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983A -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983A
KR20040001983A KR1020020037320A KR20020037320A KR20040001983A KR 20040001983 A KR20040001983 A KR 20040001983A KR 1020020037320 A KR1020020037320 A KR 1020020037320A KR 20020037320 A KR20020037320 A KR 20020037320A KR 20040001983 A KR20040001983 A KR 2004000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rol
punch
control unit
height
pow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807B1 (ko
Inventor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to KR10-2002-003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조절부를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그 상하측 주조절부의 사이에 각각 2개씩 한쌍의 이루도록 경사조절면을 형상하여 그 경사조절면으로 펀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더욱 정밀하고 미세하게 피복펀치와 와이어펀치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80°씩 2쌍으로 이루어진 경사조절면은 서로 맞닿은 면접촉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 사이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프레스장치에 연결되어 피복전선에 전원단자를 압착하는 전원단자 압착기에 있어서, 주조절부는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에는 경사조절면을 각각 형성하여 그 경사조절면의 접촉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펀치높이 조절장치를 구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Punch height regulation device of end terminal cramping machine}
본 발명은 전원단자 압착기의 피복펀치 높이를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펀치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조절부와 미세조절부에 2개가 한쌍을 이루는 경사조절면을 형성하여 그 경사조절면으로 펀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주조절부로 더욱 정밀하고 미세한 펀치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성형에 의해 피복전선의 끝머리에 압착단자를 부착하는 전원단자 압착기는 압착단자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것에 사용되는 엔드타입과 압착단자의 연결부가 측면으로 위치하는 사이드타입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원단자 압착기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피복전선 끝머리의 피복을 임의의 일정한 길이만 벗겨내고, 일정한 형상 및 치수의 압착단자의 와이어배럴을 전선끝머리의 피복이 벗겨진 도체부(심선부)에 압착하고, 압착단자의 절연배럴을 전선끝머리의 절연수지 피복부에 압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압착단자를 피복전선에 연속으로 압착시키는 전원단자 압착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장치에 연결된 샹크(111)에 의해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가 상하로 1회의 펀치행정을 할 때마다 수평으로 연동하는 연동바아(122)에 연결된 이송아암(124)과 핑거(125)가 롤상태에서 풀려 이송대(120)에 올려진 압착단자(142)를 한 피치(압착단자 하나의 길이만큼)씩 이송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전원단자 압착기는 이송아암(124)과 핑거(125)에 의해 롤상태에서 공급되는 압착단자(142)가 한 피치 이송되면 제일 선단의 압착단자(142)는 이송대(120) 선단의 다이(121)위에 올려지게 되므로 그 다이(121) 위에 올려진 압착단자(142) 위로 전선끝머리의 피복이 벗겨진 피복전선(141)을 넣어 스토퍼(130)에 닿도록 하면 프레스장치에 연결된 샹크(111)와 함께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가 하강하여 피복전선(141)의 도체부와 피복부에 압착단자(142)의 와이어배럴(144)과 절연배럴(143)을 압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가 하강하여 피복전선(141)과 압착단자(142)를 압착시킬 때 연동바아(122)와 이송아암(124)은 연동바아(122)에 구비되어 이송아암(124)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 이동되므로 이송아암(124)과 핑거(125)는 서로 접히면서 공회전 후진하여 압착단자(142)를 다시 한 피치 이송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가 프레스장치와 연결된 샹크(111)에 의하여 상승이동하면 피복전선(141)에 압착된 압착단자(142)는 다이(121) 위에서 떨어지고, 이와 동시에 우측으로 밀리면서 이송아암(124)을 전진 회동시키므로 그 이송아암(1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핑거(125)가 압착단자(142)를 다이(121) 위까지 다시 한 피치 이송시켜 피복전선(141)과의 압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동작이 연속으로 반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는 전원단자 압착기는 압착강도조절부(110)의 가이드블록(119)에 슬라이더(119a)와 함께 구비된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가 피복전선(141)과 압착단자(142)를 압착하면 피복전선(141)과 압착단자(142)는 규정된 인장하중 