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288B1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288B1
KR100681288B1 KR1020067003306A KR20067003306A KR100681288B1 KR 100681288 B1 KR100681288 B1 KR 100681288B1 KR 1020067003306 A KR1020067003306 A KR 1020067003306A KR 20067003306 A KR20067003306 A KR 20067003306A KR 100681288 B1 KR100681288 B1 KR 10068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lastic member
fastening means
region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042A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도모코 스기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2013/490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decoupled components

Abstract

몸통 둘레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와 교차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파스닝 수단을 갖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그 탄성 부재의 작용으로 파스닝 수단에 개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1)이 내면 시트(4)와 외면 시트(5) 사이에 개재하여 몸통 둘레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20)를 갖는다. 파스닝 수단인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가 탄성 부재(20)와 교차하는 형태로 외면 시트(5)에 부착된다. 외면 시트(5)는 착용 물품(1)의 폭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48)와 접합하는 부위(52)와, 베이스 시트(48)의 양측연부(50) 각각으로부터의 폭의 치수가 m, n인 베이스 시트(48)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부위(53, 54)가 탄성 부재(20)와 내면 시트(4)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으며, 주연부 부위(53, 54)의 바깥쪽에서 탄성 부재(20)와 내면 시트(4)에 접합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DISPOSABLE 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실금 환자용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 착용을 위한 팬츠, 기저귀 커버 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WO 01/87209 A1 공보(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착용 물품(absorbent garment)의 제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제법에 의한 트레이닝 팬츠는 체액 흡수성의 섀시(chassis)와 파스닝 수단(fastening system)을 갖는다. 섀시는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 각각에 몸통 둘레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지니며, 파스닝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부와 루프부의 각각이 탄성 부재와 교차한 상태로 섀시에 부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WO 01/8720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트레이닝 팬츠에서는, 탄성 부재의 수축에 따라 섀시에 개더가 생기고, 섀시에 부착되어 있는 훅부나 루프부에도 마찬가지로 개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일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훅부는 강성이 높아, 트레이닝 팬츠의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서 개더가 생기는 일은 드물지만, 그러한 강성이 높은 훅부 대신에 유연하고 부드러운 강성이 낮은 훅부를 사용한 경우의 트레이닝 팬츠라면 훅부에도 개더가 생기기 쉽다. 그런데, 훅부에 개더가 생기면, 그 훅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훅 중의 어느 것은 개더의 골짜기 사이로 숨어 버려, 루프부와 결합할 수 없게 된다. 그러한 훅부에서는 유효하게 작용하는 훅의 개수가 감소하여, 결합 상대인 루프부가 벗겨지기 쉽게 된다. 또한, 개더가 생겨 있지 않은 평활한 훅부와 그것에 결합하고 있는 루프에 비해서, 개더가 생겨 있는 훅부와 그것에 결합하고 있는 루프부 사이에는 이들 양쪽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졌을 때에, 소위 박리력이 작용하기 쉬워 루프부가 훅부로부터 벗겨지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훅부에 개더가 생기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또한, 루프부에 개더가 생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또한, 파스닝 수단으로서, 메카니컬 파스너 대신에 점착성 시트와 그 점착성 시트를 반복하여 고정할 수 있는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를 사용한 경우의 이들 점착성 시트와 타겟을 형성하는 시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카니컬 파스너 등의 파스닝 수단을 사용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그 착용 물품의 탄성 부재가 수축하더라도, 그 파스닝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개더를 생기게 하는 일이 없도록 개량을 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가랑이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제2 몸통 둘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각각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연부를 지니며,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 중의 적어도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에서는 서로 겹치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상기 폭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2 시트에 접합된 복수 라인의 탄성 부재가 개재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에는 서로 결합·이탈이 가능한 제1 파스닝 수단과 제2 파스닝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닝 수단의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에는 상기 제2 파스닝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이러한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복수 라인의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단연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1 라인의 신장 응력이 높은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도 신장 응력이 낮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도 상기 가랑이 영역 부근에 위치하는 복수 라인의 제2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제1 파스닝 요소로 이루어지고 있어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뻗고 있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에 있으며 상기 베이스 시트보다도 크고 상기 베이스 시트보다도 강성이 낮은 시트 부재에 접합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시트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로부터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제1 시트에 대하여 또는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접합되는 한편, 상기 부위끼리의 사이에서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하여 또는 상기 제2 시트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있다.
