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170B1 -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170B1
KR100686170B1 KR1020040099247A KR20040099247A KR100686170B1 KR 100686170 B1 KR100686170 B1 KR 100686170B1 KR 1020040099247 A KR1020040099247 A KR 1020040099247A KR 20040099247 A KR20040099247 A KR 20040099247A KR 100686170 B1 KR100686170 B1 KR 10068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trace
extracting
information
pa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755A (ko
Inventor
김만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3983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for non-binary 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2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or efficient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벌루셔널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 하는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제 1 경로 선택 신호(path select signal)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와, 제 2 경로 선택 신호(path select signal)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제 1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현재 단계(stage)의 트레이스-백(trace-back)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추출부와, 상기 제 2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이전 단계의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현재 경로 정보 및 이전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스-백을 수행하는 트레이스-백 수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하나의 클럭에 두 단계의 트레이스-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터비 디코더, 트레이스-백, 경로 선택 신호, 디코딩

Description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터비 디코더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트레이스-백 알고리즘의 타이밍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트렐리스 다이어그램(trellis diagram).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수행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은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클럭에 두개의 트레이스-백 정보를 추출하여 트레이스-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터비 디코더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컨벌루셔널(convolution) 코딩이 수행된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에는 트레이스-백(trace-back)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즉, 트레이스-백 메모리(11)에 트레이스-백 깊이(trace-back depth) 만큼 경로 선택 신호(path select signal)가 들어오면, 추출기(12)에서는 이전 상태(state)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로 선택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트레이스-백 수행부(13)에서는, 마지막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오류가 최소인 상태에서 역추적하여 송신된 신호와 제일 유사한 비트 스트림을 발생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이스-백 메모리(11)는 총 상태(state) 수와 트레이스-백 깊이의 크기를 가진다.
도 2 는 트레이스-백 알고리즘의 타이밍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 에 있어서, L 은 트레이스-백 깊이를 나타내고, N 은 정보(information) 비트 수를 나타낸다. 도 2 를 참조하면, L 개만큼의 경로 선택 신호가 들어 오면, L 부터 시작하여 L 상태 만큼 역추적하여 첫번째 디코딩 비트를 추출한다. 그리고, 다음에는 L+1 에서 시작하여 두번째 디코딩 비트를 추출한다. 그리고, 마지막 L 에 대해서는, 더 이상 트레이스-백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한번에 L 개의 비트를 추출한다.
L 경로만큼 역추적하는 단계에서, 경로 선택 신호는 트레이스-백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데, 메모리에서 L 깊이 만큼 선택 신호를 읽어 역추적해야 한다. 즉, 각 클럭(clock) 마다 메모리로부터 경로 선택 신호가 수신되므로, L 단계(stage)의 역 추적을 위해선 L 클럭(clock)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한 개의 디코딩 된 비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L 클럭 만큼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체 디코딩 시간은 트레이스-백 하는 시간에 의존한다. 상기 예에서는, 전체적으로는 (N x L) 클럭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 다.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를 가지는 신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더욱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는 비터비 디코더를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두개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병렬적으로 경로 선택 정보를 추출함으로서, 보다 빠른 디코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벌루셔널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 하는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제 1 경로 선택 신호(path select signal)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와, 제 2 경로 선택 신호((path select signal)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제 1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현재 단계(stage)의 트레이스-백(trace-back)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추출부와, 상기 제 2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이전 단계의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현재 경로 정보 및 이전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스-백을 수행하는 트레이스-백 수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는 경로 선택 신호를 저장하는 두개의 트레이스-백 메모리(31, 3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메모리(31) 및 제 2 메모리(32)는 종래 기 술에 따른 트레이스-백 메모리(11) 크기의 반으로 할 수 있다.
