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212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212B1
KR100687212B1 KR1020050109199A KR20050109199A KR100687212B1 KR 100687212 B1 KR100687212 B1 KR 100687212B1 KR 1020050109199 A KR1020050109199 A KR 1020050109199A KR 20050109199 A KR20050109199 A KR 20050109199A KR 100687212 B1 KR100687212 B1 KR 10068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data lines
electrode layers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탁
탁윤흥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애노드전극층들과 캐소드전극층들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전극층들에 각기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절연층, 데이터 라인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부에 셀캡을 덮은 후의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a의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상부에 셀캡을 덮은 후의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셀부(100), 데이터 라인들(108) 및 스캔 라인들(110a 및 110b)을 포함한다.
셀부(100)는 애노드전극층들(102) 및 이와 교차하는 캐소드전극층들(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애노드전극층들(102)은 인듐주석산화물층(Indium Tin Oxide Film, ITO층)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층들(102)과 캐소드전극층들(104)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는 복수의 픽셀들(106)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들(108)은 애노드전극층들(102)에 각기 연결되며, 집적회로칩(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애노드전극층들(102)에 제공한다.
또한, 각 데이터 라인들(108)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6) 위에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및 몰리브덴(Mo)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스캔 라인들(110a 및 110b)은 캐소드전극층들(104)에 각기 연결되며, 상기 집적회로칩으로부터 전송되는 스캔 신호들을 캐소드전극층들(104)에 제공한다.
실링 영역(112)은 실링제(114)가 도포되는 영역이다.
상세하게는, 셀캡이 실링 영역(112)에서 실링제(114)를 통하여 기판(116)과 결합된다.
그 결과, 셀부(100)가 실링(sealing)된다.
한편, 실링제(114)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118)가 포함되어 있다.
실링 영역(112)에 실링제(114)를 도포한 후 상기 셀캡을 결합할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제(114)의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진다. 실링제(114)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실링제(114) 내부의 스페이서(118) 중 데이터 라인들(108) 사이에 걸쳐져 위치한 스페이서(118)에 의해 데이터 라인들(108) 사이에 단락(short)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데이터 라인(108)의 구성 중 상기 알루미늄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옆으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이는 데이터 라인(108)이 상기한 구조 이외에 연성을 가지는 금속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결과, 데이터 라인들(108) 사이가 단락되어 신호의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스캔 라인들(110a, 110b)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하여 데이터 신호 및 스캔 신호의 전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애노드전극층들과 캐소드전극층들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전극층들에 각기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애노드전극층들과 캐소드전극층들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전극층들에 각기 연결되는 스캔 라인들; 상기 스캔 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Ⅱ-Ⅱ' 라인을 따라 절취한 데이터 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셀부(200),데이터 라인들(208), 스캔 라인들(210a 및 210b) 및 절연층(220)을 포함한다.
셀부(200)는 애노드전극층들(202) 및 이와 교차하는 캐소드전극층들(2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애노드전극층들(202)은 인듐주석산화물층(Indium Tin Oxide Film, ITO층)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층들(202)과 캐소드전극층들(204)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는 복수의 픽셀들(206)이 형성된다.
각 픽셀들(206)은 기판(218)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애노드전극층(202), 유기물층 및 캐소드전극층(20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기물층은 애노드전극층(202)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Emitting Layer, EML)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을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들(208)은 애노드전극층들(202)에 각기 연결되며, 집적회로칩(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애노드전극층들(202)을 통하여 픽셀들 (206)에 제공한다.
또한, 각 데이터 라인들(208)은 도전층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각 데이터 라인들은 기판(116) 위에 연성을 가지는 금속이 다층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층구조의 일 예로는,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및 몰리브덴(Mo)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스캔 라인들(210a 및 210b)은 캐소드전극층들(204)에 각기 연결되며, 상기 집적회로칩으로부터 전송되는 스캔 신호들을 캐소드전극층들(204)을 통하여 픽셀들(206)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 라인들(210a 및 210b)은 캐소드전극층들(204)에 일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실링 영역(212)은 실링제(214)가 도포되는 영역이다.
