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84B1 -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 Google Patents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84B1
KR100690084B1 KR1020060107145A KR20060107145A KR100690084B1 KR 100690084 B1 KR100690084 B1 KR 100690084B1 KR 1020060107145 A KR1020060107145 A KR 1020060107145A KR 20060107145 A KR20060107145 A KR 20060107145A KR 100690084 B1 KR100690084 B1 KR 10069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oor
pinion
cylind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이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Priority to KR102006010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 열쇠가 꽂혀 맞물리는 열쇠삽입구를 갖추고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열쇠삽입구를 개구하는 가이드라인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열쇠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자물쇠 기능을 하면서 상기 출입문의 실외 쪽에 배치되는 실외실린더와, 말단이 상기 가이드라인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열쇠삽입구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열쇠삽입구로 삽입되는 열쇠의 압력으로 이동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를 출입문의 바깥쪽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부재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레버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출입문의 실내 쪽에 배치되는 실내실린더와, 상기 실외실린더 및 실내실린더 사이인 상기 출입문의 안쪽에 배치되어서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실외실린더 및 실내실린더가 회전하면 동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실외실린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실외실린더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피니언의 회전과는 연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걸림구의 말단이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맞물림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실외실린더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의 회전과 맞물려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출입문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빗장과, 상기 빗장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경사져서 경사면을 이루는 캠을 구비한 손잡이; 제1전선과 통전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일단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이격대와, 상기 제2전선과 통전하며 상기 이격대를 매개로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되 타단은 상기 제1전극 쪽으로 휘어져서 제1전극과 접촉하고 말단은 상기 제1전극으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는 경사부를 갖는 제2전극을 갖추며, 상기 제2피니언과 연동하여 수평이동하는 스위치용 렉; 상기 출입문의 실외 쪽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고정지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용 렉의 제2전극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제2전극이 통과할 수 있는 인입홈을 갖추되 상기 인입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2전극의 경사부와 맞물려서 상기 제2전극을 제1전극으로부터 벌어지게 안내하는 사면이 형성된 이동식 고정부를 구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덮어 폐구하면서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개구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출입문에 절개된 레일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슬라이딩판을 구비한 덮개; 및 일측면이 상기 캠의 경사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덮개가 폐구된 위치에서의 상기 슬라이딩판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가 이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이동홈을 갖는 고정대와, 이동자를 탄발지지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Power distributor linked the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이 적용된 출입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따른 배전반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이 적용된 출입문의 내측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손잡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작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포함된 스위치와 스위치용 렉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장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출입문 100 ; 배전반
101 ; 레일 102 ; 조작공간
103 ; 가이드홈 110 ; 스위치
111 ; 버튼부 112 ; 이동식 고정부
113 ; 인입홈 114 ; 사면
120 ; 스위치용 렉 121, 122 ; 제1,2전극
123 ; 이격대 200, 200' ; 손잡이
210 ; 핸들 220 ; 실외실린더
220 ' ; 실내실린더
221 ; 걸림구 222 ; 가이드라인
223 ; 연동홈 231, 232 ; 연결대
233 ; 회전축 234, 234' ; 걸림축
235 ; 걸림돌부 240 ; 제2피니언
241 ; 회전홈 242 ; 맞물림홈
250 ; 스토퍼 251 ; 고정대
252 ; 이동홈 253 ; 이동자
254 ; 맞물림돌기 255 ; 롤러
256 ; 마찰자 257 ; 안내홈
258 ; 스프링
260 ; 제1피니언 262 ; 걸림홈
270 ; 빗장 280 ; 캠
본 발명은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기는 배전반과 같은 장비를 통해 실내 곳곳으로 배전된다. 이때, 거주자는 상기 배전반을 조작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전반은 실내에 위치하여 실내에서 이를 조작한다. 하지만, 상기 배전반의 위치가 대부분 쉽게 눈에 띄지 않는 곳이어서 거주자가 이를 조작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전기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선의 저항과 미세한 누전현상 등으로 조금씩 소비된다. 하지만, 이러한 작은 소비도 계량기를 통해 확인되므로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에 대한 과금이 이루어져서 소비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소비는 전체적으로 볼 때 기대 이상의 전기 낭비를 초래하여 국가적으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전반의 위치를 거주자가 항시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배치하고, 불필요한 곳으로의 전기공급을 항시 확인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절전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
