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129B1 -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129B1
KR100680129B1 KR1020030087082A KR20030087082A KR100680129B1 KR 100680129 B1 KR100680129 B1 KR 100680129B1 KR 1020030087082 A KR1020030087082 A KR 1020030087082A KR 20030087082 A KR20030087082 A KR 20030087082A KR 100680129 B1 KR100680129 B1 KR 10068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ewer
pipe
sewer pipe
dred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846A (ko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케이테크
Priority to KR1020030087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적물의 유입과 송출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폭이 넓은 하수관로 바닥 전체면적을 빠짐없이 준설하고, 장애물에 의한 진행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퇴적물을 저장챔버로 유도하며 파쇄하기 위한 임펠러(110)와, 상기 임펠러(110)가 수용되며 그릴(121)이 전방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슬롯(123)이 형성된 임펠러하우징(120)과, 상기 임펠러하우징(120)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슬롯(123)을 통하여 유입되는 퇴적물이 임시 저장되고 상기 배출관(250)과 연통되는 저장챔버(130)를 포함하여 되는 도입수단(100); 상기 도입수단(100)이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P) 및 배출관(250)을 포함하는 이송수단(200); 상기 도입수단(100) 및 이송수단(200)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350)과 능동적인 이동수단인 캐터필러(310)가 구비되는 대차(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수단(100)은 퇴적물 파쇄를 위하여 임펠러(110)의 날개는 선단부에 요철형성된 커터날(113a)이 구비된 요철날개(113)와 상기 요철날개(113)보다 회전반경이 짧은 평커터날(115a)이 구비된 평날개(115)가 교호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은 상기 요철형성되는 요철날개(113)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커터날(12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A DREDGERS FOR INTERCEPTING SEWER AND SEWER CONDUIT}
도 1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a는 도 1의 준설장치 측면도
도 2b는 도 1의 준설장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도입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송수단이 장착된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암의 작동상태도1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암의 작동상태도2
도 8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암의 작동상태도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리프트실린더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2: 하수관로
3; 맨홀 4: 로프 권취장치
5: 수집조 6: 침사지
10: 종래 기술의 준설장치 100: 도입수단
110: 임펠러 113: 요철날개
113a: 커터날 115: 평날개
113b,115b: 통공 117: 받침살
120: 저장챔버 121: 그릴
123: 유입슬롯 124 커터날
125: 가이드부 130: 저장챔버
150: 서브도입부 151: 서브임펠러
153: 하우징 153a: 슬롯
200: 이송수단 210: 수중모터구동준설펌프
230: 유압구동피스톤펌프 250: 배출관
300: 대차 310: 이동수단(캐터필러)
320: 베이스프레임 330: 수직프레임
350; 암 351: 실린더
353: 피스톤 355: 롤러
357: 실린더 프레임 370: 리프트실린더
371: 피스톤 373: 바퀴
410: 감시카메라 420: 조명수단
430: 카메라실 431: 윈도우
450: 와이퍼 470: 링크장치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삼각형 그릴을 전방에 형성하고 파쇄기능을 갖는 임펠러 및 임펠러하우징, 서브도입부가 구비된 도입수단과 감시카메라 및 조명수단 구비되고 수중모터구동흡입펌프 또는 유압구동피스톤펌프를 구비한 강력한 이송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퇴적물의 유입과 송출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대차에 구동수단을 갖는 캐터필러와 좌우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이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하수관로 바닥 전체면적을 빠짐없이 준설할수 있도록 하고, 리프트실린더가 장착됨으로써 장애물에 의한 진행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장치는 전후방에 장착된 로프가 장착되고 이 로프를 권취하는 지상의 윈치작동에 따라 이동되며 단지 블 레이드가 구비된 대차를 이용하여 하수관로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맨홀 하방에 형성된 침사지 또는 맨홀근처로 밀어 이동시키고 침사지 또는 맨홀근처에 모아진 퇴적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대차가 닿지못하는 퇴적물은 준설되지 못하는 등 하수관로의 퇴적물이 깨끗하게 준설되지 못하고 또한 대차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폭이 넓은 하수차집관거 바닥면적 전체의 퇴적물을 준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64130호(명칭: 준설장치 및 방법)를 기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은 도 1에 개념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2)에 연통되는 맨홀(3)을 통하여 투입되는 준설장치(10), 이 준설장치(10)의 이동을 위하여 준설장치의 전후방에 각각 체결되는 로프(390), 상기 로프(390)를 권취하기 위해 제1맨홀(3)과 제2맨홀(3') 인접 지상에 각각 설치되는 로프 권취장치(4) 및 상기 준설장치(10)로부터 토출된 퇴적물을 받기 위한 수집조(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맨홀(3)의 직하방에는 침사지(6)가 형성되기도 하며, 준설장치(10)로부터 이송되는 퇴적물은 상기 침사지(6)에 일차적으로 저장 경유되거나 또는 다이렉트로 강제펌핑되어 연결관(7)을 통하여 수집조로 토출된다. 