(1)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시트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제2 시트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에 접합되어 있다(청구항 2에 대응).
(2)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착용 물품의 착용자의 착의와 마주 보는 상기 착용 물품의 외면 시트 및 상기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 보는 상기 착용 물품의 내면 시트 중 어느 것이다(청구항 3에 대응).
(3)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와는 별개 부재인 제3 시트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시트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을 지니며, 상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 중에서 상기 주연부로부터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제1 시트에 접합되고, 상기 양측에 있어서의 상기 부위끼리 사이에서 상기 제1 시트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다(청구항 4에 대응).
(4)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훅부와 루프부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상기 훅부와 상기 루프부 중의 한 쪽이며, 상기 제2 파스닝 수단이 상기 훅부와 상기 루프부 중의 또다른 한 쪽이고, 상기 제1 파스닝 요소가 상기 훅부의 훅 및 상기 루프부의 루프 중 어느 것이다(청구항 5에 대응).
(5)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성 시트와 상기 점착성 시트를 반복 고정할 수 있는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 중의 한 쪽이며, 상기 제2 파스닝 수단이 상기 점착성 시트와 상기 타겟 영역의 또다른 한 쪽이고, 상기 제1 파스닝 요소가 상기 점착성 시트의 점착제 및 상기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의 표면 중 어느 것이다(청구항 6에 대응).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서는, 제1 파스닝 수단의 베이스 시트가, 베이스 시트보다도 크고 베이스 시트보다도 강성이 낮은 시트 부재에 접합되고, 그 시트 부재는, 베이스 시트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에서부터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제1 몸통 둘레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시트 또는 제2 시트에 대하여 접합되는 한편, 상기 부위끼리 사이에서는, 제1 시트에 대하여 또는 제2 시트와 제2 탄성 부재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으므로, 제2 탄성 부재가 수축하더라도 베이스 시트에는 개더가 생기는 일이 없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1 파스닝 수단의 베이스 시트로서 제1 몸통 둘레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통 둘레 영역의 제1 시트에는 착용 물품에 있어서의 외면 시트 및 내면 시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1 파스닝 수단의 베이스 시트로서 제1 시트 및 제2 시트와는 별개 부재인 제3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파스닝 수단으로서 메카니컬 파스너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파스닝 수단으로서 점착성 시트와, 이 점착성 시트의 고정을 반복할 수 있는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점착성의 파스닝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펼친 상태에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탄성 부재가 수축하고 있을 때의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7은 측연부끼리 연결한 상태에 있는 도 6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1은 탄성 부재가 수축한 상태에 있는 도 10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3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3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일회용 착용 물품(기저귀) 4 : 제2 시트(내면 시트)
5 : 제1 시트(외면 시트), 시트 부재 6 : 전방 몸통 둘레 영역
7 : 후방 몸통 둘레 영역 8 : 가랑이 영역
16 : 제2 파스닝 수단(루프부) 17 : 제1 파스닝 수단(훅부)
20 : 탄성 부재 26 : 단연부
27 : 단연부 45 : 루프
47 : 베이스 시트 48 : 베이스 시트
49 : 훅 61 : 시트 부재(지지용의 시트 부재), 제3 시트
71 : 타겟 영역 72 : 점착 영역
74 : 베이스 시트 76 : 점착제
