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558B1 -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558B1
KR100679558B1 KR1020050110253A KR20050110253A KR100679558B1 KR 100679558 B1 KR100679558 B1 KR 100679558B1 KR 1020050110253 A KR1020050110253 A KR 1020050110253A KR 20050110253 A KR20050110253 A KR 20050110253A KR 100679558 B1 KR100679558 B1 KR 10067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dial
block
adjus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봉
Original Assignee
이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봉 filed Critical 이지봉
Priority to KR102005011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다이로 공급되는 전선 및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단자결착기에서 압착을 위한 펀치의 상하 행정거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간소화된 구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클램핑머신의 램에 의해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한 홀더 상에 와이어펀치 및 피복펀치가 수용되는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블록설치공에 제1,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을 삽설하되;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은, 내부에 리턴스프링이 개재된 다이얼스크류가 삽설되고, 측부에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다면단차가 형성되며, 측부 후단에는 다이얼스크류 관통공과 함께 상기 관통공 둘레로 상기 다면단차와 동일한 개수의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홀더의 블록설치공은 후단에 나사공이 형성된 다이얼스크류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이얼스크류 고정부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블록의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안내핀을 돌설하여;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의 다면단차에 램 하단부가 밀접되고,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의 다면단차에 피복펀치 상단부가 밀접되도록 하여, 상기 다면단차의 변경에 따라 와이어펀치와 피복펀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결착기, 터미널 클램프, 단자 압착, 어저스트 다이얼블록, 다면단차

Description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Height adjusting device of terminal clamp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단자결착기 전체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자결착기 펀치높이 조절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결착기 펀치높이 조절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홀더와 다이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이얼블록과 블록결합공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기구가 적용된 엔드타입의 단자결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홀더 2 ; 와이어펀치
2a ; 홈 3 ; 피복펀치
100 ;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 110,210 ; 다이얼스크류
120,220 ; 리턴스프링 140,240 ; 나사이동통로
150,250 ; 다면단차 160,260 ; 삽입공
200 ;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 300 ; 결합공
310 ; 탈착홈 320,330 ; 블록설치공
340 ; 안내핀 350 ; 나사공
400 ; 램 410 ; 결합부
420 ; 볼
본 발명은 성형다이로 공급되는 전선 및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단자결착기에서 압착을 위한 펀치의 상하 행정거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간소화된 구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원선 및 신호선은 회로구성이 용이하도록 전선의 일단에 단자가 물린 형태로 제품화 되는 바, 이와 같은 형태의 제품은 전선공급기, 단자공급기, 단자결착기, 클램핑머신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장치를 통하여 완성된다. 이때, 단자결착기는 전선 및 단자를 하나씩 성형다이로 이송하는 이송부, 펀치를 소정의 높이로 하강시켜 결착을 완료하는 펀치가동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부는 클램핑머신의 상하 왕복하는 램과 기구적으로 연결되므로 동일한 규격을 지닌 제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로는 실용신안등록 20-0206782호가 개시되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핑머 신의 램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한 홀더(1) 상에 와이어펀치(2) 및 피복펀치(3)가 수용되는 단자결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이 평탄하며 상면에 고리형의 경사면(20a)을 지니고 있고, 그 내주면에 치형(20b)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20a)의 내측으로 걸림턱(20c)을 지니는 상부원판(20)과; 상면이 평탄하고 저면에 고리형의 경사면(30a)을 지니며 그 내주면에 치형(30b)을 지니고 있고 경사면(30a)의 내측으로 걸림턱(30c)을 형성한 하부원판(30); 그리고, 상기 상부원판(20) 및 하부원판(30)의 내주면에 상하로 지지판(45)(46)을 개재하여 수용되고, 상부원판(20) 및 하부원판(30)이 설정된 회전범위 내에서 일정한 각도단위로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안내원판(40); 및 상기 상부원판(20)의 상면에 수용되고, 상면이 평탄하면서 저면에 고리형의 경사면(50a)이 형성되는 조절원판(5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원판(50)과 상부원판(20), 하부원판(30) 및 안내원판(40)을 동일 축상에 수용하면서 상기 홀더(1)의 어댑터(10) 상에 체결되는 생크(6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종래의 펀치높이 조절기구는, 조절원판(50)의 원점 표시를 눈금의 영점에 맞추어 놓은 상태에서 상부원판(20)을 회전시키면 상부원판(20)과 조절원판(50)의 경사면(20a)(50a)에서 나선운동이 유발되면서 조절원판(50)이 점차 상측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상부원판(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걸림편(42)이 치형(20b)에 일시적으로 맞물려 넘어가므로 상부원판(20)을 정확한 위치에 정지된다.