범위 내에서 압착부분이 떨어지지 않도록 최적의 압착력으로 펀칭작업을수행시켜야 하므로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의 펀칭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주조절부(112)와 미세조절부(113)가 가이드블록(119) 내의 슬라이더(119a) 상측에 샹크(111)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전원단자 압착기는 주조절부(112)로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의 전체 펀칭 높이를 조절하고, 미세조절부(113)로 피복펀치(117)의 높이를 조금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종래의 전원단자 압착기에 구성된 펀치높이 조절장치는 주조절부(112)를 회전시키면 주조절부(112)의 윗면에 형성된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에 의해 프레스장치와 주조절부(11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프레스장치에 연결되는 샹크(111)의 높이 변화로 인하여 체결나사(116)에 의해 슬라이더(119a)에 결합된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의 전체 펀칭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압착강도조절부(110)의 주조절부(112)는 그 윗면에 형성된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이 프레스장치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그 주조절부(112)를 돌리면 그 주조절부(112)의 높이조절면(112a)에 의해 주조절부(112)가 상하로 조절되고, 그 주조절부(112)의 상하 조절은 샹크(111)와 슬라이더(119a)의 높이 변화로 이어지므로 슬라이더(119a)에 결합된 피복펀치와 와이어펀치(118)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조절부(112)에 의하여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의 전체 높이가 조절된 후에 피복펀치(117)의 펀칭강도 조절을 위하여 피복펀치(117)만의 높이를 조절할 때는 주조절부(112)에 면접촉되어 있는 미세조절부(113)를 회전시키면 돌출부(115)가 구비된 연결부재(114)가 미세조절부(113)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높이변화하면서 피복펀치(117)의 높이를 별도로 조절하게 되므로 피복전선(141)의 피복부분에 압착단자(142)의 절연배럴(143)을 적당한 펀칭강도로 압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압착단자(142)의 절연배럴(143)과 와이어배럴(144) 중에서 피복전선(141)의 피복부분에 압착되는 절연배럴(143)은 연성의 특성이 있는 피복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절연배럴(143)의 압착강도가 약하면 절연배럴(143)에서 피복전선(141)의 피복부분이 이탈되는 압착불량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피복전선(141)의 피복부분에 압착되는 절연배럴(143)의 압착강도가 필요이상으로 강하면 압착되는 절연배럴(143)에 의하여 피복부분이 찢어지면서 압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절연배럴(143)에 대한 피복펀치(117)의 펀칭강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펀치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주조절부(112)와 미세조절부(113) 중에서 주조절부(112)에 의한 종래의 펀치높이 조절은 주조절부(112)의 윗면에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을 형성하여 프레스장치에 높이조절면(112a)이 접촉하여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므로 샹크(111)에 결합되어 압착기를 동작시키는 프레스장치의 동작에 따라 주조절부(112)와 슬라이더(119a)의 높이가 유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펀치의 동작상태가 불안정해지면서 압착단자(142)의 압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주조절부(112)와 미세조절부(113)는 서로 면접촉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으로 피복펀치(117)와 와이어펀치(118)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므로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의 간격만큼씩만 높이를 조절하게 되어 미세한 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주조절부(112)의 윗면에 계단식으로 높이조절면(112a)을 형성하면 각 계단면이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주조절부(112)의 윗면에 형성할 수 있는 계단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주조절부(112)의 윗면에 형성하는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으로는 펀치의 높이 조절이 계략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단식 높이조절면(112a)에 의한 주조절부(112)의 높이 조절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조절면(112)의 윗면에 형성된 높이조절면(112a)을 단순한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프레스장치와 주조절부(112) 사이의 동작 유격으로 인하여 주조절부(112)에 진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주조절부(12)에 의해 조절된 높이가 변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조절부(112)의 윗면에 형성하는 높이조절면(112a)은 평면의 반복된 단차로 구성되는 계단식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조절부를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그 