열쇠가 꽂혀 맞물리는 열쇠삽입구를 갖추고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열쇠삽입구를 개구하는 가이드라인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열쇠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자물쇠 기능을 하면서 상기 출입문의 실외 쪽에 배치되는 실외실린더와, 말단이 상기 가이드라인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열쇠삽입구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열쇠삽입구로 삽입되는 열쇠의 압력으로 이동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를 출입문의 바깥쪽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부재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레버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출입문의 실내 쪽에 배치되는 실내실린더와, 상기 실외실린더 및 실내실린더 사이인 상기 출입문의 안쪽에 배치되어서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실외실린더 및 실내실린더가 회전하면 동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실외실린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실외실린더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피니언의 회전과는 연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걸림구의 말단이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맞물림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실외실린더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의 회전과 맞물려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출입문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빗장과, 상기 빗장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경사져서 경사면을 이루는 캠을 구비한 손잡이;
제1전선과 통전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일단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이격대와, 상기 제2전선과 통전하며 상기 이격대를 매개로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되 타단은 상기 제1전극 쪽으로 휘어져서 제1전극과 접촉하고 말단은 상기 제1전극 으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는 경사부를 갖는 제2전극을 갖추며, 상기 제2피니언과 연동하여 수평이동하는 스위치용 렉;
상기 출입문의 실외 쪽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고정지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용 렉의 제2전극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제2전극이 통과할 수 있는 인입홈을 갖추되 상기 인입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2전극의 경사부와 맞물려서 상기 제2전극을 제1전극으로부터 벌어지게 안내하는 사면이 형성된 이동식 고정부를 구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덮어 폐구하면서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개구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출입문에 절개된 레일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슬라이딩판을 구비한 덮개; 및
일측면이 상기 캠의 경사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덮개가 폐구된 위치에서의 상기 슬라이딩판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가 이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이동홈을 갖는 고정대와, 이동자를 탄발지지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갖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이동자의 일측면에 경사면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이 적용된 출입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따른 배전반의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는 각 가정의 현관문과 같은 출입문(10)에 설치되어서, 거주자의 출입시 배전반(10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가정에 공급되는 전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는 상기 배전반(100)이 출입문(10)의 손잡이(200)와 연동하도록 되어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거주자가 손잡이(200)를 조작하면 배전반(100)이 제어가능한 환경이 되고, 거주자는 이러한 배전반(100)을 조작하여 실내 전기배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전반(100)의 스위치(110)는 실외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거주자 이외에 허가되지 않은 사람이 상기 스위치(11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상기 스위치(110)를 덮는 덮개(13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130)는 출입문(10)과 다양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덮개(130)가 미닫이 방식으로 되며, 이를 위해 출입문(10)에는 상기 덮개(13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01)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130)의 배면에는 상기 레일(101)과 맞물려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미도시함)가 형 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덮개(130)의 안쪽에는 일정범위로 절개 형성된 조작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간(102)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위치(11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13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치(110)를 갖는 조작공간(102)을 개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이 적용된 출입문의 내측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손잡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출입문(10)의 손잡이(200, 200')는 실내와 실외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데, 실외에 있는 손잡이(200)의 핸들(210)은 거주자의 열쇠가 끼워져서 이를 돌리면 빗장을 걸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실외실린더(220)를 갖추고, 실내에 있는 손잡이(200')의 핸들은 거주자가 열쇠없이 빗장을 걸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실내실린더(220')를 갖는다. 즉, 실외에 있는 손잡이(200)의 실외실린더(220)는 일반적인 자물쇠 구조를 이루고, 실내에 있는 손잡이(200')의 실내실린더(220')는 거주자가 돌릴 수 있는 레버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200, 200')는 이미 널리 알려진 구조이며, 상기 실내외실린더(220, 220')에 대한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내외실린더(220, 220')는 실외 쪽의 손잡이(200) 및 실내 쪽의 손잡이(200')를 서로 연동시키는 제1피니언(260)과 맞물린다. 이때, 상기 실내외실린더(220, 220')는 연결부(231, 232)를 매개로 상기 제1피니언(260)과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31, 232)는 각 실내외실린더(220, 220')에 형성된 연동홈(223, 223')과 맞물리는 걸림축(234, 234')을 갖추고, 상기 걸림축(234, 234')이 형성된 일면의 대향면에는 걸림돌부(235)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걸림돌부(235)는 제1피니언(260)에 형성된 걸림홈(262)과 맞물린다.