피복펀치(3)의 미세 높이조절은 고정나사(5)를 약간 풀고 조절원판(50)의 영점표시를 확인하면서 하부원판(30)을 회전시키면 하부원판(30)의 경사면(30a)이 조절편(70)을 점차 눌러 피복펀치(3)를 하강시킨다. 하부원판(30)도 회전되는 과정에 서 걸림편(42)이 치형(30b)에 일시적으로 맞물려 넘어가므로 눈금을 확인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정지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결착기에 장착된 펀치높이 조절기구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을 돌릴 때 상부원판과 하부원판 및 조절원판의 각 경사면이 단순히 마찰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종의 캠운동을 수반하면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의 사이에 안내원판과 걸림편을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의 내면에 형성된 치형에 걸림편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간헐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펀치높이 조절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품간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경우 제품의 심각한 불량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펀치 높이조절부의 부품 수 및 결합구조를 간소화 하면서도 펀치의 행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변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는, 클램핑머신의 램에 의해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한 홀더 상에 와이어펀치 및 피복펀치가 수용되는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블록설치공에 제1,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을 삽설하되;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은, 내부에 리턴스프링이 개재된 다이얼스크류가 삽설되고, 측부에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다면단차가 형성되며, 측부 후단에는 다이얼스크류 관통공과 함께 상기 관통공 둘레로 상기 다면단차와 동일한 개수의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홀더의 블록설치공은 후단에 나사공이 형성된 다이얼스크류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다이얼스크류 고정부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블록의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안내핀을 돌설하여;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의 다면단차에 램 하단부가 밀접되고,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의 다면단차에 피복펀치 상단부가 밀접되도록 하여, 상기 다면단차의 변경에 따라 와이어펀치와 피복펀치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램 저면부에는 볼을 설치하고,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 다면단차에는 상기 볼에 대응되게 볼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와이어펀치는 상기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에 밀접되지 않도록 상단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결착기 펀치높이 조절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홀더와 다이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이얼블록과 블록결합공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또한, 도면에서 선행기술과 동일 명칭인 경우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단자결착기는, 기본적으로 클램핑머신의 램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한 홀더(1) 상에 와이어펀치(2) 및 피복펀치(3)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펀치(2) 및 피복펀치(3)의 행정거리 조절기능은 앞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단자결착기 높이조절부의 결합구조를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홀더(1) 상단에 형성된 램 결합공(300)에는 그 측면으로 상기 결합공(300)보다 넓은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된 탈착홈(310)을 통해 판형으로 된 램(400)의 하단 결합부(410)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램(400)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홀더(1) 및 그 하부에 설치된 펀치들(2)(3)이 상하왕복 운동을 하여 전선을 단자에 압착연결, 접속하고 절단하는 일련의 반복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의 일측면에는 2개의 블록설치공(320)(330)을 형성하되, 상기 블록설치공(320)(330)에는 와이어펀치(2) 및 피복펀치(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100) 및 제2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200)이 상하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 중 상부 블록설치공(320)은 램(400)의 결합부(410)가 제1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100)에 밀접 될 수 있게 상측의 램 결합공(310)과 연통된 통기공(300a)을 형성하고, 하부 블록설치공(320)은 피복펀치(3)의 상단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전방부가 하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들(100)(200)은 내부에 전단부 측으로부터 나사이동통로(140)(240)가 형성되고, 그 측부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다면단차(150)(250)가 형성되며, 측부 후단부에는 다이얼스크류 관통공(155)(255)과 함께 상기 관통공(155)(255) 둘레로 상기 다면단차(150)(250)와 동일한 개수의 삽입공(160)(26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이동통로(140)(240)에는 리턴스프링(175)(275)이 개재된 다이얼 스크류(170)(270)가 삽입된다.