X : 폭 방향 Y : 전후 방향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1)는 신체 피복부(2)와 체액 흡수부(3)를 갖는다. 신체 피복부(2)는 가랑이 영역(8)과, 가랑이 영역(8)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가랑이 영역(8)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몸통 둘레 영 역(7)을 지니고, 이들 각 영역(6, 7, 8)이 기저귀 착용자의 착의(도시하지 않음)와 마주 보는 제1의 시트, 즉 외면 시트(5)와, 외면 시트(5)의 반대측에 있으며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도시하지 않음)와 마주 보는 제2의 시트, 즉 내면 시트(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양측연부(12) 각각에는 내외면 시트(4, 5)와는 별개 부재인 제3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플랩(9)이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부위(13)에 있어서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양측연부(12)와 플랩(9)은 내면 시트(4)와 플랩(9)의 내면이며, 합장형으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플랩(9)에는 도면의 우측에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그 자신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5)의 외면 시트(5)에 겹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플랩(9)의 내면에는 상품명 매직테이프 등으로 알려져 있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루프부(16)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부착되고 있다. 또한,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연부(11)의 외면에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부(17)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부착되고 있다. 이들 루프부(16)와 훅부(17)는 기저귀(1)의 파스닝 수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양쪽 부분(16, 17)이 서로 겹쳐지면, 플랩(9)을 통해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이 서로의 양측연부(11, 12)에 있어서 떼어낼 수 있게 연결된다. 도 1에서는 양측연부(11) 중의 한 쪽과 양측연부(12) 중의 한 쪽이 연결되고, 양측연부(11) 중의 또 한 쪽과 양측연부(12) 중의 또 한 쪽이 벗겨진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양측연부(11, 12)끼리 연결된 기저귀(1)에서는, 몸통 둘레 개구(18)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19)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기저귀(1)는 몸통 둘레 개구(18)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20)와, 다리 둘 레 개구(19)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9a)를 갖는다. 신체 피복부(2)에는 이들 탄성 부재(20, 19a)가 수축함으로써, 몸통 둘레 방향 및 다리 둘레 방향에 있어서 요철을 반복하는 개더(66, 67)가 형성된다.
도 2는 기저귀(1)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의 기저귀(1)가 전후 몸통 둘레 영역(6, 7)의 측연부(11, 12)끼리의 연결이 벗겨져, 펼쳐진 상태에 있다. 기저귀(1)는 쌍두화살표 X로 나타내어지는 폭 방향과, 쌍두화살표 X와 직교하는 쌍두화살표 Y로 나타내어지는 전후 방향을 지니고, 그 폭 방향(X)은 기저귀(1)의 몸통 둘레 방향이기도 하다. 신체 피복부(2)의 전후방 몸통 둘레 영역(6, 7)은 양측연부(11와 11) 사이의 치수가 양측연부(12와 12) 사이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단연부(26)와 후단연부(27)를 지니고, 가랑이 영역(8)의 양측연부(28)는 신체 피복부(2)의 안쪽으로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신체 피복부(2)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0)는 전단연부(26)와 후단연부(27)에 부착되어 양측연부(11와 11) 사이 및 양측연부(12와 12) 사이에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1 라인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 제1 탄성 부재(21a) 및 적어도 1 라인의 후방 몸통 둘레 영역 제1 탄성 부재(21b) 외에, 이들 제1 탄성 부재(21a, 21b)보다도 아래쪽이며 가랑이 영역(8)의 측연부(28)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도 1 참조), 양측연부(11와 11) 사이 및 양측연부(12와 12) 사이로 신장 상태로 연장되는 복수 라인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 제2 탄성 부재(22a) 및 후방 몸통 둘레 영역 제2 탄성 부재(22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탄성 부재(21a, 21b)의 각각은 제2 탄성 부재(22a, 22b)의 각각보다도 기저귀 착용자의 몸 통 둘레를 강하게 조일 수 있기 때문에, 제2 탄성 부재(22a, 22b)의 각각보다도 높은 신장 응력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신체 피복부(2)에서는 또한, 다리 둘레 탄성 부재(19a)가 가랑이 영역(8)의 측연부(28)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있다. 이들 몸통 둘레 탄성 부재(20)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9a)는 도 5, 도 6에 기초하여 후기하는 훅부(17)의 근방을 제외하고, 내면 시트(4)와 외면 시트(5) 사이에 있으며, 각각의 시트(4, 5)에 바람직하게는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체액 흡수부(3)는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것과 같이, 투액성 표면 시트(32), 불투액성 이면 시트(33), 및 이들 양 시트(32, 33)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 재료(34)를 갖는다. 