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102B1 -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102B1
KR100681102B1 KR1020047016315A KR20047016315A KR100681102B1 KR 100681102 B1 KR100681102 B1 KR 100681102B1 KR 1020047016315 A KR1020047016315 A KR 1020047016315A KR 20047016315 A KR20047016315 A KR 20047016315A KR 100681102 B1 KR100681102 B1 KR 10068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ulator support
terminal structure
end portion
constru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086A (ko
Inventor
마이클 댄코
제임스리 셰어릴
아이크디. 워커
Original Assignee
투트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트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투트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10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3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ors on a metallic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oker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히터 조립체는 장착 조립체, 전도성 구조, 서머스텟 구조, 제 1 단말 구조와 제 2 단말 구조 및 이를 통하여 형성된 단말 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구조를 포함한다. 전도성 구조와 절연체 지지 구조는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된다. 절연체 지지 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는 제 1 단말 구조와 제 1 단말 구조를 장착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제 2 단말 구조는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된다. 서머스텟 구조는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 구조에 연결한다. 제 1 단말 구조는 그 후 히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전도성 구조에 서머스텟 구조를 통하여 파워를 분배하는 파워 분배 구조에 연결된다. 제 2 단말 구조는 또한 전도성 구조에 연결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 조립체{IMPROVED THERMOSTAT ASSEMBLY FOR A HEA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히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에 관한 것이다.
히터 프레임의 지지 바에 연결된 세라믹 절연체와 함께 인라인 서머스텟의 각 두 단말 구조를 지지함으로서 히터 조립체에 열린 코일 전기 히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라인 서머스텟를 지원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3, 770, 939호).
상기와 같이, 공지된 히터 조립체는 히터 조립체에게 파워를 공급하는 단말에 인라인 서머스텟의 단말 구조를 (직접) 연결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인라인 서머스텟의 단말 구조를 세라믹 절연체를 통하여 히터 조립체의 (시트 금속)지지 플레이트에 부착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 가열 요소 설계는 인라인 서머스텟의 단말 구조가 히터 조립체에 파워를 공급하는 단말 또는 히터 조립체의 (시트 금속)지지 플레이트에 (직접) 연결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히터를 위한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장착 조립체, 전도성 구조, 서머스텟 구조,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을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를 제공하고 절연체 지지 구조는 이를 통해 형성된 단말 수용 개구부를 포함한다. 전도성 구조는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게 그리고 확고하게 고정된다. 절연체 지지 구조 또한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게 그리고 확고하게 고정된다.
절연체 지지 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는 제 1 단말 구조에 장착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고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제 2 단말 구조는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게 그리고 확고하게 고정된다. 서머스텟 구조는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 구조에 연결한다.
제 1 단말 구조는 그 후 히터 조립체에 의해 파워를 수용하고 서머스텟 구조를 통하여 전도성 구조에 파워 분배를 분배하도록 파워 분배 구조에 연결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몇몇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의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 1B 및 1 C는 히터 조립체의 각 실시예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 2B 및 2 C는 히터 조립체의 각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3B 및 3 C는 히터 조립체의 각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A 및 4B는 도 또는 도 2의 실시에에 따른 단말 구조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A, 1B 및 1 C는 각각 장착 조립체(20), 전도성 구조(30), 서머스텟 구조(40), 제 1 단말 구조(50) 및 제 2 단말 구조(60)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10)와 이를 통하여 형성된 단말 수용개구부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구조(70)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의 특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장착 조립체(20)는 장착 플레이트 구조(21)를 포함할 수 있다.(도 1B 및 1C참조). 장착 플레이트 구조(21)는 시트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장착 조립체(20)은 또한 장착 바 구조(22)를 포함할 수도 있다(도 1B 및 1C 참조). 장착 바 구조(22)는 T 형태의 횡단면 또는 원 형태의 횡단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착 플레이트 구조(21)는 장착 바 구조(22)에 용접될 수도 있다.
