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011B1 - 음성 신호 처리 회로 - Google Patents

음성 신호 처리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011B1
KR100682011B1 KR1020050005698A KR20050005698A KR100682011B1 KR 100682011 B1 KR100682011 B1 KR 100682011B1 KR 1020050005698 A KR1020050005698 A KR 1020050005698A KR 20050005698 A KR20050005698 A KR 20050005698A KR 100682011 B1 KR100682011 B1 KR 100682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amplifying
voic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754A (ko
Inventor
메구로다께요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46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 H04B1/1692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using companding of the stereo difference signal, e.g. FM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22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Amplifier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음성 다중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의 증폭율을, 간이한 구성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제공한다. 음성 다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로서,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를 추출하고, 해당 부음성 신호를, 서로 다른 게인으로 각각 증폭하기 위한 복수의 증폭기(12)를 갖고, 이들 복수의 증폭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해당 선택한 증폭 수단이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이다.
모노럴 신호, 스테레오 신호, 부음성 신호, 증폭기, 선택 회로

Description

음성 신호 처리 회로{VOICE SIGNAL PROCESSING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회로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구성 블록도.
도 3은 스위치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개략 회로도.
도 4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음성 신호 처리 회로의 예를 도시하는 구성 블록도.
도 6은 부음성 신호의 레벨 설정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조부
2 : 스테레오 신호 복조부
3 : 부음성 신호 필터
11, 32 : 제1 증폭기
12, 33 : 제2 증폭기
13, 35 : 신장 처리부
14, 36 : 연산부
15 : 전원부
16, 16' : 제어부
17, 18, 21, 22, 23, 34 : 스위치
31 : 신호 추출부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에서 이용되고 있는 음성 다중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에서 이용되고 있는 음성 다중 신호 중 하나로서 1983년에 미국의 BTSC(Broadcast Television System Committee)가 정한 방식(이하, 미국 음성 다중 방식이라고 함)이 있다. 이 방식의 변조 주파수 배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으며, 모노럴 신호(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의 합성 신호 L+R)와, 스테레오 신호(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의 차분 신호 L-R)와, 제2 음성 신호인 SAP(Second Audio Program) 신호를 포함한다.
종래, 이 미국 음성 다중 방식으로 변조된 음성 신호로부터 각 신호를 복조, 재생하기 위한 회로로서 도 5에 도시한 음성 신호 처리 회로가 있었다. 이 종래의 음성 신호 처리 회로는, 집적 회로화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BTSC 방식의 음성 신호로부터 모노럴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와 SAP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추출부(31)와, 제1 증폭기(32)와, 제2 증폭기(33)와, 스위치(34)와, 신장 처리부 (35)와, 연산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증폭기(32)는, 스테레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 증폭기(33)는, SAP 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한다. 스위치(34)는, 제1 증폭기(32)가 출력하는 신호와 제2 증폭기(33)가 출력하는 신호 중 어느 한쪽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신장 처리부(35)는, 스위치(34)가 출력하는 신호에 대하여 공지의 dbx(등록상표) 신장 처리(dbx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연산부(36)는, 모노럴 신호와 신장 처리부(35)가 출력하는 신호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이 연산부(36)는, 스위치(34)가 제1 증폭기(32)가 출력하는 신호를 선택하고 있을 때에는, 스테레오 신호(L-R 신호)와 모노럴 신호(L+R 신호)의 가산 결과(좌측 채널의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스테레오 신호와 모노럴 신호의 차분(우측 채널의 신호)을 생성한다. 그리고, 연산부(36)는, 이들 좌측 채널의 신호와 우측 채널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여기서 음성 다중 신호의 일부의 신호가 비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SAP 신호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갖고, 그 출력 레벨을, 모노럴 신호나 스테레오 신호의 출력 레벨(도 6의 (a)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레벨)과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일치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텔레비전 장치의 설계자마다의 기호에 따라, 도 6의 (a)(평균적으로 일치시킨 경우)나 도 6의 (b)(저주파수 영역에서 일치시킨 경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신호에 대한 SAP 신호의 증폭율은 설계자마다 다른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본래에는 SAP 신호의 증폭율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증폭율을 가변으로 하기 위해서는 집적 회로로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성 다중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의 증폭율을, 간이한 구성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의 하나로 한다.