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817B1 - 신축 가요성 조인트 - Google Patents

신축 가요성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817B1
KR100682817B1 KR1019980710033A KR19980710033A KR100682817B1 KR 100682817 B1 KR100682817 B1 KR 100682817B1 KR 1019980710033 A KR1019980710033 A KR 1019980710033A KR 19980710033 A KR19980710033 A KR 19980710033A KR 100682817 B1 KR100682817 B1 KR 10068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fitted
cavity
spherical
concav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449A (ko
Inventor
신타로 이케다
유지 노다
요시히코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 빅토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빅토릭(주) filed Critical 닛폰 빅토릭(주)
Priority to KR101998071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8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26Universal and axially displaceabl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53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held in place by bolts passing through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대칭 설치한 양 관체(1, 2) 끝부에 각각 형성한 공동형 구형부(3, 4)를 내외측에 끼워 맞춘 상기 대칭 설치 관체(l, 2)를 상호 굴곡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3, 4)의 개구단의 면(4a)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3)의 계면 사이에 단면적으로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가 형성된 패킹(5, 5a)을 부가하여 설치하고, 오목 입구부 부분의 적어도 한 측에 형성된 립부(7)를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의 면에 접합하고, 패킹(5, 5a)에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의 면(4a)에 부착된 유지 부재(9)를 접합시킨다. 이 조인트는 구면을 이용한 신축 가요 작용을 확실히 행하고, 내구성에 뛰어나고 곡관부에 사용된 조건하에서 압력이 작용하여도 굴곡력이 생기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 가요성 조인트
본 발명은 신축 가요성 조인트에 관한 것이며, 구면을 이용한 신축 가요성 조인트에서의 신축 가요성 작용을 확실히 행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한 곡관부에 사용된 조건하에서 압력이 작용하여도 굴곡력이 생기는 것을 적절히 억제한 신규한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로를 큰 가요성을 채용하여 접속하는 것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또한 실용화되어 있지만, 그 가요 작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형부를 채용하는 것이 비교적 큰 가요 작용을 얻는 것에 있어 유리하다. 즉, 대향한 관체 끝부분에 내외에 있어서 끼워 맞추도록 된 공동형 구형부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그들의 공동형 구형부를 끼워 맞추어 연결하고 외측 구형부에 대하여 유지 부분체를 부착하고, 내측 구형부를 상기 외측 구형부와 유지 부분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요성 조인트를 쌍으로 채용하여, 그들 조인트부에서의 관체를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양측 가요부 사이에 관체 상호간의 신축부를 형성하고, 가요성과 함께 신축 작용도 얻어지고, 이 경우에는 해당 조인트 기구의 양 끝부분에 접속된 관체가 평행인 채로 관로에 가요성과 신축성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요성 조인트 내지 신축 가요성 조인트는 모두 가요성 및 신축성을 크게 채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상기 한 바와 같은 가요부, 신축부에 넣어 장치된 밀봉재에 의해 정확한 밀봉 조건을 확보하면서 가요, 신축하므로 밀봉 조건의 정확함은 밀봉재의 조임 정도에 비례하여 실제의 가요, 신축 작용시에 상당한 마찰 저항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밀봉재의 마찰 저항에 의해 실제 신축 가요성 작용이 원활히 행해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그들 부분체의 조임 연결에 있어 상기 밀봉재를 상기와 같이 확실하게 눌러 조여 밀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조임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또한 부정확한 경우에는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남으며, 더구나 충분히 조여진 밀봉재는 그 설정 조건으로부터 노화 내지 변형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얻기 어려운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신축 가요성 조인트가 곡관부에 채용된 경우에 있어서 관내를 유통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조인트부가 늘어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8)로부터 인출되어 굴곡 관로(26)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것 같은 경우에 그 관로 부분체(27)에 불필요한 굴곡 작용력을 가상선으로 나타내듯이 발생시키고, 관로에 변형부(27) 내지 균열이나 꺽임 파손을 초래하는 등의 부적합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가요성 조인트의 일례에 관하여 부분적으로 잘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중요 부분에 관하여 그 작동 관계를 도시한 부분적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것에 관하여 신축량을 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적 단면도.
