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97B1 - 스티칭 조립체를 갖는 완충재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티칭 조립체를 갖는 완충재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97B1
KR100690097B1 KR1020017004183A KR20017004183A KR100690097B1 KR 100690097 B1 KR100690097 B1 KR 100690097B1 KR 1020017004183 A KR1020017004183 A KR 1020017004183A KR 20017004183 A KR20017004183 A KR 20017004183A KR 100690097 B1 KR100690097 B1 KR 100690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ped member
protrusions
cutt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835A (ko
Inventor
마이클제이. 렌코스키
Original Assignee
랜팩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팩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랜팩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8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5/0043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crumpling flat material
    • B31D5/0047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crumpling flat material involving tooth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17Providing stock material in a particular form
    • B31D2205/0023Providing stock material in a particular form as web from a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47Feeding, guiding or shap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11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articular additional operations
    • B31D2205/0064Stabilizing the shape of the final product, e.g. by mechanical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2205/000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2205/0076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volving particular machinery details
    • B31D2205/0082General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93/00Manufacturing container or tube from paper; or other manufacturing from a sheet or web
    • Y10S493/967Dunnage, wadding, stuffing, or filling excelsior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완충변환 기어-형상 부재들은 각각 회전 중에 맞물려 결합하는 다수의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234)을 포함한다. 상기 원자재의 겹칩부를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 줄의 탭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자재의 겹침부 내에 슬릿들의 줄을 절삭하기 위해서 한 기어-형상 부재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기어-형상 부재는 상기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절삭면들(237)을 포함한다. 상기 절삭면들은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의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의 원주 간격보다 적은 원주 사이의 크기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부들은 맞물림 돌출부들 사이에 확장된 틈이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티칭 조립체를 갖는 완충재 제조 장치 및 방법{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WITH STITCHING ASSEMBLIES}
본 발명은 완충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러한 장치/방법들을 위한 개량된 스티칭 그리고/또는 압인가공 수단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한 위치에서 또 다른 위치로 선적하는 과정에서 보호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모든 빈 공간을 채우고/또는 선적과정 중에 상기 물건을 완충시키기 위해 선적 케이스 또는 박스에 배치된다. 종래의 보호용 포장재의 몇몇으로 플라스틱 폼 피넛(foam peanuts)과 플라스틱 버블 팩(bubble pack)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라스틱 재료들은 완충용 제품으로서 적절한 성능을 보이는 것 같지만, 그것들도 불이익이 없지 않다. 아마도 상기 플라스틱 버블 랩(bubble wrap)과 플라스틱 폼 피넛의 가장 심각한 결점은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일 것이다. 이러한 플라스틱 포장재들은 아주 간단하게 생물 분해되지 않고 이에 따라 그것들은 오히려 우리 지구의 이미 심각한 쓰레기 처리 문제를 증폭시키는 것을 피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포장재들의 비생분해성(non-biodegradability)은 환경책임에 따라 좀 더 진보적인 정책을 채택하는 많은 산업분야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불이익 외에 종래 플라스틱 포장재들의 다른 불이익은 종이 보호 포 장재를 매우 대중적인 대체제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종이는 생분해성(biode-gradable)이고, 재활용되며 재생가능 자원으로 만들어지므로 환경적인 차원에서 양심있는 산업계에 종이가 책임있는 선택이 되게 하였다.
시트(sheet) 형태의 종이를 보호 포장재로서 가능하게 사용하는 동안에는, 보통 여러 장의 종이를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의 패드형(pad-like) 완충재로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환은 미국 특허번호 3,509,798, 3,603,216, 3,655,500, 3,779,039, 4,026,198, 4,109,040, 4,717,613 및 4,750,896과 미국 특허출원번호 07/533,755, 07/538,181, 07/592,572, 07/734,512, 07/786,573, 07/840,306 및 07/861,225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완충재 제조 장치/방법의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특허들과 출원들에서 공개된 제조 장치/방법들에서 상기 완충제품은 다층의 종이 원료재를 바라는 형상으로 변환시킴으로서 생산된다. 상기 완충제품은 한 쌍의 이중 나선을 이루기 위해 내부로 압연된 원료 종이의 측면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필로형(pillow-like) 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중심부는 다음에 압축되고, 결합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겹쳐진 가장자리 부들을 결합되기 위해 압인되고 이에 따라 중심 압축부와 두 개의 측면 필로형 부들을 갖는 완충제품을 구성한다. 이러한 압축, 결합 그리고/또는 압인은 각각 다수의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고 톱니식으로 맞물리는 돌출부(바꿔 말하면, 스퍼 이(spur teeth))를 포함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들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완충제품의 무결화(intactness)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완충제품의 중심부는 통상 "언지퍼링(unzippering)"이라고 일컬어지는 더 이상의 틈새발생이나 제품 결합부들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스티칭(stitched)"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번호 4,937,131 및/또는 미국 특허번호 4,698,291에서 천공들은 상기 회전부재들의 이(teeth)로부터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에 의해 완충 제품의 압인부에 형성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미국 특허번호 6,035,613에서, 탭들(tabs)은 상기 인접한 돌출부들(스퍼 이)의 방사상 외측 끝단들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오프셋(offset)되고, 상기 회전부재들의 하나 상에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들의 하나 상에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주변에서 인접한 돌출부들 사이의 공간에 걸치는 절삭면(cutting edges)에 의해 압인부에 형성된다.