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다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에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와, 상기 부음성 신호를, 서로 다른 게인으로 각각 증폭하기 위한 복수의 증폭 회로와, 상기 복수의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 회로는, 선택의 대상으로 되는 어느 하나의 증폭 회로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증폭 회로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해당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있는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신호를 추출하여 증폭하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와, 상기 선택 회로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와, 상기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다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로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와,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신호를 추출하여 증폭하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와, 상기 부음성 신호를, 서로 다른 게인으로 각각 증폭하기 위한 복수의 증폭 회로와, 상기 복수의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증폭 회로 또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 회로는, 선택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증폭 회로 또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증폭 회로와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해당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있는 증폭 회로 또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와 우측 채널 신호의 차분 신호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이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신호 처리 회로는, 집적 회로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조부(1)와, 스테레오 신호 복조부(2)와, 부음성 신호 필터(3)와, 제1 증 폭기(11)와, 제2 증폭기군(12)과 신장 처리부(13)와, 연산부(14)와, 전원부(15)와, 제어부(16)와, 스위치(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조부(1)는, 입력 단자 IN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음성 다중 신호(이하의 설명에서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인 것으로 함)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스테레오 신호 복조부(2)는, 복조부(1)로부터 음성 다중 신호의 입력을 받아 스테레오 신호(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과의 차분 신호; L-R)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또한, 이 스테레오 신호 복조부(2)는, 복조부(1)가 출력하는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모노럴 신호(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의 합성 신호; L+R)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부음성 신호 필터(3)는, 복조부(1)가 출력하는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SAP)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이들 복조부(1), 스테레오 신호 복조부(2), 및 부음성 신호 필터(3)는, 종래의 신호 추출부(31)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제1 증폭기(11)는,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을 때에는, 스테레오 신호(L-R)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 증폭기군(12)은, 서로 다른 증폭율로 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제2 증폭기(12a, 12b, …)를 포함한다. 이들 제2 증폭기(12a, 12b, …)는, 모두 부음성 신호의 입력을 받고 있으며, 각각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증폭율로 부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2 증폭기(12a)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테레오 신호나 모노럴 신호에 대하여, 부음성 신호를 평균적으로 일치시키는 경우의 증폭율(게인)인 것으로 하고, 제2 증폭기(12b)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신호나 모노럴 신호와, 부음성 신호의 레벨을 저주파 영역에서 일치시키는 경우의 증폭율인 것으로 하 면 된다. 이 제2 증폭기군(12)이 본 발명의 증폭 회로에 상당한다. 신장 처리부(13)는, 제1 증폭기(11)나 제2 증폭기(12a, 12b, …)가 출력하는 신호가 dbx(등록상표) 처리되어 있는 경우에, 이것을 신장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종래의 신장 처리부(35)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연산부(14)는, 모노럴 신호(L+R)와, 신장 처리부(13)가 출력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와, 우측 채널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음성 신호를, 대응하는 출력 단자 OUTL 및 OUTR에 출력한다. 이 연산부(14)의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전원부(15)는, 제어부(16)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증폭기(11)와, 스위치(17)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이 전원부(15)는, 다른 각 부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제어부(16)는, 외부의 제어 단자(도시 생략)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제1 증폭기(11) 또는 스위치(1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증폭기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제어 신호)를, 전원부(15)에 출력한다. 또한, 이 제어부(16)는, 해당 제어 신호를 연산부(14)에도 출력한다.
스위치(17)는, 전원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2 증폭기군(12) 내의 제2 증폭기(12a, 12b, …)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 스위치(17)가 선택하는 제2 증폭기를 어느 것으로 할지는, 이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이용하여 회로를 작성할 때에 고정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7)는, 전원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전원 출력 단자) 및, 각 제2 증폭기(12a, 12b, …)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단자군(전원 입력 단자군)으로서 실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설계자 등은 전원 입력 단자군 중 어느 하나와, 전원 출력 단자 사이를 단락시키게 된다.
즉, 여기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이들 전원부(15) 및 제어부(16)가 본 발명의 제2 선택 회로로서 동작하고, 스위치(17)가 선택 회로로서 동작하고 있다.