도 4는 연장 어댑터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구성예를 도시한 도 1과 같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부분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같은 조인트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압력에 의해 관로가 굴곡력이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은 대칭 설치된 양관체 끝부분에 각각 형성한 공동형 구형부를 내외측에 끼워 맞추어 대칭 설치 관체를 서로 굴곡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외면 사이에 단면적으로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가 형성된 패킹을 부가하여 설치하고, 오목 입구부 부분의 적어도 한 측에 형성된 립부를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의 면에 접합하고, 패킹에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에 부착된 유지 부재를 접합시킴으로써, 특정 밀봉재를 채용하고 적절한 스토퍼부를 형성함으로써 바람직한 밀봉 조건을 간편하면서 정확하게 형성하여 안정된 가요 신축 작용을 확보하고 고도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구성 상태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설치된 관체(1, 2)의 끝부분에 각각 공동형 구형부(3, 4)를 형성하고, 이들의 공동형 구형부(3, 4)를 내외측에 끼워 맞추어, 상기 관체(1, 2)를 서로 굴곡할 수 있도록 연결한 것 자체는 상기 종래로부터의 가요 작용을 확보하기 위한 조인트 기구와 같고, 상기와 같이 내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3, 4)사이에는 패킹(5)을 사용하여 밀봉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패킹(5)으로서 특정한 것을 채용하고, 또한 특정 관계로 고정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3)의 외면 사이에 단면 공동형의 오목 입구부(6)로서 성형된 패킹(5)을 부가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단면 공동형 오목 입구부(6) 부분의 양측에 형성된 립부(7, 8)를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의 면(4a)과 내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3)의 외면에 각각 접합하고, 상기 패킹(5) 외면에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의 면(4a)에 부착된 유지 부재(9)를 접합시키고, 해당 패킹(5)을 소정의 설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동형 구형부(3, 4)를 갖는 관체(1, 2)는 그 양 끝부분에 각각 플랜지부와 같은 접속부(11 또는 12)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단점인 조인트 구조로 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보다 충분한 가요성과 함께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동형 구형부(3, 4)로 이루어진 조인트부를 복합한 구성으로 한 조인트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충분한 가요성과 같이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동형 구형부(3, 4)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부를 복합한 구성으로 하고, 그들의 공동형 구형부(3, 4) 사이에 관체(1, 2)의 한쪽의 직경을 확대한 외측 관체 끝부분(21)로 하고, 이러한 외측 관체 끝부분(21)에 다른쪽 관체 끝부분를 내측 관체 끝부분(22)으로서 수용하고, 이와 같은 내측 관체 끝부분(22)에 설치된 유지 시트(13)에 단면 공동형 오목 입구부(16)로서 형성된 패킹(15)을 받아 들임과 동시에 해당 패킹(15)의 외측 립부(17)를 상기 외측 관체 끝부분(21) 내면에 접합 밀봉(15)시키고, 또한 상기 유지 시트(13)와 결합된 스토퍼(20)는 해당 외측 관체 끝부분(21)에 제공되므로, 패킹(15)은 외측 관체 끝부분(21)을 적절하게 제거함으로써 부착 수단(19)으로 교환될 수 있다.