비록 상기 상술된 특허들과 출원들에서 공개된 조립체들이 그것들의 압인, 결합 및/또는 스티칭 기능들을 적절히 수행한다고 할지라도 항상 좀 더 개선되어야 하고, 특히 이러한 기능들이 좀 더 적은 힘, 좀 더 적은 핀치(pinch)압, 및/또는 상기 완충제품의 밀도에 대한 좀 더 나은 조정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완충제품의 압인부에서 절삭탭들(cutting tabs)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절삭면들이 축소된 절삭면을 갖는 완충 제조 장치를 제시한다. 특히, 상기 절삭면들은 그들이 위치된 골의 주변크기(즉, 인접한 이 사이 간격)에 이르지 않는다. 상기 제한된 영역에서 탭-절삭력의 집중은 사용동력을 경감시키고 그리고/또는 상기 회전부재들 사이에서 핀치압의 경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오목면의 윤곽은 진입하는 도중 상기 절삭면의 전단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절삭면의 양면상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이거나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기어-형상 부재들이 돌출부 형상을 가짐으로서 맞물리는 돌출부 사이에서 확장된 틈(backlash)이 존재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그러한 배치가 좀 더 높은 밀도의 패드가 요구될 때와 같은 상황에서 이로울 수 있는 좀 더 확실한 압인공정을 제공한다는 개념을 포함한다. 게다가 이러한 "확장된 틈"을 갖는 돌출부들은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패드 밀도와 상기 핀치압 사이의 직접적이고 현저하며 예측가능한 관계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제품의 밀도가 상기 핀치압을 조절함으로서 선택적으로 변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상술된 특징과 그 이외의 다른 특징들은 이후에 모두 기술되고 특히 청구항들,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에 나타날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의 단지 하나에 불과하다.
도 1은 완충제품의 중심 밴드를 압축하고, 압인하고 그리고/또는 결합하는 스티칭 조립체를 포함하는 장치의 내부 기구요소들을 볼 수 있도록 제거되고 관람자에 가장 근접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측면 패널을 갖는 완충재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스티칭 조립체의 회전부재, 즉, 암 기어-형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암 기어-형상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2C는 암 기어-형상 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3A는 또 다른 기어-형상 부재의 회전부재, 즉 수 기어-형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수 기어-형상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C는 수 기어-형상 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4A는 도 2B의 4A-4A를 따라 절단한 암 기어-형상 부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이가 있는 평면 원판 부재의 대표도이다.
도 4B는 도 2B의 4B-4B를 따라 절단한 암 기어-형상 부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소직경의 원형 평면 원판 부재들의 대표도이다.
도 5A는 도 3B의 5A-5A를 따라 절단한 수 기어-형상 부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이가 있는 평면 원판 부재의 대표도이다.
도 5B는 도 3B의 5B-5B를 따라 절단한 수 기어-형상 부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대직경의 원형 평면 원판 부재들의 대표도이다.
도 5C는 도 3B의 5C-5C를 따라 절단한 수 기어-형상 부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소직경의 원형 평면 원판 부재들의 대표도이다.
도 6은 스티칭 조립체에 의해 결합된 중심밴드를 갖는 완충제품의 개략 실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의 두 구성요소들이 단단히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된 형태로 단단히 맞물린 상태를 제외하고는 도 8과 유사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변형된 구성요소들이 상기 스티칭 조립체에 사용될 때의 상기 완충제품 중심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세한 도면들 중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재 제조장치 1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 15는 상류 끝단(도 1의 좌측)에서 두루마기 또는 두루마기들과 같은 낱장-형태의 원자재를 공급하기 위한 홀더 16을 갖는다. 상기 원자재는 바람직하게는 중공실린더 튜브 상으로 운반되는 세 겹의 원자재더미 또는 생분해되고, 재활용되며 재사용가능한 30 파운드의 시멘트 포대 층으로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자재는 바람직하게는 중공실린더 튜브 상으로 운반되는 두 겹의 50 파운드 크래프트지(Kraft paper)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재 제조 장치 15는 상기 원자재를 중심밴드에 의해 분리된 측면 필로형 부분을 갖는 스트립(strip)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스트립은 절단에 의해, 바라는 길이의 부분들 또는 패드들로 절단되는 완충제품의 압인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그 중심밴드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장치 15는 모두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바닥판 또는 벽 20, 측판들 또는 벽들 21 및 끝판 또는 벽 22를 갖는 하우징 18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벽 20은 거의 평면이고 사각형상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벽 23을 포함하고 상기 상벽 23은 상기 바닥벽, 측벽, 끝벽과 함께 포위체(enclosure)를 형성한다.
상기 바닥벽과 측벽들 20과 21은 중심에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큰 사각형 원 료 주입구 25 주위에 사각경계면을 형성하는 내부절곡(inturn)면 부를 상기 하우징의 상류 끝단에 갖고 있다. 이러한 경계면은 상기 바닥벽 20의 상류면(upstream edge)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끝판 또는 벽으로 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류"와 "하류"의 단어들은 상기 원자재가 상기 장치 15를 통해 흘러가는 방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상기 끝판 22는 상기 바닥벽 20의 하류 끝단 근처의 위치로부터 수직하게 내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끝판 22는 거의 사각형이고 평면이며 깔개(dunnage) 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또는 프레임) 18은 상기 바닥벽 20의 하류면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전면 덮개 또는 판 26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끝판 22와 전면판 26은 상기 하우징 18의 하류 끝단의 박스형 연장부의 상류 및 하류 끝단들을 경계로 한다. 상기 전면판 26은 상기 완충재 제조 장치 15의 절단 조립체 구성요소들을 접근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열리게 되는 문과 같은 구조이다.