결국, 두 곳의 상기 실내외실린더(220, 220') 중 하나만 회전하면, 다른 한 곳의 실내외실린더(220, 220')와 제1피니언(260)은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피니언(260)은 렉 구조를 갖는 빗장(270)과 맞물린다. 즉, 상기 제1피니언(260)의 톱니(261)와 빗장(271)의 톱니(271)가 서로 맞물려서, 상기 제1피니언(260)이 회전하면 이와 맞물리는 빗장(271)은 제1피니언(260)의 회전방향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것이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외 쪽의 실외실린더(220)에 정상적인 열쇠가 꽂혀서 회전하면 상기 실외실린더(220)는 회전하고, 이 실외실린더(220)와 연결부(231)를 매개로 연결된 제1피니언(261) 또한 회전하며, 상기 빗장(270)은 제1피니언(261)의 회전을 따라 수평이동한다.
상기 빗장(270)의 상면에는 캠(280)이 형성된다. 상기 캠(280)은 오른쪽(도 4를 기준으로 함)으로 갈수록 수평 폭이 좁아지면서 그 측면이 경사진 경사면(281)을 이루는데, 아래에서 상기 캠(28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서, 열쇠가 끼워지는 실외 실외실린더(220)와 연결부(231) 사이에 제2피니언(240)이 배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240)은 연결부(231)에 형성된 회전축(233)과 맞물린다. 물론, 상기 제2피니언(240)은 상기 회 전축(233)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회전축(233)이 끼워지는 회전홈(241)이 그 중심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31)는 실외실린더(220)와 제1피니언(260)을 서로 연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매개체로, 걸림을 통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해 상기 연결부(231)의 상호 대향면에는 각각 각이 진 걸림돌부(235) 및 걸림축(234)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축(234)과 연결부(231) 본체 사이에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233)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실외실린더(220)가 회전하면서 제1피니언(26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피니언(240)은 회전축(233)이 원형의 회전홈(241) 내에서 공회전하므로 이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그 동작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실내 쪽의 실내실린더(220')가 회전하면 상기 제1피니언(260)과 실외 쪽의 실외실린더(2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피니언(240)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2피니언(240)은 실외 쪽의 실외실린더(220)가 열쇠의 조작으로 회전할 때만 회전할 수 있도록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실외실린더(220)에는 실외실린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구(221)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피니언(240)에는 상기 걸림구(221)의 말단이 맞물리는 다수의 맞물림홈(242)이 원형의 상기 제2피니언(2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촘촘히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피니언(240)의 정지위치에 제한없이 상기 걸림구(221)가 이동하면 언제든지 상기 맞물림홈(242)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221)가 제2피니언(240) 쪽으로 이동하여서 그 말단이 상기 맞물림홈(242)과 맞물린 후 상기 실외실린더(220)가 회전하면, 상기 실외실린 더(220)의 회전과 더불어 상기 제2피니언(240)은 상기 실외실린더(220)와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피니언(240)은 스위치용 렉(120)과 연동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피니언(240)의 외주면에는 톱니(243)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스위치용 렉(120)의 일면에도 톱니(124)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제2피니언(240)이 회전하면 이와 맞물리는 상기 스위치용 렉(120)은 수평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위치용 렉(120)은 제1전선(L1)과 통전하는 제1전극(121)의 일단과, 제2전선(L2)과 통전하는 제2전극(122)의 일단이 이격대(123)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 고정되고, 상기 이격대(123)와 고정되지 않은 제1,2전극(121, 122)의 타단은 서로 접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전극(122)의 타단은 제1전극(121)을 향해 절곡되어서, 상기 이격대(123)에 의한 간격을 극복하고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122)의 최 타단인 경사부(122a)의 말단은 다시 제1전극(1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1전선(L1)과 제2전선(L2)은 실내 배선된 전선들의 일부분으로, 상기 제1,2전선(L1, L2)의 접촉에 의한 통전을 통해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전선(L1, L2)이 서로 이격되면 해당 전선으로의 전기공급이 단전되어 상기 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각종 전기구가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보면, 상기 제1,2전선(L1, L2)의 접촉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110)가 다수 구비되는데, 이는 실내 배선을 위치적으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전기공급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배 전반의 원리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배전반을 이루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의 작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외 쪽에 위치한 상기 실외실린더(220)는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삽입구(220a)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구(221)는 상기 열쇠삽입구(220a)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221)는 일정한 범위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실외실린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라인(222) 내에 구속된다. 