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172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172B1
KR100679172B1 KR1020050095344A KR20050095344A KR100679172B1 KR 100679172 B1 KR100679172 B1 KR 100679172B1 KR 1020050095344 A KR1020050095344 A KR 1020050095344A KR 20050095344 A KR20050095344 A KR 20050095344A KR 100679172 B1 KR100679172 B1 KR 10067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rame
pin
optical disk
stat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165A (ko
Inventor
노부히코 후지무라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for moving the turntable or the clamper towards the disk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디스크를 드라이브하여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장치의 박형화를 실현한다. 턴테이블(7) 및 클램프 헤드(8)를 구동축에 고정한 스핀들 모터(9)를 전단부에 배치한 승강 프레임(10)을 장치내부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10)의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D를 상기 클램프 헤드(8)로 클램프 하여 턴테이블(7)위에 유지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10)의 전단부를 강하시켰을 때, 상기 승강 프레임(10)의 대각선에 직교하는 평면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턴테이블, 클램프 헤드, 스핀들 모터, 승강 프레임

Description

디스크 장치{DIS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디스크 장치의 외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장치로부터 커버 샷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장치로부터 커버 샷시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크 장치로부터 바닥 샷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헤드 유닛을 전진 후퇴시키는 구동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승강 프레임의 지지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승강 프레임의 지지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디스크 지지 암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9는 디스크 지지 암의 구동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디스크 지지 암의 구동기구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디스크 반송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디스크 반송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랙기어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4는 유인 암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15는 유인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1공정도,
도 16은 유인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2공정도,
도 17은 유인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3공정도,
도 18은 유인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4공정도,
도 19는 유인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5공정도,
도 20은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1공정도,
도 21은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2공정도,
도 22는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3공정도,
도 23은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4공정도,
도 24는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5공정도,
도 25는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6공정도,
도 26은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7공정도,
도 27은 광디스크 반출시의 디스크 지지 암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8은 캠 홈과 종동 핀의 위치 관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승강 프레임의 상승시의 동작 양태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승강 프레임의 하강시의 동작 양태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도 29, 도 30의 동작 양태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캠 홈과 종동 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의 상승시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의 하강시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5는 도 33, 도 34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36은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의 완성시의 두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7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1공정도,