또한, 상기 장치 15는 원료 공급 조립체 30, 성형 조립체 31, 기어-형상 부재 구동 모터, 예를 들면 전기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공급/연결 조립체 32, 절단 모터, 예를 들면 전기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절단 조립체 33 및 후-절삭 또는 절단 안내 조립체 34를 포함한다. 일정한 입구 롤러 36과 분리기 37a-37c는 상기 하우징 18의 상류 측면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류 끝판 또는 벽에 장착된다. 상기 성형 조립체 31은 상기 하우징의 원료 공급 조립체 30 내부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원자재를 상기 스트립의 중심부를 따라 상기 원자재가 겹쳐진 부분을 갖는 연속적인 3차원 스트립의 깔개(dunnage)로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급/연결 조립체 32는 상기 성형 조립체 31의 하류에 위치되고 상기 하류 끝판 22의 상류 측면 상에 장착된다. 상기 하류 끝판 22의 반대면 또는 하류 측면 상에는 상기 절단 또는 잘삭 조립체 33이 장착된다. 상기 모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벽 또는 판 20의 일부를 이루는 횡측 장착판 38을 갖는 바닥벽 20 상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들은 상기 성형 조립체 31의 반대측 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후-절삭 조립체 34는 상기 절단 조립체 33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전면 덮개 26 상에 장착된다.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절단 조립체를 위해 미국 특허출원번호 08/386,355를 참조하고 또 다른 타입의 절단 조립체를 위해 미국 특허출원번호 08/110,349를 참조한다.
상기 도시된 장치에서 상기 공급/연결 조립체 32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연결 조립체는 상기 스트립 깔개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원자재의 겹침부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공급/연결 조립체는 상기 원료 공급 조립체로부터 상기 성형 조립체 31을 통해 상기 원자재를 인발하듯이 상기 장치를 통해 원자재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두 가지 기능들은 이후 보다 상세히 기술될 한 쌍의 회전 기어-형상 부재들, 구체적으로는 기어-형상의 부재들 40과 41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실행되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 중 하나인 40은 축 43상에 상기 공급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게 장착되고 이에 반해, 다른 기어-형상 부재 41은 유동축 44상에서 이송되는 공회전 기어이다.
상기 종동 기어-형상 부재 40은 전면판 22에 고정된 축에 대해 회전하는 반면, 다른 부재는 평행병진운동을 위해 상기 종동기어 43에 향하거나 그리고 멀어지 도록 안내자 45내의 안내 슬롯에 의해 안내되는 유동축 상에서 이송된다. 그러므로, 상기 유동축과 상기 유동 기어-형상 부재는 상기 종동 기어-형상 부재를 향한 스프링 46 또는 다른 적절한 탄성 수단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 힘은 상기 기어-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성형조립체로부터 상기 절단 조립체 사이에서 지나가는 원자재 스트립에 작용되는 압착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장치 15의 동작에서 상기 원자재 공급 조립체 30은 상기 성형조립체 31로 원자재를 공급한다. 상기 성형조립체 31은 상기 시트-형상 원자재를 연속적인 완충스트립의 측면 필로형 부로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서 롤링과 성형공정을 일으킨다. 상기 공급/연결 조립체 32는 상기 원자재를 상기 장치를 통해 전진시키고 또한 연결된 깔개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심부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된 깔개 스트립이 상기 공급/연결 조립체 32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단 조립체 33은 상기 깔개 스트립을 요구되는 길이를 갖는 부분들 또는 패드들로 절단하거나 절삭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절단되거나 절삭된 패드들은 상기 후-절단 조립체 34를 통해 수송된다.
그러므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15는 미국 특허번호 5,123,889에서 훨씬 더 상세히 기술된 장치와 거의 유사하고 상기 미국특허는 상기 장치의 일반적인 배치와 동작의 좀 더 상세한 사항들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시된 성형 조립체 31은 출원 중인 미국 특허출원번호 08/386,355에 기술된 타입임에 주의한다. 또한, 상기 성형 조립체는 성형 슈트 48가 장착된 안내 경사로 47를 갖고 있고 상기 안내 경사로는 상기 성형 슈트의 하류 끝단에서부터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의 바로 앞까지 연장된 안내면을 갖고 있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A-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기어-형상 부재 4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시된 원주둘레의 평기어 이처럼 이의 형태로서 상기 원주 둘레에 다수의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 220을 갖고 있다. 상기 이 220은 환상의 오목부들 226에 의해 중심부분 222와 외부 또는 측면부분들 224로 나뉘어진다. 상기 축 부분들 220과 224와 상기 오목부들 22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 부재 40의 중심면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다른 기어-형상 부재, 즉 상기 수 기어-형상 부재 41은 축방향에서 내측 부분들 232와 접하는 중심부분 230을 포함하고 외측 부분들 233은 각각 외면에서 상기 내측 부분들 232와 접한다. 상기 중심부분 230과 외측 부분들 233은 바람직하게는 원주상에 다수의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 234,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 스티칭 기어 40(도 2A-C)의 중심부분 222의 이 220과 외측부분들 224와 맞물리기 위한, 상기 도시된 평기어 이와 같은 이를 갖고 있다. 상기 중심 부분 230의 이 234 및/또는 상기 외측 부분들 232 사이의 공간은 골 235로 보일 수 있다.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휠로도 불리는 상기 내측 부분들 232는 각각 상기 중심부분 230의 이 234 및/또는 외측 부분들 232 사이의 골 235에 평행한 부분들 236을 갖고 있다. 상기 골에 평행한 부분들 236은 각각 절삭면 237과 상기 절삭면 237의 각 측면 상에 음각들(reliefs) 238을 갖고 있다. 상기 골에 평행한 부분들 236이 상기 돌출부들 234 사이의 원주공간에 놓이는 동안, 상기 절삭면 237은 인접한 돌출부들 234 사이의 원주공간보다 작은 원주 사이의 크기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면 237은 상기 이 234의 골원(root circle)과 중심이 같은 원주면이다. 상기 음각 238은 반원 삭제부 형상으로 상기 절삭면 237의 한 방사상 면부터 상기 골에 평행한 부분들 236의 최소 방사상 끝단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목면 윤곽은 각각 골에 평행한 부분 236 내에서 상기 절삭면 237의 각 방사상 면을 둘러싼다.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의 회전 중에 상기 골 235(사익 수 기어-형상 부재 41의 이 234 사이)는 상기 암 기어-형상 부재 40(도 2A-C)의 이 220을 받아들인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의 회전 중에 상기 절삭휠들 232의 골에 평행한 부들 236은 상기 암 기어-형상 부재 40의 동시에 움직이는 이를 지나가면서 이동하고 상기 절삭면 237은 그 오목부 226내로 연속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상기 절삭휠 232 각각은 상기 암 기어-형상 부재 40에서 상기 각각의 홈 226의 폭보다 조금 적은 두께를 갖고 있다) 상기 절삭면 237은 상기 골에 평행한 부들의 원주크기만큼 걸치지 않으므로(이는 미국 특허출원번호 08/607/607에 공개된 바와 같다), 상기 절삭력은 제한된 부분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사용동력이 줄어들고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 사이에서 핀치압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비록 상기 음각(relief)들 238은 직접적으로 상기 절삭 프로세스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그들이 제시하는 오목면 윤곽은 상기 오목부 226으로 접근하는 중에 상기 절삭면 237의 전단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믿어진다.
