Publication of KR2005004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을 이용하여 물에 용해되지 않는 파이토스핑고신을 적게는 0.1%, 많게는 10%까지 안정화시킨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파이토스핑고신을 물에 분산시킨 후 유산을 첨가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용해시키는 제1단계; 인지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유화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은 항균, 항염증, 피부재생 등의 파이토스핑고신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화장품에 고농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장기간 보관이나 저온보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이토스핑고신의 침출현상을 제거한 안정성을 보유한 리포좀 용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지질은 라멜라를 형성하여 피부보습에 효과가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리포좀 조성물을 화장품 조성물에 이용시 파이토스핑고신 고유의 기능 외에 보습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킨 제형 등에 희석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용액을 형성하여 현재까지 파이토스핑고신의 용해도 문제로 사용되지 못했던 스킨, 에센스등 수용성 화장품제형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파이토스핑고신 파우더를 사용하던 기존의 크림 제품 등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은 그 크기가 100nm 미만으로 피부에 적용시 표피에 도포형식이 아닌 피부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의 전달체로서의 역할도 부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파이토스핑고신, 유산, 리포좀, 인지질

Description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phytosphingosine liposome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관찰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관찰 결과이다.
본 발명은 물에 녹지 않는 활성성분인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성성분이 리포좀에 의해 분산 안정성을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
파이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의 일종으로 생체의 주요한 세포막 성분중의 하나로서 구조적인 기능과 함께 신호 전이체계의 신호 전달물질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이다(Okazaki et al., 1989; Kim et al., 1991). 파이토스핑고신과 이를 기본 골격으로하는 세라마이드류는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보습 기능과 손상된 피부보호막의 재생 등에 기능성 원료로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파이토스핑고신은 세라마이드에 비해 피부재생 및 항균,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 사용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파이토스핑고신은 최근 동물에서 추출하는 대신에 효모 발효에 의해 보다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으나, 효모 발효에 의해 얻어진 파이토스핑고신도 역시 용해도(solubility)가 나쁜 문제로 인하여 화장품 및 제약 용도로 사용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파이토스핑고신은 물에 전혀 용해되지 않으며 화장품 원료로 사용 가능한 이소 세틸알콜 등의 용매에도 1중량% 정도밖에 용해되지 않아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양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스킨 화장품과 같이 투명한 용액 상의 제품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 화장품에서 사용하는 파이토스핑고신의 농도는 0.1~0.3중량% 정도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농도인 0.5중량%에 미치지 못하여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기 어렵다. 결국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파이토스핑고신을 고농도로 용해시키고 장기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수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파이토스핑고신과 같이 용해도가 낮은 물질을 가용화시키기 위해서는 마이셀, 나노캡슐, 에멀젼, 리포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데, 어떤 방법을 선택하느냐는 그 용도나 사용가능한 물질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리포좀을 용해도가 낮은 활성물질을 용해시키는 데에 이용한 예로는 공개특허 특2002-0032577호(발명의 명칭 '피부지질 함량 조절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공개특허 특2000-0075480호(발명의 명칭 '고 수불용성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수용성 약학적 조성물')등이 있다. 리포좀은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인지질이 천연소재라는 장점 뿐 아니라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리포좀은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으로 둘러싸인 구형의 수용성 입자로, 크기는 수십 nm에서 수마이크로까지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리포좀은 수용성 물질과 지용성 물질을 모두 포집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고 크기를 조절하여 활성물질을 전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제약이나 화장품에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난용성 활성물질의 가용화 및 전달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리포좀을 화장품에 응용하여 용해도가 낮은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작은 크기의 리포좀을 이용하여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고농도의 파이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100nm 이하의 크기가 작은 리포좀을 제조하여 현재 파이토스핑고신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수용성 화장품에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과 기존 크림제품 등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는 사용상의 편이성 외에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파이토스핑고신을 수용상에서 고농도로 용해시킨 예로는 등록특허 제10-0343885호(파이토스핑고신의 수용액의 제조 방법)이 있다. 