상하측 주조절부의사이에 각각 2개씩 한쌍의 이루도록 경사조절면을 형상하여 그 경사조절면으로 펀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더욱 정밀하고 미세하게 피복펀치와 와이어펀치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80°씩 2쌍으로 이루어진 경사조절면은 서로 맞닿은 면접촉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 사이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비된 엔드타입 압착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구비된 엔드타입 압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구비된 엔드타입 압착기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구비된 사이드타입 압착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구비된 사이드타입 압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주조절부가 낮게 조절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주조절부가 높게 조절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엔드타입 압착기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사이드타입 압착기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압착강도조절부 14 : 연결부재
15 : 돌출부 16 : 체결나사
17 : 피복펀치 18 : 와이어펀치
19 : 가이드블록 19a : 슬라이더
51 : 샹크 52 : 홀
53 : 육각홈 볼트 54 : 고정나사
55 : 상부 암나사 56 : 하부 암나사
57 : 고정부재 57a, 72 : 핀
58 : 스토퍼 59 : 가이드홈
60 : 미세조절부 61 : 미세조절경사면
62, 73 : 볼 63, 74 : 스프링
64, 75 : 세트스크류 70 : 상측 주조절부
71, 81 : 경사조절면 76 : 주조절링
77 : 눈금 80 : 하측 주조절부
82 : 절개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스장치에 연결되어 펀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샹크(51)와, 상기 샹크(51)의 아래에서 와이어펀치(18)와 피복펀치(17)의 높이를 조절하는 주조절부와, 상기 주조절부에서 조절된 펀칭 높이 외에 피복펀치(17)의 높이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하는 미세조절부(60)와, 상기 샹크(51), 주조절부, 미세조절부(60), 와이어펀치(18), 피복펀치(17)를 슬라이더(19a)에 조립하여 가이드블록(19)에 삽입 구성하는 압착강도조절부(10)와, 압착단자(42)를 밀어주는 핑거(25)가 구비된 상태에서 압착강도조절부(10)와 연동하는 연동바아(22)의 스프링(23) 탄성력을 받도록 구비된 이송아암(24)으로 전원단자 압착기를 구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압착기는 상기 주조절부는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에는 경사조절면(71)(81)을 각각 형성하여 그 경사조절면(71)(81)의 접촉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측 주조절부(7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71)과 하측 주조절부(8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81)은 가장 높은 면과 가장 낮은 면이 각각 180°대향측에 위치하도록 2줄로 경사조절면(71)(81)을 각각 형성한다.
한편 상기 상측 주조절부(70)는 외주면에 눈금(77)이 형성된 주조절링(76)에 압입하여 상측 주조절부(70)와 주조절링(76)이 일체화 되도록 함으로서 주조절링(76)을 돌리면 상측 주조절부(70)가 함께 회전하여 눈금(77)을 보면서 원하는 높이만큼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측 주조절부(70)(80)는 하측 주조절부(80)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미세조절부(60)와 함께 상기 샹크(51)로 고정하되 그 샹크(51)를 고정부재(57)가 구비된 고정나사(54)의 상부 암나사(55)에 체결하고, 육감홈 볼트(53)를 샹크(51) 중앙의 홀(52)을 통해 고정나사(54)의 하부 암나사(56)에 체결하며, 상기 고정나사(54)는 슬라이더(19a)에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54)의 머리부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57)는 세레이션(serration) 요철이 형성된 외주면에 핀(57a)을 구비하여 하측 주조절부(80)의 절개홈(82)에 삽입되도록 하고, 그 고정부재(57)의 가이드홈(59)에는 상측 주조절부(70)에 구비된 핀(72)이 삽입되어 상측 주조절부(70)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홈(59)에 형성된 스토퍼(58)로 핀(72)의 최대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측 주조절부(70)와 미세조절부(60)에는 볼(62)(73)과 스프링(63)(74) 및 세트스크류(64)(75)로 구성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그 지지수단의 볼(62)(73)이 스프링(63)(7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57) 외주면의 세레이션 요철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이드타입이나 엔드타입의 전원단자 압착기 모두에서 적용할 수 있는 펀치높이조절장치로서,
먼저 압착단자(42)를 피복전선(41)에 압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프레스장치에 연결된 샹크(51)에 의해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가 상하로 1회의 펀치행정을 할 때마다 수평으로 연동하는 연동바아(22)에 연결된 이송아암(24)과 핑거(25)가 롤상태에서 풀려 이송대(20)에 올려진 압착단자(42)를 한 피치(압착단자 하나의 길이만큼)씩 이송시킨다.