전도성 구조(30)는 예를들어 복수의 절연체 지지 구조(95)를 통하여 장착 조립체(20)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 된다.(도 1A참조) 복수의 고정구조(90)(예를 들어, 클리핑 또는 클린칭 구조)는 장착 조립체(20)에 복수의 절연체 지지구조를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절연체 지지 구조(95) 및 장착구조(20)와 협력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구조(90)는 예를 들면 장착 조립체(20)의 장착 바 구조(22)에 용접 또는 고정되는(도시되지 않음) 반 클립(91) 또는 이중클립(92)일 수 있다. 복수의 절연체 지지 구조(95)는 또한 전도성 구조(30)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고 배치 된 (평평한) 부싱 또는 (반 또는 이중)지점 서스펜션 절연체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도성 구조(30)는 전기 가열 코일(예를 들면, 코일 형태의 저항 와이어 또는 나선형으로 감긴 저항 와이어)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 지지 구조(70)는 장착 조립체(20)에 고정된다(예를 들어, 해제가능하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절연체 지지 구조(70)의 단말 수용 개구부는 제 1 단말 구조(5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50)와 협력한다. 절연체 지지 구조(70)의 단말 수용 개구부는 절연체 지지 구조(70)(도시되지 않음)의 외부 변부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 지지 구조(70)는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 될 수도 있고, 여기서 절연체 지지 구조(70)의 단말 수용 개구부는 제 1 단말 구조(50)를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에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50)와 협력한다.
또한, 절연체 지지 구조(70)는 장착 바 구조(22)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체 지지 구조(70)의 단말 수용 개구부는 제 1 단말 구조(70)를 장착 바 구조(22)에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70)와 협력한다.
제 1 단말 구조(50)는 평평한 단말 구조(예를 들어, 파워 연결을 위한 종래의 "빠른-연결" 종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말 구조(50)는 또한 절연체 지지 구조(70)에 제 1 단말 구조(50)를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절연체 지지 구조(70)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예를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부러질 수 있는 탭(51))(도 4A 및 4B 참조)을 포함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절연체 지지 구조(70)에 제 1 단말 구조(50)를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50)는 절연체 지지 구조(70)의 단말 수용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하게 되고 제 1 단말 구조(50)의 돌출부는 절연체 지지 구조(70)와 연결된다(예를 들면, 구부러져서). 구부러질 수 있는 탭(51)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단말 구조(50)의 중심 라인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 1 단말 구조(50)의 크기는 다음 근사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도 4A 및 4B 참조):
L1=1.781 인치; L2=1.594 인치; L3=0.322 인치; L4=0.163 인치; L5=0.040 인치; L6=0.65 인치; L7=0.360 인치; L8=0.253 인치; L9=0.220 인치; L10=0.040 인치; L11=0.125 인치; L12=0.180 인치; L13=0.782 인치; L14=0.594 인치; L15=0.080 인치; 그리고 L16=0.032 인치.
제 2 단말 구조(60)는 평평한 단말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장착 조립체(20)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단말 구조(60)는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 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단말 구조(60)는 장착 바 구조(22)(도시되지 않음)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 될 수 있다.