미설명 부호 (8)은 수집조로부터 복귀되는 물의 회수관, (9)는 준설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 (20)은 설치용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준설장치(10)는 도 2a에 측면도, 도 2b에 평면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된 도입수단(10a), 상기 도입수단(10a)의 후방으로 퇴적물을 지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10b) 및 대차(10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준설장치(10)는 임펠러의 날개에 의하여 퇴적물을 저장챔버로 유도하며 이렇게 유도된 퇴적물을 흡인 수중모터구동흡입펌프 또는 유압구동피스톤펌프를 포함하는 이송수단(10b)에 의하여 지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퇴적물의 준설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차(10c)에 출몰이 신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암(10ca)이 설치되어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 하수관로 전체면적에 걸친 준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 기술은 몇가지 미흡한 점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능동적인 이동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준설장치 운신이 원활하지 못하며,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고, 도입수단에서는 비닐과 같은 거친 퇴적물에 대처하기 위한 파쇄기능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형 그릴을 전방에 형성하고 커터날을 갖는 임펠러 및 임펠러하우징, 서브도입부가 구비된 도입수단과 감시카메라 및 조명수단이 구비되고 유압구동피스톤펌프 또는 수중모터구동흡입펌프를 구비한 강력한 이송수단을 구 비함으로써 퇴적물의 유입과 송출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에 구동수단을 갖는 캐터필러가 구비되어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이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하수관로의 바닥 전체면적을 빠짐없이 준설할수 있도록 하여 준설효율을 극대화 하며, 리프트실린더가 장착됨으로써 장애물에 의한 진행장애를 극복 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는,
삭제
퇴적물을 저장챔버로 유도하며 파쇄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그릴이 전방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슬롯이 형성된 임펠러하우징과, 임펠러하우징 후방에 상기 유입슬롯을 통하여 유입되는 퇴적물이 임시 저장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저장챔버를 포함하여 되는 도입수단; 상기 도입수단이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및 배출관을 포함하는 이송수단; 상기 도입수단 및 이송수단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과 능동적인 이동수단인 캐터필러가 구비되는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수단은 퇴적물 파쇄를 위하여 임펠러의 날개는 선단부에 요철형성된 커터날이 구비된 요철날개와 상기 요철날개보다 회전반경이 짧은 평커터날이 구비된 평날개가 교호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은 상기 요철형성되는 요철날개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커터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펠러의 날개의 일측에는 각각 고형 퇴적물을 받혀주기 위한 받침살이 소정 간격으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의 날개에는 각각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상부 일측에는 고형물 유입시 임펠러하우징의 유입슬롯을 통과하지 못한 퇴적물의 배출을 위한 비상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배출구에 연접하여 퇴적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서브임펠러와 상기 서브임펠러가 수용되고 퇴적물 챔버를 겸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서브도입부가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하우징에는 비상배출구로 유도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그릴은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대략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도입수단의 상부 전방에는 감시카메라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조명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카메라와 조명수단은 윈도우가 형성된 카메라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실의 윈도우에는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링크장치에 연결되어 왕복 슬라이드되는 와이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 와이퍼의 링크장치는 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고정되어 회전운동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고정되는 제2링크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에 윈도우의 창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타고 슬라이드되며 하나 이상의 와이퍼가 취부된 와이퍼 프레임이 힌지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차의 암은 전후방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두 개의 실린더의 피스톤으로 설치되고 상기 암의 선단부에는 하수관로 벽체를 타고 슬라이드되기 위한 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의 전후방 양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작동되는 리프트실린더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차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지상에 설치되는 로프 권취장치에 연결되는 로프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1)는, 퇴적물을 저장챔버로 유도하며 파쇄하기 위한 임펠러(110)와, 상기 임펠러(110)가 수용되며 그릴(121)이 전방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슬롯(123)이 형성된 임펠러하우징(120)이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슬롯(123)을 통하여 유입되는 퇴적물이 임시 저장되고 상기 배출관(250)과 연통되는 저장챔버(130)를 포함하여 되는 도입수단(100), 상기 도입수단(100)이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P) 및 배출관(250)을 포함하는 이송수단(200), 상기 도입수단(100) 및 이송수단(200)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350)과 능동적인 이동수단인 캐터필러(310)가 구비되는 대차(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입수단(100)은 퇴적물 파쇄를 위하여 임펠러(110)의 날개는 선단부에 요철형성된 커터날(113a)이 구비된 요철날개(113)와 상기 요철날개(113)보다 회전반경이 짧은 평커터날(115a)이 구비된 평날개(115)가 교호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은 상기 요철형성되는 요철날개(113)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커터날(124)이 구비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은 임펠러(110)의 요철날개(113)와 임펠러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커터날(124)은 기어 치합과 같이 상호 맞물리면서 퇴적물에 포함되어 있는 비닐 등과 같은 물체를 절단 파쇄하여 유입슬롯(123)으로 인도한다.