상기 암 기어 40의 중심 이 부분 222(도 2A-2C)와 상기 수기어 41의 중심 이 부분 230(도 3A-3C)은 각각 중심부에 서로 평행하고 같은 폭을 갖는 환형 홈 239와 240을 위치시킨다.
제작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상기 기어들 40과 41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비록 다른 적절한 재료들(일반적으로 금속)이 바라는 대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박판 또는 철판에서 스탬핑 또는 레이저 절단함으로서 상기 원판 부재들이 경제적으로 성형되게 하는 두께를 가급적 갖는 축방향으로 나란한 원판 부재들 더미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 도 2와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기어들은 바람직하게는 짝을 이루는 원판 부재들과 원판 부재들 사이의 홈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약간의 변형을 제외한 모두 일정하게 같은 두께를 갖는 다섯 개의 다른 평면 원판 부재들 243-247로 구성된다. 그러나, 약간 다른 두께를 갖는 다른 수의 원판 부재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축방향 부품을 성형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하나의 두꺼운 원판 부재가 복수의 원판 부재들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판 부재들 243과 244는 도 4A와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의 단면부를 갖고 그 이 260과 261은 원주상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진 돌출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허브들(hubs) 264와 265로부터 방사상 밖으로 연장한다. 상기 원판 부재들 243과 244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 267과 268을 갖고 이들은 각각 핀들과 축에 장착하기 위한 중심구 269와 27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기어 40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원판 부재 243은 종동기어로서 허브 264내에 세 개의 원주상으로 균등하게 간격을 두고 떨어진 결합핀들을 위한 구멍들 267과 종동축 상에서 키를 수용하기 위한 키 홈 273을 갖는 중심구 269를 갖는다. 상기 다른 원판 부재 244는 상기 수기어 41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예를 들면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결합핀 구멍들 268을 갖는다. 한편, 상기 원판 부재 244는 (도 4A의) 키 홈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구들과 중심구들을 제외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판 부재들은 (크기 및 형태가) 동일하다.
상기 원판 부재들 245와 246은 원형 형상을 갖고 상기 원판 부재 247은 상기 절삭면 237과 상기 음각 238을 형성하도록 가리비 모양의 테가 둘러진 거의 원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원판 부재들 245와 246은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같고 그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브 264/265의 직경과 같으며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원판 부재들 243/244의 돌출부 또는 이 260/261이 방사상 밖으로 연장한다. 상기 원판 부재 247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판 부재들 245와 24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원판 부재 245는 상기 암 기어 220을 구성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이가 있는 원판 부재 243과 같이 연결구멍들 267/278과 키 형상의 중심구 279를 갖고 있다. 유사하게 상기 원판 부재들 246/247은 상기 수기어를 형성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이가 있는 원판 부재 244와 같이 연결구멍들 267/278과 중심구 286/287을 갖고 있다.
여덟 개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3과 네 개의 작은 직경 원판 부재들 245는 도 2B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기어 40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다. 세 개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3(도 4A)은 각각 외측 부분 224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나란히 정렬되어 쌓인다. 상기 중심 부분 222는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상기 외측 원판 부분들 224의 이와 나란히 정렬되는 이를 갖는 두 개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3 사이에 끼워진 두 개의 더 작은 원판 부재들 245로 구성된다. 상기 좀 더 작은 원판 부재들 245는 상기 이가 있는 기어부재들 245와 떨어져 간격을 이루고 이에 따라 그 사이에서 상기 환형의 중심홈 239를 형성한다. 각각의 측면 부분 224는 소직경 원판 부재 243에 의해 상기 중심 부분 222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분과 외측부분 사이에는 환형의 홈 또는 홈 부분 226을 형성한다. 상기 원판 부재들은 리벳 또는 핀과 같은 결합 부재들 290에 의해 합쳐지고 상기 결합부재들은 상기 결합 리벳을 받아들이기 위해 축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된 원판 부재들 243/245 내의 구멍들 267/278을 통해 연장한다. 상기 원판 부재들을 단단히 합치기 위해 다른 적절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원판 부재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지지축에 용접될 수 있다.
