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910B1 -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910B1
KR100688910B1 KR1020000038440A KR20000038440A KR100688910B1 KR 100688910 B1 KR100688910 B1 KR 100688910B1 KR 1020000038440 A KR1020000038440 A KR 1020000038440A KR 20000038440 A KR20000038440 A KR 20000038440A KR 100688910 B1 KR100688910 B1 KR 10068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eptide
lipstick
composition
acid
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480A (ko
Inventor
김지현
조병기
박현구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0003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9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입술의 주름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립스틱 조성물에 함유되는 트리펩타이드는 진피 내부에 다량 존재하는 콜라겐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합성을 촉진시켜 수분보유 효율을 높이고 진피의 탄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입술에 보습효과와 주름개선효과를 부여해준다.
본 발명의 트리펩타이드의 효과는 립스틱 뿐아니라 입술에 적용되는 립글로스, 립밤, 립크림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Lipstick Composition Containing Tripeptide}
립스틱이란 입술에 색채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동시에 입술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입술용 화장료를 말한다.
이러한 립스틱이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으로는 첫째, 입술에 대해 무자극, 무해일 것, 둘째, 불쾌한 맛이나 냄새가 없을 것, 셋째, 매끈하게 묻고, 스며나오지 않으며, 필요한 시간동안 유지될 것, 넷째, 보관 또는 사용중에 잘라지거나 변형 또는 연화되지 않고 스틱상을 유지할 것, 다섯째, 발한, 발분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을 것, 여섯째, 매력적인 외관을 유지하고 색조변화가 없을 것 등이다.
근래, 이와 같은 립스틱의 구비조건들을 만족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하기와 같은 몇가지 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색감 표현력을 증대시켜 아름다운 입술을 표현하기 위한 색소 분산기재에 대한 연구와 고순도로 정제된 색소 등을 사용하여 입술을 아름답게 표현하려 는 연구가 있다.
둘째로, 입술에 무해한 립스틱용 조성물을 찾아 사용하거나, 외부의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입술을 보호하기 위해 물을 첨가하고, 각종 자외선 차단제, 세라마이드 성분 등을 첨가해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줄이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셋째, 입술에서 화장이 번지거나 뭉치지 않고 그대로 입술선을 유지시켜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기재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넷째, 입술의 주름을 개선하거나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등 립스틱에 기본 화장료로서의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분야중 네 번째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입술의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입술 주름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립스틱 제형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경도를 상승시켜 립스틱의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고형성분인 왁스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왁스로는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고형성분들의 함량이 많아지면 립스틱의 경도가 높아 딱딱해지며 사용감이 무거워져 발림성이 떨어지게 되고, 양이 적어지게 되면 발림성은 좋아지지만 고온 안정성이 떨어지고 쉽게 뭉그러지며 립스틱의 묻어나는 양이 많아져 입술이 지저분하게 되고 입술 라인을 따라 번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로, 립스틱 조성물중 가장 많은 비율을 가지고 있는 액상의 유성성분이 있다. 이러한 오일성분으로는 피마자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오일, 실리콘오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유성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색소의 분산성 및 사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라놀린의 경우, 보습력과 부착력이 우수하여 립스틱에서 흔히 사용되는 성분이나, 라놀린 자체가 산화되기 쉬워 변취 및 변색의 우려가 있고, 입술에 부담감을 주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라놀린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증상도 보고된 바 있다.
셋째로, 립스틱의 색상을 결정하는 요소로 색소성분이 있는데, 이러한 색소는 크게 유기색소와 무기색소로 구분되어 진다. 유기색소는 일반적으로 용해성을 가진 것들이 많은데, 이러한 유기색소의 경우 입술의 염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립스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색상이 다양하고 화사하기 때문에 유기색소를 불용성의 레이크로 만든 색소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외에 산화철과 같은 무기 색소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색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서도 립스틱의 물성에 많은 차이를 가져온다.
넷째로,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 영양성분 등의 각종 첨가물이 있으며, 입술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과 입술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자외선 방지제와 특수 영향성분 등이 배합되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는 립스틱을 통해 입술에 보습효과를 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되었다.
첫째로, 직접 물이나 친수성 성분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는데, 립스틱이 주로 오일을 주기제로 사용한다는 특성상, 보습효과 부여를 위해 물이나 친수성 기제를 단순히 혼합할 경우 성형중 부러짐 현상이 발생되거나 분리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쉽게 첨가하기는 어렵다. 또한, 보습효과를 위해 물을 단순히 혼합할 경우 반대로 물이 휘발되어 입술의 건조를 촉진시키거나 내용물의 수축을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인지질의 이중층 구조로서 체내의 수분을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피부내의 수분이 빠져 나오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외부의 수분이나 수용성 물질이 피부내부로 침투하는 것까지 막아주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용성 물질을 피부에 도포하더라도 피부 속까지 작용하기는 어렵다.
