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339B1 - The changeable cemetery - Google Patents

The changeable ceme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339B1
KR100688339B1 KR1020050026492A KR20050026492A KR100688339B1 KR 100688339 B1 KR100688339 B1 KR 100688339B1 KR 1020050026492 A KR1020050026492 A KR 1020050026492A KR 20050026492 A KR20050026492 A KR 20050026492A KR 100688339 B1 KR100688339 B1 KR 10068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urial
granite layer
layer
gra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4371A (en
Inventor
강성택
Original Assignee
강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택 filed Critical 강성택
Priority to KR102005002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339B1/en
Publication of KR2006010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3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wag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공동 매장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able cavity burial.

본 발명의 공동 매장묘는, 가로 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석판이 굴토된 지하에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을 형성하는 벽체부와; 벽체부의 시신보관실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과, 화강토층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회다짐층으로 구성된 바닥부와; 시신보관실의 바닥부 위 공간에 시신이 안치되고, 그 주위에 황토가 채워지는 시신안치부와; 수직석판의 걸림턱에 하부 모서리가 걸려 시신보관실의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보조상판과, 보조상판 상부에 깔려 있는 상부화강토층과, 상부화강토층 위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의 상단 모서리 위에 놓여져 상부화강토층을 막도록 되어 있는 메인상판으로 구성된 천정부와; 메인상판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과, 누름석 위에 설치되는 비석으로 구성된 비석부;로 구성된다.Common buried gravey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to form a plurality of body storage chamber is assembled in a grid form in the basement of the basement plunged a plurality of vertical slab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bottom part composed of a granite layer lai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of the wall and a granite layer laid on an upper part of the granite layer and mixed with lime and soil and cured with lime mortar formed by pouring water; A body settled body in which the body is placed in a space above the bottom of the body storage room, and ocher is filled around the body; The lower edge of the vertical slab hangs to block the upper space of the body storage chamber. The auxiliary top plate is made of natural stone, the upper granite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granite layer. A ceiling comprising a main top plate placed on the top edge of the vertical slab to block the upper granite layer; It is loaded on the main top plate, the stone head portion is composed of a stone, which is installed on the pressing stone and the stone is made of natural stone.

본 발명에 의해, 유골묘로 변환 하거나 매장묘로 재 사용이 가능하고, 많은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으며, 시신 분해 시간이 단축된 매장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rial seedlings can be converted into ashes or reused as burial seedlings, and many bodies can be placed, and the body disassembly time is shortened.

매장, 유골, 황토, 시신, 재활용 Burial, ashes, ocher, corpses, recycling

Description

가변형 공동 매장묘{THE CHANGEABLE CEMETERY}Variable joint burial ground {THE CHANGEABLE CEMETERY}

도 1은 종래의 매장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rial seedling.

도 2는 본 발명의 가변형 공동 매장묘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ly cut 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cavity buried se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형 공동 매장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riable cavity buried seed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가변형 공동 매장묘의 누름석에 비석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zeolit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pressed stone of the variable cavity buried grav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석판에 칸막이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vertical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벽체부 11 : 수직석판10 wall portion 11: vertical slabs

11a : 걸림턱 11b : 칸막이삽입홈11a: Hanging Jaw 11b: Partition Insertion Groove

11c : 칸막이 12 : 시신보관실11c: partition 12: body storage room

20 : 바닥부 21 : 화강토층20: bottom 21: granite soil layer

22 : 회다짐층 30 : 시신안치부22: the compaction floor 30: dead body

31 : 시신 32 : 황토31 body: 32 loess

40 : 천정부 41 : 보조상판40: ceiling 41: secondary tops

42 : 상부화강토층 43 : 메인상판42: upper granite layer 43: main top plate

50 : 비석부 51 : 누름석50: headstone 51: push stone

51a : 비석삽입홈 52 : 비석51a: zeolite insertion groove 52: zeolite

60 : 납골실 61 : 봉분실60: ossuary chamber 61: sewing chamber

본 발명은 가변형 공동 매장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able cavity burial.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전통 장례방법에는 매장과 화장이 있다.Typically, traditional funeral methods include burial and cremation.

우리 나라는 조선시대부터 유교 사상에 기반을 둔 매장이 주를 이뤄 왔으며, 최근 정부의 화장장려운동 및 관리의 편리성 등으로 인해 화장이 급증세를 이루고 있다.Our country has been mainly based on Confucianism since the Joseon Dynasty. Recently, cremation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government's cremation promotion and convenience of management.

