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731B1 -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731B1
KR100685731B1 KR1020060035678A KR20060035678A KR100685731B1 KR 100685731 B1 KR100685731 B1 KR 100685731B1 KR 1020060035678 A KR1020060035678 A KR 1020060035678A KR 20060035678 A KR20060035678 A KR 20060035678A KR 100685731 B1 KR100685731 B1 KR 10068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water
inlet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김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욱 filed Critical 김상욱
Priority to KR102006003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2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각 층에 설치된 방수기구에 연결된 분배배관과 상기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부위에 대응하는 각 설치높이구간에 속하는 분배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분배입상관과 상기 분배입상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갖는 급수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측부위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상기 분배입상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분배입상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승하는 가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방수기구의 방수압력 및 분배입상관과 분배배관에서의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격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화수,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방수기구, 저수조

Description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An equipment blocking and allowing water flow and regulating water pressure, and the wat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above equipmen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개폐식 정압장치를 포함하는 소화용 급수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종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횡단면도,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도1에 도시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동작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단면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승강체와 밀폐부의 확대사시도,
도9는 종래의 소화용 급수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분배배관 12, 112 : 분배입상관
20, 120 : 소화수공급부 21, 121 : 공급저수조
22 122 : 공급관 23, 123 : 공급펌프
30, 30' :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31, 31' : 함체
32, 32' : 바이패스관 40, 40': 가동체
41, 41' : 바디부 42, 42' : 밀폐부
43' : 원동랙부 44' : 승강체
45' : 종동랙부 46' : 동력전달부
본 발명은 유로개폐식 정압장치(定壓裝置)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방수기구(放水器具)에 물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 건물에는 스프링클러(Sprinkler), 소화전, 수도꼭지 등의 방수기구와, 방수기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이 설치된다.
방수기구는 건물의 각 층에 분산 설치되지만, 그 설치높이와 관계없이 동일 종류의 방수기구에 대해서는 동일범위의 방수압력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방수기구의 방수압력요건은 방수기구 전체에 대하여 충족되도록 설계하기도 하나, 건물이 높은 경우 방수기구를 높이차에 따라 복수로 그룹으로 분할하는 한편 각 그룹의 방수기구별로 물을 공급하는 설계기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9는 종래의 소화용 급수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종래의 소화용 급수시스템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설치높이구간 H1, H2, H3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클러(401)에 연결된 분배배관(111)과,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3개의 분배입상관(112)과, 각 분배입상관(112)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공급부(120)를 갖고 있다.
각 분배배관(111)에는 개폐형 제어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위의 스프링클러(401a)에 연결된 분배배관은 111a, 중간위치의 스프링클러(401b)에 연결된 분배배관은 111b, 하위의 스프링클러(401c)에 연결된 분배배관은 111c라고 한다.
분배입상관(112)은 하부부위에 대응하는 각 설치높이구간에 속하는 분배배관(111) 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배배관(111a)이 연결된 분배입상관을 112a, 분배배관(111b)이 연결된 분배입상관을 112b, 분배배관(111c)이 연결된 분배입상관을 112c라고 한다.
소화수공급부(120)는 상위의 분배배관(111a)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공급저수조(121)와, 하위의 분배배관(111c)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보충저수조(127)와, 공급저수조(121)와 분배입상관(112)사이의 유로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공급관(122)과, 상위의 분배입상관(112a)에 연결된 공급관(122)에 설치된 공급펌프(123)와, 보충저수조(127)와 공급저수조(121)사이의 유로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보충입상관(124)과, 보충입상관(124)에 설치된 보충펌프(125)와, 하위의 분배입상관(112c) 및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12b)에 각각 연결된 공급관(122)에 설치된 2개의 감압밸브(126)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소화용 급수시스템을 통해 스프링클러(401)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펌프(123)를 구동시키면 공급저수조(121)로부터 상위의 분배입상관(112a)과 상위의 분배배관(111a)을 통해 상위의 스프링클러(401a)에 소화수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위의 스프링클러(401a)의 적정방수압력은 공급펌프(123)의 성능, 공급관(122)의 관경, 분배입상관(112a)의 관경, 분배입상관(112b, 112c)의 길이 및 분배배관(111a)의 관경을 주요파라미터로 하여 결정할 수 있다.