제 1 단말 구조(50)는 제 1 단부 부분(53)과 제 2 단부 부분(54)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1A 참조). 제 2 단말 구조(60)는 또한 제 1 단부 부분(63)과 제 2 단부 부분(64)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제 1 단말 구조(50)의 제 1 단부 부분 (53)은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1 단부 부분(63)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같이, 제 1 단말 구조(50)의 제 1 단부 부분(53)은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1 단부 부분(63) 또한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서머스텟 구조(40)는 그 후 제 1 단말 구조(50) 및 제 2 단말 구조(60) 둘 다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제 1 단말 구조(50)의 제 1 단부 부분(53)은 이를 통하여 형성된 개구부(52)를 수용하는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도 4A 참조). 서머스텟 구조(40)는 이를 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상응하는 톱니가 있는 파스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 구조(50)를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하기 위해, 그 후 제 1 단말 구조(50)는 정렬된 구멍을 수용하는 파스너를 가진 서머스텟 구조(40)에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파스너 55(톱니가 있는 볼트)는 제 1 단말 구조(50)의 개구부(52)를 수용하는 파스너를 통하여 삽입하게 될 수 있고, 서머스텟 구조(40)의 개구부를 수용하는 톱니가 있는 파스너 위에 맞물릴 수 있으며, 제 1 단말 구조(50)를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하기 위해 끼워질 수도 있다(도 1A 참조). 유사하게,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1 단부 부분(63)은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 구조(50)의 제 2 단부 부분(54)은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2 단부 부분(64)과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단말 구조(50)의 제 2 단부 부분(54)은 히터 조립체(10)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전도성 구조(30)로 서머스텟 구조(40)를 통하여 파워를 분배하는 파워 분배 구 조(도시되지 않음)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2 단부 부분(64)는 예를 들어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2 단부 부분(64) 주위에서 전도성 구조(30)의 부분으로 클림핑함으로써 전도성 구조(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머스텟 구조(40)는 인라인 서머스텟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단말 구조(50)는 서머스텟 구조(40)의 센터 라인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제 2 단말 구조(60)는 또한 서머스텟 구조(40)의 센터 라인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도 1A 참조).
히터 조립체(10)는 또한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말 구조(60)는 그후 예를들어 장착 플레이트 구조(21) 또는 장착 바구조(22)와 같은 장착 조립체(20)로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를 통하여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A, 1B 및 1C는 전방 부분(23), 상부 부분(24) 및 후방 부분(25)을 포함하는 장착 플레이트 구조(21)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 1 절연체 지지 구조(70)는 전방 부분(23)에 고정 될 수 있고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는 후방 부분(25)에 고정 될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후방 부분(25)은 장착 바 구조(22)에 연결(예: 용접)되지 않을 수도 있고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상부 부분(24)에 연결될 수도 있다(도 1A 참조).
플레이트 구조(21)의 상부 부분(24)은 이를 통하여(도 1C 참조) 형성되고 서머스텟 구조(40)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톱니가 있는 파스너와 연결되는 수용 개구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스너(55)는 제 1 단말 구 조(50)의 파스너 수용 개구부(52)로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수용 개구부(26) 중의 하나를 통하여 삽입(도 4A 참조)될 수 있고 서머스텟 구조(40)의 파스너 수용 개구부중 하나로 맞물릴 수 있으며 제 1 단말 구조(50)를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하기 위해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파스너(65)는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수용 개구부(26) 중의 하나를 통하여 서머스텟 구조(40)에 제 2 단말 구조(60)의 제 1 단부 부분(63)을 연결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다.
제 1 절연체 지지 구조(70)는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절연체 지지 구조(70)는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에 동일하지 않게 구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절연체 지지 구조(70)와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의 각각은 부싱(예, 평평한 부싱)또는 포인트 서스펜션 절연체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절연체 지지 구조(70)와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는 둘다 일체형 세라믹 절연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조립체(20)의 크기, 형태, 물질 또는 배치, 전도성 구조(30), 서머스텟 구조(40), 제 1 단말 구조(50)와 제 2 단말 구조(60), 절연체 지지 구조(70),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 고정구조(90) 또는 이들 사이의 절연체 구조(95)는 히터 조립체(10)의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2A, 2B 및 2C는 히터조립체(10)의 다른 실시예의 각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 1B 및 1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도 2A, 2B 및 2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는 예를들어 장착 바 구조(22)에 연결되는(예, 용접)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후방 부분(25)을 포함한다. 즉, 장착 플레이트 구 조(21)의 후방 부분(25)은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상부 부분(24) 및 장착 플레이트 구조(21)의 후방 부분(25) 둘 다에 연결될 수 있다(도 2A 참조).
또한, 도 2A, 2B 및 2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는 두 부분의 세라믹 절연체 구조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 구조(70)와 절연체 지지 구조(80) 둘 다를 포함한다. 또한, 도 2A, 2B 및 2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는 전도성 구조(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복수의 (이중) 포인트 서스펜션 절연체 지지 구조(95)를 포함한다.