또한, 임펠러(110)의 날개가 요철날개(113)와 평날개(115)가 번갈아 장착됨으로써 평날개(115)의 부하가 감소되고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0)의 날개(113)(115)에 구비되는 커터날(113a)(115a)과, 임펠러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커터날(124)은 각각 그 본체와 분리 형성되어 교체가능토록 볼트(113c) 조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임펠러(110)의 날개(113)(115)에는 각각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다수의 통공(113b)(115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110)의 요철날개(113)와 평날개(115)의 일측에는 각각 고형 퇴적물을 받혀주기 위한 받침살(117)이 소정 간격으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는 고형물 유입시 임펠러하우징의 유입슬롯을 통과하지 못한 퇴적물의 유입을 위한 비상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배출구(127)에 연접하여 퇴적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서브임펠러(151)와 상기 서브임펠러(151)가 수용되고 퇴적물 챔버를 겸하는 하우징(153)이 구비된 서브도입부(150)가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에는 비상배출구(127)로 유도되는 가이드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53)에는 슬롯(153a)이 형성되며, 상기 서브임펠러(151)의 날개는 통공(151a)이 다수 형성된 다공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55)는 서브임펠러(151)의 구동모터이다.
또한,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의 그릴(121)은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대략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선형 그릴(121)은 전진이동시 준설이 불가능한 나무토막 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때 이를 양옆으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은 상기 유입슬롯(123)이 형성된 후방체(122)와 양측 마구리판체(126)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의 상부 전방에는 각도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410)와 상기 감시카메라(410)의 조명수단(42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카메라(410) 및 조명수단(420)은 윈도우(431)가 형성된 카메라실(43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실(430)의 윈도우(431)에는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링크장치(470)에 연결되어 왕복 슬라이드되는 와이퍼(450)가 구비되어 감시카메라(410)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링크장치(470)는 모터의 구동축(475)에 일단이 고정되어 회전운동하는 제1링크부재(471)와 상기 제1링크부재(471)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474) 고정되는 제2링크부재(472)로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에 윈도우(431)의 창틀(432)에 구비된 가이드레일 타고 슬라이드되며 하나 이상의 와이퍼(450)가 취부된 와이퍼프레임(451)이 힌지(474) 고정된다.
상기 와이퍼(450)는 프레임(451)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200)의 펌프(P)는 수중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임펠러가 구비 된 수중모터구동흡입펌프(210)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구동피스톤펌프(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300)의 이동수단은 구동수단(315)을 갖는 캐터필러(310)로 구성된다.
