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413B1 -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 Google Patents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413B1
KR100681413B1 KR1020060086186A KR20060086186A KR100681413B1 KR 100681413 B1 KR100681413 B1 KR 100681413B1 KR 1020060086186 A KR1020060086186 A KR 1020060086186A KR 20060086186 A KR20060086186 A KR 20060086186A KR 100681413 B1 KR100681413 B1 KR 10068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creen
scattering
light
rea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종
유영상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안희종
유영상
조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종, 유영상, 조병욱 filed Critical 안희종
Priority to KR102006008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31Replication or moulding, e.g. hot embossing, UV-casting, 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받아 통과시켜 반대편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리어스크린을 구성하는 리어스크린용 원단에 있어서,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열가소성투광수지를 일정두께의 시트형태로 성형 제작한 것으로서 접거나 말 수 있는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받아 통과시키고 그 표면에는 영상의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 1산란면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투광수지로 제작된 제 1산란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타측면에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베이스시트를 통과한 영상의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 2산란면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투광수지로 제작된 제 2산란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는, 적층구조를 가지더라도 각 층을 이루는 시트부재의 물성이 동일하므로 층간의 밀착면이 들뜰 염려가 없어 사용 중 광투과율 및 산란율의 저하가 없고, 접거나 말 수 있으므로 액자 타입은 물론 전동타입으로 제작할 수 도 있으며, 폐기 처리에 공해를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Screen sheet for Rear screen}
도 1 및 도 2는 종래 리어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로 제작한 전동식 리어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로 제작한 액자식 리어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리어스크린 13:기판
15a,15b:산란필름 21a:프레넬(fresnel)렌즈면
21b:렌티큘러(Lenticular)렌즈면 31:스크린시트
33:베이스시트 35:제 1산란시트
35a,37a:투광성수지 35b,37b:광산란제
35c,37c:명암조절입자 35d,37d:산란면
35e,37e:오목홈 37:제 2산란시트
41:전동식리어스크린 43:스크린하우징
45:액자식리어스크린 47:프레임
51,52,53:롤러 52a:돌기
본 발명은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각종 회의나 강연 또는 세미나 등에 사용되는 영상 프로젝터는, 준비된 영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광학계 투영기기로서, 디스플레이 내용을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볼 수 있게 하므로 해당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원리에 따라 프론트스크린과 리어스크린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리어스크린은, 후방에서 조사된 영상의 빛을 받아 그 두께방향으로 통과시키며 산란시켜 전방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프로젝션 텔레비젼이나 리트로비젼 또는 (광고 또는 홍보용) 이동식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리어스크린에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타입의 것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리어스크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어스크린(1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젝 터(P)가 리어스크린(11)의 후면에 영상을 조사하고 있다. 상기 리어스크린(11)의 후면에 조사된 영상의 빛은 리어스크린(11)을 통과하며 산란됨으로써 전방에 위치한 사람이 영상의 내용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스크린(11)은 일정두께를 갖는 투광성 기판(13)과, 상기 기판(13)의 전후면에 부착되는 산란필름(15a,1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산란필름(15a,15b) 중 후면에 위치하는 산란필름(15a)은 프로젝터(P)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의 빛을 1차로 산란시켜, 빛이 산란된 상태로 기판(13)에 입사하도록 한다.
또한 반대면에 부착되어 있는 다른 산란필름(15b)은 기판(13)을 두께방향으로 통과한 빛을 다시 한번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로젝터용 스크린에 있어서 투사된 영상의 빛을 적절히 산란시켜야 고품질의 영상을 볼 수 있음은 공지의 사실이다.
여하튼 상기 기판(13)은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므로 리어스크린(11)의 몸체로서 리어스크린(11)이 수직으로 세워질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로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킨다. 보통 상기 기판(13)은 투광성수지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 광산란제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리어스크린(21)은, 도 1에서처럼 별도의 산란필름을 부착하지 않고, 그 대신 리어스크린(21)의 전후면에 상기 산란필름의 역할을 하는 렌즈면(21a,21b)을 직접 조각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리어스크린을 광학스크린(Optical Screen)이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스크린(21)의 후면에 프레넬렌즈면(21a)이 조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프레넬렌즈면(21a)은 프로젝터(P)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의 빛을 굴절시켜 빛이 리어스크린(21)의 내부에서 두께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 중 모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넬렌즈면(21a)은 리어스크린(21)의 후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형태를 취함과 동시에 각각의 경사각도가 세밀하게 조절되어 있다. 이는 상기 프레넬렌즈면(21a)을 성형하는데 그만큼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는 의미이다.