도 38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제 2공정도,
도 39는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승강 프레임의 동작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크 장치 2: 샷시 케이스
2A: 커버 샷시 2B: 바닥 샷시
3: 프론트 베젤 6: 베이스 패널
7: 턴테이블 8: 클램프 헤드
9: 스핀들 모터 10: 승강 프레임
11,12: 종동 핀 13: 광픽업
14: 캐리어 블록 15,16: 가이드 샤프트
17: 스크류 샤프트 18: 기어 트레인 유닛
19: 스레드 모터 20: 너트
21: 포스트 핀 22: 스페이서
23: 완충 부재 24: 디스크 지지 암
25: 홀더 26: 지지판
27: 피벗 핀 28: 제 1 링크 암
29: 인장 코일 스프링 30: 제 2 링크 암
32: 레버 암 33: 락 레버
34: 비틀림 코일 스프링 35: 리밋 스위치
36: 기동 핀 37: 로딩 모터
38: 웜 기어 39,40,41: 더블 기어
42: 기어 베이스 43: 홀더
44: 피벗 핀 45: 압축 코일 스프링
46: 리밋 스위치 47: 슬라이더 부재
48: 피벗 핀 49: 인장 코일 스프링
50: 랙 주체 51: 레버 암
52: 기어 부재 53: 가압 핀
54: 더블 기어 55: 기어 프레임
56: 작용편 57: 유인 암
58: 종동 핀 59: 피벗 핀
60: 피벗 핀 61: 롤러
62: 슬라이드 부재 63: 링크 부재
64: 해제 핀
본 발명은, 각종 컴퓨터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에 있어서, 대량인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의 광디스크(예를 들면 CD-R/RW, DVD-R/-RW/RAM/+R/+RW 등)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이하, 퍼스콤이라 한다)등에는 광디스크를 드라이브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가 내장되고 있고, 퍼스콤 본체의 소형화, 박형화의 요구에 따라, 이 디스크 장치도 소형화, 박형화로의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광디스크의 일반적인 장전 방식은, 1.광디스크를 디스크 트레이에 올려놓아 로딩하는 방식, 2.디스크 트레이의 클램프 헤드에 광디스크를 직접 장착하는 방식, 3. 광디스크를 프론트 베젤로부터 삽입하는 슬롯인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는, 장치본체로의 광디스크의 로딩(반입)은, 조작자가 광디스크의 일부를 프론트 베젤의 슬롯에 삽입함으로써, 이후, 장치 내의 로딩 기구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광디스크가 로딩 되도록 한 것으로, 디스크 트레이를 채용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상기 각 방식에 있어서 더욱 박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9는, 종래의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로딩 기구의 구성 및 동작 양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는, 조작자가 프론트 베젤의 슬롯으로부터 광디스크D를 삽입하면, 광디스크D는 제 1 요동체(100) 선단의 핀(100a) 및 좌우의 가이드체(101·102), 그리고 도중으로부터 제 2 요동체(103) 선단의 핀(103a)에 의해 높이 방향과 좌우 위치를 안내하면서 도 37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 때, 제 1 요동체(100)는, 광디스크D에 의해 선단의 핀(100a)이 눌려 화살표100A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 2 요동체(103)도 광디스크D에 의해 선단의 핀(103a)이 눌려 화살표103A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104)가 제 2 요동체(103)의 단부에 눌려 화살표104A방향으로 회전하고, 검출 스위치(105)를 작동한다.
상기 검출 스위치(105)가 작동하면 구동 수단(106)이 시동하여, 제 1 슬라이드 부재(107)의 화살표107A방향으로의 이동이 개시된다. 이 제 1 슬라이드 부재(107)와 제 2 슬라이드 부재(108)는, 각 선단이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로 연결되고, 이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가 핀(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제 1 슬라이드 부재(107)의 후퇴에 동기하여 제 2 슬라이드 부재(108)가 화살표108A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슬라이드 부재(107)가 후퇴를 시작하면, 제 1요동체는 화살표100B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 1 요동체(100) 선단의 핀(100a)이 광디스크D를 디스크 위치 결정 부재(111)의 핀(111a·111b)에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107A방향으로 반입한다(도 38).
이 때, 제 2 요동체(103)의 핀(103a)은 화살표103A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 2 요동체(103)의 핀(103a)은, 제 1 요동체(100) 선단의 핀(100a)과 동기하여 광디스크D가 디스크 위치 결정 부재(111)의 핀(111a·111b)에 접촉한 후는 광디스크D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상은, 장치내부로 광디스크D를 반입할 경우의 로딩 기구의 동작 양태이지만, 광디스크D를 장치외부로 반출할 경우의 로딩 기구는, 상기와 역동작 양태가 된다. 즉 광디스크D가 장치내부에서 정위치에 있을 때, 언로딩(반출)의 지시에 의거하여, 구동 수단(106)이 역전 방향으로 시동되면, 제 1 슬라이드 부재(107)가 화살표107B방향으로 전진을 시작하고, 슬라이드 연결 부재(109)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슬라이드 부재(108)가 동기하여 화살표108B방향으로 후퇴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 1 요동체(100)는 화살표100A방향으로, 그리고 제 2 요동체(103)는 화살표103B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선단의 핀(100a·103a)에 의해 광디스크D가 지지되어 장치외부로 반출되게 된다.