둘째, 입술 보호 및 보습을 목적으로 라놀린, 라놀린 유도체, 콜레스테롤 유도체, 알코올기를 포함한 지방산 및 에스테르 계통의 조성물들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오일류를 통해서 입술을 보호하거나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한편, 피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입술에서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피부 내적으로 진피 분해, 즉 활성을 상실하게 되는 피부 깊숙한 곳에서의 구조적인 변화 때문으로서, 주름뿐 아니라 본래의 탄탄함을 잃고 점차 느슨해지게 되어 입술이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립스틱에 입술을 위한 보호 및 보습 기능이 더욱 추가되기를 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입술은 끊임없이 수축 및 팽창 운동을 하여 신체부위중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로서,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자외선 및 대기중의 오염물질, 건조한 기후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쉽게 자극을 받게 된다. 입술의 피부구조는 일반적인 피부구조와는 달리 피지막이 없으며 각질층이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어 천연보습인자와 수분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수분 증발속도도 극히 빠르게 진행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입술은 외부의 자극 요인에 대한 자체 방어 능력이 매우 약하여 심한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입술용 화장료는 다른 화장료에 비해 보다 철저한 보호작용 및 보습 효과 부여 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고 현재 업계의 요구상황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름다운 색감, 발림성 및 사용감 등 립스틱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입술 보호작용 및 보습효과와 같은 기본화장료로서의 기능성을 가지는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입술의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입술 주름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으로써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입술의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입술 주름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립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리펩타이드는 글리실-히스티딜-라이신(Glycyl-Histidyl-Lysi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진피내의 콜라겐과 글루코스아미노글루칸의 합성을 촉진시켜 효율적으로 수분을 보유하고 진피의 탄력을 유지시킴으로 입술에 보습효과와 주름 개선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을 진피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하기와 같다.
진피는 표피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는데, 표피만큼 세포가 빽빽이 채워져 있지 않고 오히려 세포외 공간이 많으며 그 부분은 세포외 매트릭스라 불리우는 거대분자의 망상구조에 의해 채워져 있다.
이와 같은 진피에는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히스타민과 세로토닌을 생산하는 마스트세포(비만세포), 세포외 매트릭스를 합성, 분비하는 섬유아세포 등이 존재한다. 세포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성분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또는 산성 뮤코 다당류와 섬유성 단백질이다.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에는 이것을 구성하는 당의 종류, 황산기의 위치나 수가 다른 몇 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피부에는 히아론산과 더마탄설페이트의 함량이 많다. 이들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은 통상 단백질과 결합하여 프로테오글리칸의 형태로 존재하고, 대량의 수분을 보유하는 겔상이며, 그 속에 섬유성 단백질이 채워진 구조를 하고 있다. 겔내의 수분은 영양분, 대사 산물, 호르몬을 혈관으로부터 조직중의 세포까지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섬 유성 단백질로는 구조에 관여하는 콜라겐, 엘라스틴과 접착에 관여하는 휘브로넥틴 및 라미닌 등이 있다. 콜라겐은 세포외 매트릭스의 주된 단백질이고, 조직의 형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엘라스틴은 서로 가교를 만들어서 조직의 탄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진피는 피부의 탄력성, 장력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콜라겐 및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은 피부의 진피 성분에 많이 들어 있는 물질로 수분과 결합하는 힘이 큰데, 어린이의 피부 콜라겐은 수분과 결합하는 힘이 크므로 싱싱한 피부에는 자연히 수분의 양이 많아 팽팽하고 주름이 없다.
이 외에도 진피에는 혈관, 신경, 털, 입모근(기모근이라고도 한다), 한선, 피지선 등이 있다.