상기 리어스크린(2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렌즈면(21b)이 효과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영상이 렌티큘러렌즈면(21b)으로 정확히 입사되어야 하므로, 상기한 프레넬렌즈면(21a)에 의한 빛의 굴절각도의 정밀성은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스크린(21)의 자체 내에도 광산란제(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광산란제는 프레넬렌즈면(21a)을 통해 들어온 빛을 산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산란제에 의해 산란된 빛은 리어스크린(21)의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있는 렌터큘러렌즈면(21b)을 통과해 전방으로 비추어진다.
상기 리어스크린(2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 렌티큘러렌즈면(21b)은 리어스크린 전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렌티큘러렌즈면(21b)은 리어스크린(21)에 조각 또는 성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리어스크린(11)은, 기판(13)과 산란필름(15a,15b)이 본래 별도의 부재로서 상호 부착되어 있고, 특히 기판(13)과 산란필름(15a,15b)의 물성(온도에 따른 수축률)이 다르기 때문에, 오랜시간 사용할 경우 기판(13)으로부 터 산란필름(15a,15b)이 벌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기판(13)으로부터 산란필름(15a,15b)이 들뜨게 되면 영상의 산란성이 균질하지 않아 디스플레이된 영상에 왜곡이 발생함은 물론 해당부위가 어둡고 선명하지 않다.
또한 제 2도에 도시한 리어스크린(17)은, 선명하고 밝기는 하지만 전후면에 세밀한 렌즈면(17a,17b)을 조각 또는 성형하여야 하므로 그 단가가 매우 비싸다는 흠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리어스크린(11,21)들은 플렉시블 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즉 어떤 롤에 감거나 접어놓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벽면에 고정된 이를테면 액자 타입으로밖에 사용할 수 있을 뿐 전동식으로는 제작할 수 없다.
아울러 종래의 리어스크린은, 그 재질이 친환경적이지 못하여, 수명을 다하거나 기타의 이유로 폐기하여야 할 때 처치가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소각할 경우에는 많은 공해물질이 발생하고 그렇다고 땅에 묻더라도 잘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적층구조를 가지더라도 각 층을 이루는 시트부재의 물성이 동일하므로 층간의 밀착면이 들뜰 염려가 없어 사용 중 광투과율 및 산란율의 저하가 없고, 접거나 말 수 있으므로 액자 타입은 물론 전동타입으로 제작할 수 도 있으며, 폐기 처리에 공해를 발생하지 않는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받아 통과시켜 반대편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리어스크린을 구성하는 리어스크린용 원단에 있어서,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열가소성투광수지를 일정두께의 시트형태로 성형 제작한 것으로서 접거나 말 수 있는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받아 통과시키고 그 표면에는 영상의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 1산란면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투광수지로 제작된 제 1산란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타측면에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베이스시트를 통과한 영상의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 2산란면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투광수지로 제작된 제 2산란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산란시트는 롤러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서 동일한 물성 및 광학특성을 가지고 베이스시트와 마찬가지로 접거나 말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영상의 빛을 산란하는 광산란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폴리에틸렌(PE)계열, 에틸렌비닐렌알콜(EVA)계열, 폴리프로필렌(PP)계열, 우레탄수지계열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생분해성 또는 광분해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시트(31)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베이스시트(33)와, 상기 베이스시트(33)의 프로젝터를 향하는 후면(後面)에 적층되는 제 1산란시트(35)와, 베이스시트(33)의 전면(前面)에 적층되는 제 2산란시트(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시트(31)를 구성하는 베이스시트(33)와 제 1,2산란시트(35,37)는 모두 열가소성수지로 제작되되 친환경소재 즉, 생분해 및 열분해가 가능하고 소각시 공해물질이 나오지 않는 소재로 제작된다. 예컨대 폴리에틸렌(PE)계열, 에틸렌비닐렌알콜(EVA)계열, 폴리프로필렌(PP)계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열,우레탄수지류계열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시트(33)와 제 1,2산란시트(35,37)를 모두 동일한 소재로 제작함이 좋다.