상세하게는, 셀캡이 실링 영역(212)에서 실링제(214)를 통하여 기판(218)과 결합된다. 그 결과, 셀부(200)가 실링(sealing)된다.
실링제(214)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216)가 포함되어 있다. 도 4a에는 막대 형상의 스페이서(216)를 도시하고 있으나, 스페이서(216)의 형상에는 일정한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절연층(22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각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220)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절연층(220)은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 중 실링제(214)가 도포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절연층(220)은 데이터 라인들(208)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물론, 절연층(2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208)의 상기 알루미늄이 위치한 부분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면 무방하다. 상기 알루미늄이 적층된 높이 이상으로 절연층(220)을 형성한다면 절연층(220)의 형상에는 일정한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데이터 라인들(208)의 구조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및 몰리브덴(Mo)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 연성을 가지는 금속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절연층(220)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절연층(220)은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뿐만 아니라 데이터 라인들(208) 상부의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비교하겠다.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상태에서 실링제가 도포되어 셀캡이 부착되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라인들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셀캡을 부착하는 힘에 의해 알루미늄이 데이터 라인들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 사이의 알루미늄이 접촉되어 단락 현상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에는 절연층(220)이 형성된 후 실링제(214)가 도포되고 셀캡이 부착되었다.
이 경우, 셀캡을 부착하더라도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2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이 밀려나지 못한다.
그 결과,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가 절연상태를 유지하여 단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데이터 라인들(208) 사이에 절연층(220)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스캔 라인들(210a 및 201b) 사이에도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데이터 라인들 및 스캔 라인들 사이의 단락 현상을 방지하여 데이터 신호 및 스캔 신호의 전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애노드전극층들과 캐소드전극층들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전극층들에 각기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 중 실링제가 도포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 상부의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계 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은, 연성의 금속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는, 몰리브덴, 알루미늄 및 몰리브덴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알루미늄이 적층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애노드전극층들과 캐소드전극층들이 교차하는 발광 영역들에 형성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전극층들에 각기 연결되는 스캔 라인들;
    상기 스캔 라인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스캔 라인들 사이 중 실링제가 도포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스캔 라인들 사이 및 상기 스캔 라인들 상부의 일부 영 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절계 발광 소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라인은, 연성의 금속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는, 몰리브덴, 알루미늄 및 몰리브덴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스캔 라인들에 상기 알루미늄이 적층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20050109199A 2005-11-15 2005-11-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199A KR100687212B1 (ko) 2005-11-15 2005-11-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199A KR100687212B1 (ko) 2005-11-15 2005-11-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212B1 true KR100687212B1 (ko) 2007-02-27

Family

ID=3810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199A KR100687212B1 (ko) 2005-11-15 2005-11-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2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665A (ja) * 1995-10-05 1997-05-02 Planar Syst Inc デュアル基板フルカラーtfel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ための電極構造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341218A (ja) 2003-05-15 2004-12-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60065847A (ko) * 2004-12-10 2006-06-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KR20060118758A (ko) * 2005-05-17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665A (ja) * 1995-10-05 1997-05-02 Planar Syst Inc デュアル基板フルカラーtfel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ための電極構造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341218A (ja) 2003-05-15 2004-12-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60065847A (ko) * 2004-12-10 2006-06-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소자
KR20060118758A (ko) * 2005-05-17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4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77886B1 (ko) 어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604597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JP7201440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ダイオードアレ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パネル
US880316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EP3859783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2019015761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TWI546951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2011019857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849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US842135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specific sealing member
US10290829B2 (en)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sealing layer
US20240040862A1 (en)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EP242396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68721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20070257612A1 (en) Display device
KR101116824B1 (ko) 절연층의 필링을 방지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60118758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2336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20240057452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KR100623367B1 (ko) 디스플레이 소자
WO2021049464A1 (ja) 発光装置
KR100765525B1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75967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14993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