한편,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한 세포외 매트릭스에 접합된 세포의 부분이 점점 약해지며, 상호 작용하는 전체 세포 수와 함께 그 구조의 치밀함도 감소하게 되고, 조직의 3차원 구조도 점차적으로 분해되며 세포외 매트릭스를 합성, 분비하는 섬유아세포의 능력도 감소한다. 즉, 피부는 탄력을 잃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콜라겐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한 많은 의약품과 화장품이 시판되었으며, 대부분은 세포의 성장 요소와 상처치유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트리펩타이드는 글리실-히스티딜-라이신(Glycyl-Histidyl-Lysine) 펩타이드로서, 이 트리펩타이드는 Macquart, Simeon, Wegrowski 등의 연구 자에 의해 구체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연구 결과, 이 천연 트리펩타이드가 진피의 탄력 및 팽창을 증진시키는 콜라겐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합성을 자극하는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입술의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즉, 진피내부에 다량 존재하면서 입술의 보습과 탄력에 주로 관여하는 콜라겐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합성을 증진시켜 입술의 주름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의 트리펩타이드를 사용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트리펩타이드는 수용성 펩타이드이므로 립스틱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는데, 입술의 지질 구조에 적합한 사용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지방산과 결합시켜 립스틱에 사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방산으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아라킨산, 비헤닌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아라키돈산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트리펩타이드와 지방산과의 혼합 왁스타입의 안정화를 위해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의 첨가가 필요하다.
트리펩타이드와 지방산과의 혼합비율은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0.001∼0.10중량% 의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펩타이드와 지방산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왁스타입의 트리펩타이드는 립스틱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0.01∼10.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데, 립스틱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0.01중량% 미만이면 효과적인 보습 및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10.0중량% 이상 사용하게 되면 사용감이 다소 무거워 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를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실시예 및 비교예가 제조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 (단위: 중량%)
No.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파라핀 납 5.0 5.0 5.0 5.0 5.0
2 칸데릴라 납 10.0 10.0 10.0 10.0 10.0
3 세레신 2.0 2.0 2.0 2.0 2.0
4 옥틸도데칸올 20.0 20.0 20.0 20.0 20.0
5 트리옥타노인 5.0 5.0 5.0 5.0 5.0
6 캐스터오일 35.0 - 35.0 35.0 35.0
7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 - 35.0 - - -
8 스쿠알란 10.0 10.0 10.0 10.0 10.0
9 콜레스테롤 유도체 - - 1.0 - -
10 라놀린 오일 - - - 1.0 -
11 수분(물) - - - - 1.0
12 트리펩타이드&지방산 1.0 1.0 - - -
13 색소 10.0 10.0 10.0 10.0 10.0
14 방부제 Qs Qs Qs Qs Qs
15 Qs Qs Qs Qs Qs

이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공정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은 각각 성분 1∼8을 평량하여 85℃에서 균일하게 혼합 용융한 후 성분 13를 넣어 균일하게 분산, 탈포하고 75℃까지 냉각한 후, 9∼12, 14, 15를 넣어 짧은 시간동안 분산하고 립스틱의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한 다.
[시험예 1] 사용효과 시험
피검자 20-30대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각 25명씩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 총 5종의 처방으로 제조된 립스틱을 2개월 동안에 매일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 전후의 입술을 면밀히 관찰하였고, 기기 및 피검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을 근거로 평가하였다.
임상 시험 결과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보습효과 4.6 4.8 3.6 3.9 3.4
입술거칠음 개선 4.5 4.7 3.8 3.7 3.6
입술주름 개선 4.5 4.8 3.1 3.0 2.5
입술피부 자극 4.1 4.7 3.3 2.6 2.7
발림성 3.8 4.6 3.6 3.8 3.3
부착성 4.3 4.5 3.4 3.5 3.4
지속성 4.2 4.6 3.1 3.2 3.5
매우 양호-5점, 양호-4점, 보통-3점, 다소 불만족-2점, 매우 불만족-1점
상기 표 2의 임상 실험 결과를 볼 때, 전체적으로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에 대한 피검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보습효과, 입술거칠음 개선에서는 큰 점수차이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2, 3은 어느 정도 보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나, 주름개선 효과에서는 거의 향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서도 캐스터오일이 함유된 실시예 1보다는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오일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제조된 립스틱의 임상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 났는데, 이것은 캐스터오일 시스템이나 캐스터오일 프리 시스템에서 트리펩타이드의 효과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나, 캐스터오일에 대한 변취, 변색 및 발한의 문제로 피검자에게 거부반응이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립스틱에서도 처방중 캐스터오일을 위와 같은 문제로 완전 제외한 제품이 많으므로, 캐스터오일 프리 시스템으로의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는 경향과 위 결과는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시험예 2] 보습효과 시험
시험예 1의 주관적인 임상시험과 동시에 bioengineering method를 통해 기기적인 수치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Corneometer CM820PC(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입술의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서 피부의 고주파 전기 전도도(conductance)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피부의 수분은 그 피부의 전기 용량과 비례하므로 수분의 절대량은 구할 수 없지만, 제품 사용 전후의 수분량의 비교로 보습효과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방법의 원리이다.