상기 다면단차(140)(240)는 바람직하게 접촉되는 부품의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위치가 결정되는 바,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의 경우 램(400)의 결합부(410)가 다이얼블록(100)의 후방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다면단차(140) 또한 다이얼블록(100)의 후방부에 형성하게 되고,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의 경우 피복펀치(3)가 홀더(1)의 전방부 측에 위치하므로 다면단차(240) 또한 다이얼블록(200)의 전방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복펀치(3)는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의 다면단차(240)에 밀접되도록 상단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펀치(2)는 다면단차(240)와의 밀접을 회피하도록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홈(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펀치(2)는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에 의한 접촉을 회피하여 이에 따른 높이조절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다면단차(150)(250)는 대략 0.01mm의 미세한 두께 차를 가지는 것으로, 대략 8~10개 정도의 다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이얼블록(100)(200)의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설정높이를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면단차(150)(250)의 두께에 대응하는 식별눈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 측면에 형성되는 블록설치공(320)(330)은 상기 어저스 트 다이얼 블록(100)(200)이 삽설되도록 적당한 직경을 가지며, 그 후단은 대체로 밀폐된 형태로서 둘레에 전방부 쪽으로 돌출된 안내핀(340)이 마련됨과 동시에 중앙부에는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100)(200) 내부에 삽입된 다이얼스크류(110)(210)가 결합되도록 나사공(350)이 형성된 고정부(370)가 마련되어, 상기 나사이동통로(140)(240)에 삽입된 다이얼스크류(110)(210)가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100)(200)의 관통공(155)(255)을 거쳐 상기 홀더(1)의 상기 나사공(350)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안내핀(340)은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100)(200)의 삽입공(160)(260)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200)을 잡아당겨 삽입공(160)(260)이 안내핀(340)으로부터 이탈되게 한 후 회전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다면단차(150)(250)로 설정할 수 있고, 이후 당겨진 다이얼블록(100)(200)을 놓으면 리턴스프링(120)(220)의 반발력에 의해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200)이 후방으로 복귀하면서 삽입공(160)(260) 내에 안내핀(340)이 삽입되어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200)의 다면단차(150)(250)가 조정된 위치에서 적정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램(400) 하단의 결합부(410)는 바람직하게 접촉면 중앙에 원형의 볼(420)을 돌출 구성하고,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의 다면단차(150)에는 상기 볼(420)에 대응되게 홈(150a)을 형성하여 상기 램(400)의 결합부(410)가 제1 어저스트 다이얼 블록(100)의 다면단차(1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420)은 함께 회전하여 다이얼블록(10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도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 고정시엔 다면단차(150)의 홈(150a)에 삽입되어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홀더(1)의 상측 결합공(320)을 통해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의 다면단차(150)에 접해 있는 램(400)은 높이가 조정된 다면단차(150)의 높이만큼 그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램(400)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홀더(1)가 상기 램(400)의 위치에 기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홀더(1) 및 그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 플레이트(도시생략)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되어 결과적으로 와이어펀치(2) 및 피복펀치(3)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이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에 의해 와이어펀치(2)와 피복펀치(3)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을 조절하게 되면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의 다면단차(250)에 접해 있는 피복펀치(3)의 높이가 다면단차의 두께에 따라 조정되어 보다 미세한 피복펀치(3)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적절한 단자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펀치높이 조절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홀더(1)는, 측면에 상하로 제1,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200)이 설치되고, 상측에 결합공(300)을 통해 램(400)을 체결하고, 하측에 피복펀치(3) 및 와이어펀치(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램(400)은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의 다면단차(150)에 접촉되게 하고, 피복펀치(3)는 상기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의 다면단차(250)에 밀접되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복펀치(3)의 상단부는 제2 어저스트 다이어블록(200)의 다면단차(250)에 밀착되어 눌려지고, 램 (400)은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의 다면단차(15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을 돌려 홀더(1)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와이어펀치(2)와 피복펀치(3)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복펀치(3)를 비롯하여 피복펀치(3)의 전면에 위치하는 단자 스트립퍼(82), 피복펀치(3)의 후방에 위치하는 와이어펀치(2)의 후방에 위치하는 스트립퍼 홀더(83), 그리고 이 스트립퍼 홀더(83)에 의하여 홀딩된 상태에서 홀더(1)의 하강시에 일정 거리에 도달할 때 탄력적으로 멈추는 또 다른 단자 스트립퍼(84)가 하나의 고정나사(5)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로 홀더(1)의 전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피복펀치(3)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3a)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나사(5)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같이 고정나사(5)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을 돌려 피복펀치(3)의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고정나사(5)를 조이게 되면 펀치높이의 미세조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일 실시예는 사이드타입의 단자결착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엔드타입에도 그대로 적용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펀치 높이조절부의 부품수를 대폭 간소화하면서도 정확한 각도의 간헐적인 회전조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다부품의 조립에 의한 고장이나 부분적인 손상 원인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성형다이로 공급되는 전선 및 단자를 압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단자결착기에서 압착을 위한 펀치의 행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변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클램핑머신의 램(400)에 의해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한 홀더(1) 상에 와이어펀치(2) 및 피복펀치(3)가 수용되는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1)는 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블록설치공(320)(330)에 제1,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200)을 삽설하되;