상기의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전도성 구조(3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하고 또한 절연체 지지 구조(7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한다. 상기 방법에서는 제 1 단말 구조(50)와 제 2 단말 구조(6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하고 그 후 서머스텟 구조(40)를 제 1 단말 구조(50) 및 제 2 단말 구조(60)에 연결한다. 상기 방법으로는 또한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그 후 단말 플레이트와 같은 시트 금속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세라믹으로 지지되는 서머스텟에 전류를 전도하도록 형성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말은 또한 공지된 방법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한 단부에서 히터 조립체에 파워를 공급하는 전기적 리드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단말의 한쪽 또는 양쪽이 예를 들면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히터에 지지될 수 있는 서머스텟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파워 연결을 위해 표준 "빠른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도 4A 및 4B 참조). 단말은 "빠른 연결" 단말 부분에 인접한 각 측면상의 하나와 같은 두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탭은 구부러질 수 있고, 의도하는 세라믹 절연체내에 단말을 삽입한 후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구부러진 탭은 단말의 중심 라인과 평행한 한 방향에서 단말의 모션을 억제지할 수 있다. 제 3 탭은 단말 중심 라인과 평행한 반대 방향에서 단말의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 플레이트의 상부 연장 부분이 90도로 형성되고 후방 연장 부분이 부가적인 90도로 형성되는 단말 플레이트에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및 2 참조). 이와 같이, 단말 플레이트의 전방 부분은 상부 연장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후방 연장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제 2 단말 세라믹은 단말 플레이트의 후방 연장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플레이트의 상부 연장 부분은 예를 들면 단말에 서머스텟을 부착하는 (두) 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의 통로를 허용하도록 관통된 (두)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단말 플레이트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A, 3B 및 3C는 히터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A, 2B 및 2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도 3A, 3B 및 3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파워 분배 구조(75)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A, 2B 및 2C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장착 조립체(20)에 고정되어 이를 통하여 형성된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구조(85)를 도시한다. 절연체 지지 구조(85)는 두 부분(연동하는)의 세라믹 절연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 지지 구조(85)의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는 파워 분배 구조 (75)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75)와 협력한다.
파워 분배 구조는 톱니를 가진 볼트 단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2B 및 2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머스텟 구조(40)는 제 1 단말 구조(90) 및 제 2 단말 구조(60)에 연결된다. 제 1 단말 구조(90)는 히터 조립체(10)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전도성 구조(30)로 서머스텟 구조(40)를 통하여 파워를 분배하는 권한을 받기 위해 주는 파워 분배 구조(75)에 연결된다. 제 1 단말 구조(90)는 L 형태일수도 있고, 제 1 단부 부분(91)과 제 2 단부 부분(9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A, 2B 및 2C의 히터 조립체(1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1 단말 구조(90)의 제 1 단부 부분(91)은 서머스텟 구조(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단말 구조(90)의 제 2 단부 부분(92)은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 구조(75)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단말 구조(90)는 또한 제 1 단말 구조(90)의 축에 대해 제 1 형성 단면을 가지는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 1 형성 단면은 정방형, 직사각형이고 및 타원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역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전도성 구조(30)을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하고 역시 절연체 지지 구조(85)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한다. 상기 방법은 파워 분배 구조(75)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하고 또한 제 1 단말 구조(90)와 제 2 단말 구조(6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한다. 상기 방법은 서머스텟 구조(40)를 제 1 단말 구조(90) 및 제 2 단말 구조(60)에 연결하고 또한 제 2 절연체 지지 구조(80)를 장착 조립체(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는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형성된 각 단부 내의 홀을 포함하는 평평한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3참조).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은 단말 홀중 한 홀을 통과할 수 있고, 차례로 절연체 지지 구조(예를 들어, 두 연동하는 세라믹)의 홀을 통과할 수도 있다.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적절히 고정한다. 연동하는 세라믹은 시트 금속 구조(예를 들면, 단말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인라인)서머스텟 단말을 연결하는 스크류는 단말의 다른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스크류는 서머스텟을 보유하도록 단말에 고정될 수 있다. 서머스텟의 다른 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유될 수 있고 또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은 닫힌 링 및 열린 링 파워 연결 단말과 같은 두 가지 형태의 파워 연결을 허용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시트 금속 구조 또는 공지된 지지방법에 의해 지지되고 전기적 라인 공급 파워에 연결되는 세라믹 절연체를 히터 조립체에 끼우기 위해 인라인 제어수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또한 90도 각도로 형성된 각 단부내의 홀을 포함하고 닫힌 링 또는 열린 링 파워 단말을 수용하는 (톱니가 형성된) 단물에 인라인 제어수단을 부착하도록 하는 (평평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시트 금속 구조 또는 공지된 방법의 지지수단에 의해 인라인(서머스탯) 제어가 적절히 고정되는 단말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한 본 발명의 제조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 된다. 상기 실시예에의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며 본 명세서의 일반적인 원리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또는 구조의 어떤 특별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서 어떤 형태로 구현된 원리와 새로운 특징과 일치하는 범위도 가능하다.

