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612B1 - 환기장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612B1
KR100680612B1 KR1020050059122A KR20050059122A KR100680612B1 KR 100680612 B1 KR100680612 B1 KR 100680612B1 KR 1020050059122 A KR1020050059122 A KR 1020050059122A KR 20050059122 A KR20050059122 A KR 20050059122A KR 100680612 B1 KR100680612 B1 KR 10068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air
control device
indoor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277A (ko
Inventor
김지용
공이구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6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풍향조절장치에 의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므로 실내공간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의 실내기{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실내기에 적용된 풍향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1: 제 1 흡입구
12: 제 2 흡입구 13: 배출구
20: 필터 30: 송풍팬
40: 팬케이스 41: 팬수용부
42: 토출안내부 42a: 토출구
50: 풍향조절장치 51: 블레이드
52: 풍향조절모터 53: 연동부재
본 발명은 환기장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환기할 수 있는 환기장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공간에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환기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실내기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에는 실외공간으로부터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흡기덕트와 실내공기가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배기덕트가 연결되며, 실외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배출구와 실내공기가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흡입구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환기장치의 실내기는 본체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특정방향을 향해서만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넓은 실내공간을 고르게 환기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에 고르게 분산 공급되게 할 수 있는 환기장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는 회전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내부에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여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토출구가 마련된 팬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팬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며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가 다수개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게 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에 설치되며 실외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흡기덕트(D1)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덕트(D2)가 연결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흡기덕트(D1)를 통해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흡입하고 배기덕트(D2)를 통해 실내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여 실내공간을 환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는 상하로 서로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0U) 및 하 부 케이스(10L)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천정(C)의 구석부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중심각이 실질적으로 90도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후단측에 흡기덕트(D1) 및 배기덕트(D2)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환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흡입하는 환기운전과,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환기운전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구(11)가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청정운전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구(12)가 본체(10)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제 2 흡입구(12) 내측에는 제 2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2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측에는 흡기덕트(D1)를 통해 실외공간으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나, 제 2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어 필터(2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의 내부에는 회전하며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외공기나 이물질이 걸러진 실내공기가 배출구(13)로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30)과, 내측에 송풍팬(30)을 수용하며 송풍팬(30)에서 토출된 공기를 배출구(13)측으로 안내하는 팬케이스(40)가 구비되어 있다.
송풍팬(3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송풍팬(30)은 그 축선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본체(10)의 하면에 마련된 제 2 흡입구(12)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팬케이스(40)는 송풍팬(30)이 수용되는 팬수용부(41)와 팬수용부(41)로부터 배출구(13)측으로 연장되며 송풍팬(30)에서 토출된 공기를 배출구(13)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끝단에 토출구(42a)가 마련된 토출안내부(42)를 포함한다.
이 때, 본체(10)의 내부공간은 구획판(14)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공간에는 송풍팬(30) 및 팬케이스(40)가 설치되며 배기덕트(D2)가 연결되어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0)의 하측 공간에는 필터(20)가 설치되며 흡기덕트(D1)가 연결되어 실외공간으로부터의 실외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실내기에는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풍향조절장치(50)는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에 고르게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넓은 실내공간을 전제척으로 고르게 환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풍향조절장치(50)는 팬케이스(40)의 토출안내부(42)에 설치되어 팬케이스(40)의 토출구(42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함으로써 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풍향조절장치(5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좌우로 회동하며 토출구(42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좌우방향으로 조절되게 하는 다수의 블레이드(51)와, 팬케이스(40)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블레이드(51)들 중 어느 하나가 좌우로 회동하게 하는 풍향조절모터(52)와, 다수의 블레이드(51)가 서 로 연동하여 동작하게 하는 하나의 연동부재(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블레이드(51)가 풍향조절을 위하여 토출구(42a)에 배치되어 있다.
두 블레이드(51)는 그 상단 및 하단이 토출안내부(42) 내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풍향조절모터(52)는 다수의 블레이드(51)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51)에 설치되고, 연동부재(53)는 두 블레이드(51)들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풍향조절모터(52)에서 발생한 회전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51)가 회전하면 나머지 하나의 블레이드(51)가 연동부재(53)를 통해 힘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토출구(42a)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풍향조절장치(50)는 팬케이스(40)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0)의 배출구(13)에 직접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실내기는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향조절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풍향조절장치에 의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므로 실내공간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외관을 형성하며 실내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는 회전하며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과, 내부에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여 상기 송풍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토출구가 마련된 팬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팬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실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며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블레이드와,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실내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다수개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게 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실내기.
KR1020050059122A 2005-07-01 2005-07-01 환기장치의 실내기 KR10068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122A KR100680612B1 (ko) 2005-07-01 2005-07-01 환기장치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122A KR100680612B1 (ko) 2005-07-01 2005-07-01 환기장치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277A KR20070003277A (ko) 2007-01-05
KR100680612B1 true KR100680612B1 (ko) 2007-02-08

Family

ID=3787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122A KR100680612B1 (ko) 2005-07-01 2005-07-01 환기장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6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261A (ko) * 1997-08-13 1999-03-05 이구택 젤캐스팅법으로 제조한 세라믹 성형체의 탈형방법
KR20010088412A (ko) * 2000-03-09 2001-09-26 준지 키도 유기화합물의 증착방법 및 유기화합물의 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261A (ko) * 1997-08-13 1999-03-05 이구택 젤캐스팅법으로 제조한 세라믹 성형체의 탈형방법
KR20010088412A (ko) * 2000-03-09 2001-09-26 준지 키도 유기화합물의 증착방법 및 유기화합물의 정제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884120000 *
201999001626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277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10518205B2 (en) Air cleaner
US9914082B2 (en) Air cleaner
KR20160038678A (ko) 공기조화기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050111161A (ko) 환기시스템
KR20160077359A (ko)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KR20160000486A (ko) 토출방향 가변형 제습장치
JP2005061655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100680612B1 (ko) 환기장치의 실내기
KR102150333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1139560B1 (ko) 공기청정기
KR102517048B1 (ko) 듀얼 양압챔버를 구비하는 생물안전작업대
WO2006115197A1 (ja) 送風装置
JP3627159B2 (ja) 浴室換気乾燥機
JP2011027335A (ja) 送風機能付き内装パネル装置
KR200404599Y1 (ko) 선풍기
JP2005282927A (ja) 熱交換形換気扇
KR102163367B1 (ko) 환풍장치
KR20060125040A (ko) 공기조화기용 환기유닛
KR100471437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팬 하우징 착탈구조
EP4253762A1 (en) Ventilation unit with optimized component placement
JP2004340495A (ja) 空気調和機
JP5147509B2 (ja) イオン発生装置
KR100662152B1 (ko)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