그러나, 파이토스핑고신을 유산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액으로 용해시킨 경우는 오랜시간 보관시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용액 상태로 안정한 파아토스핑고신 용액을 제조하려고 연구하던 중에, 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해도가 낮은 파이토스핑고신을 물에 고농도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용해시 킴으로써 스킨 화장품과 같은 투명한 용액상의 제품에까지도 파이토스핑고신을 고농도로 함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파이토스핑고신을 물에 분산시킨 후 유산을 첨가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용해시키는 제1단계; 인지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유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유화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파이토스핑고신은,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인지질은, 대두인지질 또는 난황 인지질 중의 천연 또는 수첨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스핑고미에린(sphingomye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2단 계의 인지질은,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2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리포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용매는 저급알코올과 다이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에 있어 서 상기 제2 단계의 용매는 전체 리포좀 조성물중 1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200nm 이하의 구멍을 갖는 막을 통해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을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 0.1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파이토스핑고신을 유산을 이용하여 수용액상에 용해시키고 인지질은 용매에 용해하여 상기 제조된 각 두 상을 섞어 유화하여 압출하는 방식으로 파이토스핑고신이 포함된 투명한 상태의 안정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파이토스핑고신을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0.1중량% 내지 10중량%의 농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에서 5중량%의 농도로 증류수에 첨가하여 온도를 70℃까지 승온시키면서 30 ~ 40분간 교반시킨다. 여기서, 파이토스핑고신의 함량이 전체 리포좀 조성물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으로서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면 파이토스핑고신이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0.5 내지 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파이토스핑고신을 물에 분산시키면 그 pH가 염기성이 되는데 pH를 낮추어 파이토스핑고신을 용해시키기 위해 유산(Lactic acid)를 서서히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중화시키면서 파이토스핑고신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시킨다. 유산은 파이토스핑고신 1g당 0.2내지 4g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산의 양이 0.2g 미만이면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지 않으며 4g을 초과하면 pH가 너무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수용액 제조와 별도로, 인지질을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2~20중량%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시킨다. 인지질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파이토스핑고신이 안정화되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조된 에틸 알코올 용액을 상기 파이토스핑고신 수용액과 혼합하여 유화한다. 유화는 종래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질은 정제된 대두인지질 및 정제 난황 인지질을 사용한다. 대두인지질 및 난황 인지질에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스핑고미에린(sphingomye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리소포스파티 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용매는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1~50중량%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된 리포좀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0.2㎛ 이하로 2회 이상 압출시킴으로써 리포좀 크기를 100nm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압출은 특정 크기의 구멍을 갖는 막을 가압하에 통과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에서, 용매는 전체 리포좀 조성물중 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가 1중량% 이상이어야 인지질을 용해시키기 용이하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리포좀 조성물이 젤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포좀 조성물에서, 용매로서 사용되는 저급알코올의 예로서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저급알코올로서는 에틸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포좀 조성물에서, 용매로서 사용되는 다이올의 예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다이올로서는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리포좀 조성물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성분의 함량으로 사용된 "중량%"는 모두 전체 수용액 중 중량%를 의미하고, 화장품에 함유된 함량에 대해 사용된 "중량%"는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의 중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포좀 조성물은 파이토스핑고신을 일단 물에 용해시키고 이와 별도로 인지질은 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두 용액을 혼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통상 파이토스핑고신과 같은 지용성 물질은 용매 상에 용해시켜 왔으나, 파이 토스핑고신은 그 특유의 성질로 인해 용매에 용해시키는 경우 수용상에서 점성을 나타내어 높은 점도로 인해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토스핑고신을 직접 용매에 용해시켜 안정화시키는 경우 리포좀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상이 만들어져서 안정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파이토스핑고신을 물에 용해시키고 이와 별도로 인지질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두 용액을 혼합하는 새로운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목적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증류수 93ml에 파이토스핑고신 분말(㈜두산에서 DS-파이토스핑고신이라는 제품으로 시판중인 것) 1.35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 0.4g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키면서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와 별도로, 정제 대두 인지질 3g을 에틸 알코올 2g에 용해시켰다. 상기 제조된 인지질 용액에 상기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 내지 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자크기 0.1㎛의 투명한 파이토스핑고 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사용한 정제 대두 인지질의 조성은 아래와 같았다.