    상기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200)은, 내부에 리턴스프링(120)(220)이 개재된 다이얼스크류(110)(210)가 삽설되고, 측부에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복수개의 다면단차(150)(250)가 형성되며, 측부 후단에는 다이얼스크류 관통공(155)(255)과 함께 상기 관통공 둘레로 상기 다면단차(150)(250)와 동일한 개수의 삽입공(160)을 형성하며;
    상기 홀더(1)의 블록설치공(320)(330)은 후단에 나사공(350)이 형성된 다이얼스크류 고정부(370)가 마련되고, 상기 다이얼스크류 고정부(370) 둘레에는 상기 다이얼블록(100)(200)의 삽입공(160)에 끼워지도록 안내핀(340)을 돌설하여;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의 다면단차(150)에 램(400) 하단부가 밀접되고,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의 다면단차(250)에 피복펀치(3) 상단부가 밀접되도록 하여, 상기 다면단차(150)(250)의 변경에 따라 와이어펀치(2)와 피복펀치(3)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400) 저면부에는 볼(420)을 설치하고, 상기 제1 어저스트 다이얼블록(100) 다면단차(150)에는 상기 볼(420)에 대응되게 볼 삽입홈(15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펀치(2)는 상기 제2 어저스트 다이얼블록(200)에 밀접되지 않도록 상단에 홈(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1020050110253A 2005-11-17 2005-11-17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10067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53A KR100679558B1 (ko) 2005-11-17 2005-11-17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53A KR100679558B1 (ko) 2005-11-17 2005-11-17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558B1 true KR100679558B1 (ko) 2007-02-06

Family

ID=3810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53A KR100679558B1 (ko) 2005-11-17 2005-11-17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72B1 (ko) 2007-05-10 2009-01-08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앤빌위치 조절장치
KR101076280B1 (ko) * 2009-12-03 2011-10-26 (주)티에이치엔 어태치먼트
JP2020521271A (ja) * 2017-04-25 2020-07-16 ティーイー・コネクティビティ・コーポレイションTE Connectivity Corporation 端子圧着機械用の圧着工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887A (ja) * 1996-03-14 1997-09-2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機
KR19990036507U (ko) * 1998-02-23 1999-09-27 임장순 전원단자 자동 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281257Y1 (ko) * 2002-02-08 2002-07-13 (주)케이엠 디지텍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40001983A (ko) * 2002-06-29 2004-01-07 (주)케이엠 디지텍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40055742A (ko) * 2004-04-10 2004-06-26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887A (ja) * 1996-03-14 1997-09-22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機
KR19990036507U (ko) * 1998-02-23 1999-09-27 임장순 전원단자 자동 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281257Y1 (ko) * 2002-02-08 2002-07-13 (주)케이엠 디지텍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40001983A (ko) * 2002-06-29 2004-01-07 (주)케이엠 디지텍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40055742A (ko) * 2004-04-10 2004-06-26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72B1 (ko) 2007-05-10 2009-01-08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앤빌위치 조절장치
KR101076280B1 (ko) * 2009-12-03 2011-10-26 (주)티에이치엔 어태치먼트
JP2020521271A (ja) * 2017-04-25 2020-07-16 ティーイー・コネクティビティ・コーポレイションTE Connectivity Corporation 端子圧着機械用の圧着工具
JP7162009B2 (ja) 2017-04-25 2022-10-27 ティーイー・コネクティビティ・コーポレイション 端子圧着機械用の圧着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77781B (zh) 一种非接触型折弯滑块结构
EP1994612B1 (en) Hold down device in a terminal applicator
KR100679558B1 (ko)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CN107520594A (zh) 调节器及压合平台
US20050050940A1 (en) Crimping apparatus
CN111687256B (zh) 一种产品旋转成型加工方法
US5323634A (en) Shut height adjustment device having replaceable spacers
US20050034505A1 (en) Crimping device
CN110911937A (zh) 新型连接器端子复合成型结构及成型方法
KR100454872B1 (ko)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200311491Y1 (ko)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200455419Y1 (ko)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CN113369414A (zh) 一种buf634t集成电路引脚变形工装
KR101629355B1 (ko) 팸너트 압착장치
KR200347678Y1 (ko)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20020096271A (ko)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방법 및 그 장치
JP2661762B2 (ja) リード曲げフォーミング装置
KR100446194B1 (ko) 모터용 마그네트 고정구, 그 고정구를 이용한 마그네트고정방법 및 마그네트 고정장치
CN215315089U (zh) 一种用于快速拆装冲头的结构
CN212444033U (zh) 一种带有避位槽的usb产品组装治具
JP2002331318A (ja) 皿ばね製造用金型
US58065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 external leads of an integrated circuit
CN214022867U (zh) 一种偏心冲压组件
CN215237436U (zh) 一种buf634t集成电路引脚变形工装
CN219247123U (zh) 一种八点压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