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920B1 - 유가증권 배출기 - Google Patents

유가증권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920B1
KR100679920B1 KR1020050040947A KR20050040947A KR100679920B1 KR 100679920 B1 KR100679920 B1 KR 100679920B1 KR 1020050040947 A KR1020050040947 A KR 1020050040947A KR 20050040947 A KR20050040947 A KR 20050040947A KR 100679920 B1 KR100679920 B1 KR 10067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ies
thickness
thickness adjusting
dischar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674A (ko
Inventor
홍정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Priority to KR102005004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92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및 상품권을 배출하기 위한 유가증권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출부의 상판 배출가이드에 형성된 제1 센서와 하판 배출가이드에 형성된 제2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조절 다이얼을 형성한 두께조절 볼트로 이루어진 두께조절볼트부와 상기 두께조절볼트부와 결합된 두께조절축으로 이루어진 두께조절부와 상기 두께조절부의 두께조절축에 연결되어 있는 두께조절 브라켓과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의 중앙 연결된 톱니와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와 연동하도록 배치된 걸림부로 이루어진 클러치기어부로 구성된 유가증권배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가증권 배출기는 유가증권의 전체적인 인쇄패턴 및 지질의 투과도에 따라 센서부를 통해 겹쳐진 유가증권이 한번에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센서부에 의해 배출이 방지된 겹쳐진 유가증권은 배출부의 역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러치 기어에 의해 배출부 반대방향으로 유가증권이 원활히 유입되어 사용자가 배출부로 튀어나온 유가증권을 임의로 뺄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가증권의 두께에 따라 두께조절 다이얼을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유가증권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가증권 배출기, 배출기