표리면 시트(32, 33)는 코어 재료(34)의 주연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겹치며,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체액 흡수부(3)의 양측연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불투액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샘 방지 카프(36)가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 카프(36)는 전후단연부(37, 38)와 외측연부(39)에 있어서 표면 시트(32)에 접합되어 있지만, 내측연부(41)는 표면 시트(32)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그 내측연부(41)에는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4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샘 방지 카프(36)는 표면 시트(32) 위를 폭 방향(X)으로 흐르는 체액의 유입이 가능한 포켓(43)을 형성하고 있다. 체액 흡수부(3)는 이면 시트(33)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신체 피복부(2)의 내면 시트(4)에 접합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신체 피복부(2)에 있어서의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측연부(12)는 플랩(9)과 합장형으로 겹쳐지 는 부분의 부위(13)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측연부(12)에서는, 후방 몸통 둘레 영역 제1 탄성 부재(21b)와 제2 탄성 부재(22b)가 내면 시트(4)와 외면 시트(5)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부위(13)에까지 뻗고 있다. 다만, 도 3에는 제2 탄성 부재(22b)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플랩(9)은 그것이 폭 방향(X)으로 잡아당겨지더라도 측연부(12)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그 측연부(12)에 접합되어 있다. 플랩(9)의 내면에는 루프부(16)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 시트(47)가 접합되고, 그 베이스 시트(47)의 내면에 다수의 루프(4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는 도 2의 IV-IV선과 V-V선을 따른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신체 피복부(2)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연부(11)에서는, 훅부(17)가 베이스 시트(48)와, 그 베이스 시트(48)로부터 기립하는 다수의 훅(49)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닝 요소로 형성되고, 베이스 시트(48)가 외면 시트(5)의 외면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신체 피복부(2)의 내면 시트(4), 외면 시트(5), 및 제2 탄성 부재(22a)는 핫멜트 접착제(51)를 통해, 제2 탄성 부재(2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다만, 외면 시트(5)는 베이스 시트(48)에 겹치어 접합하는 부위(52), 폭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48)의 양측 각각에 있으며 주연부(50)로부터의 폭의 치수가 m, n인 주연부 부위(53, 54)가 내면 시트(4)와 제2 탄성 부재(22a)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다. 이러한 치수 m, n은 2∼2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외면 시트(5)가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와 겹치는 부위(52)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48)의 양측 각각에 있으며 주연부(50)로부터의 폭의 치수가 s, t인 주연부 부위(56, 57)가 제1 탄성 부재(21a), 제2 탄성 부재(22a), 및 내면 시트(4)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다. 다만, 외면 시트(5)는 이들 부위(52, 56, 57)보다도 외측의 부위로, 즉 치수 s, t만큼 떨어진 부위로 제1 탄성 부재(21a), 다리 둘레 탄성 부재(19a), 내면 시트(4)에 핫멜트 접착제(51)를 통해 전후 방향(Y)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도 6, 도 7은 몸통 둘레 탄성 부재(20)가 수축했을 때의 측연부(11)를 도시한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과, 그 측연부(11)에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측연부(12)가 플랩(9)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체 피복부(2)에 있어서 몸통 둘레 탄성 부재(20)가 수축하면, 이 탄성 부재(20)에 접합되어 있는 내면 시트(4)도 외면 시트(5)도 폭 방향(X)으로 수축하여, 이들 시트(4, 5)에 몸통 둘레 방향에 있어서 요철을 반복하는 다수의 미세한 개더(66)가 생긴다. 다만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연부(11)에서는, 외면 시트(5) 중에서 제2 탄성 부재(22a)와 내면 시트(4)에 접합하고 있지 않은 부위(52, 53, 54)는 내면 시트(4)로부터 이격되어 기저귀(1)의 외측으로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변형한다(도 4를 아울러 참조). 이 때에,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는 외면 시트(5)와 접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또한 그 외면 시트(5)가 탄성 부재(20)와 내면 시트(4)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음으로 인해, 가령 그 강성이 낮더라도 거의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면 시트(5)의 부위(53, 54)는 도시한 것과 같이 경사지는 동시에, 약간의 개더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훅부(17)에서는, 훅(49)이 베이스 시트(48)로부터 기저귀(1)의 외측으로 향해서 가지런하게 기립한 상태에 있으므로, 어떤 훅(49)도 루프부(16)의 루프(45)와 도 7과 같이 용이하게 결합한다.