여기서 연산부(14)의 구체적 처리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산부(14)는, 제어부(16)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신장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스테레오 신호(L-R)인지, 부음성 신호(SAP)인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이 연산부(14)는, 스테레오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는, 모노럴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를 가산하여 얻어지는 신호(L 신호)를 좌측 채널의 신호로 하고, 모노럴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신호를 제하여 얻어지는 신호(R 신호)를 우측 채널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연산부(14)는, 부음성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는, (1) 모노럴 신호를 한쪽의 채널에 출력하고 부음성 신호를 다른쪽의 채널에 출력하거나, (2) 모노럴 신호를 좌측, 우측의 양 채널에 출력하거나, (3) 부음성 신호를 좌측, 우측의 양 채널에 출력하거나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모노럴 신호와 부음성 신호의 적어도 한쪽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이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설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텔레비전 장치의 설계자는, 제2 증폭기군(12)에 포함되는 제2 증폭기(12a, 12b, …) 중, 자신이 최적으로 생각하는 증폭율의 제2 증폭기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한 제2 증폭기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 가능하게 되도록, 스 위치(17)를 접속한다. 또한, 다른 단자에 대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이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복조부(1)가 음성 다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고, 스테레오 신호 복조부(2)가 모노럴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부음성 신호 필터(3)가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텔레비전 장치의 이용자가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선택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부(16)에는, 외부의 제어 단자(도시 생략)로부터 선택 신호로서 스테레오 음성 신호를 선택해야 할 취지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 제어부(16)는, 연산부(14)와 전원부(15)에 대하여 제1 증폭기(11)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해야 할 취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부(15)는, 제1 증폭기(11)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스위치(17)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1 증폭기(11)가 스테레오 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2 증폭기(12a, 12b, …)에는 모두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며, 이들 증폭기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 처리부(13)는, 제1 증폭기(11)가 출력하는 신호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행하여 연산부(14)에 출력하게 된다. 연산부(14)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식별하고, 모노럴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를 가산하여 얻어지는 신호(L 신호)를 좌측 채널의 신호로 하며, 모노럴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신호를 제하여 얻어지는 신호(R 신호)를 우측 채널의 신호로서 출력한다.
한편, 텔레비전 장치의 이용자가 부음성 신호를 선택하면, 제어부(16)에는, 외부의 제어 단자(도시 생략)로부터 선택 신호로서 부음성 신호를 선택해야 할 취지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 제어부(16)는, 연산부(14)와 전원부(15)에 대하여 스위치(17)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해야 할 취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부(15)는, 스위치(17)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증폭기(11)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스위치(17)를 통해 설계자가 선택한 제2 증폭기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즉, 제1 증폭기(11)나, 설계자가 선택하지 않았던 제2 증폭기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되며, 제1 증폭기(11)나, 설계자가 선택하지 않았던 제2 증폭기로부터는 어떤 신호도 출력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신장 처리부(13)는, 설계자가 선택한 제2 증폭기가 출력하는 신호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행하여 연산부(14)에 출력하게 되며, 이 신장 처리의 결과, 설계자가 의도한 증폭율로 증폭된 부음성 신호가 연산부(14)에 공급되게 된다.
연산부(14)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음성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을 식별하고, 예를 들면 모노럴 신호를 한쪽의 채널(좌측 채널 등)에 출력하며, 부음성 신호를 다른쪽의 채널(우측 채널 등)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이면서, 음성 다중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의 증폭율을 설계자의 기호에 따라 가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전원의 공급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부음성 신호의 증폭율을 가변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각 증폭기가 출력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스위치로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도 2).
이 예에서는, 제1 증폭기(11)나, 제2 증폭기(12a, 12b, …)에는 전원을 항상 공급해 놓고, 제1 증폭기(11)는 스테레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각 제2 증폭기(12a, 12b, …)는, 각각 서로 다른 증폭율로 증폭한 부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스위치부(18)는, 제어부(16')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들 증폭기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신장 처리부(13)에 출력하게 된다.
스위치부(18)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에 따라, 스테레오 신호(L-R)와, 제2 증폭기(12a, 12b, …)의 각각이 출력하는 증폭 후의 부음성 신호(SA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21)로 해도 된다. 또한 스위치부(18)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증폭기(12a, 12b, …)의 각각이 출력하는 증폭 후의 부음성 신호(SA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스위치(22)와, 해당 제1 스위치가 출력하는 신호와 스테레오 신호(L-R)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스위치(23)를 이용하여 실현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다중 신호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의 증폭율을, 간이한 구성으로 가변 제어할 수 있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음성 다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와,
    상기 부음성 신호를, 서로 다른 게인으로 각각 증폭하기 위한 복수의 증폭 회로와,
    상기 복수의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회로는, 선택의 대상으로 되는 어느 하나의 증폭 회로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증폭 회로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있는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신호를 추출하여 증폭하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와,
    상기 선택 회로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와, 상기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선택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4. 음성 다중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부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 회로와,
    상기 음성 다중 신호로부터 스테레오 신호를 추출하여 증폭하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와,
    상기 부음성 신호를, 서로 다른 게인으로 각각 증폭하기 위한 복수의 증폭 회로와,
    상기 복수의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증폭 회로 또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회로는, 선택의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증폭 회로 또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증폭 회로와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 중 어느 하나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있는 증폭 회로 또는 스테레오 신호 증폭 회로가 출력하는 증폭 후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와 우측 채널 신호의 차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와 우측 채널 신호의 차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다중 신호는, 미국 음성 다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신호 처리 회로.