Description

유가증권 배출기{A DISCHARGER MACHINE FOR A VALUABLE SECUR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배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배출기의 다른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기어와 두께조절 다이얼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구동계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측 하우징을 제거한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부 3 : 동력전달수단
4 : 전면 상판 5 : 전면하판
4a : 상판 배출가이드 5a : 하판 배출가이드
7 : 배출부 8 : 하우징
10 : 센서부 11 : 제1 센서
12 : 제2 센서 20 : 두께조절부
21 : 두께조절 다이얼 22 : 두께조절볼트
23 : 두께조절축 30 : 클러치기어부
31 : 두께조절 브라켓 32 : 톱니
33 : 걸림부 100 : 유가증권 배출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하우징과 전면 상, 하판에 형성된 배출부와 유가증권을 적재할 수 있는 수납판을 내부에 형성을 하고, 모터와 연결되어진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제1, 2 배출롤러에 의하여 수납판에 배치된 유가증권을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유가증권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상기의 유가증권 배출기가 사용되어지는 장소로는 입장권, 승차권, 상 품권, 복권 등을 취급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상기의 유가증권 배출기가 사용되어지는 장소에서는 일정한 조건을 상기 유가증권 배출기에 입력을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일정한 조건이 만족되어지면 유가증권을 배출할 수 있도록 유가증권 배출기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일정한 조건이 만족되어 사용자가 유가증권 배출기에서 유가증권을 배출하고자 할 때 유가증권이 두장 또는 세장이 겹쳐진 상태로 한장으로 인식되어 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배출롤러의 상단부에 배출롤러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보조배출롤러를 구비를 하여 두장 또는 세장의 유가증권이 한번에 배출되는 경우, 배출롤러와의 마찰력에 의해 작동되는 보조배출롤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겹쳐진 유가증권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경우도 배출롤러와 보조배출롤러의 마찰력에만 의존되어 유가증권의 배출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배출롤러와 보조배출롤러의 마모나 변형에 따른 마찰력의 저하로 인하여 겹쳐진 유가증권이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일부 겹쳐진 유가증권이 계속하여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배출부에 센서부를 구성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 하였으나, 이 또한 단순히 유가증권이 센서를 통과하는 유무만을 판단하는 방식이어서 다수의 유가증권이 배출되었을 경우 한장만 배출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다수의 유가증권이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가증권의 전체적인 인쇄패턴 및 지질의 투과도에 따라 센서부를 통해 겹쳐진 유가증권이 한번에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센서부에 의해 배출이 방지된 겹쳐진 유가증권은 배출부의 역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러치 기어에 의해 배출부 반대방향으로 유가증권이 원활히 유입되어 사용자가 배출부로 튀어나온 유가증권을 임의로 뺄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가증권의 두께에 따라 두께조절 다이얼을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유가증권을 배출할 수 있는 유가증권 배출기를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가증권 배출기는 상기 배출부의 상판 배출가이드에 형성된 제1 센서와 하판 배출가이드에 형성된 제2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조절 다이얼을 형성한 두께조절 볼트로 이루어진 두께조절볼트부와 상기 두께조절볼트부와 결합된 두께조절축으로 이루어진 두께조절부와 상기 두께조절부의 두께조절축에 연결되어 있는 두께조절 브라켓과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의 중앙 연결된 톱니와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와 연동하도록 배치된 걸림부로 이루어진 클러치기어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배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배출기의 다른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기어와 두께조절 다이얼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구동계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측 하우징을 제거한 우측면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가증권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와 상기 수납부(1)에 수납된 유가증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동력전달 수단(3)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에 의해 유가증권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면 상, 하판(4, 5)에 상, 하판 배출가이드(4a, 5a)를 형성한 배출부(7)와 외측의 하우징(8)으로 이루어진 유가증권 배출기에 있어서, 우선, 센서부(10)는 상기 배출부(7)의 상판 배출가이드(4a)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센서(11)와 하판 배출가이드(5a)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센서(11, 1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부(7)의 상, 하판 배출가이드(4a, 5a)의 가장자리에 각각 2개소씩 형성되어 있어, 유가증권의 인쇄 패턴 및 투과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께조절부(20)는 상기 하우징(8)의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두께조절 다이얼(21)과 두께조절 볼트(22)를 형성한 두께조절 볼트부(23)와 상기 두께조절볼트(22)와 결합되는 두께조절축(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클러치기어부(30)는 상기 두께조절부(20)의 두께조절축(24)에 연결되어 있는 두께조절 브라켓(31)과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31)의 중앙 연결된 톱니(32)와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3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32)와 연동하도록 배치된 걸림부(3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톱니(32)와 걸림부(33)의 이빨모양은 반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유가증권 배출기(10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유가증권 배출기(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판(1)에 유가증권을 정렬하여 수납한다.
상기와 같이 유가증권을 정렬하여 수납판(1)에 삽입하고자 할 때에는 유가증권이 겹쳐서 배출되지 않도록 유가증권을 여러차례 정리한 후 수납판(1)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후 하우징(8)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두께조절부(20)의 두께조절 다이얼(21)을 이용하여 유가증권이 한장씩 배출되도록 셋팅을 한다.
여기서 상기 두께조절부(2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유가증권이 한장씩 배출될 수 있도록 두께조절부(20)의 두께조절 다이얼(30)을 회전시키면, 상기 두께조절 다이얼(21)에 연결되어 있는 두께조절 볼트(22)가 회전을 하게된다.
이때에 상기 두께조절부(20)는 유가증권 배출기(100)의 하우징(8)에 의해 더 이상 하향이 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두께조절부(20)의 두께조절 볼트(22)와 결합되어 있는 두께조절축(24)이 나사의 원리에 의해 하향 또는 상향되고, 상기 두께조절축(24)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부(7)로 유가증권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롤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하향 또는 상향함으로써, 유가증권이 한장씩 배출될 수 있는 간격으로 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유가증권 배출기(100)를 작동시키면, 동력전달수단(3)에 의해 수납부(1)에 수납된 유가증권이 밑에 깔려 있는 유가증권부터 한장씩 배출되어 진다.
삭제
이때에 유가증권이 겹쳐진 상태에서 배출되었을 경우 센서부(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유가증권 전체의 인쇄 패턴 및 투과도에 대한 데이터값과 신호를 받은 값을 비교하여,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상이한 데이타를 받게되면 제어부에서는 배출부(7)로 유가증권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롤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하여 유가증권의 배출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유가증권이 이동될 수 있도록 모터를 작동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는 롤러와 모터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서, 배출부(7)에서 약간 돌출되어 배출되려던 유가증권을 힘으로 빼낼 수 없도록 역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러치기어부(30)에 의해 롤러가 역방향으로만 작동하여 유가증권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가증권의 잘못된 배출을 막을 수 있게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유가증권 배출기는 유가증권의 전체적인 인쇄패턴 및 지질의 투과도에 따라 센서부를 통해 겹쳐진 유가증권이 한번에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센서부에 의해 배출이 방지된 겹쳐진 유가증권은 배출부의 역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클러치 기어에 의해 배출부 반대방향으로 유가증권이 원활히 유입되어 사용자가 배출부로 튀어나온 유가증권을 임의로 뺄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가증권의 두께에 따라 두께조절 다이얼을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유가증권을 배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유가증권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와 상기 수납부(1)에 수납된 유가증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동력전달 수단(3)과 상기 동력전달수단(3)에 의해 유가증권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면 상, 하판(4, 5)에 상, 하판 배출가이드(4a, 5a)를 형성한 배출부(7)와 외측의 하우징(8)으로 이루어진 유가증권 배출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7)의 상판 배출가이드(4a)에 형성된 제1 센서(11)와 하판 배출가이드(5)에 형성된 제2 센서(12)로 이루어진 센서부(10);
    상기 하우징(8)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조절 다이얼(21)을 형성한 두께조절 볼트(22)로 이루어진 두께조절볼트부(23)와 상기 두께조절볼트부(23)와 결합된 두께조절축(24)으로 이루어진 두께조절부(20);
    상기 두께조절부(20)의 두께조절축(24)에 연결되어 있는 두께조절 브라켓(31)과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31)의 중앙 연결된 톱니(32)와 상기 두께조절 브라켓(3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32)와 연동하도록 배치된 걸림부(33)로 이루어진 클러치기어부(30)의 구성에 특징이 있는 유가증권배출기.
  2. 삭제
  3. 삭제
KR1020050040947A 2005-05-17 2005-05-17 유가증권 배출기 KR10067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47A KR100679920B1 (ko) 2005-05-17 2005-05-17 유가증권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947A KR100679920B1 (ko) 2005-05-17 2005-05-17 유가증권 배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74A KR20060118674A (ko) 2006-11-24
KR100679920B1 true KR100679920B1 (ko) 2007-02-07