성분 중량%
포스파티딜콜린 70-95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0-10
포스파티딜이노시톨 0-2
리소포스파티딜콜린 0-5
실시예2
증류수 93ml에 파이토스핑고신(㈜두산에서 DS-파이토스핑고신이라는 제품으로 시판중인 것) 1.35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 0.4g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키면서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와 별도로, 정제 난황 인지질 3g을 에틸알코올 2g에 용해시켰다. 상기 제조된 인지질 용액에 상기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 내지 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자크기 0.1㎛의 투명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사용한 정제 난황 인지질의 조성은 아래와 같았다.
성분 중량%
포스파티딜콜린 70-95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0-20
리소포스파티딜콜린 0-3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0-5
스핑고미에린 0-5
실시예3
증류수 73ml에 파이토스핑고신(㈜두산에서 DS-파이토스핑고신이라는 제품으로 시판중인 것) 4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 1g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키면서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정제 대두 인지질 12g을 에틸알코올 10g에 용해시켰다. 상기 제조된 인지질 용액에 상기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300bar에서 3회 고압 유화하였다. 고압 유화한 리포좀 용액을 0.1~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자크기 70nm의 투명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4
증류수 73ml에 파이토스핑고신(㈜두산에서 DS-파이토스핑고신이라는 제품으로 시판중인 것) 4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 1g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키면서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부분적으로 수소첨가하여 불포화지방산을 올레인산으로 변환시킨 수소첨가 정제 대두 인지질 12g을 에틸알코올 10g에 용해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인지질 용액에 상기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자크기 50nm의 투명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사용한 부분 수소첨가 정제 대두 인지질의 올레인산 함량은 50%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증류수 73ml에 파이토스핑고신(㈜두산에서 DS-파이토스핑고신이라는 제품으로 시판중인 것) 4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 1g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키면서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수소첨가 정제 대두 인지질 12g을 에틸 알코올 10g에 용해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인지질 용액에 상기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자크기 100nm의 반투명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은 불포화지방산이 거의 없고 포화지방산이 거의 대부분인 인지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증류수 73ml에 파이토스핑고신 4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을 1g 첨가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 정제 대두 인지질 12g 을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10g에 용해시켰다. 상기 제조된 인지질 용액에 상기 제조된 파이토스핑고 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300bar에서 3회 고압 유화 하였다. 고압 유화한 리포좀 용액을 0.1~0.2 ㎛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경이 60nm인 투명 파이토스핑 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7
증류수 53ml에 파이토스핑고신 4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을 2g 첨가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정제 대두인지질 12g을 1,3-부틸렌 글리콜 30g에 용해시켰다. 상기 인지질 용액에 상기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경이 50nm인 투명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8
증류수 58ml에 파이토스핑고신 4g을 첨가한 후 온도를 70℃ 정도로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100rpm으로 교반하고, 여기에 유산을 1g 첨가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정제 대두인지질 12g을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5g에 용해시켰다. 상기 인지질 용액에 파이토스핑고신이 용해되어 있는 증류수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여 평균입경이 50nm의 투명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을 얻었다.
비교예1
파이토스핑고신 분말(㈜두산에서 DS-파이토스핑고신이라는 제품으로 시판중인 것) 1.35g, 정제 대두 인지질 3g을 에틸 알코올 3.5g에 용해시켰다. 상기 제조된 용액에 증류수 93ml을 첨가한 후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초음파 처리된 리포좀 용액을 0.1 내지 0.2㎛로 압출을 2회 시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용액은 압출과정이 진행되지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시험예1 :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현탁도 관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의한 리포좀 조성물 및 그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투명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탁도 관찰을 수행하였다.