그런데, 이러한 화장의 증가 요인은 시신이 될 사람의 의지보다는 주변 환경에 의한 선택, 후손에 대한 불신감을 기반으로 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어 장래 시신이 될 사람의 반감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increase factor of the cremation is mainly based on the choi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distrust of the descendants rather than the will of the person to be the body, and thus has a problem of having the objection of the person to be the future body.

또, 매장의 경우 장묘방법의 분류상으로 볼 때 자연환원형 장묘법 중 자연풍화형에 속하는데, 이는 토양 중의 미생물이 사람이 신체 성분을 분해하도록 되어 있어 미생물을 활성화 시켜 토양을 비옥화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는 반면,In addition, the burial category belongs to the natural weathering type of the natural reduction type seedling method, which can help to fertilize the soil by activating microorganisms because the microorganisms in the soil are supposed to decompose body components. In the meantime,

화장의 경우 자연환원형 장묘법중 인공풍화형으로 시신을 소각시킬 때 소각 원료나 시신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발생하고, 화장 후 남은 유골을 납골함에 보관함에 있어서 납골함에 습기가 찰 경우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cremation, when the body is incinerated by artificial weathering type in the method of natural reduction type, the contaminants are generated from incineration raw materials or the body, and when the remains remain after the cremation, the odor is generated when moisture is accumulated in the ossuary. There was this.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매장묘에 관한 기술로 '시신을 모시기 위한 안치건물'(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32358)이 안출되었다.As a technology for burial tomb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ecure building for the body'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332358) was devised.

위와 같은 매장묘는 지상에 안치건물을 세우고, 안치건물 내부에 다수 개의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The burial tomb like this set up a settled building on the ground and allowed a number of bodies to be placed inside the settled building.

그런데, 위와 같은 매장묘는 지상에 세운 안치건물 내부를 종래의 매장 환경과 동일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복잡한 시설을 갖춰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urial tomb as described above had a problem of having a complex facility to make the interior of the settled building on the ground to the same environment as the conventional burial environment.

또, 시신을 영구적으로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토속신앙의 관점에서 볼 때 조상의 영혼을 장시간 구속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is to be stored permanently,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ive faith, there was a problem of restraining the ancestor's soul for a long time.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한 것으로 '봉분형 가족공동묘'(등록실용신안공보 20-0143177)가 안출되기도 하였다.To solve some of these problems, the 'Bongbun-type family grav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143177) was created.

위와 같은 가족공동묘는 봉분실(61)과 납골실(60)을 동시에 갖춘 것으로 전통적인 장례형식을 유지하면서 한정된 국토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자 한 것이다.The family cemetery as above is equipped with Bonbun (61) and ossuary chamber (60)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the traditional funeral form to effectively use the limited national territory.

그런데, 위의 공동묘 역시 가족 단위 묘지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수의 시신을 안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cemetery also consists of a family graveyar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placed in a large number of bodies.

또, 봉분실에는 관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흙을 덮어 놓아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관의 부식이 따른 봉분 붕괴로 미관을 해치고,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ube is installed in the sealing chamber, the soil is covered on the upper part, and after a long time, the sealing powder collapses due to the corrosion of the tube, thereby deteriorating the aesthetics and contaminating the soil.

이에, 최근 몇몇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15년에서 60년 사이의 일정 기간만 시신을 매장시키는 시한부매장제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적합한 묘지가 안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Recently,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a time-based burial system that burys the bodies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tween 15 and 60 years, but there are no suitable graveyards yet.

본 발명의 가변형 공동 매장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기간 매장묘로 사용한 후 유골묘로 변환 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한 매장묘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Variable buried gravey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al grave that can be converted to or reusable after use as a burial grave for a certain period.

또,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석판을 격자 형태로 조립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을 형성해 작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시신을 안치시키려는 목적도 있다.It also aims to assemble a large number of slabs in a burrowed underground in the form of a lattice to form a plurality of body storage rooms so that as many bodies as possible can be placed in a small area.

또한, 시신 안치시 시신보관실 내부에 황토를 채워 시신이 분해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려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fill the loess inside the body storage room when the body is enshrined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to decompose the body.

또한, 매장묘의 상부 구조는 분리 가능한 석재를 설치하여 유골묘로의 변환이 용이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urial seedling is also provided to install a detachable stone to facilitate the conversion to the ashes.

또한, 시신보관실에 다수 개의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해 유골묘로의 변환시 하나의 시신보관실에 다수 개의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urpose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 plurality of partitions in the body storage room to be placed in a body storage room when a plurality of bone remains when converted to the ashes.

본 발명은 가변형 공동 매장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able cavity burial.

본 발명의 매장묘는, 일정 기간 매장묘로 사용한 후 유골묘로 변환 하거나 매장묘로 재 사용이 가능해진다.After the burial seed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urial seed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burial seedling can be converted into a burial seedling or reused as a burial seedling.