상기 캐터필러(310)는 강판제의 판을 체인모양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구동수단(모터)(315)에 의하여 회동되는 구동축(311)에 장착된 기어형상의 휠(313)에 벨트처럼 걸어 주행되며 무한궤도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바퀴에 비하여 접지면적이 넓고 지면과의 마찰도 크므로 심한 요철 또는 진흙뻘이 산재된 하수관로에서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대차(300)는 베이스프레임(320)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프레임(330)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은 이송수단(200)과 연결되는 상기 도입수단의 저장챔버(130)를 겸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대차의 암(350)은 전후방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두 개의 실린더(351)의 피스톤(353)으로 설치되고 상기 암(350)의 선단부에는 하수관로 벽체를 타고 슬라이드되기 위한 롤러(355)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350)을 형성하는 실린더(351)는 방향을 달리하여 상하로 포개져 프레임(357)으로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대차(300)의 전후방 양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작동되는 리프트실린더(370)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370) 피스톤(371)의 선단에는 360°회전이 자유로운 바퀴(37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차(300)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지상에 설치되는 로프 권취장치에 연결되는 로프(390)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 중 전방에 장착되는 로프(390)는 수직프레임을 겸하는 이동수단의 임펠러하우징(120)을 이용하여 장작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1)의 작용 및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전후방에 각각의 로프 권취장치에 연결된 로프(390)가 고정된 상태로 하수관로에 투입되고(도 1 참조), 지상에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각의 구동수단이 가동되면서 대차(300)의 이동, 도입수단(100)의 퇴적물 유입 및 이송수단(200)의 퇴적물 송출 이송작업이 상호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대차(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도입수단(100)이 가동되면 개구부 전방에 앞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대략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그릴(121)이 장착된 임펠러하우징(120) 내부에서 임펠러(110)가 유입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되며, 임펠러하우징(120)의 후방인 저장챔버(130)에는 상기 이송수단(200)의 펌프(210)(230)구동에 의하여 배출관(150)측으로 흡입되는 강한 흡입력이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하수관로의 퇴적물들이 임펠러하우징(120)의 개구부인 그릴(121)을 통하여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임펠러(110)에 의하여 임펠러하우징 후방의 저장챔버(130)로 유입슬롯(123)을 통하여 유입된다.
이러한 퇴적물 유입과정에서 상기 임펠러(110)가 저속회전될 경우 비중이 큰 물질은 날개(111)(115)를 타고 임펠러(110)의 중심축을 향햐여 흘러내릴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한 것이 상기 받침살(117)이다. 상기 받침살(117)은 날개에 소정간격으로 빗살처럼 설치되어 위에서 흘러내리는 고형물의 낙하를 저지하게 된다.
한편, 고형물 유입시 임펠러하우징의 유입슬롯(123)을 통과하지 못한 대형 퇴적물은 임펠러(110)의 원심력에 의하여 임펠러하우징(120)에 형성된 비상배출구(127) 및 가이드부(125)를 통하여 상기 서브도입부(150)로 빠져 나가게 되며, 서브도입부(150)로 들어온 고형퇴적물은 거기에 설치된 서브임펠러(151)에 의하여 챔버를 겸하는 하우징(153) 일측에 저장된다.
상기 하우징(153)에는 출수를 위한 슬롯(153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유입된 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유입저장되는 고형퇴적물은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장치가 지상으로 인양된 후 꺼내게 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110) 및 서브임펠러(151)의 날개는 통공(113b)(115b)이 다수 형성된 다공체로 형성됨으로써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그 구동수단(111)(155)의 부하가 최소화된다.
상기 도입수단(100)의 상부에는 조명수단(420)과 함께 감시카메라(410)가 설치됨으로써 지상에서 전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방에 장애물이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리프트실린더(370) 등을 이용하여 대차(300)의 진로를 조정하며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410)는 카메라실(430)의 윈도우(431)에 와이퍼(450)가 설치됨으로서 시야가 확보된다. 상기 와이퍼(450)는 모터의 구동축(475)이 회전되 면서 상기 구동축(475)과 일단이 한 몸체로 결합된 제1링크부재(471)가 회전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471)의 회전은 그 타단에 힌지(474)결합된 제2링크부재(472)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2링크부재(472)에 힌지(474)결합되고 창틀(432)에 구비된가이드레일에 와이퍼프레임(451)을 직선 슬라이드시킴으로 왕복이동되어 윈도우(431)를 닦아주게 된다.