Family

ID=3770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947A KR100679920B1 (ko) 2005-05-17 2005-05-17 유가증권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557B1 (ko) 2017-01-11 2018-08-07 문병철 지폐공급기
KR101857424B1 (ko) * 2017-03-31 2018-06-28 심재곤 매체처리기의 방출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748A (ja) * 1996-04-22 1997-11-04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H10120232A (ja) 1996-10-15 1998-05-12 Seiko Epson Corp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748A (ja) * 1996-04-22 1997-11-04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H10120232A (ja) 1996-10-15 1998-05-12 Seiko Epson Corp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74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619B2 (ja) 紙葉類識別機の異常紙葉類早期検出方法および紙葉類識別機
EP1881462B1 (en) Paper-sheet handling apparatus
KR20070029907A (ko) 지폐분리장치 및 그 방법과 지폐입출금방법
KR100679920B1 (ko) 유가증권 배출기
US4813658A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2006273561A (ja) 後処理装置
EP1249413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US20110198802A1 (en) Paper discharge device
EP3381849B1 (en) Bill-separating-and-stacking unit
US7316306B2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DE10136627A1 (de) Papierausgabevorrichtung für einen Drucker
US20040056411A1 (en) Dispensing unit for dispensing single sheets
JPH0848453A (ja) 画像形成装置
US6024321A (en) Mechanism for automatically loading a paper roll
JP2014184590A (ja) ロール紙プリンター
KR102361933B1 (ko) 지엽류 반송 유닛 및 지엽류 식별 장치
KR100416498B1 (ko) 민원서류 인증 발급을 위한 무인 인증 연동기
JP2002260054A (ja) 硬貨釣銭機
JP4068240B2 (ja) カード搬送装置
RU2165103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и отведения назад квитанций для банковского автомат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анковского автомата (варианты)
KR200213419Y1 (ko) 민원서류 인증 발급을 위한 무인 인증 연동기
KR100578146B1 (ko) 용지밀림방지 기능이 있는 용지배출장치를 갖는 스택피니셔
KR20090083564A (ko)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용 분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960004505Y1 (ko) 수동급지기구의 용지 정렬 장치
JP2917574B2 (ja) 紙葉類繰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