또,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석판을 격자 형태로 조립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을 형성해 작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slabs can be assembled in a lattice form in a lattice form to form a plurality of body storage rooms so that as many bodies as possible can be placed in a small area.

또한, 시신 안치시 시신보관실 내부에 황토를 채워 시신이 분해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body is placed in the body of the body when the ocher fill the loess to shorten the time to decompose the body.

또한, 매장묘의 상부 구조는 분리 가능한 석재를 설치하여 유골묘로의 변환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urial seedling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stone to facilitate conversion to the ashes.

또한, 시신보관실에 다수 개의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해 유골묘로의 변환시 하나의 시신보관실에 다수 개의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 plurality of partitions in the body storage room it is possible to place a plurality of bones in one body storage room when converted to the ashe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변형 공동 매장묘는, 소정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석판이 굴토된 지하에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을 형성하는 벽체부와; 벽체부의 시신보관실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과, 화강토층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회다짐층으로 구성된 바닥부와; 시신보관실의 바닥부 위 공간에 시신이 안치되고, 그 주위에 황토가 채워지는 시신안치부와; 수직석판의 걸림턱에 하부 모서리가 걸려 시신보관실의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보조상판과, 보조상판 상부에 깔려 있는 상부화강토층과, 상부화강토층 위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의 상단 모서리 위에 놓여져 상부화강토층을 막도록 되어 있는 메인상판으로 구 성된 천정부와; 메인상판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과, 누름석 위에 설치되는 비석으로 구성된 비석부;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variable cavity buried gravey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jaw is formed in the wall, a plurality of vertical slabs made of natural stone is assembled in a grid form in the basement of the excavated lattice form a plurality of body storage Wealth; A bottom part composed of a granite layer lai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of the wall and a granite layer laid on an upper part of the granite layer and mixed with lime and soil and cured with lime mortar formed by pouring water; A body settled body in which the body is placed in a space above the bottom of the body storage room, and ocher is filled around the body; The lower edge of the vertical slab hangs to block the upper space of the body storage chamber. The auxiliary top plate is made of natural stone, the upper granite layer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top plate,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granite layer. A ceiling composed of a main top plate placed on the top edge of the vertical slab to block the upper granite layer; It is loaded on the main top plate, the stone head portion is composed of a stone, which is installed on the pressing stone and the stone is made of natural ston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one example for more specifical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벽체부(10)는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수직석판(11)이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석판(11)에 의해 둘러쌓인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12)을 형성하고 있다.The wall portion 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slabs 11 assembled in a lattice form in a burrowed basement, and a plurality of body storage rooms 12 surrounded by vertical slabs 11. To form.

이때, 수직석판(11)에는 소정의 높이로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시신보관실(12)에 덮개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step (11a) is formed in the vertical slab 11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cover can be installed in each of the body storage chamber (12).

도 2 와 도 3을 보면 수직석판(11)에 일정한 높이로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step (11a)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on the vertical slab (11).

또, 도면에서는 수직석판(11)이 굴토된 바닥면 위에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꼭 이와 같이 세워지는 것은 아니며 바닥면에 수직석판(11)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게 되면 수직석판(11)이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in the drawing that the vertical slabs 11 are erected on the bottomed surface, which is not necessarily erected in this way, and when the vertical slabs 11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he vertical slabs 11 are fitted. It can be built more stably.

가로방향의 수직석판(11)과 세로방향의 수직석판(11)이 서로 조립되는 것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The vertical slabs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slabs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ssembled in various ways known in the art.

예를 들어 일측의 수직석판(11)에 홈을 형성하고, 이에 맞물리도록 다른 한 측의 수직석판(11)에는 돌기를 형성해 서로 끼워맞춤식 조립을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slabs 11 on one side, and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slabs 11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또, 볼트와 너트 등의 조립철물을 이용해 조립할 수도 있다.Moreover, it can also assemble using assembly irons, such as a bolt and a nut.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바닥부(20)는 벽체부(10)의 시신보관실(12)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21)과, 화강토층(21)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회다짐층(21)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bottom portion 2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id on the granite layer 21 and the granite layer 2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torage room 12 of the wall portion 10, and mixes lime and soil. After that, the lime mortar formed by pouring water is cured.

화강토층(21)은 마사토층이라고도 불리는데 화강암질 암석의 풍화잔적토로 그 모암은 화강암이 주이지만 이것과 성질이 가까운 결정성 심성암(화강섬록암)이나 편마암 등도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ranite layer 21 is also called Masato layer, which is a weathered remnant of granite rock. Granite is mainly composed of granite, but crystalline plutonic rock (Granite diorite) or gneiss is generally included.