중간위치에 있는 스프링클러(401b)와 하위의 스프링클러(401c)에는 직접 감압밸브(126)를 통해 감압된 상태로 소화수가 공급된다. 여기서 중간위치 스프링클러(401b)와 하위의 스프링클러(401c)의 적정방수압력은 공급관(122)의 관경, 분배입상관(112b, 112c)의 관경, 분배입상관(112b, 112c)의 길이 및 분배배관(111b, 111c)의 관경을 주요파라미터로 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보충펌프(125)를 동작시키면 보충저수조(127)로부터 소화수가 보충입상관(124)을 통해 공급저수조(121)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의 소화용 급수시스템에 따르면, 감압밸브(126)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감압밸브(126)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감압조절성능이 저하되어 방수기구의 방수압력 및 분배입상관(112)과 분배배관(111)에서의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분배입상관(112)과 분배배관(111)에서는 사용허용압력을 초과하는 수압이 형성됨).
또한 공급저수조(121)와 분배입상관(112)사이에 소화수가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수격(水擊)작용에 따른 손상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들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이외 식수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에 대해서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방수기구의 방수압력 및 분배입상관과 분배배관에서의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격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급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 각 층에 설치된 방수기구에 연결된 분배배관과 상기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부위에 대응하는 각 설치높이구간에 속하는 분배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분배입상관과 상기 분배입상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갖는 급수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측부위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상기 분배입상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분배입상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승하는 가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바디부에 전달되는 부력과 같은 크기의 힘이 밀폐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가동체는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이 작용하는 바디부와, 상단 부위에 상기 유입구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에 전달되는 부력과 다른 크기의 힘이 밀폐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가동체는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이 작용하는 바디부와, 상면에 통과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통수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개구부를 통해 상기 유입구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승강체와, 상기 바디부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단 부위에 상기 유입구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승강체가 상승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유입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체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함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두 개의 원동랙부와, 상기 각 원동랙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두 개의 종동랙부와, 상기 원동랙부에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고정된 두 개의 구동피니언과 상기 종동랙부에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고정된 두 개의 종동피니언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에 전달되는 부력보다 큰 힘이 밀폐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종동피니언은 상기 구동피니언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구에 대한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로개폐식 정압장치는 상기 분배입상관과 상기 함체사이의 유로가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병렬로 형성되도록 상기 분배입상관과 상기 함체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을 개폐하는 바이패스개폐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건물 각 층에 설치된 방수기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구에 연결된 분배배관과; 상기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부위에는 대응하는 각 설치높이구간에 속하는 분배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분배입상관과; 상기 분배입상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전술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개폐식 정압장치를 포함하는 소화용 급수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급수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설치높이구간 H1, H2, H3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클러(401)에 연결된 분배배관(11)과,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3개의 분배입상관(12)과, 각 분배입상관(12)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공급부(20)와,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 및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를 갖고 있다.
각 분배배관(11)은 종래와 동일한 스프링클러(401)와의 연결 관계를 갖고 있다.
분배입상관(12)은 종래의 경우와 동일한 분배배관(11)과의 연결 관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은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을 통해 소화수공급부(2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화수공급부(20)는 하위의 분배배관(11c)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공급저수조(21)와, 공급저수조(21)와 분배입상관(12)사이의 유로를 제공하도록 설치된 공급관(22)과, 공급관(22)에 설치된 공급펌프(23)를 갖고 있다.
공급관(22)은 공급저수조(21)로부터 상위의 분배입상관(12a)과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은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의 인접부위에 압력계(13a)가 접속되어 있다.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은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의 중간부위로부터 분기되어 있고,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의 인접부위에 압력계(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된다.
각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는 대략 장방형상단면의 함체(31)와, 함체(31)의 내부에 설치된 가동체(40)와,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과 함체(31)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32)과, 바이패스관(32)을 개폐하는 바이패스개폐부(33)를 갖고 있다.
함체(31)는 상면에 유입구(31a)가 형성되고, 저면에 유출구(31b)가 형성되며, 측면 상측부위에 통기공(3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31)는 내벽면에 지지턱(31d)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함체(31)는 측면에 수위계(31f)가 부착되어 있다.
유입구(31a)는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의 개구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31c)은 체크밸브(15)를 통해 배수관(16)에 연통되어 있다.
가동체(40)는 대략 장방형상의 바디부(41)와, 바디부(41)의 상면에 결합된 밀폐부(42)를 갖고 있다.
바디부(41)는 중공(中空) 형태로 제작되고, 네 모서리 부위에 각각 기역자 단면의 소화수경로(41b)가 전 높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42)는 상단 부위에 유입구(31a)의 하부부위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헤드부(42a)와, 헤드부(42a)의 저면과 바디부(41)의 상면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판(42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동체(40)는 지지턱(31d)의 상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동체(40)의 설치작업은 헤드부(42a)가 유입구(31a)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가동체(40)는 함체(31)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에 의해 유입구(31a)를 폐쇄하도록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바이패스관(32)에 의해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과 함체(31)사이 또는 하위의 분배입상관(12b)과 함체(31)사이의 유로가 유입구(31a)에 대하여 병렬로 형성 된다.