여덟 개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4, 두 개의 소직경 원판 부재들 246 및 두 개의 대직경 원판 부재들 24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기어 41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다. 세 개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4는 각각 외측 부분 233을 구성하기 위해 서로 나란히 정렬되어 쌓인다. 상기 중심 부분 230은 서로 나란히 정렬되고 상기 외측 원판 부분들 233의 이와 나란히 정렬되는 이를 갖는 두 개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4 사이에 끼워진 두 개의 더 작은 원판 부재들 2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좀 더 작은 원판 부재들 246은 상기 이가 있는 기어부재들 244와 떨어져 간격을 이루고 이에 따라 그 사이에서 상기 환형의 중심홈 239를 형성한다. 각각의 측면 부분 233은 대직경 원판 부재 247에 의해 상기 중심 부분 23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분과 외측부분 사이에는 펀칭 부분 232를 형성한다. 상기 원판 부재들은 리벳 또는 핀과 같은 결합 부재들 293에 의해 합쳐지고 상기 결합부재들은 상기 결합 리벳을 받아들이기 위해 나란히 정렬된 원판 부재들 내의 구멍들을 통해 연장한다. 다시, 상기 원판 부재들을 단단히 합치기 위해 예를 들면 용접과 같은 다른 적절한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부싱(bushing) 29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 부재들의 중심구들 270/286/287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명백하게 상기 기어들 40과 41은 상기 기어들의 맞물리는 중심부분과 외부부분때문에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맞물림 기어들은 그 사이에 상기 원자재의 겹쳐는 횡측부분을 인발하고 그러는 동안 상기 원자재 내에 눌림자국과 톱니자국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원자재를 압인한다(기계적으로는 영구적으로 변형시킨다). 동시에 상기 인접한 이의 부분들의 이 234(도 3A)를 걸치는 절삭면 237은 상기 암 나사 40의 이 220(도 2A)을 지나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상기 기어들의 물림에서 상기 나란한 절삭면들과 암 기어 이는 상기 원자재의 인접부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반면에 상기 절삭면들은 탭부의 각 측면에서 상기 겹침층들의 각각을 통해 슬릿을 구성하는 전단운동을 공동으로 일으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형성된 부드러운 에지면의 탭부는 상기 펀치부 237에 의해 펀치되며 이러한 "펀칭"은 상기 탭들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들을 절삭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과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제품은 개략적으로 375로 도시된다. 상기 완충제품은 적어도 낱장-형태의 재료의 최소 2층 및 바람직하게는 3층(더미) 377-379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층들은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이고 재활용되며 재사용가능한 크래프트(Kraft) 종이로 구성된다. 상기 층들 377-379는 상기 중심부들에서 접혀지고 28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고/또는 겹쳐진 옆면부를 갖고 있다. 상기 겹쳐지고 삽입된 부들 282는 중심봉합부 또는 밴드 383을 따라 함께 스티칭된다. 상기 스티칭 기어에 의해 만들어진 스티칭 패턴은 내측방향의 눌림자국들 389와 교대하는 외측방향의 눌림자국들 388의 중심줄 387을 포함한다. 상기 눌림자국들의 중심줄은 각 측면에서 탭들 391의 줄 390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상기 탭들은 옆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슬릿들 393에 의해 정의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중심줄의 인접한 눌림자국의 반대측 방향으로 상기 원자재 층으로부터 눌려지고 펀치된다.
상기 기어들 40과 41을 구성하는 원판 부재들은 특수한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바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스티칭 기어들의 외측 부분들은 좀 더 좁은 폭의 스티칭을 위해 요구된 바와 같은 하나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의 수는 더 넓은 부분 또는 부분들을 제공하기 위해 증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스패이서(spacer) 원판 부재와 펀치 원판 부재의 수는 다른 특징들을 상기 합성 완충스트립에 부여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특수한 바람직한 예로서, 이가 있는 두 개의 원판 부재들 244는 각각의 외측 부분 233을 구성하기 위해 서로 이를 나란히 하여 쌓여질 수 있고 상기 중심 부분 230은 두 쌍의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4 사이에 삽입된 두 개의 좀 더 작은 직경의 원판 부재들 246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판 부재들 244는 서로 나란하고 상기 외측 원판 부분들 233의 이와 나란히 정렬된 이를 갖고 있다.
부수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완충제품에 대한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의 배치는 필요하거나 요구된다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암 기어-형상 부재 40은 직접적으로 상기 원자재 층들 377-379의 겹침 옆면 282와 접촉하고 거기서 상기 탭 391은 상기 완충제품의 측면(도 6에서 상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한다. 그러나, 특수한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은 서로 반대로 될 수 있거나(상기 축들 43 및 44의 구동/공회전 배치에 적합한 적절한 변경으로) 상기 성형 조립체 31의 방위가 거꾸로 될 수 있다. 그러한 역전 또는 반전으로 상기 수 기어-형상 부재 41은 직접 상기 원자재 층들의 겹침 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탭들 391은 상기 완충제품의 반대측 면(도 6의 밑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할 것이다.