주요 구성 성분은 석영, 장석, 유색광물 등으로 풍화잔적토이기 때문에 풍화의 정도에 따라 바위에 가까운 것에서 실트,점토와 같은 세립토까지 광범위한 것을 포함한다.The main constituents are quartz, feldspar and colored minerals, which are weathered residues, and therefore, depending on the degree of weathering, they cover a wide range from close to rock to fine grains such as silt and clay.

이러한 화강토는 탈수율이 좋아 시신이 분해 되면서 생기는 물질이 지하로 잘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granite has a good dehydration rate, so that the substances generated by the decomposition of the body are well absorbed into the basement.

또, 회다짐층(21)은 석회모르타르가 양생된 것으로 석회모르타르는 강도가 좋아 기초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흙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효과까지 갖고 있어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ime compaction layer 21 is a cured lime mortar, lime mortar has a good strength and serves as a foundation, and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acidification of the s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soil contamination.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시신안치부(30)는 시신보관실(12)의 바닥부(20) 위 공 간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시신(31)과 시신(31) 주변에 황토(32)가 채워진 형태를 갖는다.The body settling portion 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pace above the bottom portion 20 of the body storage room 12, and is filled with the loess 32 around the body 31 and the body 31. Has

도 2와 도 3을 보면 바닥부(20) 위 공간에 시신(31)이 안치되어 있고, 그 주변으로 황토(32)가 채워져 시신안치부(30)를 형성한 것을 알 수 있다.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body 31 is placed in the space above the bottom portion 20, the loess 32 is filled in the periphery thereof to form the body settled portion 30.

시신(31) 주변에 황토(32)를 채우는 이유는 황토(32) 1g 당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시신(31)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filling the loess 32 around the body 31 is that about 200 million microorganisms per 1 g of the loess 32 serve to promote decomposition of the body 31.

또한, 황토(32)의 주요 효소 성분 중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 효소 성분들은 독소를 제거하고, 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시신(31)의 분해 뿐만 아니라 유해 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jor enzyme components of loess 32 contain catalase, diphenol oxidase, saccharase, and protease, which are known to remove toxins and purify, so that not only decomposition of the body (31) It i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천정부(40)는 벽체부(10)의 시신보관실(12)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는데, 보조상판(41)과 상부화강토층(42), 메인상판(43)으로 구성된다.The ceiling 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lock the upper space of the body storage room 12 of the wall portion 10, and includes an auxiliary top plate 41, an upper granite layer 42, and a main top plate 43. do.

구체적으로, 보조상판(41)은 자연석 재질로 되어 있으며, 벽체부(10)의 수직석판(11) 걸림턱(11a)에 모서리가 걸려 시신보관실(12) 상부 공간을 일차적으로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upper plate 41 is made of a natural stone material, and the edge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11a) of the vertical stone plate 11 of the wall portion 10 is installed to primarily block the upper space of the body storage room 12. .

상부화강토층(42)은 보조상판(41)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다.The upper granite layer 42 is stacked on top of the auxiliary top plate 41.

도 3에서 보면 상부화강토층(42)이 수직석판(11) 상단까지 채워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granite layer 42 is filled up to the top of the vertical slab (11).

메인상판(43)은 상부화강토층(4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 (11)의 상단 모서리 위에 적재되어 있다.The main top plate 43 is installed on the upper granite layer 42, and the periphery is stacked on the upper edge of the vertical slab (11).

보조상판(41) 위에 상부화강토층(42)을 설치하게 되면, 시신보관실(12)에서부터 냄새 등이 상부로 새어 나오지 않게 된다.When the upper granite layer 42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upper plate 41, the smell or the like does not leak from the upper body storage chamber 12 to the upper portion.

메인상판(43)은 상부화강토층(42)을 막아 상부화강토층(42)으로부터 냄새가 위로 새 나오지 않게 하고, 상부화강토층(42)에 외기가 접하지 못하게 해 외부의 습기 등이 시신보관실(12)로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top plate 43 blocks the upper granite layer 42 so that no smell leaks from the upper granite layer 42 and prevents outside ai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granite layer 42. 12) to prevent intrusion into the interior.

이처럼 메인상판(43)과 보조상판(41)의 이중구조와 그 사이의 상부화강토층(42)이 설치됨으로써 시신안치부(30)로 외부의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As such, the dual structure of the main upper plate 43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41 and the upper granite layer 42 therebetween prevent the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body seat 30.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비석부(50)는 메인상판(43)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51)과, 누름석(51) 위에 설치되는 비석(52)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zeolite portion 5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ain top plate 43, and is composed of a pressurized stone 51 made of natural stone and a zeolite 52 provided on the pressed stone 51.