즉, 이 도 1과 같은 구성에 의한 것은 내외측 관체 끝부분(21, 22)에 있어서 스토퍼(20)와 유지 시트(13)에 의한 간격 범위내에서 적절한 신축을 수용하고, 그러한 내외측 관체 끝부분(21, 22) 양측에 설치된 공동형 구형부(3, 4) 및 구형부(3, 4)에 있어서 각각에 적절한 가요 작용을 얻게 되어 큰 신축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패킹(5, 1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관체 끝부분(22)이 패킹(5, 15)의 유지측과 밀봉면과의 갭(e)만큼 기울기가 생기더라도 패킹(5, 15)이 자동적으로 따라가 자동 밀봉으로서의 정확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고, 그 내부가 빈 공동형 오목 입구부(6, 16)에 내부 유체압이 작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밀봉 상태를 항상 유효하게 형성 유지할 수 있으므로, 패킹(5, 15)을 강하게 압축할 필요없이 바람직한 밀봉 관계를 구성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패킹(5, 15)이 강하게 압축되지 않으므로 그 변형이나 노화를 방지하고, 조인트 기구 전반의 내구성이 충분히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충분한 신축 작용은 경우에 따라서 적절히 제한할 수 있고, 그 상태는 별도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즉, 부착 수단(19)에 의해 고정되고 2 부분으로 분할된 스토퍼(20)는 적당히 교환할 수 있고, 도 3과 같이 폭이 넓은 스토퍼(20)를 부착함으로써, 신축 구속 스토퍼로서 작용하고, 신축이 없는 혹은 신축이 적당히 제한된 기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것과는 별도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신축 가요성 조인트를 그 일단측을 외측 끼워 맞춤부(23)로 하고, 타단측을 내측 끼워 맞춤부(24)에 형성한 중간 끼워 맞춤 관체(14)를 사용하고, 그 끝부분에 형성한 유지 시트(25)와 내측 관체 끝부분(22)에 형성한 유지 시트(13)에 각각 단면 공동형으로서 형성된 패킹(15)을 받아 들이고, 그들 패킹(15)의 외측 립부(17)를 외측 끼워 맞춤부(23)와 외측 관체 끝부분(21)에 각각 접합시키고, 또한 상기 패킹 유지 시트(13 또는 25)에 고정된 스토퍼(20)를 설치한 것이다.
요컨대, 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를 때는 중간 끼워 맞춤 관체(14)의 양 끝부분에서 각각 큰 신축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중간 끼워 맞춤 관체(14)는 같은 관계로 2개 이상을 동축형으로서 연속하여 사이에 넣어 장치할 수가 있으므로 신축량을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대폭 확대된 것으로 얻는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구성 형태로서의 보기를 도시하며, 상기 보기에서, 서로 대면하는 오목 입구부(31)가 단면적으로 측면에서 형성되도록, 내외측에 끼워 맞춘 공동형 구형부(3, 4)에 제공된 패킹(5a 또는 15a) 및/또는 내외측 관체 끝부분(21, 22)이 형성된다. 유지 부재(9)가 외측의 공동형 구형부(4)에 부착되어 상기 패킹(5a 또는 15a)을 유지한다. 패킹(5a, 15a)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내외측 관체 끝부분(21, 22) 사이에 제공된 패킹(15a)은 도 5의 구조의 경우에 패킹(5a)보다 소형으로 되어 있지만, 내외측 관체 끝부분(21, 22) 사이에 제공된 패킹(15a)은 도 1의 구조의 경우에 공동형 구형부(3)에 결합된 패킹(5a) 보다 크다.
즉, 이러한 도 5 및 도 6의 구조를 사용할 때, 패킹(5)의 공동형 구형부(4)에서 개구단의 면(4a)을 갖는 밀봉면이 구형면에 대하여 수직면이 되므로, 수직 개구단의 면(4a)에서 밀봉 면적(밀봉 폭)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따라서, 상기 공동형 구형부(4)의 외경 치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도 5의 구조의 경우에, 그러나, 패킹(5a, 15a)이 두께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구형면에 대한 수직면에서의 밀봉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구형부의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패킹(5a, 15a)의 단면이 대칭형을 이루므로, 조립할 때에 그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양 구형부(3, 4)를 눌러 조여 패킹(5a, 15a)을 압축하여 밀봉하는 것도 없으므로, 그들의 어느 것으로 하여도 조립 조작이 현저히 용이하다. 그리고, 이들의 패킹(5a, 15a)은 어느 것으로 해도 내압 등의 압력화를 이용한 밀봉 작용이 얻어지는 것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립부가 양측에 대칭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압과 함께 외압 변동에 대하여도 유효하게 따르는 자동적 밀봉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조립 조작이 용이한 조건하에서 항상 바람직한 밀봉 관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관로 내측 및 외측 쌍방에서 얻고 있는 특성이 있다.