부수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을 구성하는 상기 원판 부재들의 형상 그리고/또는 크기는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 기어-형상 부재 41(또는 만일 상기 기어-형상 부재 41이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다면 상기 절삭휠 232)의 절삭 원판 247을 참조하면, 그 직경은 상기 탭 슬릿의 깊이를 변경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 사이의 핀치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면들 237의 원주 사이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고/또는 상기 음각 238의 형상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가 있는 원판 부재들 243과 244(또는 만일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이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다면 상기 돌출부들 220과 234를 포함하는 부분들)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들 220/234의 수는 증가/감소될 수 있다. 특수하게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41 각각이 열 개의 돌출부들 220/234를 포함하도록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 패턴에서 이러한 변경은 상기 절삭휠 232 그리고/또는 절삭 원판 247에 유사한 변경사항을 물론 요구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부 220과 234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특수하게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돌출부 220과 234의 형상은 맞물리는 돌출부 사이에서 "좀 더 큰 경사면" 또는 "확장된 틈"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대부분 종래의 기어배치에서 이것은 가능하면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배치가 좀 더 높은 밀도의 패드가 요구될 때와 같은 상황에서 이로울 수 있는 좀 더 확실한 압인공정을 제공한다는 개념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확장된 틈"을 갖는 돌출부는 상기 압인면과 상기 기어-형상 부재 40과 41사이의 핀치압 사이의 직접적이고 두드러지며 예측가능한 관계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제품의 압인면은 그 밀도에 대응하므로 완충제품의 밀도는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 사이의 핀치압을 조절함으로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완충재 제조장치 15는 운전자가 주문대로 상기 완충제품의 밀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게 하도록 상기 압인기어에 사용가능하게 결합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조종 메커니즘은 예를 들면, 국제특허출원 번호 PCT/US96/10800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완충제품의 밀도조절을 쉽게 하도록 하는 접근가능한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 40과 41의 핀치압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 상기 부재들 40과 41 사이의 핀치압의 좀 더 쉬운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유동축 배치를 미국특허출원번호 08/487,179에 도시된 배치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 220과 234의 형상으로의 바람직하게 가능한 변경은 상기 기어 원판 243 및 244(도 6)를 도 7에 도시된 기어 원판 1243 및 1244로 교체하는 상황에서 설명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경우에서 이루어진 상기 변형된 돌출부를 기어-형상 부재 40과 41로 합치는 것은 가능하고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변형 돌출부는 단지 압인결합 그리고/또는 천공/압인 결합을 위해 이로울 수 있다.
상기 도시된 기어-형상 부재 40/41에서 상기 기어 원판 243과 244의 이 260과 261은 종래의 기어 방식으로 성형되므로 서로 단단히 맞물릴 때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나타난다. 본 발명의 상황에서 "단단히 맞물린다" 것은 돌출부 260의 상부부분(top land)이 돌출부 261 사이에서 저부부분(bottom land)에 접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완충재 제조 장치 15의 실제 작동 중에 원자재의 층들은 상기 이 260과 261에 의해 상기 돌출부들 220과 234 사이에 있을 것이고 그로 인해 그것들은 아주 단단히 맞물릴 것이다. 게다가, 심지어 종래의 건식기어도 보통 서로 아주 단단히 맞물리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8 또는 도 9의 도시는 의도된 작동 배치를 보이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에서 상기 원판 243과 244는 상기 원판 244의 이뿌리 원에 수직하게 위치된 이 260의 깊이 방향으로 단단히 맞물리게 도시된다. 이렇게 단단히 맞물린 조건에서 상기 이 260은 두 개의 인접한 인 261의 측부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 261 사이의 공간을 막고 있다. 이러한 접촉은 상기 이 260/261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것이고 특히 상기 평평한 저부부분, 상기 평평한 상부부분 및 상기 가파른 필렛 반경에 따른 것이다.
도 9에서 상기 원판 1243과 1244는 상기 원판 1244의 이뿌리 원에 수직하게 위치된 이의 1260의 깊이만큼 단단히 맞물린 것이 도시되어 있다. 심지어 이렇게 단단히 맞물린 상태에서도 상기 이 1260은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이 1261의 측부를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간격" 또는 "경사"는 상기 이 1260/1261의 새로운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것이고, 특히 인접한 이 사이에서 포물선 골을 형성하는 상기 반-원형의 저부부분, 상기 대체로 날카로운 상부부분 및 상기 점진적인 필렛 반경에 따른 것이다.
만일 상기 기어-형상 부재 40과 41이 상기 확장된 틈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변경된다면 이에 따라 형성된 스티칭 자국 388/389의 중심줄 387과 인접한 외측방향의 눌림자국 388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걸치는 한 줄의 탭 391(도 10에서 위에서 바라볼 때)을 포함한다. 상기 탭의 391의 높이는 상기 눌림자국 388/389의 좀 더 현저한 윤곽에 따른 높이보다 적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임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동 등한 정도의 변형과 수정이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한 산업계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스티칭 기어는 하나 이상의 원자재 층의 겹침부를 스티칭하는 다른 타입의 장치와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그러한 동등한 정도의 변형 및 수정구성 등을 모두 포함한다.