바이패스개폐부(33)는 바이패스관(32)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모터구동형 개폐밸브(33a)와, 개폐밸브(33a)에 연결된 개폐모터(33b)와,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개폐모터(33b)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모터구동부(33c)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는 각각 유입구(31a)와 유출구(31b)가 분배입상관(12b, 12c)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급수시스템을 통해 스프링클러(401)에 소화수가 전달되는 과정을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펌프(23)를 구동시키면 공급저수조(21)로부터 공급관(22)을 통해 상위의 분배입상관(12a)과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에 소화수가 공급된다.
상위의 분배입상관(12a)에 공급된 소화수는 종래의 소화용 급수시스템과 같은 방법으로 상위의 스프링클러(401a)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위의 스프링클러(401c) 적정방수압력은 공급펌프(23)의 성능, 공급관(22)의 관경, 분배입상관(12a)의 관경, 분배입상관(12a)의 길이 및 분배배관(11a)의 관경을 주요파라미터로 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에 공급된 소화수는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에 연결된 지점까지 수위가 상승할 때까지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에 채워진다.
다음에 중간위치 분배입상관(12b)의 수위가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에 연결된 지점까지 상승하면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에 소화수가 채워진다.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의 수위가 함체(31)의 내부에 도달하면 가동체(40)에 부력이 가해진다(도4 참조).
함체(31)의 수위가 증가하면 밀폐부(42)는 상승하여 유입구(31a)를 폐쇄시킨다(도5 참조). 이 때 함체(31)의 내부공기는 통기공(3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유입구(31a)가 폐쇄되면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의 나머지 부분이 소화수로 채워진다.
하위의 분배입상관(12c)에 소화수가 다 채워지면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의 나머지 구간에 소화수가 채워진다.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의 수위가 함체(31)의 내부에 도달하면 가동체(40)에 부력이 가해진다(도4 참조).
함체(31)의 수위가 증가하면 밀폐부(42)는 상승하여 유입구(31a)를 폐쇄시킨다(도5 참조). 이 때 함체(31)의 내부공기는 통기공(3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중간위치 스프링클러(401b)와 하위의 스프링클러(401c)의 적정방수압력은 공급펌프(23)의 성능, 공급관(22)의 관경, 분배입상관(12b, 12c)의 관경, 분배입상관(12b, 12c)의 길이, 분배배관(11b, 11c)의 관경 및 분배입상관(12b, 12c)에 대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의 설치위치를 주요파라미터로 하여 결정할 수 있다. 분배입상관(12b)에 연결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의 유입구(31a)에 가해지는 압력은 분배입상관(12a)의 상단에 작용하는 작용하는 압력과 거의 동일한 값을 갖게 된다(만약 분배입상관(12a)을 생략하고 소화용 급수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분배입상관(12b)에 연결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의 유입구(31a)에 작용하는 압력 은 영이 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유입구(31a)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밸브(33a)가 개방되면 함체(31)의 내부로 소화수가 추가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가동체(40)에 가해지는 부력이 증가하고 유입구(31a)의 밀폐상태는 강화된다(도6 참조).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디부(41)에 전달되는 부력과 같은 크기의 힘이 밀폐부(42)에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밀폐부(42)에 전달되는 힘이 바디부(41)에 전달되는 부력과 달라지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급수시스템의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8은 도7에 도시된 승강체와 밀폐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급수시스템은 유로개폐식 정압장치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급수시스템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는 대략 장방형상단면의 함체(31')와, 함체(31')의 내부에 설치된 가동체(40')와,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과 함체(31')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32')과, 바이패스관(32')을 개폐하는 바이패스개폐부(33')를 갖고 있다.
함체(31')는 상면에 유입구(31'a)가 형성되고, 저면에 유출구(31'b)가 형성되며, 측면 상측부위에 통기공(3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31')는 내벽면에 지지턱(31'd)이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31'a)는 벤츄리관(Venturi Tube) 형태의 개구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 어 있다.
가동체(40')는 대략 장방형상의 바디부(41')와, 함체(31')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바디부(41')에 결합된 두 개의 원동랙부(43')와, 바디부(41')의 상측에 설치되는 승강체(44')와, 승강체(44')의 외표면에 형성된 두 개의 종동랙부(45')와, 원동랙부(43')와 종동랙부(45')사이에 개재하는 동력전달부(46')와, 승강체(44')에 결합된 밀폐부(42')를 갖고 있다.