Claims (41)

  1. 히터 조립체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
    전도성 구조;
    서머스탯 구조;
    제 1 단말 구조와 제 2 단말 구조 및
    이를 통해 형성된 단말 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절연체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구성되고 배치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가 장착 조립체에 제 1 단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서머스탯 구조가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가 히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서머스탯 구 조를 통해 파워를 전도성 구조에 분배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제 2 단말 구조가 전도성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2. 히터 조립체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
    전도성 구조;
    서머스탯 구조;
    제 1 단말 구조와 제 2 단말 구조 및
    이를 통해 형성된 파워 분배 구조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구성되고 배치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개구부를 수용하는 파워 분배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파워분배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파워분배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서머스탯 구조가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가 히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서머스탯 구 조를 통해 파워를 전도성 구조에 분배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고 전도성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파워분배구조가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가 장착 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제 1 단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7.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단말구조가 절연체 지지구조에 제 1 단말구조를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절연체 지지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구부러질 수 있는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질 수 있는 탭이 제 1 단말 구조의 중심라인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9.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 또는 장착 바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단말 구조가 서머스탯 구조의 중심라인을 따라 정렬되고 제 2 단말 구조가 서머스탯의 중심라인을 따라 역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말 구조중 하나 또는 둘 다가 평평한 단말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2. 제 5항에 있어서, 장착 플레이트 구조가 장착 바구조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3.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10항 또는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서머스탯 구조가 인라인 서머스탯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단말 구조가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단말 구조가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단말구조의 제 1 단부부분이 제 2 단말 구조의 제 1 단부부분과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의 제 2 단부부분이 제 2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과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절연체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제 2 단말구조가 제 2 절연체 지지구조를 통해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제 1 절연체 지지구조가 제 2 절연체 지지구조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7. 제 3항에 있어서, 제 1 단말구조가 L 형상이고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의 제 1 단부부분이 서머스탯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치 되며,
    제 1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이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8. 제 2항에 있어서, 제 2 단말구조가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단말구조의 제 1 단부부분이 제 1 단부 구조의 제 1 단부부분과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되고,
    제 2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이 제 1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과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19. 제 2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조립체의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가 장착 조립체의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파워 분배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20.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단말 구조가 제 1 단말 구조의 축에 대해 제 1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외부표면을 포함하고, 제 1 형상 단면이 둥글고, 정방형, 직사각형 및 타원형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21.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에 전도성 구조를 고정하고;
    장착 조립체에 이를 통하여 형성된 단말 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구조를 고정하고;
    장착 조립체에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 구조를 고정하고;
    제 1 단말 구조와 제 2 단말 구조에 서머스탯 구조를 연결하고;