Claims (26)

  1. 낱장-형태의 원자재를 원자재의 겹침부를 갖는 3차원 완충재 스트립으로 변환시키는 성형조립체(31)와 공급/연결조립체(3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연결조립체(32)는 기어-형상 부재들(40,41)의 회전 중에 맞물려 결합하는 다수의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220, 234)을 각각 갖는 제 1 기어부재(40)와 제 2 기어-형상 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어-형상 부재(40)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26)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의 겹칩부를 상호결합(interlocking)하기 위한 적어도 한 줄의 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자재의 겹침부 내에 슬릿들(393)의 줄을 절삭하기 위해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40,41)의 회전 중에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는 상기 오목부(226) 내에 수용되는 절삭면들(237)을 포함하며,
    상기 절삭면들(237)은 상기 인접한 돌출부들(234)의 방사상 외측 끝단들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의 인접한 돌출부들(234)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며, 인접한 돌출부들(234) 사이의 원주 간격보다 적은 원주 사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2. 기어-형상 부재들(40,41)의 회전 중에 맞물려 결합하는 다수의 방사상 밖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220, 234)을 각각 구비하는 제 1 기어-형상 부재(40)와 제 2 기어-형상 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어-형상 부재(40)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26)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의 겹칩부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한 줄의 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자재의 겹침부 내에 슬릿들(393)의 줄을 절삭하기 위해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40,41)의 회전 중에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는 상기 오목부(226) 내에 수용되는 절삭면들(237)을 포함하며;
    상기 절삭면들(237)은 상기 인접한 돌출부들(234)의 방사상 외측 끝단들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의 인접한 돌출부들(234)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며, 인접한 돌출부들(234) 사이의 원주 간격보다 적은 원주 사이의 크기를 갖는,
    3차원 완충재 스트립을 생산하기 위해 함께 겹쳐진 원자재의 에지부를 스티칭하기 위한 스티칭 조립체(3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은 상기 인접한 돌출부들(234)에 대해 방사상으로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의 외부 반경은 상기 돌출부들(234)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의 외부 반경은 상기 돌출부들(234)의 피치원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는 상기 돌출부들(234) 사이의 간격을 방사상으로 걸치는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을 갖는 절삭휠(232)을 포함하고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은 상기 절삭면들(2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은 각각 상기 절삭면(237) 각각의 방사상 측면을 둘러싸는 오목한 에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은 각각 상기 오목한 에지면을 형성하는 음각(2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238)은 상기 절삭면(237)의 한 방사상 에지로부터 최소한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의 방사상 끝면까지 연장하는 반원형 노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0. 낱장-형태의 원자재를 원자재의 겹침부를 갖는 3차원 완충재 스트립으로 변환시키는 성형조립체(31)와 압인조립체(32)를 포함하고,
    상기 압인조립체(32)는 제 1 기어-형상 부재(40)와 제 2 기어-형상 부재(41)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기어-형상 부재(40, 41)는 기어-형상 부재들(40,41)의 회전 중에 맞물려 결합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돌출부들(220, 234)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들(220,234)은 맞물림 돌출부들 사이에 확장된 틈(backlash)이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틈은 그 상부부분이 다른 기어-형상 부재의 저부부분에 접촉하게 위치되고 그 깊이 방향은 상기 다른 부재의 이뿌리 원에 수직하게 위치될 때 돌출부의 양 방사상 측면들 상에 반경방향의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반원형 저부부분들, 대체로 날카로운 상부부분들, 그리고/또는 인접한 이 사이에서 포물선 골들을 형성하는 점진적인 필렛 반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형상 부재(40)는 최소 하나의 오목부(226)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의 겹칩부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한 줄의 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자재의 겹침부 내에 슬릿들(393)의 줄을 절삭하기 위해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40,41)의 회전 중에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2)는 상기 오목부(226)에 수용되는 절삭면들(2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은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의 인접한 돌출부들(234)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인접한 돌출부들(234) 사이의 원주 간격보다 적은 원주 사이의 크기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형상 부재들(40,41) 사이의 핀치압을 조절하는 조절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재 제조 장치(15).
  1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완충재 제조 장치(15)에 의해 제작된 완충제품.
  17. 겹칩부들(282)을 갖는 최소 한 층의 원자재(377,378,379)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겹칩부들은 내측방향의 눌림자국들(389)과 교대하는 한 줄의 외측방향의 눌림자국들(388)을 포함하고
    상기 탭들(391)의 높이는 상기 눌림자국들(388)의 높이보다 작은 깔개 제품(375).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391)은 횡측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부드러운-에지 슬릿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눌림자국들의 줄 중 상대적으로 인접한 눌림자국의 반대측 방향의 원자재의 층으로부터 펀치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개 제품(375).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은 상기 인접한 돌출부들(234)에 대해 방사상으로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의 외부 반경은 상기 돌출부들(234)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들(237)의 외부 반경은 상기 돌출부들(234)의 피치원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형상 부재(41)는 상기 돌출부들(234) 사이의 간격을 방사상으로 걸치는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을 갖는 절삭휠(232)을 포함하고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은 상기 절삭면들(2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은 각각 상기 절삭면(237) 각각의 방사상 측면을 둘러싸는 오목한 에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238)은 상기 절삭면(237)의 한 방사상 에지로부터 최소한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의 방사상 끝면까지 연장하는 반원형 노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238)은 상기 절삭면(237)의 한 방사상 에지로부터 최소한 상기 골에 나란한 부분들(236)의 방사상 끝면까지 연장하는 반원형 노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칭 어셈블리(32).
  26. 제2항 및 제19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티칭 조립체(32)에 의해 제작된 완충제품.