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측연부(12)가 도 7의 좌측으로 잡아당겨졌을 때에는, 외면 시트(5)의 부위(53)가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져 개더가 소실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기저귀(1)에서는,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가 외면 시트(5)보다도 다소 강성이 높다고 할 정도로 메카니컬 파스너로서는 유연한 것이더라도, 탄성 부재(20)의 수축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평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훅부(17)의 훅(49)은 모두 루프부(16)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며, 결합한 양쪽 부분(16, 17)은 간단히 떨어지는 일이 없다. 신체 피복부(2)에 있어서, 내면 시트(4)와 외면 시트(5)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양 시트(4, 5)의 적어도 한 쪽에 불투액성 시트를 사용하면, 기저귀(1)의 샘 방지 성능이 향상된다. 플랩(9)에도 또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플랩(9)에는 폭 방향(X)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탄성 부재(20)가,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에 있어서 동일한 레이아웃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양 영역(6, 7) 각각에 있어서, 그 레이아웃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에 있어서, 탄성 부재(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략하고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또한, 도시한 예의 기저귀(1)는 신체 피복부(2)와, 이것과는 별개 부재인 체액 흡수부(3)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내면 시트(4)에 투액성인 것을 사용하고, 외면 시트(5)에 불투액성인 것을 사용하여, 이들 양 시트(4, 5)에 사이에 코어 재료(34)를 개재시켜, 이들 양쪽 부분(2, 3)을 일체로 한 구조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이 도면의 측연부(11)에 있어서의 전단연부(26)에서는, 외면 시트(5)가 3 라인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 제1 탄성 부재(21a)와 내면 시트(4)에 핫멜트 접착제(51)를 통해 접합한 상태에 있고,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의 주연부(50)도 그 상태에 있는 외면 시트(5)에 접합되어 있다. 다만, 외면 시트(5)는 베이스 시트(48)와 겹치는 부위(52)의 대부분과, 베이스 시트(48)의 주연부(50)에서 신체 피복부(2)의 아래쪽(도면의 상측)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부위(57)에 있어서 제2 탄성 부재(22a)에도 내면 시트(4)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신체 피복부(2)의 훅부(17)에서는, 탄성 부재(20)가 수축했을 때에, 전단연부(26)에 있어서 개더를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훅부(17)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단연부(26)보다도 가랑이 영역(8) 부근의 부분에서는 개더를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이러한 측연부(11)를 갖는 기저귀(1)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8과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시한 예의 측연부(11)에서는, 내면 시트(4), 외면 시트(5), 및 탄성 부재(20)가 도 8의 그것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훅부(17)는 베이스 시트(48)가 도 8의 그것보다도 전후 방향(Y)의 길이가 짧고, 전단연부(26)에까지는 뻗고 있지 않으며, 3 라인의 제1 탄성 부재(21a)와는 교차하고 있지 않다. 또한 훅 부재(17)는 복수 라인의 제2 탄성 부재(22a)에 대하여, 그 중의 일부의 것하고만 교차하고 있다. 이러한 훅부(17)도 또한, 탄성 부재(20)가 수축하더라도 개더를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도 10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도시한 예의 측연부(11)에서는, 내면 시트(4)와, 외면 시트(5)와, 탄성 부재(20)가 핫멜트 접착제(51)를 통해 상호 간헐적으로 접합되며, 탄성 부재(20)가 신장 상태에 있다.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는 내외면 시트(4, 5)와는 별개 부재로서, 베이스 시트(48)보다도 크고 베이스 시트(48)보다도 강성이 낮게, 바람직하게는 그 강성이 외면 시트(5)의 그것과 같은 정도인 지지용의 시트 부재(61)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시트 부재(61)에는 베이스 시트(48)의 주연부(50)에서부터 폭 방향(X)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소정 치수 m, n만큼의 폭을 갖는 주연부 부위(53, 54)가 형성되고, 그 주연부 부위(53, 54)보다도 더욱 바깥쪽의 부위(63, 64)에 있어서 외면 시트(5)에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부재(61)는 외면 시트(5)를 통해 간접적으로 탄성 부재(20)와 내면 시트(4)에 접합된 상태에 있다.