경로 선택 신호들은 짝수 단계(stage)와 홀수 단계(stage)로 구분되어 제 1 메모리(31) 및 제 2 메모리(32)에 각각 저장된다. 즉, 짝수 단계(stage) 경로 선택 신호들은 제 1 메모리(31)에 저장하고, 홀수 단계(stage) 경로 선택 신호들은 제 2 메모리(32)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메모리(31) 는 제 1 추출기(33)에 연결되고, 제 2 메모리(32)는 제 2 추출기(34a) 및 제 3 추출기(34b)에 연결된다. 제 1 추출기(extractor)(33)에서는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정보 신호들로부터 현재 단계(stage)의 경로 정보을 추출한다. 한편, 제 2 추출기 및 제 3 추출기에서는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정보 신호들로부터, 상기 제 1 추출기에서 추출하는 단계(PS(t)) 이전 후보 경로(PS0(t-1), PS1(t-1))에 해당할 수 있는 경로 신호를 추출한다.
한편, 제 1 추출기(33)에서는 현재 단계의 경로 정보를 추출하게 되므로, 한 단계 이전에서 추출된 경로 정보로부터 유효한 경로 정보를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멀티플렉서(35)를 통해 수행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트렐리스 다이어그램(trellis diagram)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터비 디코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를 참조하면, 제 1 추출기(33)에 의해 추출된 경로 선택 정보는 PS(t)(41) 이고, 제 2 추출기(34a)에 의해 추출된 한 단계(stage) 이전의 후보 경로들은 PS0(t-1)(42), PS1(t-1)(43) 이다.
즉, 제 2 (34a) 및 제 3 추출기(34b)에서는, 한 단계(stage) 이전의 후보 경로들 PS0(t-1)(42), PS1(t-1)(43) 를 추출하고, 멀티플렉서(35)는 제 1 추출기에서 추출된 현재 단계(stage) 경로 정보에 따라, 두개의 후보중에서 트레이스-백을 수행할 수 있는 경로가 선택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PS1(t-1)(43)이 선택된다.
트레이스-백 수행부(36)에서는, 상기 경로 추출된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스 백을 수행한다. 한 클럭 내에 현재 단계에 해당하는 경로 정보 뿐 아니라, 이전 후보 경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트레이스-백을 수행하게 되므로 보다 빠른 트레이스-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트레이브-백 동작을 트레이스-백 깊이의 반만큼 수행하고, 디코딩된 비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수행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먼저 경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51), 홀수 단계인지 짝수 단계인지 여부 따라(S52), 각각 다른 메모리에 저장한다(S53, S54).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선택 신호 정보로부터 현재 경로 정보를 추출하고(S55),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선택 신호 정보로부터, 한단계 이전의 경로 정보를 추출한다(S56). 그리고, 추출된 현재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한 단계 이전의 후보 경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다(S57). 상기 현재 단계 및 이전 단계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한 클럭에 동시에 트레이스-백을 위한 두 단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스 백을 수행한다(S5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클럭에 두 단계의 트레이스-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컨벌루셔널 코딩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경로 선택 신호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제 2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현재 단계의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추출부;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경로 선택 신호로부터 상기 현재 단계의 이전 단계의 경로 정보를 둘 이상 추출하는 제 2 추출부;
    상기 추출된 현재 단계의 경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둘 이상의 이전 단계의 경로 정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전 단계의 경로 정보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 및
    상기 추출된 현재 단계의 경로 정보와 선택된 이전 단계의 경로 정보를 이용해서 트레이스-백을 수행하는 트레이스-백 수행부
    를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포함된 각각의 제 1 메모리와 제 2 메모리에 저장되는 경로 선택 신호들은, 홀수 혹은 짝수 단계(stage)의 경로 정보 선택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는, 상기 현재 단계보다 한 단계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추출부는,
    상기 한 단계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중 제 1 경로 후보 정보를 추출하는 제 1 후보 경로 추출부; 및
    상기 한 단계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중 제 2 경로 후보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후보 경로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장치.
  5. 컨벌루셔널 코딩된 신호에 대한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경로 선택 신호(path select signals)를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로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단계에 상응하는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경로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단계에 상응하는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를 둘 이상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현재 단계에 상응하는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이전 단계에 상응하는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출력 단계; 및
    상기 현재 및 이전 단계에 상응하는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스-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경로 선택 신호는, 홀수 혹은 짝수 단계에 관한 정보인가에 따라, 각 메모리에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는, 상기 현재 단계보다 한 단계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이전 단계에 상응하는 트레이스-백 경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한 단계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중 제 1 경로 후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한 단계 이전의 트레이스-백 경로 중 제 2 경로 후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코딩 방법.