KR1020050005698A 2004-01-22 2005-01-21 음성 신호 처리 회로 KR100682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4361A JP4434758B2 (ja) 2004-01-22 2004-01-22 音声信号処理回路
JPJP-P-2004-00014361 2004-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754A KR20050076754A (ko) 2005-07-27
KR100682011B1 true KR100682011B1 (ko) 2007-02-15

Family

ID=3479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698A KR100682011B1 (ko) 2004-01-22 2005-01-21 음성 신호 처리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63321A1 (ko)
JP (1) JP4434758B2 (ko)
KR (1) KR100682011B1 (ko)
CN (1) CN1645922A (ko)
TW (1) TWI249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516A (zh) * 2022-09-05 2022-12-0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单声道转立体声的信号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298A (en) * 1991-04-18 1993-10-12 Bose Corporation Reducing audible noise in stereo receiving
KR19990004332A (ko) * 1997-06-27 1999-01-15 배순훈 음성다중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주/부 음성 출력 레벨 제어 방법
KR19990013037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브이시알의 음성다중 방송 오디오 제어 시스템
JP2000184500A (ja) * 1998-12-11 2000-06-30 Accuphase Laboratory Inc オーディオ用電力増幅装置
KR100270361B1 (ko) * 1992-12-29 2000-11-01 구자홍 음성다중방송 수신 장치
US6615028B1 (en) * 1998-12-29 2003-09-02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789A (en) * 1993-09-03 1997-03-18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recorder and video apparatus with internal clock index signal
US6404892B1 (en) * 1995-09-06 2002-06-11 Apple Computer, Inc. Reduced complexity audio mixing apparatus
US6259482B1 (en) * 1998-03-11 2001-07-10 Matthew F. Easley Digital BTSC compander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298A (en) * 1991-04-18 1993-10-12 Bose Corporation Reducing audible noise in stereo receiving
KR100270361B1 (ko) * 1992-12-29 2000-11-01 구자홍 음성다중방송 수신 장치
KR19990004332A (ko) * 1997-06-27 1999-01-15 배순훈 음성다중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주/부 음성 출력 레벨 제어 방법
KR19990013037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브이시알의 음성다중 방송 오디오 제어 시스템
JP2000184500A (ja) * 1998-12-11 2000-06-30 Accuphase Laboratory Inc オーディオ用電力増幅装置
US6615028B1 (en) * 1998-12-29 2003-09-02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mplifiers in a communicatio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34758B2 (ja) 2010-03-17
TW200526035A (en) 2005-08-01
KR20050076754A (ko) 2005-07-27
CN1645922A (zh) 2005-07-27
TWI249347B (en) 2006-02-11
JP2005210383A (ja) 2005-08-04
US20050163321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026B1 (en) Bass management system for home theater equipment
KR20060043577A (ko) 음성 신호 처리 장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JP3921054B2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表示方法
KR100682011B1 (ko) 음성 신호 처리 회로
KR100307301B1 (ko) 공간스테레오신장기를갖는음성신호처리장치
JP2006042027A (ja) 音量制御装置
JP2711152B2 (ja) 多チャンネル音声信号再生装置
JP2005086462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のボーカル音帯域強調回路
EP1841080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signal
JP2009159020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1471771A2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apparatus
JPH09271100A (ja) 音響信号処理装置
JP2004364239A (ja) 音響装置
JP2004364240A (ja) 音場調整装置
KR100512156B1 (ko) 가변 배스 리디렉션 알고리듬 회로
KR920002607Y1 (ko) 다중 스피커 헤드폰
KR910006099Y1 (ko) 픽처 인 픽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주화면 및 부화면 음성동시 청취회로
JPH0513069Y2 (ko)
JP2711151B2 (ja) 多チャンネル音声再生装置
JP2004364238A (ja) サラウンド装置
KR20090075157A (ko) 텔레비전의 사운드 제어 장치
JPS5832362Y2 (ja) Fm放送再生装置
KR20020076312A (ko)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JPH0735518Y2 (ja) サラウンド回路
KR20070003094A (ko) 홈시어터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