도 11은 도 10과 같은 식의 도면이지만, 이 도면에서는 측연부(11)에 있어서 탄성 부재(20)가 수축하고 있다. 탄성 부재(20) 중에서 도시한 예의 제2 탄성 부재(22a)는 내면 시트(4)와 외면 시트(5)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폭 방향(X)으로 수축함으로써, 내외면 시트(4, 5)에 다수의 미세한 개더(66)가 생기고 있다. 시트 부재(61)는 베이스 시트(48)와 접합하고 있는 부위(52)가 그 베이스 시트(48)와 함께 평탄한 상태에 있지만, 주연부 부위(53, 54)는 도시한 예와 같이 주연부(50)의 근방에서 기저귀(1)의 바깥쪽(도면의 아래쪽)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만곡된 주연부 부위(53, 54)는 베이스 시트(48)의 주연부(50)에 의한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주연부 부위(53, 54)는 그 강성이 높으면,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 이 예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외면 시트(5)가 내면 시트(4)와 탄성 부재(20)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훅부(17)의 베이스 시트(48)가 외면 시트(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시트 부재(61)를 통해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훅부(17)는 이러한 형태의 시트부(61)에 부착됨으로써, 탄성 부재(20)와 내면 시트(4)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다.
도 12, 도 13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3,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이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플랩(9)의 내면에 훅부(17)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 시트(48)가 접합되고, 그 베이스 시트(48)의 내면에 복수의 훅(49)이 형성되어 있다. 신체 피복부(2)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연부(11)에서는, 루프부(16)의 베이스 시트(47)가 제2 탄성 부재(22a)와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외면 시트(5)의 외면에 대하여 접합되고, 그 베이스 시트(47)의 외면에 파스닝 요소로서 루프(45)가 형성되어 있다. 외면 시트(5)는 부위(52)와 주연부 부위(53, 54)가 내면 시트(4)와 제2 탄성 부재(22a)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다.