이러한 전원단자 압착기는 이송아암(24)과 핑거(25)에 의해 롤상태에서 공급되는 압착단자(42)가 한 피치 이송되면 제일 선단의 압착단자(42)는 이송대(20) 선단의 다이(21)위에 올려지게 되므로 그 다이(21) 위에 올려진 압착단자(42) 위로 전선끝머리의 피복이 벗겨진 피복전선(41)을 넣으면 프레스장치에 연결된 샹크(51)와 함께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가 하강하여 피복전선(41)의 도체부와 피복부에 압착단자(42)의 와이어배럴(44)과 절연배럴(43)을 압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압착단자(42)의 절연배럴(43)과 와이어배럴(44)에 피복전선(41)을 압착시키는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는 샹크(51)와 고정부재(57) 및 고정나사(54)에 의해 가이드블록(19)의 슬라이더(19a)에 설치된 상하측 주조절부(70)(80)와 미세조절부(60)에 의해 압착강도를 달리할 수 있는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는 상측 주조절부(70)가 압입되어 일체화된 주조절링(76)을 돌리면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때는 고정나사(54)의 상하부 암나사(55)(56)에 체결된 샹크(51)와 육각홈 볼트(53)를 풀고, 상측 주조절부(70)를 회전시키면 상측 주조절부(70)상측 주조절부(70)의 경사조절면(71)과 하측 주조절부(80)의 경사조절면(81)이 접촉된 상태로 상측 주조절부(70)가 회전되므로 경사조절면(71)(81)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측 주조절부(7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의 간격을 조절하고, 샹크(51)와 육각홈 볼트(53)를 조이면 그 조절된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의 간격으로 인하여 프레스장치와 연결되는 샹크(51)에 의한 슬라이더(19a)와 그 슬라이더(19a)에 체결나사(16)로 고정한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의 상하 이동 행정거리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되므로 슬라이더(19a)에 설치된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을 위해서 회전되는 상측 주조절부(70)는 그 상측 주조절부(70)에 구비된 핀(72)이 고정부재(57)의 가이드홈(59)에 안내될 뿐만 아니라, 그 가이드홈(59)에는 스토퍼(5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주조절부(7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홈(59)을 따라 안내되던 핀(72)은 스토퍼(58)에 의해 최대 회전 범위가 설정되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의 높이 변위는 가장 높은 곳에서 가장 낮은 곳까지 경사조절면(71)(81)이 면접촉된 상태로 높이 조절을 위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측 주조절부(7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71)과 하측 주조절면(81)에 형성된 경사조절면(81)은 각각의 경사조절면(71)(81)에 2개의 경사조절면(71)(81)을 각각 형성하고, 그 상하측 주조절부(70)(80)에 형성된 각각의 2개의 경사조절면(71)(81)은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이 각각 180°대향측에 위치하도록 2줄로 경사조절면(71)(81)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하측 주조절부(70)(80)에 2개씩의 경사조절면(71)(81)을 180° 대향된 위치에 형성시키면 경사조절면(71)(81)들이 2곳에서 면접촉된 상태로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으로 조절되므로 상하측 주조절부(70)(80)는 유동없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높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높이가 조절된 후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면서 높이를 조절하는 상측 주조절부(70)와는 달리 하측 주조절부(80)는 내경면부분에 절개홈(82)을 형성하여 고정부재(57)의 핀(57a)을 삽입시킴으로서 하측 주조절부(80)는 절개홈(82)에 삽입된 고정부재(57)의 핀(57a)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정확안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
이때 상기 상즉 주조절부(7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71)과 하측 주조절부(8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81)은 각각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하측 주조절부(70)(80)에서도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측 주조절부(70)에는 세트스크류(76)에 지지되는 스프링(74)의 탄성력을 받도록 볼(73)을 구비하고, 그 볼(73)은 고정부재(7)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세레이션 요철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세레이션 요철의 각 홈부분마다 볼(73)이 삽입 지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볼(73)이 지지될 수 있는 간격만큼씩 