도 2와 도 3을 보면 누름석(51)과 비석(52)을 볼 수 있다.2 and 3, the pushstone 51 and the tombstone 52 can be seen.

특히 누름석(51)은 각각 하나의 시신보관실(12)에 해당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누름석(51)을 큰 크기로 형성할 경우 함부로 시신보관실(12) 내부의 시신을 손상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pressurized stone 51 preferably has a size corresponding to each one of the body storage chambers 12. When the pressurized stone 51 is formed in a large size, the body inside the body storage chamber 12 may be damaged. Because it can not be.

이와 같은 누름석(51)과 비석(52)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과 제작자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pressurized stone 51 and the monument 51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he design of the manufacturer.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석(51) 에 비석(52) 하부가 삽입되는 비석삽입홈(51a)을 형성할 경우 비석(52)을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headstone 51 is formed in the headstone 52, the headstone insertion groove 51a is inserted, the headstone 52 can be easily fixed and installed.

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석판(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칸막이삽입홈(11b)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partition inserting grooves 11b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slabs 11 at regular intervals.

이와 같은 칸막이삽입홈(11b)을 형성하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칸막이(11c)를 칸막이삽입홈(11b)에 끼울 수 있게 된다.When the partition insertion groove 11b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11c can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insertion groove 11b.

이러한 칸막이(11c)를 끼우는 작업은 최초 시신(31)을 안치시킬 때는 불가능한 것이나, 시한부매장제 등의 제도에 의해 일정기간만 시신(31)을 안치시키고자 할 때 시신 안치 기간이 지난 후 매장묘를 활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것이다.The work of fitting the partition 11c is impossible when the first body 31 is placed, but when the body 31 is to be plac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a system such as a time-based store system, the burial tomb is made after the dead body period. It is necessary when you want to use.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기간은 시신(31)을 안치키시고, 시신(31)이 황토(32)에 의해 분해되고 유골만 남은 경우 비석부(50)와 천정부(40)를 들어 내고, 시신안치부(30)의 황토(32)를 꺼내어 황토(32) 속에 있는 유골만 추려 낸 후 유골만 별도로 시신보관실(12) 내부에 보관하려 할 때 유골의 크기에 비해 비교적 넓은 시신보관실(12)을 칸막이(11c)로 구분 지어 여러 구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body 31 is placed in the bod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body 31 is decomposed by the loess 32 and only remains of the ashes, lifting the tombs 50 and the ceiling 40, the body When the ocher 32 of the settled portion 30 is taken out and only the ashes in the ocher 32 are extracted, and only the ashes are to be stored inside the body storage chamber 12, the body storage room 12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size of the bones. It is divided into partitions (11c) to hold the remains of several spheres.

위와 같은 구성은 시한제매장묘에 적용하기 편리하게 된 것으로, 일정 기간은 매장묘로 사용하고 난 후 유골만 추려 유골묘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venient to be applied to the time-limiting store seedlings,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as burial seedlings, only the ashes were extracted to be used as ashes.

특히, 시신안치부(30)의 상부를 쉽게 해체 할 수 있게 하여 황토(32)를 꺼내기 쉽게 하였고, 황토(32)를 이용해 매장된 시신(31)의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해 순환 사이클을 빠르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upper part of the body settling portion 30 can be easily dismantled to make it easier to take out the loess 32, and to accelerate the decomposition rate of the buried body 31 by using the loess 32 to accelerate the circulation cycle. .

또한, 매장묘에서 유골묘로의 전환이 끝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다시 유 골묘를 매장묘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 역시 갖고 있다.In addi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transition from burial to graveyard gravel also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again as burial graveyard.

이때, 매장묘로 사용한 후 반드시 유골묘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기간 매장묘로 사용하고 남은 유골은 별도의 납골 시설에 안치시키고, 사용이 끝난 매장묘는 시신안치부(30)를 새로 형성하여 다시 유골묘로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ily converted to the ashes seedlings after using it as a burial seedlings, and the remaining ashes used as burial seedling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re placed in a separate ossuary facility. Can also be used as

즉, 일정 기간 사용이 끝난 본 발명 유골묘의 시신안치부(30)를 꺼내 유골을 추려낸 후 유골은 별도의 납골 시설에 안치시키고, 새로운 시신(31)과 황토(32)로 시신안치부(30)를 형성해 다시 일정기간 사용하는 것이다.That is, after taking out the dead body portion 30 of the ash bone seedl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extract the ashes, the ashes are placed in a separate ossuary facility, the new body 31 and the ocher 32 with the dead body portion 30 To form and use it again for a period of tim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매장묘에 시신을 매장하는 과정은, 먼저 땅을 굴토한 다음 바닥면을 일정한 높이로 고르고, 그 위에 벽체부(10)를 설치한다.In the process of buried the body in the burial gra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is first excavated, and then the floor surface is selected at a constant height, and the wall part 10 is installed thereon.