바디부(41')는 중공(中空) 형태의 부력체로 제작되고, 네 모서리 부위에 각각 기역자 단면의 소화수 경로(도시되지 않음, 도3 참조)가 전 높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원동랙부(43')는 유입구(31'a)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바디부(41')에 결합된다.
승강체(44')는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는 상부지지링(44'a) 및 하부지지링(44'b)과, 상부지지링(44'a)과 하부지지링(44'b)을 높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4개의 연결바(44'c)와, 하부지지링(44'b)의 저면에 결합된 고정판(42'b)을 갖고 있다.
상부지지링(44'a)에 의해 통과개구부(44'd)가 형성된다.
연결바(44'c) 중 2개는 원동랙부(43')에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바(44'c)의 사이부위에는 통수개구부(44'e)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승강체(44')는 통과개구부(44'd)의 대향부위에 유입구(31'a)가 배치되도록 바디부(41')의 상측에 설치된다.
두 개의 종동랙부(45')는 원동랙부(43')에 대향하는 연결바(44'c)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동력전달부(46')는 원동랙부(43')에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체(31')에 고정된 두 개의 구동피니언(46'a)과, 종동랙부(45')에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체(31')에 고정된 두 개의 종동피니언(46'b)으로 구성된다.
종동피니언(46'b)은 구동피니언(46'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동력전달부(46')에 의해 바디부(41')가 상승하면 승강체(44')도 함께 상승하고, 바디부(41')가 하강하면 승강체(44')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종동피니언(46'b)이 구동피니언(46'a)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바디부(41')에 가해지는 부력보다 큰 힘이 승강체(44')에 전달된다.
밀폐부(42')는 상단 부위에 유입구(31'a)의 하부부위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헤드부(42'a)와, 헤드부(42'a)의 저면과 하부지지링(44'b)을 연결하는 고정판(42'b)을 갖고 있다.
여기서 밀폐부(42')는 승강체(44')가 상승할 때 헤드부(42'a)가 유입구(31'a)를 밀폐할 수 있도록 고정판(42'b)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동체(40')는 지지턱(31'd)의 상면에 설치된다.
바이패스관(32')과, 바이패스개폐부(33')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용 급수시스템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입상관(12b, 12c)에 채워지는 소화수(설치지점 하부부위에 채워지는 소화수)로부터 가해지는 부력에 의해 유입구(31a, 31'a)가 폐쇄되고 유입구(31a, 31'a)가 폐쇄된 상태에서 분배입상관(12b, 12c)에서의 소화수를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를 분배입상관(12b, 12c)에 설치함으로써, 공급저수조(21)와 분배입상관(12b, 12c)사이의 소화수 흐름의 연속성이 상실되고 분배입상관(12b, 12c)에는 분배입상관(12b, 12c)의 전 길이구간의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분배입상관에 대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됨)의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스프링클러(401)의 방수압력 및 분배입상관(12)과 분배배관(11)에서의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누수가 발생하여도 가동체의 부력에 의한 유입구 개폐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짐), 수격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수격작용에 따른 에너지는 밀폐부의 반복 승 하강 동작에 의해 흡수됨).