미세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미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측 주조절부(70)(80)의 경사조절면(71)(81)은 상기와 같이 완만한 하나의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서로 접촉되는 경사조절면(71)(81)을 계단식으로 형성하여도 상기 완만한 하나의 경사면으로 경사조절면(71)(81)을 형성할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하측 주조절부(70)(80)에 의한 높이 조절이 끝난 후에 피복펀치(17)의 높이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때는 하측 주조절부(80)의 하측에 구비된 미세조절부(60)를 회전시키면 그 미세조절부(60)의 저면에 형성된 미세조절경사면(61)이 연결부재(14)의 돌출부(15)를 누르면서 그 하측에 구비된 피복펀치(17)의 높이를 종래와 같이 조절하게 되므로 피복펀치(17)의 핀칭 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주조절부를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로 분리 구성하고, 그 상하측 주조절부의 사이에 각각 2개씩 한쌍의 이루도록 경사조절면을 형상하여 그 경사조절면으로 펀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더욱 정밀하고 미세하게 피복펀치와 와이어펀치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80°씩 2쌍으로 이루어진 경사조절면은 서로 맞닿은 면접촉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상측 주조절부와 하측 주조절부 사이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9)

  1. 프레스장치에 연결되어 펀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샹크(51)와, 상기 샹크(51)의 아래에서 와이어펀치(18)와 피복펀치(17)의 높이를 조절하는 주조절부와, 상기 주조절부에서 조절된 펀칭 높이 외에 피복펀치(17)의 높이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하는 미세조절부(60)와, 상기 샹크(51), 주조절부, 미세조절부(60), 와이어펀치(18), 피복펀치(17)를 슬라이더(19a)에 조립하여 가이드블록(19)에 삽입 구성하는 압착강도조절부(10)와, 압착단자(42)를 밀어주는 핑거(25)가 구비된 상태에서 압착강도조절부(10)와 연동하는 연동바아(22)의 스프링(23) 탄성력을 받도록 구비된 이송아암(24)으로 전원단자 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주조절부는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그 상측 주조절부(70)와 하측 주조절부(80)에는 경사조절면(71)(81)을 각각 형성하여 그 경사조절면(71)(81)의 접촉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조절부(7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71)과 하측 주조절부(80)에 형성된 경사조절면(81)은 가장 높은 면과 가장 낮은 면이 180°대향측에 위치하도록 2줄로 경사조절면(71)(81)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면(71)(81)은 완만한 단일의 경사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면(71)(81)은 등간격의 계단 타입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조절부(70)는 외주면에 눈금(77)이 형성된 주조절링(76)에 압입하여 상측 주조절부(70)와 주조절링(76)이 일체화 되도록 하고, 눈금(77)을 보면서 주조절링(76)을 돌려 원하는 높이만큼 피복펀치(17)와 와이어펀치(1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주조절부(70)(80)는 하측 주조절부(80)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미세조절부(60)와 함께 상기 샹크(51)로 고정하되 그 샹크(51)를 고정부재(57)가 구비된 고정나사(54)의 상부 암나사(55)에 체결하고, 육감홈 볼트(53)를 샹크(51) 중앙의 홀(52)을 통해 고정나사(54)의 하부 암나사(56)에 체결하며, 상기 고정나사(54)는 슬라이더(19a)에 체결 고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54)의 머리부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57)는 세레이션 요철이 형성된 외주면에 핀(57a)을 구비하고, 그 핀(57a)이 하측 주조절부(80)의 절개홈(82)에 삽입되어 하측 주조절부(80)를 고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7)는 상부에 스토퍼(58)를 갖는 가이드홈(59)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59)에는 상측 주조절부(70)에 구비된 핀(72)을 삽입하여 상측 주조절부(70)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가이드홈(59)에 형성된 스토퍼(58)로 핀(72)의 최대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조절부(70)와 미세조절부(60)에는 볼(62)(73)과 스프링(63)(74) 및 세트스크류(64)(75)로 구성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그 지지수단의 볼(62)(73)이 스프링(63)(7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57) 외주면의 세레이션 요철에 지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10-2002-0037320A 2002-06-29 2002-06-29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10043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320A KR100433807B1 (ko) 2002-06-29 2002-06-29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320A KR100433807B1 (ko) 2002-06-29 2002-06-29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87U Division KR200290908Y1 (ko) 2002-06-29 2002-06-29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983A true KR20040001983A (ko) 2004-01-07