도 14, 도 15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3, 도 4와 같은 식의 도면이다. 이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6)과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을 연결하기 위한 파스닝 수단으로서 도 3, 도 4에 도시된 루프부(16)와 훅부(17)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컬 파스너 대신에, 도 14, 도 15에 도 시된 타겟 영역(71)과 점착 영역(72)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성의 파스닝 수단이 사용된다. 도 14에 있어서의 플랩(9)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플랩(9)의 내면에는 타겟 영역(71)을 형성하는 시트(73)로서 플라스틱 필름이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측연부(11)에서는, 베이스 시트(74)에 점착제(76)를 파스닝 요소로서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성 시트(77)가 제2 탄성 부재(22a)와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외면 시트(5)의 외면에 박리 불가능하게 접합되어, 점착 영역(72)을 형성하고 있다. 점착성 시트(77)와 타겟 영역(71)의 시트(73)는 고정의 반복이 가능하다. 도시한 예의 외면 시트(5)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면 시트(4)와 제2 탄성 부재(22a)에 핫멜트 접착제(51)를 통해, 제2 탄성 부재(2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다만, 외면 시트(5)는 베이스 시트(74)에 겹쳐져 접합하는 부위(52)와, 폭 방향(X)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74)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주연부(50)로부터의 폭의 치수가 m, n인 주연부 부위(53, 54)가 내면 시트(4)와 제2 탄성 부재(22a)에 대하여 비접합의 상태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4, 도 15의 형태 대신에, 타겟 영역(71)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에 형성되고, 점착 영역(72)이 플랩(9)에 형성되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때의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에 있어서의 파스닝 요소는 시트(73)의 표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예시한 기저귀(1)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형상이 후방 몸통 둘레 영역으로 되고,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의 형상이 전방 몸통 둘레 영역으로 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루프부(16)가 플랩(9)의 외측에 부착되 고, 훅부(17)가 신체 피복부(2)의 내측에 부착되는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기저귀(1)에서는, 훅부(17)를 부착한 내면 시트(4)가 훅부(17)의 근방에 있어서 탄성 부재(20)와 외면 시트(5)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다. 기저귀(1)는 또한, 플랩(9)을 설치하는 대신에,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을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의 양측연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게 하여, 그 연장되어 나오게 한 부분을 플랩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그와 같은 플랩은 도 1의 플랩(9)과 달리, 기저귀(1)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 자신에게는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에 겹치려고 하는 성질이 없다. 한편, 도 1의 플랩(9)은 후방 몸통 둘레 영역(7)에 합장형으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그 자신에게 전방 몸통 둘레 영역(6)에 겹치고자 하는 성질이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1) 외에, 트레이닝 팬츠나 실금 환자용 기저귀, 소변 흡수 패드 착용을 위한 팬츠, 기저귀 커버 등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가랑이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제1 몸통 둘레 영역과 제2 몸통 둘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몸통 둘레 영역의 각각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연부를 지니고,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 또는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 및 제2 몸통 둘레 영역에서는 서로 겹치는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상기 폭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2 시트에 접합된 탄성 부재가 개재하고 있고,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에는 또한 서로 결합·이탈 가능한 제1 파스닝 수단과 제2 파스닝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닝 수단의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통 둘레 영역에는 상기 제2 파스닝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단연부에 위치하는 신장 응력이 높은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도 신장 응력이 낮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도 상기 가랑이 영역 부근에 위치하는 제2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한쪽 면에 형성된 제1 파스닝 요소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제1 몸통 둘레 영역에 있으며 상기 베이스 시트보다도 크고 상기 베이스 시트보다도 강성이 낮은 시트 부재에 접합되고,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시트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로부터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제1 시트에 대하여 또는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접합되는 한편, 상기 부위끼리 사이에서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하여 또는 상기 제2 시트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시트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제2 시트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착용 물품의 착용자의 착의와 마주 보는 상기 착용 물품의 외면 시트 및 상기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 보는 상기 착용 물품의 내면 시트 중 어느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와는 별개 부재인 제3 시트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시트의 양측 각각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주연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을 지니고, 상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 중에서 상기 주연부에서부터 소정 치수 떨어진 부위에서 상기 제1 시트에 접합되고, 상기 양측에 있어서의 상기 부위끼리 사이에서 상기 제1 시트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는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훅부와 루프부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컬 파스너의 상기 훅부와 상기 루프부 중의 한 쪽이며, 상기 제2 파스닝 수단이 상기 훅부와 상기 루프부 중의 또다른 한 쪽이고, 상기 제1 파스닝 요소가 상기 훅부의 훅 및 상기 루프부의 루프 중 어느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스닝 수단이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성 시트와 상기 점착성 시트를 반복 고정할 수 있는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 중의 한 쪽이며, 상기 제2 파스닝 수단이 상기 점착성 시트와 상기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 중의 또다른 한 쪽이고, 상기 제1 파스닝 요소가 상기 점착성 시트의 점착제 및 상기 타겟 영역을 형성하는 시트의 표면 중 어느 것인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067003306A 2003-08-19 2004-08-19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681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7943 2003-08-19