    전도성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구성되고 배치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가 장착 조립체에 제 1 단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구성 및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가 히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서머스탯 구조를 통해 파워를 전도성 구조에 분배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제 2 단말 구조가 전도성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2.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에 전도성 구조를 고정하고;
    장착 조립체에 이를 통하여 형성된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절연체 지지구조를 고정하고;
    장착 조립체에 파워 분배 구조를 고정하고;
    제 1 단말 구조와 제 2 단말 구조를 장착 조립체에 고정하고;
    제 1 단말 구조와 제 2 단말 구조에 서머스탯 구조를 연결하고;
    전도성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상기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구성되고 배치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가 장착 조립체에 파워 분배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서머스탯 구조가 제 1 단말 구조 및 제 2 단말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가 히터 조립체에 의해 사용되는 파워를 수용하고 서머스탯 구조를 통해 파워를 전도성 구조에 분배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고 전도성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파워분배구조가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4. 제 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5. 제 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장착 조립체가 장착 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제 1 단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7. 제 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제 1 단말구조가 절연체 지지구조에 제 1 단말구조를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절연체 지지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구부러질 수 있는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질 수 있는 탭이 제 1 단말 구조의 중심라인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29. 제 24항에 있어서,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0. 제 21항에 있어서, 제 1 단말 구조가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단말 구조가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단말구조의 제 1 단부부분이 제 2 단말 구조의 제 1 단부부분과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의 제 2 단부부분이 제 2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과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1. 제 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제 2 절연체 지지구조를 장착 조립체에 고정하고,
    제 2 단말구조가 제 2 절연체 지지구조를 통해 장착 조립체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제 1 절연체 지지구조가 제 2 절연체 지지구조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3. 제 23항에 있어서, 제 1 단말구조가 L 형상이고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제 1 단말구조의 제 1 단부부분이 서머스탯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며,
    제 1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이 톱니가 형성된 볼트 단말 구조에 연결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4. 제 22항에 있어서, 제 2 단말구조가 제 1 단부부분 및 제 2 단부부분을 포함하고,
    제 2 단말구조의 제 1 단부부분이 제 1 단부 구조의 제 1 단부부분과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되고,
    제 2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이 제 1 단말 구조의 제 2 단부부분과 동일하지 않게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5. 제 24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파워 분배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6. 제 24항에 있어서,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플레이트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7. 제 5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바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가 장착 바 구조에 제 1 단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
  38. 제 25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바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 및 배열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단말 수용 개구부가 장착 바 구조에 제 1 단말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단말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39. 제 25항에 있어서,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바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40. 제 25항에 있어서, 절연체 지지구조가 장착 바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고,
    절연체 지지구조의 파워 분배 구조 수용 개구부가 장착 바 구조에 파워 분배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파워 분배 구조와 협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41. 제 25 항에 있어서, 제 2 단말 구조가 장착 바 구조에 해제가능하고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047016315A 2002-04-12 2003-04-11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 조립체 KR10068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20,509 2002-04-12
US10/120,509 US6600141B1 (en) 2002-04-12 2002-04-12 Thermostat assembly for a heater