또한, 도 l은 조인트에 관축 방향의 인장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패킹을 지지하고 있는 유지 부재(9)가 인장력 작용 방향으로 인출되고, 패킹(5)에 대한 유지 부재(9) 사이에서의 밀봉 성능이 저감한다. 이에 대하여 도 5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인장력 작용시에 있어서도 같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킹(5a, 15a)을 누르지 않고 밀봉 관계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구조의 경우에는, 프리 상태에서 신축 작용 및 굴곡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조가 4 부분체로 형성될 때 조작시에 양손을 사용하여도 변형 방향 및 양이 증가하고 취급상의 곤란함이 커진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9)에 각각 복수의 고정 시트부(30)를 돌출 설치하여 임시 고정 볼트(29)를 삽입하고 조여서 양 유지 부재(9)를 고정 상태로 하고, 설정 위치에 반입한 후에 상기 임시 고정 볼트(29)를 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칭 설치된 관체 끝부분에 형성한 공동형 구형부를 내외측에 끼워 맞추어 상기 관체를 상호 굴곡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이고, 상기와 같이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외면 사이에 단면적으로 측면으로부터 오목 입구부가 형성된 패킹을 부가하여 설치하고, 상기와 같은 오목 입구부 부분의 적어도 한 측에 형성된 립부를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의 면에 접합하고, 상기 패킹에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에 부착된 유지 부재를 접합시킴으로써 관체내를 흐르는 유체압을 패킹의 공동형부에 작용시켜 유효한 밀봉 상태를 형성하고, 따라서 패킹을 강압하지 않고 밀봉을 달성하며, 해당 패킹의 내구성을 높이고 굴곡성 및 가요성을 적절히 확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패킹 외면에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에 부착된 유지 부재를 접합시킴으로써 패킹을 적정한 상태에서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외면에 설정, 유지시킨다. 단면적으로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가 형성된 패킹이 단면 공동형으로서 형성되며, 해당 공동형 오목 입구부 양측에 형성된 립부를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의 면과 내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 외면에 각각 접합시킴으로써 관체내 유체압을 오목 입구부내에 작용시켜 바람직한 밀봉성을 확보한다.
단면적으로 양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가 대향하여 형성된 패킹을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 외면 사이에 넣어 장치하고, 상기 패킹의 한 측에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에 설치된 유지 부재를 접합시킴으로써 접속된 관로의 축방향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여도 패킹을 지지하는 유지 부재가 인장 작용력 방향으로 인출되지 않아, 그러한 인장력 작용시에도 안정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신축 가요성 조인트를 복수개 연결 설치하고, 그들 신축 가요성 조인트에서의 대향 관체 끝부분의 한쪽을 확경한 외측 관체 끝부분으로 하고, 다른쪽 관체 끝부분을 내측 관체 끝부분으로서 수용하며, 해당 내측 관체 끝부분에 설치된 유지 시트에 단면 공동형으로서 형성된 패킹을 받아 들이고, 해당 패킹의 외측 립부를 상기 외측 관체 끝부분의 내면에 접합시키고, 해당 외측 관체 끝부분에 상기 유지 시트에 고정된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충분한 가요 작용과 알맞은 신축 작용을 함께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신축 가요성 조인트의 일단측을 외측 끼워 맞춤부로 하고, 타단측을 내측 끼워 맞춤부로 한 중간 끼워 맞춤 관체를 거쳐 연결 설치하고, 내측 끼워 맞춤부에 형성한 유지 시트에 각각 단면 공동형으로서 형성된 패킹을 받아 들이고 해당 패킹의 외측 립부를 외측 끼워 맞춤부 내면에 접합시키고 상기 외측 끼워 맞춤부에 상기 패킹 유지 시트에 고정된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충분한 가요성과 신축성을 함께 얻고, 또한 복수개의 중간 끼워 맞춤 관체를 적당히 짜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유자재의 신축 가요성 조인트 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킹을 강압하지 않고 정확한 밀봉 상태를 형성하고, 따라서 또한 원활한 가요 작용 내지 신축 작용을 실현하고 상기 패킹의 내구성을 충분히 향상시키고, 그 신축량을 유효하게 제어하여 관로에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관축 방향의 인장력 작용 조건하에 있어서도 안정된 밀봉 작용을 유지하여 적정한 가요, 신축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대칭 설치된 양 관체(1,2) 끝부분에 각각 형성한 공동형 구형부(3,4)를 그들 구형부의 내외측에 끼워 맞추어 상기 대칭 설치 관체를 서로 굴곡할 수 있도록 연결한 복수의 굴곡성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와 같이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의 면(4a)과 해당 개구단에 연결된 유지 부재(9) 및 상기 내측 끼워 맞춤 관체(3)의 공동형 구형부 외면 사이에 넣어 장치된 패킹(5)에 상기 개구단 및 공동형 구형부 외면에 걸쳐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6)를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오목 입구부(6) 부분의 한 측에 형성된 립부(7)를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의 면에 접합하고,
    상기 패킹(5)의 외면에 상기 외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에 부착된 유지 부재(9)를 접합시키고,
    상기 복수의 굴곡성 조인트부 사이에도 선단부에 단면적으로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16)가 형성된 패킹(15)을 구비한 유지 시트(13)가 형성된 내측 관체(22)와 선단부에 상기 유지 시트를 걸어 맞추는 스토퍼(20)를 설치한 외측 관체(21)를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접합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요성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면적으로 측면에서 오목 입구부(16)가 형성된 패킹(15)이 단면 C형의 공동형으로서 형성되고, 해당 공동형 오목 입구부(16)의 양측에 형성된 립부를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의 개구단의 면과 내측 끼워 맞춤 공동형 구형부 외면에 각각 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요성 조인트.