그리고 분배입상관(12)과 유로개폐식 정압장치(30)를 추가하면, 보다 높은 고층건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부(41)와 밀폐부(4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바디부(41)에 전달되는 부력과 같은 크기의 힘을 밀폐부(42)에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부(41')와 밀폐부(42')사이에 동력전달부(46')를 마련함으로써, 바디부(41')에 전달되는 부력과 다른 크기의 힘을 밀폐부(42')에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이패스관(32, 32')을 사용하여 중간위치의 분배입상관(12b)과 함체(31, 31')사이의 유로를 추가함으로써, 유입구(31a, 31'a)에 대한 밀폐력을 증가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바디부(41, 41')를 중공(中空) 형태로 제작하고 있으나, 헬륨가스를 충진하거나 스치로폴 등으로 비중공 형태로 제작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종동랙부(45')를 네개의 연결바(44'c) 중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2개의 연결바에 형성하고 있으나, 네 개의 연결바(44'c)의 외표면에 종동랙부를 하나씩 형성하여(이에 따라 네개의 종동랙부와 네 개의 원동랙부를 가지게 됨)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공급저수조(21)를 분배배관(11)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나, 공급저수조(21)를 건물의 옥상이나 중간층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식수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입상관에 채워지는 물로부터 가해지는 부력에 의해 유입구가 폐쇄되고 유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분배입상관에서의 물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를 분배입상관에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방수기구의 방수압력 및 분배입상관과 분배배관에서의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격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건물 각 층에 설치된 방수기구에 연결된 분배배관과 상기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부위에는 대응하는 각 설치높이구간에 속하는 분배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분배입상관과 상기 분배입상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갖는 급수시스템에 사용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저면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측부위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상기 분배입상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분배입상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승하는 가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이 작용하는 바디부와, 상단 부위에 상기 유입구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함체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때 부력이 작용하는 바디부 와, 상면에 통과개구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통수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개구부를 통해 상기 유입구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승강체와, 상기 바디부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와, 상단 부위에 상기 유입구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가지고 상기 승강체가 상승할 때 상기 헤드부가 상기 유입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체에 결합된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함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된 두 개의 원동랙부와, 상기 각 원동랙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두 개의 종동랙부와, 상기 원동랙부에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고정된 두 개의 구동피니언과 상기 종동랙부에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에 고정된 두 개의 종동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피니언은 상기 구동피니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개폐식 정압장치는 상기 분배입상관과 상기 함체사이의 유로가 상기 유입구에 대하여 병렬로 형성되도록 상기 분배입상관과 상기 함체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을 개폐하는 바이패스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7. 건물 각 층에 설치된 방수기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수기구에 연결된 분배배관과;
    상기 건물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부위에는 대응하는 각 설치높이구간에 속하는 분배배관이 병렬로 연결된 분배입상관과;
    상기 분배입상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에 기재된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스템.
KR1020060035678A 2006-04-20 2006-04-20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KR10068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678A KR100685731B1 (ko) 2006-04-20 2006-04-20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678A KR100685731B1 (ko) 2006-04-20 2006-04-20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731B1 true KR100685731B1 (ko) 2007-02-26

Family

ID=3810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678A KR100685731B1 (ko) 2006-04-20 2006-04-20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239A (ko) * 2017-12-08 2019-06-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머드 분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9806U (ko) * 1987-04-08 1988-11-28 신현완 수압자동 조절장치
JPH07305865A (ja) * 1994-05-10 1995-11-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空調用熱交換器の液面調節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JPH08210534A (ja) * 1995-02-01 1996-08-20 Kyowa Seisakusho:Kk 逆止弁
KR100443333B1 (ko) 2001-06-08 2004-08-09 서효석 수압유지형 급수 방식 및 이에 적합한 급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9806U (ko) * 1987-04-08 1988-11-28 신현완 수압자동 조절장치
JPH07305865A (ja) * 1994-05-10 1995-11-2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空調用熱交換器の液面調節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JPH08210534A (ja) * 1995-02-01 1996-08-20 Kyowa Seisakusho:Kk 逆止弁
KR100443333B1 (ko) 2001-06-08 2004-08-09 서효석 수압유지형 급수 방식 및 이에 적합한 급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239A (ko) * 2017-12-08 2019-06-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머드 분배 장치
KR102039669B1 (ko) 2017-12-08 2019-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머드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19008B2 (en) An underwater apparatus for operating underwater equipment
EP1214540B1 (en) Valve for high pressure gas cylinders
JP5777313B2 (ja) 消火栓装置
MX2013003933A (es) Sistema de inyeccion de dispersantes submarino autonomo y metodos.
KR100685731B1 (ko) 유로개폐식 정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시스템
US7891373B2 (en) Flow control valve
US9249897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JP2006220226A (ja) ウオータハンマ防止用閉止弁及びそれを用いた放水設備
CN107975105A (zh) 一种用于综合贮水、供水的管道式集成水箱
KR200154487Y1 (ko) 소화와 식수용수 공급장치
KR101254083B1 (ko)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JP4435828B2 (ja) 地下水の汲上げ装置
KR20130046052A (ko)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US20080008532A1 (en) Anti-flooding device for the exploitation of water energy
JPH08177809A (ja) 油圧シリンダの昇降体のロック構造
JP2001204843A (ja) 消火装置
US9803775B2 (en) Double action float valve
KR100982693B1 (ko) 취수장치
CN217053604U (zh) 一种伸缩式消防栓
KR101786973B1 (ko) 유압 방향전환 블록
US20100243069A1 (en) Subsea valve
JP4707406B2 (ja) 地下液体貯留設備の安全弁装置析出物堆積防止装置及び方法
JP7001464B2 (ja) 給水装置
GB2451487A (en) Fire sprinkler system
KR200327577Y1 (ko) 흡배기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