계속해서, 상기 걸림구(221)는 상기 열쇠삽입구(220a) 내에서 바깥쪽, 즉 상기 제2피니언(24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발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쇠삽입구(220)에는 탄발부재(224)가 내설되고, 상기 걸림구(221)는 탄발부재(224)에 고정되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제2피니언(240)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한다. 물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구(221)의 말단이 제2피니언(240)의 맞물림홈(242)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실외실린더(220)와 제2피니언(240) 간의 연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쇠삽입구(220a)에 열쇠(K)가 삽입되면, 상기 열쇠(K)의 말단이 걸림구(221)와 접하여 이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221)는 탄발부재(224)의 탄발력에 저항하면서 제2피니언(240) 쪽으로 이동하고, 결국에는 그 말단이 맞물림홈(242)으로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결국, 상기 걸림구(221)와 제2피니언(240)이 서로 맞물려서, 실외실린 더(220)가 회전하면 상기 제2피니언(240) 또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열쇠(K)가 열쇠삽입구(220a)로부터 이탈하면, 걸림구(221)를 미는 외력이 사라지므로, 상기 탄발부재(224)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기 걸림구(221)가 이동하고, 상기 걸림구(221)의 말단 또한 맞물림홈(242)과 분리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포함된 스위치와 스위치용 렉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 쪽 실외실린더(220)에 열쇠(K)가 삽입되어 회전하면, 걸림구(221)가 제2피니언(240)과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제2피니언(240)의 회전은 스위치용 렉(12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스위치용 렉(120)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위치용 렉(120)과 제2피니언(240)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직접 접촉하여 연동할 수도 있으나, 협소한 출입문(10)의 내부 공간에서 공간활용을 좀더 효율적으로 하면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기어와 같은 연결 매개체를 더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용 렉(120)은 제2피니언(240)과의 연동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스위치용 렉(120)의 인근에는 스위치(110)가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되어서, 버튼부(111)가 상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실내에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버튼부(111)가 하방에 위치할 경우엔 하기의 구조에 따라 스위치용 렉(120)의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이 서로 단락되어 실내에 전기가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튼부(111)는 조작공간(102)에 형성된 가이드홈(103)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동식 고정부(112)는 버튼부(111)를 지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한편, 상기 이동식 고정부(112)의 일지점에는 인임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113)의 내측 일면은 경사진 사면(114)을 이룬다. 그런데, 상기 사면(114)은 상기 스위치용 렉(120)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전극(122)의 경사부(122a)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결국,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10)의 버튼부(111)가 ON 위치인 상방에 위치하면, 상기 스위치용 렉(120)의 이동시 상기 인입홈(113) 및 사면(114)과 접촉하지 못하여 도 6(b)와 같이 상기 스위치용 렉(120)이 간섭없이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110)의 버튼부(111)가 OFF 위치인 하방에 위치하면, 상기 스위치용 렉(120)의 이동시 상기 인입홈(113)으로 상기 제2전극(122)이 삽입되고, 상기 제2전극(122)의 경사부(122a)가 사면(114)과 서로 맞닿으면서 사면(114)의 경사를 따라 밀려 올라가고, 결국에는 상기 사면(114)을 중심으로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즉,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이 전기적으로 끊겨서 해당 제1,2전선(L1, L2)과 연결되는 전기구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제2전극(122)은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실외실린더(220)의 회전과 맞물려 스위치용 렉(120)이 스위치(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더 이상 상기 제2전극(122)을 밀어올리지 못하므로 다시 제1전극(121)과 접촉하여 통전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장의 이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상기 스위치(110)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13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덮개(130)는 상기 레일(101)과 맞물리는 슬라이딩판(131)에 의해 상기 출입문(10)과 고정된다. 