벽체부(10)는 가로방향의 수직석판(11)과 세로방향의 수직석판(11)이 서로 맞물려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조립한다.The wall portion 10 is assembled such that the vertical slabs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slabs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meshed with each other to form a lattice.

조립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끼워맞춤 형태로 조립할 수도 있고, 조립철물을 이용해 조립할 수도 있다.The assembly method may be assembled in a fitting form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assembled using the assembly hardware.

벽체부(10)의 조립이 끝나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12)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시신보관실(12) 바닥에 바닥부(20)를 형성한다.After the assembly of the wall part 10, a plurality of body storage room 12 is formed, the bottom portion 20 is formed on the bottom of each body storage room (12).

바닥부(20)를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화강토를 일정한 두께로 각 시신보관실(12)에 깐 다음 그 위에 회다짐층(21)을 형성한다.In the method of forming the bottom portion 20, the granite soil is first applied to each of the body storage chambers 12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a compaction layer 21 is formed thereon.

회다짐층(21)은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화 강토층(21) 위에 일정한 두께로 깐 후 양생시키면 된다.The ash compaction layer 21 may be cured after coating lime mortar formed by mixing lime and soil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granite layer 21.

이때, 바닥부(20) 형성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부(20)를 각 시신보관실(12)마다 독립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한번에 형성한 후 그 위에 벽체부(10)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in the formation of the bottom part 20, the bottom part 20 may be formed at once without forming each body storage chamber 12 independently, and then the wall part 10 may be formed thereon.

이는 보다 간편한 시공을 위한 것으로, 먼저 화강토를 일정한 두께로 깐 다음 그 위에 회다짐층(21)을 형성하고, 그 위에 벽체부(10)를 설치하는 방법이다.This is a method for easier construction, first to cover the granite soil to a certain thickness and then to form a compaction layer 21 thereon, and to install the wall portion 10 thereon.

이때는 벽체부(10)의 수직석판(11) 사이의 긴결력을 높이기 위해 양생되는 회다짐층(21)의 건조가 끝나기 전에 수직석판(11)을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coherence between the vertical slabs 11 of the wall part 10, the vertical slabs 11 may be installed before the drying of the curing compaction layer 21 is finished.

이렇게 하면 회다짐층(21)이 건조되면서 수직석판(11)의 하부가 회다짐층(21)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In this way, while the compaction layer 21 is dried,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slab 11 is firmly fixed to the compaction layer 21.

벽체부(10)와 바닥부(20)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각 시신보관실(12)마다 시신을 안치시키고, 시신 주위를 황토로 채워 시신안치부를 형성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all part 10 and the bottom part 20 is completed, the body is placed in each of the body storage chambers 12, and the body surroundings are filled with ocher to form the body seat.

시신 안치가 끝난 각각의 시신보관실(12) 상부에 천정부(40)를 설치하는데, 먼저 자연석으로 된 보조상판(41)을 수직석판(11)의 걸림턱(11a)에 걸리도록 덮고, 그 위에 상부화강토층(42)을 깐다.The ceiling 4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storage chamber 12 where the bodies are settled. First, the auxiliary upper plate 41 made of natural stone is covered to be caught by the latching jaw 11a of the vertical stone plate 11, and the upper part is placed thereon. Peel the granite layer (42).

상부화강토층(42)을 깐 후에 그 위에 메인상판(43)을 깐다.After covering the upper granite layer 42, the main top plate 43 is laid thereon.

메인상판(43)은 두께가 두꺼운 자연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인상판(4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석판(11)의 상단에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The main top plate 43 is preferably to use a thick natural ston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main top plate 43 so as to hang on the top of the vertical stone plate 11 as shown in the figure.

메인상판(43)을 설치하는 것으로 일련의 천정부(40) 형성이 끝나게 된다.By installing the main top plate 43, a series of ceiling parts 40 are formed.

천정부(40) 설치가 끝난 후 각각의 메인상판(43) 위에 누름석(51)과 비석(52)을 설치해 비석부(50)를 형성함으로써 일련의 설치 작업이 마무리되게 된다.After the ceiling 40 is installed, a series of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by installing the pressing stones 51 and the tombs 52 on each main top plate 43 to form the tombs 5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매장묘는 바닥부(20)와 벽체부(10)를 최초 설치한 후에는 각 시신을 안치시킬 때마다 천정부(40)와 비석부(50)를 각 시신보관실(12)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In the burial tomb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irst installation of the bottom portion 20 and the wall portion 10, the ceiling portion 40 and the tomb portion 50 are individually placed for each body storage room 12 each time the body is placed. You can install it.