KR1020040099247A 2004-11-30 2004-11-30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KR10068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247A KR100686170B1 (ko) 2004-11-30 2004-11-30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247A KR100686170B1 (ko) 2004-11-30 2004-11-30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755A KR20060060755A (ko) 2006-06-05
KR100686170B1 true KR100686170B1 (ko) 2007-02-23

Family

ID=3715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247A KR100686170B1 (ko) 2004-11-30 2004-11-30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009B1 (ko) * 2011-12-23 2017-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최소화된 복호 지연 시간을 갖는 역추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226A (ko) * 1997-12-19 1999-07-26 이데이 노부유끼 비터비 디코딩 장치 및 비터비 디코딩 방법
KR100212836B1 (ko) 1996-06-14 1999-08-02 전주범 비터비 디코더의 트레이스백 진행 구조
KR100285067B1 (ko) * 1998-09-25 2001-03-15 윤종용 비터비 디코더의 가산 비교 선택 회로
KR20040031323A (ko) * 2002-10-04 2004-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터비 복호기의 경로 메트릭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040050754A (ko) * 2002-12-09 2004-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비터비 디코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836B1 (ko) 1996-06-14 1999-08-02 전주범 비터비 디코더의 트레이스백 진행 구조
KR19990063226A (ko) * 1997-12-19 1999-07-26 이데이 노부유끼 비터비 디코딩 장치 및 비터비 디코딩 방법
KR100285067B1 (ko) * 1998-09-25 2001-03-15 윤종용 비터비 디코더의 가산 비교 선택 회로
KR20040031323A (ko) * 2002-10-04 2004-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터비 복호기의 경로 메트릭 저장 장치 및 방법
KR20040050754A (ko) * 2002-12-09 2004-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비터비 디코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850670000 *
10199900632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755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730B1 (ko) 비터비디코딩장치및비터비디코딩방법
KR100285067B1 (ko) 비터비 디코더의 가산 비교 선택 회로
JPH10117149A (ja) ビタービ復号化器用トレースバック装置及びトレースバック方法
JP2005045727A (ja) ビタビ復号器
RU2007123269A (ru)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помехоустойчивого кода
US8566683B2 (en) Power-reduced preliminary decoded bits in viterbi decoders
KR20070073648A (ko) 전송 포맷 검출 장치 및 방법
GB2403111A (en) Maximum likelihood detector which splits the trellis into sections in time and hierarchically processes it, combining adjacent sections at each level
US7404139B2 (en) Decoder with M-AT-A-Time Traceback
JP4580927B2 (ja) ビタビ復号装置、およびビタビ復号方法
KR100686170B1 (ko) 디코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코딩 방법
US5878060A (en) Viterbi decoding apparatus and viterbe decoding method
US20070201586A1 (en) Multi-rate viterbi decoder
US8155246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1T path equivalency information in an nT implementation of a viterbi decoder
JP4606852B2 (ja) ビタービデコーダーを簡素化する方法
US20100150280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UPDATING LOGLIKELIHOOD RATIO INFORMATION IN AN nT IMPLEMENTATION OF A VITERBI DECODER
US20040190651A1 (en) Decoding a signal encoded with a convolutional code
JP3753822B2 (ja) ビタビ復号方法および装置
KR100564757B1 (ko) 저전력 비터비 복호기 및 역추적 방법
KR100491016B1 (ko) 역방향 상태 천이의 연속적 제어에 의한 역추적 비터비복호기 및 그 방법
JP4422867B2 (ja) ビタビデコーダ
US8407572B2 (en) Viterbi decoder and writing and reading method
KR100828243B1 (ko) 단일 어드레스 생성기를 사용하는 터보 디코더 및 그를 이용한 메모리 어드레스 할당 방법
KR0183115B1 (ko) 비터비 디코더의 패스 메모리의 제어회로
KR0183116B1 (ko) 비터비 디코터의 패스 메모리의 제어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