JPJP-P-2003-00207943 2003-08-19
JPJP-P-2004-00227611 2004-08-04
JP2004227611A JP4522186B2 (ja) 2003-08-19 2004-08-04 使い捨ての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42A KR20060033042A (ko) 2006-04-18
KR100681288B1 true KR100681288B1 (ko) 2007-02-12

Family

ID=3419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306A KR100681288B1 (ko) 2003-08-19 2004-08-19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03912B2 (ko)
EP (1) EP1661539B1 (ko)
JP (1) JP4522186B2 (ko)
KR (1) KR100681288B1 (ko)
CN (1) CN1856287B (ko)
BR (1) BRPI0413217A (ko)
MY (1) MY140602A (ko)
RU (1) RU2321382C2 (ko)
TW (1) TWI243050B (ko)
WO (1) WO2005016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125B2 (ja) * 2004-05-28 2010-09-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4704826B2 (ja) * 2004-08-31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4799033B2 (ja) * 2005-03-31 2011-10-19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047548B2 (ja) * 2006-07-06 2012-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止着構造
JP5346177B2 (ja) * 2008-06-03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6176B2 (ja) * 2008-06-03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形状の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55769A1 (en) * 2009-05-25 2010-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fastening t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article
US8506544B2 (en) 2010-06-21 2013-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ant with efficient design and convenient single-section side stretch panels
CN106273681B (zh) * 2015-05-13 2020-01-21 盟迪消费品包装技术有限公司 复合材料带材以及用于制造复合材料带材的方法
EP3349706B1 (en) * 2015-09-18 2021-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ped absorbent article having a belt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3110C (en) * 1990-12-17 2002-09-10 Bruce M. Siebers Diaper or absorbent article with tensioning attachment
JP3215314B2 (ja) * 1996-01-23 2001-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止着構造
SE512345C2 (sv) * 1996-06-06 2000-03-0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såsom en blöja ett inkontinensskydd eller liknande, innefattande ett grepporgan
WO2000035397A1 (en) * 1998-12-18 2000-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hinged fasteners
US6432248B1 (en) 2000-05-16 2002-08-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garment with refastenable sides and butt seams
JP3732393B2 (ja) * 2000-08-31 2006-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2224160A (ja) * 2001-01-29 2002-08-13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3874626B2 (ja) * 2001-04-26 2007-01-3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7201744B2 (en) * 2001-12-28 2007-04-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WO2003077812A1 (fr) * 2002-03-20 2003-09-25 Zuiko Corporation Garniture je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43698A1 (en) 2005-02-24
TWI243050B (en) 2005-11-11
WO2005016215A1 (ja) 2005-02-24
RU2321382C2 (ru) 2008-04-10
CN1856287B (zh) 2010-04-28
US7503912B2 (en) 2009-03-17
CN1856287A (zh) 2006-11-01
JP2005095592A (ja) 2005-04-14
MY140602A (en) 2009-12-31
EP1661539A4 (en) 2011-08-10
EP1661539B1 (en) 2013-11-06
BRPI0413217A (pt) 2006-10-03
JP4522186B2 (ja) 2010-08-11
KR20060033042A (ko) 2006-04-18
EP1661539A1 (en) 2006-05-31
RU2006108259A (ru) 2007-09-27
TW200513244A (en)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048B2 (ja) 着用物品
KR10077539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588210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678445B1 (ko) 일회용 기저귀
JP4229921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KR100729588B1 (ko) 팬츠형 착용 물품
KR10068128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H0743075U (ja) 使い捨てアンダーガーメント
JP2012125483A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84439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25167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435117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5095592A5 (ko)
KR10123666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H0593427U (ja) オムツ
JP579338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949393B2 (ja) 吸収性物品の装着に適したショーツ
JP7104823B1 (ja) 止着テープおよび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JP7352380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390131B1 (ko) 종이 기저귀
JP5638314B2 (ja) 吸収性物品
JP2013172867A (ja) おむつカバー
JP2008093224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05270347A (ja) 吸収性物品
JP2003079665A (ja) パンツ型使い捨て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