일정 기간 경과한 후 시신안치부(30)를 꺼내 유골을 추려내고자 할 때는,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you want to remove the dead body (30) to extract bones,

먼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역순으로 비석부(50)와 천정부(40)를 들어낸다.First, lift the tombstone 50 and the ceiling 40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그 후 시신안치부(30)를 삽 등을 이용해 퍼 낸 후 시신안치부(30)에 남아 있는 유골을 따로 추려 내면 된다.Thereafter, the body of the body 30 is shoveled out using a shovel or the like, and the bones remaining in the body of the body 30 may be separated out.

그 다음 과정은 필요에 따라 변경 되는데, 유골묘로 변환 하고자 할 때는,Then the process changes as needed. When you want to convert it to the ashes,

시신보관실(12) 내부 공간을 깨끗하게 씻어낸 후 유골을 직접, 또는 유골함에 넣어 시신보관실(12) 내부 공간에 다시 넣고, 천정부(40)와 비석부(50)를 다시 설치하면 된다.After the body of the body storage room 12 to wash the interior of the body cleanly, or put the bones back in the body of the body storage room 12, the interior of the body (40) and the stone portion 50 may be installed again.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칸막이삽입홈(11b)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시신보관실(12) 내부 공간을 씻어낸 후 칸막이를 설치하면 된다.At this time, when the partition insertion groove (11b)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only necessary to install the partition after washing the inner space of the body storage room (12).

또, 새로운 시신을 위한 매장묘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In addition, when we want to use in buried grave for new body,

추려낸 유골은 별도의 납골 시설에 안치시키고, 시신보관실(12) 내부 공간을 깨끗하게 씻어낸 후 새로운 황토(32)와 시신(31)으로 시신보관실(12) 내부에 시신안치부(30)를 형성한 후 천정부(40)와 비석부(50)를 다시 설치하면 된다.Selected ashes are placed in a separate ossuary facility, and the body of the body storage room 12 is washed clean, and then the body body 30 is formed in the body storage room 12 with the new ocher 32 and the body 31. After the ceiling 40 and the stone portion 50 may be installed again.

본 발명의 가변형 공동 매장묘에 의해, 일정 기간 매장묘로 사용한 후 유골묘로 변환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한 매장묘가 제공된다.The variable joint burial m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ial marrow which can be used as a burial mound for a period of time and then converted to or reusable.

또, 굴토된 지하에 다수 개의 석판을 격자 형태로 조립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을 형성해 작은 면적에 최대한 많은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slabs are assembled in a lattice form in a burrowed basement to form a plurality of body storage rooms so that as many bodies as possible can be placed in a small area.

또한, 시신 안치시 시신보관실 내부에 황토를 채워 시신이 분해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to decompose the body by filling the loess inside the body storage room when the body is placed.

또한, 매장묘의 상부 구조는 분리 가능한 석재를 설치하여 유골묘로의 변환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urial seedling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stone to facilitate conversion to the ashes.

또한, 시신보관실에 다수 개의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해 유골묘로의 변환시 하나의 시신보관실에 다수 개의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 plurality of partitions in the body storage room it is possible to place a plurality of bones in one body storage room when converted to the ashes.

Claims (3)