상기 대차(3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대차(300)는 로프의 감김에 의하여 피동적으로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고 구동수단(315)을 갖는 캐터필러(310)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와 같이 접지면적이 넓고 장애물에 강한 캐터필러(310)가 구동수단(315)을 구비하여 장착됨으로써 하수관로의 바닥환경에 무관하게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후방에 각각 좌우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실린더(351)의 피스톤(353)인 암(350)은 그 단부에 롤러(355)가 구비되어 있음으로 하수관로의 벽체를 타고 대차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장치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암(350)은 하수관로의 폭 방향 이동을 간편하게 해결해준다. 즉, 하수관로(2)의 폭이 준설장치(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일차적으로 투입된 위치에서 준설작업을 수행(도 8a 참조)한 후, 폭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먼저 상기 리프트실린더(370)를 작동시켜 캐터필러(3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동방향의 암(350)은 들여보내고, 반대 방향의 암(350)을 뻗히게 되면 상대적으로 대차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위치가 조정된다(도 8b 참조). 이 때 상기 리프트실린더(370)의 선단에 구비된 바퀴(373)가 360 ° 회전이 자유로움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암(350)의 위치설정, 다시 말하면 실린더(351)의 피스톤(353) 작동조정을 통하여 하수관로 폭방향 내에서 어느 일측으로 위치시키거나 또는 중앙부에 위치(도 8c 참조)시키는 등으로 폭방향에서의 작업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조정할 수 있어 하수관로 바닥의 전체면적을 원활하게 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프트실린더(370)는 상기한 좌우 위치변경시 뿐만아니라 전방에 상기 도입수단(100)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있을 시와 같은 경우에 작동시켜 장치를 부상시킨 후 지상의 로프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극복할수 있도록 하고, 이외에도 장치를 들어올릴 필요가 있는 여러 경우에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대차(30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로프(390)는 지상의 권취장치 구동에 의해 준설장치의 하수관로 투입 및 인양시 사용되며, 준설장치의 구동장치 고장시와 같은 비상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는,
유선형 그릴을 전방에 형성하고 파쇄기능을 갖는 임펠러 및 임펠러하우징, 서브도입부가 구비된 도입수단과 감시카메라 및 조명수단이 구비되고 펌프를 구비한 강력한 이송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퇴적물의 유입과 송출이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능동적인 이동수단인 캐터필러와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이 구비되어 하수관로의 바닥 전체면적을 빠짐없이 준설할수 있도록 하여 준설효율을 극대화하고, 리프트실린더가 장착됨으로써 장애물에 의한 진행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다.

Claims (12)

  1. 삭제
  2. 퇴적물을 저장챔버로 유도하며 파쇄하기 위한 임펠러(110)와, 상기 임펠러(110)가 수용되며 그릴(121)이 전방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슬롯(123)이 형성된 임펠러하우징(120)이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슬롯(123)을 통하여 유입되는 퇴적물이 임시 저장되고 상기 배출관(250)과 연통되는 저장챔버(130)를 포함하여 되는 도입수단(100);
    상기 도입수단(100)이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P) 및 배출관(250)을 포함하는 이송수단(200);
    상기 도입수단(100) 및 이송수단(200)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350)과 능동적인 이동수단인 캐터필러(310)가 구비되는 대차(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수단(100)은 퇴적물 파쇄를 위하여 임펠러(110)의 날개는 선단부에 요철형성된 커터날(113a)이 구비된 요철날개(113)와 상기 요철날개(113)보다 회전반경이 짧은 평커터날(115a)이 구비된 평날개(115)가 교호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은 상기 요철형성되는 요철날개(113)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커터날(12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10)의 날개(113)(115)의 일측에는 각각 고형 퇴적물을 받혀주기 위한 받침살(117)이 소정 간격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10)의 날개(113)(115)에 구비되는 커터날(113a)(115a)과, 임펠러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커터날(124)은 각각 본체와 분리 형성되어 교체가능토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10)의 날개(113)(115)에는 각각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다수의 통공(113b)(115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는 고형물 유입시 임펠러하우징의 유입슬롯을 통과하지 못한 퇴적물의 배출을 위한 비상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배출구(127)에 연접하여 퇴적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서브임펠러(151)와 상기 서브임펠러(151)가 수용되고 퇴적물 챔버를 겸하는 하우징(153)이 구비된 서브도입부(150)가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에는 비상배출구(127)로 유도되는 가이드부(12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하우징(120)의 그릴(121)은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대략 유선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수단(100)의 상부 전방에는 감시카메라(410)와 상기 감시카메라의 조명수단(4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410)와 조명수단(420)은 윈도우(431)가 형성된 카메라실(43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실(430)의 윈도우(431)에는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링크장치(470)에 연결되어 왕복 슬라이드되는 와이퍼(4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암(350)은 전후방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작동되는 