KR1020017004183A 1998-10-02 1999-10-01 스티칭 조립체를 갖는 완충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690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1998P 1998-10-02 1998-10-02
US60/102,919 199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835A KR20010088835A (ko) 2001-09-28
KR100690097B1 true KR100690097B1 (ko) 2007-03-08

Family

ID=2229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183A KR100690097B1 (ko) 1998-10-02 1999-10-01 스티칭 조립체를 갖는 완충재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87029B1 (ko)
EP (1) EP1117524B1 (ko)
JP (2) JP4460778B2 (ko)
KR (1) KR100690097B1 (ko)
CN (1) CN1125716C (ko)
AT (1) ATE241462T1 (ko)
AU (1) AU752282B2 (ko)
DE (1) DE69908389T2 (ko)
GB (1) GB2361693A (ko)
HK (1) HK1041849B (ko)
WO (1) WO20000201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6814B1 (en) * 2000-06-09 2005-11-09 Ranpak Corp. Dunnage conversion machine with grippers and method for its use
ATE345209T1 (de) * 2000-08-24 2006-12-15 Ranpak Corp Polsterumwandlungsmaschine, verfahren zur deren benutzung und polstermaterial
US7740573B2 (en) * 2004-06-25 2010-06-22 Ranpak Corp. Dunnage conversion machine with floating guides
CN101970221B (zh) 2007-09-24 2015-01-14 兰帕克公司 垫料转换机及其方法
CZ2008844A3 (cs) * 2008-12-24 2010-04-28 Servisbal Obaly S.R.O. Vložka
US10905155B2 (en) * 2013-09-02 2021-02-02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riable crimped web material
DE102013015875A1 (de) * 2013-09-23 2015-03-26 Sprick Gmbh Bielefelder Papier- Und Wellpappenwerke & Co. Perforationswerkzeug für eine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Fertigen eines Füllmaterialerzeugnisses und Vorrichtung zum maschinellen Fertigen eines Füllmaterialerzeugnisses
WO2018005902A1 (en) * 2016-06-30 2018-01-04 Ranpak Corp. Dunnage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and dunnage product
US20190344523A1 (en) 2016-10-11 2019-11-14 Sealed Air Corporation (Us)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void fill packaging material
DE102017109851A1 (de) * 2017-05-08 2018-11-08 Sprick Gmbh Bielefelder Papier- Und Wellpappenwerke & Co. Vorrichtung zum Fertigen eines Polsterproduktes
KR102637743B1 (ko) * 2020-10-26 2024-02-19 (주) 진일에스앤피 인쇄지 정합 장치
DE102021125078A1 (de) 2021-09-28 2023-03-30 Sprick Gmbh Bielefelder Papier- Und Wellpappenwerke & Co. Verpackungspolsterstreifen
WO2023052438A1 (de) * 2021-09-28 2023-04-06 Sprick Gmbh Bielefelder Papier- Und Wellpappenwerke & Co. Stempelzahnrad, siegelzahnrad, prägezahnradpaar und vorrichtung zum umformen eines bahnmaterials in ein polstererzeugnis
DE102021125089A1 (de) 2021-09-28 2023-03-30 Sprick Gmbh Bielefelder Papier- Und Wellpappenwerke & Co. Stempelzahnrad, Siegelzahnrad, Prägezahnradpaar und Vorrichtung zum Umformen eines Bahnmaterials in ein Polstererzeugni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7074A (en) * 1967-12-04 1973-02-20 Hoerner Waldorf Corp Deadened crease
JPH01295838A (ja) * 1988-05-25 1989-11-29 Hiroo Ichikawa 複合コルゲート体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DE3903382A1 (de) * 1989-02-04 1990-08-09 Franz Sperner Schuettfaehiges packmaterial
US4937131A (en) * 1989-03-15 1990-06-26 Ranpak Corp. Cushioning dunnage pad with stitching perforations
US4968291A (en) * 1989-05-03 1990-11-06 Ranpak Corp. Stitching gear assembly having perforating projections thereon, for use in converter adapted to produce pad-like cushioning material, and method
US5910079A (en) * 1992-12-14 1999-06-08 Strapa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cushioning members
US5755656A (en) * 1995-06-07 1998-05-26 Ranpak Corp.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with independent edge connecting
US6035613A (en) * 1995-06-07 2000-03-14 Ranpak Corp.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with stitching assemblies
GB2332193B (en) 1997-12-12 2000-03-08 Ranpak Corp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cushioning conversion method and method of assembling a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EP1062090B1 (en) * 1998-03-09 2012-10-24 Unipal International, Ltd. Co. Apparatus and method for scoring and folding shee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79199A (en) 2000-04-26
GB2361693A (en) 2001-10-31
US6387029B1 (en) 2002-05-14
DE69908389T2 (de) 2004-04-22
WO2000020196A3 (en) 2000-09-28
HK1041849A1 (en) 2002-07-26
GB0109053D0 (en) 2001-05-30
DE69908389D1 (de) 2003-07-03
WO2000020196A2 (en) 2000-04-13
ATE241462T1 (de) 2003-06-15
CN1125716C (zh) 2003-10-29
HK1041849B (zh) 2004-07-16
AU752282B2 (en) 2002-09-12
JP2002526286A (ja) 2002-08-20
JP4460778B2 (ja) 2010-05-12
CN1328500A (zh) 2001-12-26
JP2010115923A (ja) 2010-05-27
EP1117524A2 (en) 2001-07-25
EP1117524B1 (en) 2003-05-28
KR20010088835A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097B1 (ko) 스티칭 조립체를 갖는 완충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426586B1 (ko) 봉합조립체를이용한완충재변환장치및방법
KR0174270B1 (ko) 패드형 포장재 제조용 봉합장치 및 이 봉합장치를 이용한 포장재 제조방법과 장치
US4087302A (en) Method for forming a structural panel
EP0857106B1 (en) Compact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using pre-folded paper
US6207249B1 (en) Cushioning product and method with stitching
US5807229A (en) Cushioning conversion machine with stitching wheels having hook projections
US5636559A (en) Elastomeric scrap ejector for a cutting die
JP2008183763A (ja) 緩衝材製造装置
CA2205408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jecting cut corrugated board from a cutting die
US3827321A (en) Rotatable resilient punch and die cutter apparatus
RU2308377C1 (ru) Устройство тиснения
CN216708486U (zh) 一种纸箱开槽印刷机模切辊间隙调节装置
WO1999016614A1 (en) Method, machine and stock material for making folded strips
US1544940A (en) Machine for producing separating partitions for carrying fragile objects
JP2003039390A (ja) 段ボールシート打抜き型、その製造方法及び罫線補助部材成形体
JP2005305922A (ja) クッションシート、波割り加工装置、及び波割り加工方法
RU2301150C2 (ru) Каландр
RU2315696C2 (ru) Каландр
GB1583375A (en) Structural pa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JP2004262538A (ja) 緩衝材及び該緩衝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