상기 베이스시트(33)는 상기한 수지재료를 도 5b의 방법을 통해 압출 성형한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 상기 베이스시트(33)로서 섬유형시트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열이나 나일론계열 또는 폴리올레핀계열 섬유로 직조된 원단을 시트형태로 펼쳐 하나의 층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시트(33)는 제 1산란시트(35)를 통과한 영상의 빛을 통과시켜 제 2산란시트(37)로 전달한다.
상기 제 1산란시트(35)는, 투광성수지(35a)와, 상기 투광성수지(35a)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광산란제(35b) 및 명암조절입자(35c)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 광성수지(35a)는 상기한 종류의 소재를 용융시켜 도 5a의 방법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한쪽면은 평평하고 반대측면은 물결모양의 패턴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광산란제(35b) 및 명암조절입자(35c)는 도 5a의 용융수지를 롤러 압출하기 전에 용융수지에 미리 혼합한 것이다. 상기 광산란제(35b) 및 명암조절입자(35c)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광산란제(35b)는 입사된 영상의 휘도를 증진시키는 휘도증진제로서 10~50㎛ 크기의 유기성 또는 무기성 입자로 구성된다. 상기 광산란제(35b)는 그 내부로 통과하는 빛을 산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명암조절입자(35c)는 그래이 안료나 콘트라스트 증폭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명암조절입자(35c)는 제 1산란시트(35)에 조사된 영상의 명암을 보다 선명하게, 즉 검정색은 더욱 검게, 흰색은 더욱 희게 한다.
상기 제 1산란시트(35)의 표면에는 산란면(3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산란면(35d)은 프로젝터(P)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의 빛을 일차적으로 산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란면(35d)은 제 1산란시트(35)의 제작과정 중에 성형되는 것으로서 물결모양의 패턴을 가지며 마치 밀집된 오목렌즈와 같은 형태의 오목홈(35e)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산란면(35d)의 표면이 다수의 미세한 오목홈(35e)으로 구성되므로, 제 1산란시트(35)에 투사된 빛은 제 1산란시트(35)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넓게 퍼지고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광산란제(23c)에 충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산란시트(37)는 베이스시트(33)를 거쳐온 영상의 빛을 전방으로 통과시키며 그 표면에 영상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 2산란시트(37) 는 소정두께를 갖는 투광성수지(37a)와, 상기 투광성수지(37a)의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광산란제(37b) 및 명암조절입자(37c)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 2산란시트(37)의 표면에는 다수의 오목홈(37e)으로 이루어진 산란면(37d)이 마련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 2산란시트(37)의 형상 및 내부구성과 재질은 제 1산란시트(37)와 동일하다.
도 4a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로 제작한 전동식 리어스크린(4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시트는 열가소성수지로 제작되며 접거나 말 수 있으므로, 도 4a와 같이 전동식으로 제작할 수 도 있고, 도 4b와 같이 사각의 프레임으로 테두리부를 당겨 액자식으로 제작할 수 도 있다.
여하튼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31)를 적절한 사이즈로 재단하여 전동식리어스크린(41)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리어스크린(41)은, 사각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예컨대 천장면에 설치되는 스크린하우징(43)과, 상기 스크린하우징(43)의 내부에 설치되며 스크린시트(31)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 올리는 와인딩수단(미도시)과, 스크린시트(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시트(31)의 후방에 프로젝터가 위치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도 4b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로 제작한 액자식 리어스크린(45)의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적절한 넓이로 재단된 스크린시트(31)가 사각의 프레임(47)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스크린을 이룸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플 렉시블한 스크린시트(31)를 프레임(47)으로 당겨 액자형 리어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31)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2산란시트(35,37)와 베이스시트(33)를 별도로 제작한 후, 베이스시트(33)의 양면에 제 1,2산란시트(35,37)를 각기 접착시켜야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로에 대해 나란하게 이격된 롤러(51,52)의 사이로 용융상태의 투광성수지(35a,37a)가 압출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투광성수지(35a,37a)의 내부에 상기한 광산란제와 명암조절입자가 소정량 투입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두 개의 롤러(51,52) 중 아래쪽 롤러(52)의 외주면에는 돌기(5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52a)는 산란면의 오목홈(35e,37e)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롤러(51,52)를 통과하는 수지는 용융상태이므로 이와같이 롤러에 돌기(52a)를 형성하여 매우 간단히 상기 산란면(35d,37d)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시트(33)도 두 개의 나란한 롤러(53)에 의해 압출 성형된다. 즉, 용융상태의 열가소성투광수지를 롤러(53) 사이로 통과시켜, 롤러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두께의 시트를 얻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제 1,2산란시트(35,37) 및 베이스시트(33)를 제작하였다면, 도 5c에 도시한 것처럼 베이스시트(33)의 양면에 제 1산란시트(35)와 제 2산란시트(37)를 각각 밀착 고정시킨다. 베이스시트(33)에 대한 제 1,2산란시트(35,37) 의 결합은 공지의 접착방식에 따른다.