이를 위한 상기 슬라이딩판(131)은 상기 덮개(130)의 전면과 연결되어서 'ㄷ'자 형상으로 되고, 'ㄷ'에서 홈(132) 쪽으로 상기 레일(101)의 끝 부분인 출입문(10)의 몸체가 맞물려서, 상기 덮개(130)가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레일(101)의 끝 부분인 출입문(10)의 몸체가 상기 홈(132)으로 삽입되면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레일(10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공간(102) 내에 위 아래로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판(131) 또한 이에 상응해서 상기 덮개(130)의 배면에 한 쌍이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덮개(130)는 조작공간(102)을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면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110)는 가능한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인이 이를 조작하거나 파손하지 못하도록 덮개(130)를 통해 보호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출입문(10)이 닫혀 잠겨 있을 경우에는 외부인이 상기 덮개(130)를 열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장(270)이 돌출되어 출입문(10)이 잠길 경우에는 닫혀 있는 상기 덮개(130)를 외부에서 열 수 없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입문(10)의 내측에는 상기 덮개(1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판(131)의 말단을 지지하는 스토퍼(25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50)는 상기 슬라이딩판(131)의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내측에 돌출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홈(252)을 갖는 고정대(251)와, 상기 이동홈(252)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이동자(253)와, 상기 이동자(253)를 이동홈(252) 내에서 바깥쪽으로 탄발하는 스프링(25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자(253)는 고정대(251)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슬라이딩판(131)과 맞닿을 수 있게 위치하고, 상기 이동홈(252)으로는 맞물림돌기(254)가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258)으로 상기 고정대(251)와 탄발가능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대(251)로부터 돌출된 이동자(253)의 일측면은 상기 캠(280)의 경사면(281)과 맞닿는다. 결국, 상기 빗장(270)의 이동으로 캠(280)이 이동하면, 상기 경사면(281)과 맞닿은 이동자(253)가 경사면(281)의 경사로를 따라 이동한다. 물론, 상기 스프링(258)의 탄발력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자(253)를 밀어내므로, 상기 이동자(253)는 왼쪽(도면을 기준으로 함)으로 이동하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장(270)이 위쪽(도면을 기준으로 함)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자(253)는 경사면(281)을 따라 오른쪽(도면을 기준으로 함)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130)가 닫힌 상태이면 상기 슬라이딩판(131)의 단부가 상기 이동자(253)에 걸려 강제로 열 수 없게 되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에서 열쇠로 출입문을 열거나 실내에서 레버를 돌림으로서 빗장(270)이 이동해야 덮개(130)를 밀어 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면(281)과 이동자(253)의 마찰을 최소로 하기 위해 경사면(281)과 이동자(253)가 접하는 일측면에 롤러(25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 기 출입문(10)의 내측면이 접하는 상기 이동자(253)의 타측면에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마찰자(256)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마찰자(256)는 슬라이딩판(131)의 이동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는 출입문의 실외 쪽에 배전반을 둠으로서, 거주자가 외출시에 실내 전기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이 배전반은 실내 쪽의 출입문 손잡이와는 연동하지 않고, 열쇠로 열고 닫게 되는 실외 쪽의 출입문 손잡이와 연동하면서, 열쇠를 소지한 거주자만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
    열쇠가 꽂혀 맞물리는 열쇠삽입구를 갖추고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열쇠삽입구를 개구하는 가이드라인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열쇠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자물쇠 기능을 하면서 상기 출입문의 실외 쪽에 배치되는 실외실린더와, 말단이 상기 가이드라인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열쇠삽입구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열쇠삽입구로 삽입되는 열쇠의 압력으로 이동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를 출입문의 바깥쪽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부재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레버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출입문의 실내 쪽에 배치되는 실내실린더와, 상기 실외실린더 및 실내실린더 사이인 상기 출입문의 안쪽에 배치되어서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실외실린더 및 실내실린더가 회전하면 동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실외실린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실외실린더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피니언의 회전과는 연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걸림구의 말단이 맞물릴 수 있는 다수의 맞물림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실외실린더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제2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의 회전과 맞물려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출입문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빗장과, 상기 빗장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경사져서 경사면을 이루는 캠을 구비한 손잡이;