KR100433807B1 KR100433807B1 (ko) 2004-06-07

Family

ID=3731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320A KR100433807B1 (ko) 2002-06-29 2002-06-29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558B1 (ko) * 2005-11-17 2007-02-06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100974630B1 (ko) * 2008-04-07 2010-08-06 (주)케이엠 디지텍 자동에어 조절이 가능한 전원단자압착기
KR101012115B1 (ko) * 2010-08-10 2011-02-07 (주)한일씨알에스 암반 천공 장치
KR200459165Y1 (ko) * 2011-07-21 2012-03-21 두성기계공업(주) 앤드타입 전원단자의 자동결착기에 있어서 펀치결합감지기를 갖는 펀치 물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894U (ja) * 1983-09-09 1985-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圧着機における圧着高さ調整装置
JP3371671B2 (ja) * 1996-03-14 2003-01-2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圧着機
KR200206782Y1 (ko) * 2000-06-23 2000-12-15 조은숙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200281257Y1 (ko) * 2002-02-08 2002-07-13 (주)케이엠 디지텍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558B1 (ko) * 2005-11-17 2007-02-06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100974630B1 (ko) * 2008-04-07 2010-08-06 (주)케이엠 디지텍 자동에어 조절이 가능한 전원단자압착기
KR101012115B1 (ko) * 2010-08-10 2011-02-07 (주)한일씨알에스 암반 천공 장치
KR200459165Y1 (ko) * 2011-07-21 2012-03-21 두성기계공업(주) 앤드타입 전원단자의 자동결착기에 있어서 펀치결합감지기를 갖는 펀치 물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807B1 (ko)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8004677B4 (de) Anquetschvorrichtung
CN101262091A (zh) 端子压接结构、端子压接方法和具有端子压接结构的线束
US6538204B2 (en) Electrical compression connector
WO1988009576A1 (en) Shut height adjustment means in pressing apparatus
CN101227052A (zh) 压接设备和金属端子
CN101227053A (zh) 端子压接设备
US20100192366A1 (en) Terminal crimp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 crimping electric wire, and terminal crimping electric wire
CN101227056A (zh) 端子压接设备
JP2018063868A (ja) 端子圧着装置および圧着端子
KR100433807B1 (ko)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100974630B1 (ko) 자동에어 조절이 가능한 전원단자압착기
US20050050940A1 (en) Crimping apparatus
JP2016149196A (ja) 端子圧着装置
KR200290908Y1 (ko)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0281257Y1 (ko) 전원단자 압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US6298707B1 (en) Crimping tool
KR960007868Y1 (ko) 단자압착기
US20050034505A1 (en) Crimping device
US5277050A (en)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tool
EP0966074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duct and an intermediate product
US2018010905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rimping terminal
KR100768538B1 (ko) 전원단자압착기
JP7027008B2 (ja) 端子付き電線製造方法及び端子圧着装置
US9787043B2 (en) Hand crimp tool
US4542583A (en) Compression hand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24

Effective date: 200601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