두 개의 실린더(351)의 피스톤(353)으로 설치되고 상기 암(350)의 선단부에는 하수관로 벽체를 타고 슬라이드되기 위한 롤러(355)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300)의 전후방 양측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작동되는 리프트실린더(3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300)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지상에 설치되는 로프 권취장치에 연결되는 로프(390)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20030087082A 2003-12-03 2003-12-03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068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82A KR100680129B1 (ko) 2003-12-03 2003-12-03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82A KR100680129B1 (ko) 2003-12-03 2003-12-03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690U Division KR200344988Y1 (ko) 2003-12-03 2003-12-03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46A KR20050053846A (ko) 2005-06-10
KR100680129B1 true KR100680129B1 (ko) 2007-02-09

Family

ID=3724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082A KR100680129B1 (ko) 2003-12-03 2003-12-03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1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94B1 (ko) 2009-05-22 2009-10-07 김인식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0922777B1 (ko) 2009-01-23 2009-10-21 김인식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1130639B1 (ko) 2009-10-26 2012-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심해저 광물의 채광로봇
CN105436160A (zh) * 2016-01-16 2016-03-30 漳州市锦成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清理城市管道垃圾的机器人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47B1 (ko) * 2004-08-19 2009-0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전판으로 구동되는 수상전용 굴삭기
KR100550056B1 (ko) 2005-08-26 2006-02-10 김인식 수중 로보트 준설기
KR100802917B1 (ko) * 2006-04-10 2008-02-13 최인환 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방법
KR101283731B1 (ko) * 2011-06-22 2013-07-08 최인환 버켓타입 관로 준설로봇
CN113235711B (zh) * 2021-04-28 2022-02-11 江苏通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防堵清淤系统
CN114319569B (zh) * 2021-12-15 2023-09-12 河南省豫东水利工程管理局 一种用于水利工程管道的清淤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5936A (ja) * 1988-05-24 1989-11-29 Sumiyoshi Heavy Ind Co Ltd 下水道内清掃装置
JPH03253604A (ja) * 1990-03-01 1991-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水路内壁清掃装置
KR100405065B1 (ko) * 2001-05-03 2003-11-07 최재현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5936A (ja) * 1988-05-24 1989-11-29 Sumiyoshi Heavy Ind Co Ltd 下水道内清掃装置
JPH03253604A (ja) * 1990-03-01 1991-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水路内壁清掃装置
KR100405065B1 (ko) * 2001-05-03 2003-11-07 최재현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050650000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77B1 (ko) 2009-01-23 2009-10-21 김인식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0920694B1 (ko) 2009-05-22 2009-10-07 김인식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1130639B1 (ko) 2009-10-26 2012-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심해저 광물의 채광로봇
CN105436160A (zh) * 2016-01-16 2016-03-30 漳州市锦成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清理城市管道垃圾的机器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46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129B1 (ko)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0729864B1 (ko) 준설선
AU2019422012A1 (en) Bucket-wheel emergency dredging device
KR100405065B1 (ko)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KR100550056B1 (ko) 수중 로보트 준설기
KR200344988Y1 (ko)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CN218713432U (zh) 一种水利工程用水沟清淤设备
US6607666B2 (en) Mud tank cleaning system
CN112619215B (zh) 智能化沉淀池清淤机器人
KR10140001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준설토 이송이 가능한 갠트리 크레인이 구비된 준설선
KR102231198B1 (ko) 흡입 이동식 준설장치
KR101087587B1 (ko) 하수관로 준설장치
KR20100053718A (ko) 복수개의 스퍼드장치가 구비된 준설선
CN214363744U (zh) 农田水利工程渠道用清淤装置
CN211523334U (zh) 一种适用于多工况的搅吸清淤机器人
CN216552153U (zh) 一种清淤机器人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KR100733293B1 (ko) 하수관로 준설장치
KR200356561Y1 (ko)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CN214272202U (zh) 一种渠坡清淤设备
KR100391344B1 (ko) 주행식 임펠러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양정 대이송 준설공법
KR100662884B1 (ko) 복개 하천 콘크리트 박스 퇴적물 수거장비
CN220953808U (zh) 一种挖掘抽吸车
KR100220503B1 (ko) 취수설비의 진개물 제거장치
CN219605279U (zh) 一种复杂地形铁路隧道使用注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