    제1전선과 통전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일단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이격대와, 상기 제1전선과의 전기적인 연결여부에 따라 실내 배선된 전선들로의 전기공급이 결정되는 제2전선과 통전하며 상기 이격대를 매개로 상기 제1전극과 이격되되 타단은 상기 제1전극 쪽으로 휘어져서 제1전극과 접촉하고 말단은 상기 제1전극으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는 경사부를 갖는 제2전극을 갖추며, 상기 제2피니언과 연동하여 수평이동하는 스위치용 렉;
    상기 출입문의 실외 쪽 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를 고정지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용 렉의 제2전극의 이동경로 상에 상기 제2전극이 통과할 수 있는 인입홈을 갖추되 상기 인입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2전극의 경사부와 맞물려서 상기 제2전극을 제1전극으로부터 벌어지게 안내하는 사면이 형성된 이동식 고정부를 구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덮어 폐구하면서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개구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 출입문에 절개된 레일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슬라이딩판을 구비한 덮개; 및
    일측면이 상기 캠의 경사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덮개가 폐구된 위치에서의 상기 슬라이딩판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이동홈을 갖는 고정대와, 이동자를 탄발지지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갖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이동자의 일측면에 경사면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KR1020060107145A 2006-11-01 2006-11-01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KR10069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45A KR100690084B1 (ko) 2006-11-01 2006-11-01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45A KR100690084B1 (ko) 2006-11-01 2006-11-01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084B1 true KR100690084B1 (ko) 2007-03-09

Family

ID=3810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145A KR100690084B1 (ko) 2006-11-01 2006-11-01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0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03A (ko) * 1991-06-22 1993-01-15 크누트 샤우에르테. 클라우스 데너 7-이소인돌리닐-퀴놀론- 및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 유도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503A (ko) * 1991-06-22 1993-01-15 크누트 샤우에르테. 클라우스 데너 7-이소인돌리닐-퀴놀론- 및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 유도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20-1993-00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4820B (zh) 旋转式棘爪闩锁
US4063110A (en) Security device
EA007705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безопасных крышках ил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безопасным крышка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штепсельных розеток и аналогичных устройств
US20120025984A1 (en) Lock With Electric Locking Function
CN111226017B (zh) 具有电动锁致动器的插芯锁组件
KR101822760B1 (ko) 푸시풀 도어락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20070068640A (ko) 자동잠김 기능을 갖는 전기정
KR10099659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JPH02147006A (ja) 調理器収納庫
KR100690084B1 (ko) 출입문과 연동하는 주택 내 배전반
KR100704428B1 (ko) 절전효율을 높인 공공주택의 배전구조
KR100699012B1 (ko) 아파트 내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잠금쇠형 전원단락장치
KR100699010B1 (ko) 선택적인 전원차단이 가능한 공공주택 내 도어형 배전기구
KR20030003892A (ko) 도어 록킹장치
KR100834099B1 (ko) 공동주택의 안전형 분배전반
KR100278848B1 (ko) 도어록장치
CZ294473B6 (cs) Patentní vložka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0855734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배선라인 체결구를 갖춘 배전장치
KR100404749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200419667Y1 (ko) 밀폐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