도 1은 상기 실시예3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관찰 결과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지질 고유의 색상을 띠는 투명 용액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하기 시험예3의 제형 2에 의한 화장품 조성물의 관찰 결과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포좀 조성물을 희석하여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한 경우 청색 빛이 나는 반투명 용액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2 :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의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포좀 용액을 고농도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 상태 및 증류수에 약 10배 정도 희석하여 상온에 보관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입자 크기변화 및 침전형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의 입자 크기의 단위는 nm이다. 하기 표에서 1은 고농도 리포좀 용액 상태, 2는 희석 상태이다.
시료 보존기간(일)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 8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0 92 100 87 117 42 84 53 99 94 101 66 78 44 65 57 78
7 96 105 85 119 39 84 51 86 93 110 61 86 47 68 58 82
21 99 108 94 120 45 79 51 86 92 111 59 79 48 68 54 85
60 104 111 95 126 52 52 60 82 53 67 57 82
90 100 109 98 128 56 88 51 88 62 85 47 77 60 85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용액은 파이토스핑고신이 1.35 및 4중량% 포함된 리포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리포좀의 크기에 큰 변화없이 침전형성도 없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직접 용매에 넣고 용해시킨 경우(비교예1), 시료1의 경우에는 압출과정을 수행할 수 없어 실제 사용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의 스킨제형에서의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3 및 실시예7에 따라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4중량%를 포함한 리 포좀 용액과 이를 스킨 제품에 최종 파이토스핑고신 농도가 0.5%가 되도록 희석시킨 수용액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크기와 침전상태, 저온에서 보관시의 크기와 침전상태를 토대로 스킨제형에서의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용한 스킨제형은 아래와 같다. 단위는 중량%이다.
제형 1 제형 2
수상부
글리세린 4 4
1,3-부틸렌글리콜 2 2
알라토인 0.1 0.1
DL-판테놀 0.1 0.1
EDTA 0.01 0.01
Bio-he 0.5
카모마일 0.5
Bg 100 0.1
알코올부
에틸알코올 6 6
D-M 0.15 0.15
계면활성제 0.2 0.2
qs 0.1
정제수 to 100 to 100
파이토스핑고신 함유 리포좀의 스킨 제형에서의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기 단위는 nm이다.
시료 보관기간 (일) 4%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0.5%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제형 1 0.5%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제형 2
실시예3 (에탄올) 실시예7 (부틸렌글리콜) 실시예3 (에탄올) 실시예7 (부틸렌글리콜) 실시예3 (에탄올) 실시예7 (부틸렌글리콜)
4 상온 4 상온 4 상온 4 상온 4 상온 4 상온
0 76 76 44 44 82 82 46 46 88 88 52 52
7 75 75 48 47 73 77 51 52 76 78 51 53
14 75 75 46 48 75 78 49 50 75 79 51 53
50 76 74 46 53 71 79 49 53 73 78 52 53
100 75 75 45 47 76 74 52 57 79 79 51 54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토스핑고신이 4중량% 포함된 리포좀의 경우 식물 추출물 포함 여부에 따른 두 가지 스킨제형 모두에서 파이토스핑고신의 효과를 볼 수 있는 0.5 중량%의 농도에서 크기변화 및 침전없이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파이토스핑고신을 유산 등의 산만을 이용하여 용해시킨 경우 저온 보관 및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이토스핑고신이 재결정화 되는 반면에, 이를 본 발명에서와 같이 리포좀에 포함시켜 안정화시키면 저온 보관이나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투명한 상태의 수용액이나 투명한 젤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파이토스핑고신은 장기간 보관시나, 저온보관시 침전이 발생하지않고, 초기의 크기를 유지하는 안정성을 보인다. 또한 고농도의 파이토스핑고신을 희석한 경우에도 안정한 리포좀을 유지하면서 침전없이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는 안정성을 보인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은 항균, 항염증, 피부재생 등의 파이토스핑고신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화장품에 고농도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장기간 보관이나 저온보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이토스핑고신의 침출현상을 제거한 안정성을 보유한 리포좀 용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지질은 라멜라를 형성하여 피부보습에 효과가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리포좀 조성물을 화장품 조성물에 이용시 파이토스핑고신 고유의 기능 외에 보습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킨 제형 등에 희석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용액을 형성하여 현재까지 파이토스핑고신의 용해도 문제로 사용되지 못했던 스킨, 에센스등 수용성 화장품제형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파이토스핑고신 파우더를 사용하던 기존의 크림 제품 등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은 그 크기가 100nm 미만으로 피부에 적용시 표피에 도포형식이 아닌 피부내부로의 침투가 용이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의 전달체로서의 역할도 부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9)