공동 매장묘에 있어서,In the joint burial tomb, 소정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석판(11)이 굴토된 지하에 격자 형태로 조립 설치되어 다수 개의 시신보관실(12)을 형성하는 벽체부(10)와;Hanging jaw (11a)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slabs (11) made of natural stone is assembled in a grid form in the basement of the excavated in the form of a grid to form a plurality of body storage chamber 12 10; 상기 벽체부(10)의 각 시신보관실(12) 바닥면에 깔려 있는 화강토층(21)과, 각 화강토층(21) 상부에 깔려 있고, 석회와 흙을 혼합한 후 물을 부어 형성한 석회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된 회다짐층(22)으로 구성된 바닥부(20)와;Lime mortar layer which is lai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body storage room 12 of the wall part 10 and each granite layer 21, which is formed by mixing lime and soil and pouring water A bottom portion 20 composed of a compaction layer 22 prepared by curing the; 상기 시신보관실의(12) 바닥부 위 공간에 시신(31)이 안치되고, 그 주위에 황토(32)가 채워지는 다수 개의 시신안치부(30)와;A plurality of body settled parts 30 having a body 31 seated in a space above the bottom of the body 12 and filled with loess 32 around the body; 상기 수직석판(11)의 걸림턱(11a)에 하부 모서리가 걸려 각 시신보관실(12)의 상부 공간을 막도록 되어 있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보조상판(41)과, 각 보조상판(41) 상부에 깔려 있는 상부화강토층(42)과, 각 상부화강토층(42) 위에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 수직석판(11)의 상단 모서리 위에 놓여져 상부화강토층(42)을 막도록 되어 있는 메인상판(43)으로 구성된 천정부와;The upper edge of each of the body storage chamber 12 is caught by a lower edge on the locking step 11a of the vertical slab 11, and the auxiliary upper plate 41 made of natural stone and the upper side of each auxiliary upper plate 41 The main granite layer 42, which is laid on the upper granite layer 42, is installed on each upper granite layer 42, and the circumference is placed on the upper edge of the vertical slab 11 to block the upper granite layer 42. A ceiling composed of); 상기 각각의 메인상판(43) 위에 적재되고,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누름석(51)과, 각 누름석(51) 위에 설치되는 비석(52)으로 구성된 비석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And a headstone portion 50 which is loaded on each main top plate 43 and consists of a pushstone 51 made of natural stone and a headstone 52 installed on each pushstone 51. 가변형 공동 매장묘.Variable joint burial pl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직석판(11)에 세로방향으로 칸막이삽입홈(11b)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 시신보관실(12)을 다수 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칸막이(11c)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A plurality of partition inserting grooves 11b are formed in the vertical slab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artition 11c for dividing the body storage room 12 into a plurality of spaces can be installed. 가변형 공동 매장묘.Variable joint burial pl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석부(50)의 누름석(51) 상부에 비석삽입홈(51a)이 형성되어 있고, 비석(52) 하부가 비석삽입홈(51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zeolite insert groove 51a is formed on the top of the pressurized stone 51 of the zeolite part 5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zeolite 52 is inserted into the zeolite insertion groove 51a, 가변형 공동 매장묘.Variable joint burial place.
KR1020050026492A 2005-03-30 2005-03-30 The changeable cemetery KR1006883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92A KR100688339B1 (en) 2005-03-30 2005-03-30 The changeable ceme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92A KR100688339B1 (en) 2005-03-30 2005-03-30 The changeable ceme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71A KR20060104371A (en) 2006-10-09
KR100688339B1 true KR100688339B1 (en) 2007-03-02

Family

ID=3763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492A KR100688339B1 (en) 2005-03-30 2005-03-30 The changeable ceme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3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665B1 (en) * 1997-09-03 1999-10-15 이세용 Charnel grave
KR20000003533A (en) * 1998-06-29 2000-01-15 전주범 Input frequency judging method to revise clock of microwave oven
KR20000009207A (en) * 1998-07-22 2000-02-15 윤종용 Cool air circul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refrigerator
KR20050015087A (en) * 2003-08-02 2005-02-21 허남호 foundation work layer and method of char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665B1 (en) * 1997-09-03 1999-10-15 이세용 Charnel grave
KR20000003533A (en) * 1998-06-29 2000-01-15 전주범 Input frequency judging method to revise clock of microwave oven
KR20000009207A (en) * 1998-07-22 2000-02-15 윤종용 Cool air circul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refrigerator
KR20050015087A (en) * 2003-08-02 2005-02-21 허남호 foundation work layer and method of charnel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236650000
1020050015087
2000092070000
20200000035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71A (en)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959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paving that help improving grobal warming
KR100688339B1 (en) The changeable cemetery
Onn et al. Khirbet Umm el-'Umdan
KR200443268Y1 (en) A charnel tomb
KR200404191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graveyard and charnel house
KR200386256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cemetery
KR200420148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terraced charnel house
KR200350416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charnel house
Raftopoulou et al. A Neolithic Site at Kalyvia Thorikou (Mesogeia): Preliminary Report on the Architectural Remains
KR200404416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hidden charnel house
KR200383940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charnel house
KR100272315B1 (en) Collective buial-cast system for relocation of unclaimed burials and niche cluster system for cremated remains utilizing retaining wall
KR200383820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terraced charnel house
Arbel Hafez Hayyim
Brogiolo The Control of Public Space and the Transformation of an Early Medieval town: a Re-examination of the Case of Brescia
KR100324996B1 (en) Charnel hous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Varga Ashqelon, Barne ‘a (north)
KR200350382Y1 (en) The environmental-friendly charnel house
KR100360330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charnel house
KR200193196Y1 (en) Family charnel burial ground
KR100261763B1 (en) Charnel tomb
KR200234857Y1 (en) An Octagonal Charnel House
KR200287348Y1 (en) Family charnel
JPH01223270A (en) Foundation for tombstone
Landes-Nagar et al. Jerusalem, the Old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