상기 접착 과정을 거쳐 도 5d에 도시한 하나의 스크린시트(31)가 완성된다. 상기 스크린시트(31)는 플렉시블 하므로 생산된 스크린시트(31)를 이를테면 스풀(spool)에 감았다가 필요한 만큼씩 잘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는, 적층구조를 가지더라도 각 층을 이루는 시트부재의 물성이 동일하므로 층간의 밀착면이 들뜰 염려가 없어 사용 중 광투과율 및 산란율의 저하가 없고, 접거나 말 수 있으므로 액자 타입은 물론 전동타입으로 제작할 수 도 있으며, 폐기 처리에 공해를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4)

  1.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받아 통과시켜 반대편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리어스크린을 구성하는 리어스크린용 원단에 있어서,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열가소성투광수지를 일정두께의 시트형태로 성형 제작한 것으로서 접거나 말 수 있는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면에 적층되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받아 통과시키고 그 표면에는 영상의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 1산란면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투광수지로 제작된 제 1산란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타측면에 적층되고 그 표면에는 베이스시트를 통과한 영상의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수의 오목홈으로 구성된 제 2산란면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투광수지로 제작된 제 2산란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산란시트는 롤러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서 동일한 물성 및 광학특성을 가지고 베이스시트와 마찬가지로 접거나 말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영상의 빛을 산란하는 광산란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폴리에틸렌(PE)계열, 에틸렌비닐렌알콜(EVA)계열, 폴리프로필렌(PP)계열, 우레탄수지계열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스크린용 원단은,
    생분해성 또는 광분해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KR1020060086186A 2006-09-07 2006-09-07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KR10068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86A KR100681413B1 (ko) 2006-09-07 2006-09-07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86A KR100681413B1 (ko) 2006-09-07 2006-09-07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146U Division KR200431566Y1 (ko) 2006-09-07 2006-09-07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413B1 true KR100681413B1 (ko) 2007-02-16

Family

ID=3810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86A KR100681413B1 (ko) 2006-09-07 2006-09-07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89B1 (ko) * 2011-12-19 2014-02-28 조희철 섬유형 스크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626A (ja) * 1995-09-13 1997-03-28 Toppa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KR200246882Y1 (ko) 2001-06-22 2001-10-17 김기영 스크린
KR20030030257A (ko) * 2001-10-09 2003-04-18 전형진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JP2005241920A (ja) 2004-02-26 2005-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性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626A (ja) * 1995-09-13 1997-03-28 Toppa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KR200246882Y1 (ko) 2001-06-22 2001-10-17 김기영 스크린
KR20030030257A (ko) * 2001-10-09 2003-04-18 전형진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JP2005241920A (ja) 2004-02-26 2005-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性スクリ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89B1 (ko) * 2011-12-19 2014-02-28 조희철 섬유형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5026A (ko) 광학 시트, 화상표시장치 및 화상투사장치용 스크린
ATE272229T1 (de) Reflexionsprojektionsschirm
WO2002056112A1 (en) Back face transmission screen
JP2013044953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2007293172A (ja) フレネルレンズシートおよび透過型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2014186249A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マルチ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100681413B1 (ko)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KR200431566Y1 (ko) 리어스크린용 스크린시트
JP2011215399A (ja) プリズム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14115343A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15219270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5117896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TW444135B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real image in space
CN112542106A (zh) 一种立体显示灯箱
KR20060057984A (ko) 광학필름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유닛
KR100693330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KR100693326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KR200431567Y1 (ko) 고휘도 프론트스크린
CN210954600U (zh) 抗光投影屏幕
JP2006106393A (ja) 光拡散シー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WO2006028334A1 (en) Rear projection screen
CN211577653U (zh) 超短焦硬幕
CN213904832U (zh) 一种立体显示灯箱
KR101355714B1 (ko) 우수한 빛 확산효과를 갖는 타포린 시트
KR200431565Y1 (ko) 리어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