PCT/US2003/011115 WO2003088714A1 (en) 2002-04-12 2003-04-11 Improved thermostat assembly for a 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086A KR20040102086A (ko) 2004-12-03
KR100681102B1 true KR100681102B1 (ko) 2007-02-08

Family

ID=2761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315A KR100681102B1 (ko) 2002-04-12 2003-04-11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00141B1 (ko)
EP (1) EP1498009B1 (ko)
JP (1) JP3913218B2 (ko)
KR (1) KR100681102B1 (ko)
CN (1) CN1643983B (ko)
CA (1) CA2479560C (ko)
DE (1) DE60326561D1 (ko)
MX (1) MXPA04009951A (ko)
WO (1) WO2003088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3554B2 (en) * 2001-04-27 2003-07-15 Tut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heater thermostat and temperature sensitive fuse
US20080230619A1 (en) * 2007-03-21 2008-09-25 Robert Kirby Heating 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unit with noise abatement feature and method of use
US8410406B1 (en) * 2008-09-03 2013-04-02 Nova Coil, Inc. Helical wire heating coil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helical wire heating coil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1312A (en) * 1970-06-23 1972-02-08 Heatcraft Open coil heating element assembly
US3770939A (en) * 1972-09-19 1973-11-06 Emerson Electric Co Electric heating assemblies
US3964004A (en) * 1974-02-25 1976-06-15 Mertler Charles S Thermostatic switch with standby contacts
US3952409A (en) * 1975-06-30 1976-04-27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e of electric heating assembly
US4110600A (en) * 1976-06-24 1978-08-29 Mcgraw-Edison Company Thermostatically controlled plural heat output portable electric space heater
US4289955A (en) * 1979-11-05 1981-09-15 Emerson Electric Co. Electric heating assemblies with a mounted thermostatic switch
US4398082A (en) * 1981-03-09 1983-08-09 Aubrey Manufacturing, Inc. Heating apparatus
US5204509A (en) * 1991-05-31 1993-04-20 Illinois Tool Works Inc. Self regulating heated switch assembly
US5437001A (en) * 1992-12-21 1995-07-25 The W. B. Marvin Manufacturing Company Upright radiant electric heating appliance
US5568586A (en) * 1995-06-19 1996-10-22 Junkel; Eric F. Over-heat protection for a portable space heater with thermally insulated thermostat mounted above slot cut in reflector
US5734312A (en) * 1995-06-26 1998-03-31 Black & Decker Inc. Overtemperature protection assembly for an appliance
US5641420A (en) * 1995-09-06 1997-06-24 Lakewood Engineering & Mfg. Co. Electric heater having coil with loop that passes through aperture in support
US5935471A (en) * 1998-03-31 1999-08-10 Camco Inc. Heater coil support and mounting bracket
US6222133B1 (en) * 1999-05-05 2001-04-24 Camco Inc. One-piece ceramic terminal insulator mounting arrangement
US6433318B2 (en) * 2000-08-11 2002-08-13 Michael Danko Electric heater assembly with in-line thermostat
US6593554B2 (en) * 2001-04-27 2003-07-15 Tut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heater thermostat and temperature sensitive fuse
US6624398B2 (en) * 2001-11-30 2003-09-23 Tutco, Inc. Insulator support structure for a hea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09951A (es) 2004-12-13
EP1498009A4 (en) 2007-05-30
US6600141B1 (en) 2003-07-29
CA2479560C (en) 2008-07-08
CN1643983B (zh) 2010-05-26
JP2005522850A (ja) 2005-07-28
KR20040102086A (ko) 2004-12-03
CA2479560A1 (en) 2003-10-23
EP1498009B1 (en) 2009-03-11
WO2003088714A1 (en) 2003-10-23
CN1643983A (zh) 2005-07-20
JP3913218B2 (ja) 2007-05-09
DE60326561D1 (de) 2009-04-23
EP1498009A1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3968B2 (en) Conductive U-shaped jumper strap and method of use
US6624398B2 (en) Insulator support structure for a heater assembly
KR100681102B1 (ko) 개선된 서머스텟 조립체를 가지는 히터 조립체
KR20050116149A (ko) 마이카 보드 전기 저항선 가열기, 부분 조립체 부품, 및조립체 제조방법
CA2361304A1 (en) Electric heater assembly with in-line thermostat
JP2001052591A (ja) 電線付きヒューズ
DE2364812C2 (de) Anordnung eines Bürstenträgers und eines Spannungsreglers a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JP2006318812A (ja) ケーブル接続端子とそれを使用した電気接続箱
JPH0244478Y2 (ko)
JPH10233261A (ja) コネクタ
KR910003758B1 (ko) 발열장치
JP2002216866A (ja) アルミニューム板とリード線とのカシメ手段による接続機構
JP3835064B2 (ja) 電気機器の取付構造
KR100498750B1 (ko) 전기제품용 ptc히터 및 방열판 구조
JPH02253284A (ja) 定着装置
JPS5845789B2 (ja) 発熱ユニツト
KR20070028888A (ko) 판상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