  1. 파이토스핑고신을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0.1 내지 10중량%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물에 분산시킨 후 유산을 첨가하여 파이토스핑고신을 용해시키는 제1단계;
    인지질을 전체 리포좀 조성물 중 2 내지 20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인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제조된 용액과 상기 제2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 또는 유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처리 또는 유화된 혼합물을 압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인지질은, 대두인지질 또는 난황 인지질 중의 천연 또는 수첨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포스파 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스핑고미에린(sphingomye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양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50 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200nm 이하의 구멍을 갖는 막을 통해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을 전체 화장품 조성물 중 1 내지 2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040088891A 2003-11-11 2004-11-03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9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4/002920 WO2005044217A1 (en) 2003-11-11 2004-11-11 Method for preparing phytosphingosine liposome composition
US10/579,081 US20070104774A1 (en) 2003-11-11 2004-11-11 Method for preparing phytosphingosine liposom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419 2003-11-11
KR20030079419 2003-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31A KR20050045831A (ko) 2005-05-17
KR100690103B1 true KR100690103B1 (ko) 2007-03-08

Family

ID=3724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891A KR100690103B1 (ko) 2003-11-11 2004-11-03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2777B2 (en) 2015-03-31 2019-01-08 Amorepacific Corporation Phytospingosine derivativ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848A (ja) 1999-07-20 2001-02-20 Doosan:Kk フィトスフィンゴシン水溶液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848A (ja) 1999-07-20 2001-02-20 Doosan:Kk フィトスフィンゴシン水溶液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2777B2 (en) 2015-03-31 2019-01-08 Amorepacific Corporation Phytospingosine derivativ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31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5379A (en) Lipid particle forming matrix,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100654841B1 (ko)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2037354B1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DE4447287C1 (de) Präparat zum Wirkstofftransport durch Barrieren
KR20150022434A (ko) 나노 에멀젼 제조방법
CA2069760C (en) Lipid formulation system
KR100949848B1 (ko) 비타민c 유도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JP2009120584A (ja) 連続水相と分散脂肪相とを含むエマルジョンの形態の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CN109414390B (zh) 皮肤外用剂
US20070104774A1 (en) Method for preparing phytosphingosine liposome composition
KR102190935B1 (ko) 생리활성물질 봉입을 위한 나노지질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8434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KR100768151B1 (ko) 에스터화 레시딘을 이용한 나노리포좀
KR100690103B1 (ko) 파이토스핑고신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TW202333650A (zh) 用於美容塗敷之方法及組合物
KR20190086829A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활성물질 전달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102272302B1 (ko)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20180000828A (ko)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69921A (ko) 콜레스테릴 헤미숙시네이트가 도입된 지질-기반나노전달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535213B1 (ko) 수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나노 액정 캐리어, 그제법 및 그를 함유한 조성물
KR102632679B1 (ko) 히알루론산 봉입 나노 입자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9469B1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피부활성물질 전달체 제조방법
US20060233846A1 (en) Microdispers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230119989A (ko) 고농도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다중층 라멜라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72066B1 (ko) 스티그마스테릴 헤미숙시네이트를 포함한 지질-기반 약물전달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