  3. 대칭 설치된 양 관체(1,2) 끝부분에 각각 형성한 공동형 구형부(3,4)를 그들 구형부 내외측에 끼워 맞추어 상기 대칭 설치 관체를 상호 굴곡할 수 있도록 연결한 복수의 굴곡성 조인트부를 구비하고,
    상기와 같이 외측에 끼워 맞추게 된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3)의 외면 사이에 단면적으로 양측면에서 오목 입구부(31)가 대향하여 형성된 패킹(5a)을 외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4)의 개구단과 내측에 끼워 맞추어진 공동형 구형부(3)의 외면 사이에 주로 그들 공동형 구형부가 반경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굴곡성 조인트부 사이에 선단부에 양측면에서 오목 입구부(31)가 대향하여 형성된 패킹 유지 시트(13)가 형성된 패킹(15a)을 구비한 내측 관체(22)와 선단부에 상기 패킹 유지 시트와 걸어 맞추는 스토퍼(20)를 설치한 외측 관체(21)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합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요성 조인트.
  4.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 가요성 조인트를 복수개 연결 설치하고, 그들 신축 가요성 조인트에서의 대향 관체 끝부분의 한쪽의 직경을 확대한 외측 관체 끝부분으로 하고, 해당 외측 관체 끝부분에 다른쪽 관체 끝부분를 내측 관체 끝부분으로서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신축 가요성 조인트.
KR1019980710033A 1996-06-11 1997-06-11 신축 가요성 조인트 KR10068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033A KR100682817B1 (ko) 1996-06-11 1997-06-11 신축 가요성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0691 1996-06-11
JP96-339119 1996-12-05
KR1019980710033A KR100682817B1 (ko) 1996-06-11 1997-06-11 신축 가요성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49A KR20000016449A (ko) 2000-03-25
KR100682817B1 true KR100682817B1 (ko) 2007-06-04

Family

ID=4447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033A KR100682817B1 (ko) 1996-06-11 1997-06-11 신축 가요성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8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49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5623A (en) Pipe coupling with deformable outer sleeve
US5468030A (en) Tube clamp and coupling
US7354073B2 (en) Pipe joint
EP0633991B1 (en) Flexible pipe joint
US4418948A (en) Elastic coupling for pipes and tubes
US3556568A (en) Conduit connection means
US5090742A (en) Pipe harness clamp
JPH1061853A (ja) 伸縮可撓継手
JP2007500324A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EP1074778A1 (en) Tube joint
CN110462270B (zh) 管接头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KR970002333B1 (ko) 가요성 코넥터
KR200454571Y1 (ko) 배관용 연결구
KR100682817B1 (ko) 신축 가요성 조인트
JP3121518B2 (ja) バタフライ弁
EP0899499A3 (en) Saddle connection for plastic pipe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JPS63115984A (ja) 管接手用可動ジョイント
JPH01116385A (ja) シール装置
JP3568690B2 (ja) 可撓可能な管継手
JP7213997B2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200368635Y1 (ko) 신축이음
KR20060003727A (ko) 신축이음
JP3572405B2 (ja) 振動吸収性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