25℃의 실내에서 각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해 5명씩 총 25명의 여성(평균연령 31.5세)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를 하루 3회씩 2개월간 입술에 도포한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0에서 150까지 피부의 수분량을 수치화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보습효과 시험결과
측정시기 위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시험전 윗입술 54 53 52 55 53
아랫입술 54 55 55 50 52
1개월 후 윗입술 77 79 61 60 56
아랫입술 80 82 66 62 58
2개월 후 윗입술 99 108 78 74 68
아랫입술 100 110 75 72 66

상기 표 3의 시험결과로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임상시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기기적인 데이터로 확보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입술의 생리적인 활성을 촉진시켜 입술 주름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으로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아름다운 색감, 발림성 및 사용감 등 립스틱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입술 보호작용 및 보습효과와 같은 기본화장료로서의 기능성을 가지는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9)

  1. 립스틱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트리펩타이드는 글리실-히스티딜-라이신(Glycyl-Histidyl-Lysine) 임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트리펩타이드는 트리펩타이드와 지방산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왁스타입의 트리펩타이드 형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왁스타입의 트리펩타이드에서 트리펩타이드의 혼합비율은 0.001∼0.10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왁스 타입의 트리펩타이드는 립스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아라킨산, 비헤닌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아라키돈산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조성물.
  7. 립글로스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실-히스티딜-라이신(Glycyl-Histidyl-Lysine)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글로스 조성물.
  8. 립밤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실-히스티딜-라이신(Glycyl-Histidyl-Lysine)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밤 조성물.
  9. 립크림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실-히스티딜-라이신(Glycyl-Histidyl-Lysine)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립크림 조성물.
KR1020000038440A 2000-07-06 2000-07-06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KR10068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40A KR100688910B1 (ko) 2000-07-06 2000-07-06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40A KR100688910B1 (ko) 2000-07-06 2000-07-06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480A KR20020003480A (ko) 2002-01-12
KR100688910B1 true KR100688910B1 (ko) 2007-03-08

Family

ID=1967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440A KR100688910B1 (ko) 2000-07-06 2000-07-06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927B1 (ko) 2023-06-20 2023-09-12 커런티브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319A (ko) * 1988-09-09 1990-04-12 제이.더블유.하이넨 화장제 조성물
KR960010833A (ko) * 1994-09-02 1996-04-20 오자와 히데지로 황과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낮은 경유의 제조방법
KR960010833B1 (ko) * 1987-05-11 1996-08-09 프로사이트 코포레이션 궤양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JPH09278631A (ja) * 1987-05-11 1997-10-28 Procyte Corp 毛の成長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833B1 (ko) * 1987-05-11 1996-08-09 프로사이트 코포레이션 궤양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JPH09278631A (ja) * 1987-05-11 1997-10-28 Procyte Corp 毛の成長剤
KR900004319A (ko) * 1988-09-09 1990-04-12 제이.더블유.하이넨 화장제 조성물
KR960010833A (ko) * 1994-09-02 1996-04-20 오자와 히데지로 황과 방향족 화합물의 농도가 낮은 경유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927B1 (ko) 2023-06-20 2023-09-12 커런티브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480A (ko) 200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6138B2 (ja) ポリアミド末端エステルでゲル化した液状脂肪相を含有する組成物
KR100318355B1 (ko) 세라미드와리놀산을혼합한신규화장용및피부학적조성물
JP2009143952A (ja) 生酵母細胞誘導体を含有するリップトリートメント
JPH1067647A (ja) 特に、皮膚の顔貌の明るさを改良し、皺を処置するための角質溶解剤としての蜂蜜の使用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H03223206A (ja) 化粧料
US20030095936A1 (en) Lip gloss composition
KR100824212B1 (ko) 태반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3653196A1 (en) Cosmetic mask for application to the skin,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JPH0676311B2 (ja) 皮膚の皺及び過剰色素沈着の治療のための3‐フエニルアセチルアミノ‐2,6‐ピペリジンジオンの局所的用法
KR20190034227A (ko) 유중수 에멀전 형태의 입술용 화장품 및 메이크업 방법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688910B1 (ko) 트리펩타이드 함유 립스틱 조성물
KR101502027B1 (ko) 바오밥 나무 열매 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US2004001821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ceramide precursor for improving natural or reconstructed epidermis, resulting skin equivalent
KR101359947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E60225239T2 (de) Caramide, Zusammensetzungen die diese enthalten und ihre Verwendungen
KR100858626B1 (ko) 세라마이드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24726B1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R102213809B1 (ko) 불가사리 콜라겐 및 덜꿩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0836037B1 (ko)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1356B1 (ko) 로즈마린산을 함유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39431B1 (ko) 표피세포 생장인자를 이용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