또, 장치내부로 반입된 광디스크D는, 정위치에서 상하 이동하는 클램프 헤드(112)에 클램프 되도록 하고 있다. 이 클램프 헤드(112)는, 스핀들 모터(114)의 구동축에 고정된 턴테이블(113)과 일체화되고, 또한 스핀들 모터(114)는, 승강 프레임(115)에 배치되며, 이 승강 프레임(115)을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승강 기구는, 제 1 슬라이드 부재(107)와 제 2 슬라이드 부재(108)의 측면에, 도 3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동일 형상의 크랭크 모양의 캠 홈이 형성되고 있으며, 제1, 제 2 슬라이드 부재(107·108)의 수평이동에 의해 승강 프레임(115)을 상하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동 도면은, 제 1 슬라이드 부재(107)의 부분을 예시한 것으로, 캠 홈(107a·107b)에 승강 프레임(115)에 고정된 종동 핀(116a·116b)이 결합하고 있고, 따라서, 도 3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동 핀(116a·116b)이 캠 홈(107a·107b)의 저위부(低位部)에 있을 때는, 승강 프레임(115)이 더욱 강하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1 슬라이드 부재(107)가 107A방향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종동 핀(116a·116b)이 캠 홈(107a·107b)의 경사부를 상승함으로써, 승강 프레임(115)이 상승하여 캠 홈(107a·107b)의 더욱 높은 위치에서 도 3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112)가 광디스크D를 클램프 하고, 턴테이블(113)에 고정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 1 슬라이드 부재(107)가 다시 107A방향으로 이동하면, 종동 핀(116a·116b)이 도 3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 홈(107a·107b)의 고위부로 약간 강하하여 멈추고,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17604호 공보
이와 같이, 전술한 디스크 장치의 구성에 의한 경우에는, 클램프 헤드가 광디스크의 반입이 가능하게 되는 위치까지 강하하는 한편, 클램프 헤드가 광디스크를 클램프 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의 스트로크 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의 승강 기구에 의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을 수평상태에서 승강하도록 하고 있지만,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의 스트로크 폭은 항상 일정하게 되므로, 승강 프레임의 두께가 커지면, 디스크 장치 전체의 두께가 커지게 되고, 또한 승강 프레임을 수평상태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가 복잡하게 되어, 소형화, 박형화에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하는 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의 스트로크 폭이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도록 기구적으로 제어하고,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각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즉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턴테이블 및 클램프 헤드를 구동축에 고정한 스핀들 모터를 전단부에 배치한 승강 프레임을 장치내부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를 상기 클램프 헤드로 클램프하여 턴테이블 위에 유지, 또는 유지되고 있는 광디스크의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단부를 강하시켰을 때, 상기 승강 프레임의 대각선에 직교하는 평면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턴테이블 및 클램프 헤드를 구동축에 고정한 스핀들 모터를 전단부에 배치한 승강 프레임을 장치내부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를 상기 클램프 헤드로 클램프하여 턴테이블 위에 유지, 또는 유지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을 경사지도록 할 때, 상기 승강 프레임 전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을 다른쪽보다 크게 경사지도록 한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청구항1 또는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의 후단부를 완충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의 구성의 개요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커버 샷시2A와 바닥 샷시2B를 조합하여 실드 상태로 한 샷시 케이스(2)가 구성되어 있다. 커버 샷시2A 천판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클램프 헤드가 향하는 통로(2a)가 형성되고 있고, 또한 이 통로(2a)의 통로 주연부에 내부로 돌출하는 볼록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샷시 케이스(2)의 전단에는 프론트 베젤(3)이 배치되고 있고, 이 프론트 베젤(3)에는, 광디스크D를 삽입하는 슬롯(3a)과 이머젠시 해제를 위한 통과구멍(3b·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베젤(3)에는, 장전되어 있는 광디스크D 장치외부로의 반출을 지시하기 위한 푸쉬 버튼(4) 및 디스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를 구비한다.
도 2는, 이 디스크 장치(1)의 커버 샷시2A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그 사시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바닥 샷시2B위에는 베이스 패널(6)이 배치되고, 그 중앙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즉 장치내부의 대각선에 따르는 방향으로 승강 프레임(10)이 배치되며, 이 승강 프레임(10)에 광디스크D를 드라이브하는 구동계 유닛A이 마련된다.
상기 구동계 유닛A은, 턴테이블(7) 및 클램프 헤드(8)를 구동축에 고정한 스핀들 모터(9)를 주체로 구성되고, 이 스핀들 모터(9)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9a)가 틀부재(10d)를 통해 승강 프레임(10)에 나사 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승강 프레임(10)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클램프 헤드(8)로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이 클램프 되어, 턴테이블(7)위에 유지되게 된다. 또, 상기 승강 프레임(10)의 상하 이동은, 이 강 프레임(10)에 고정한 종동 핀(11·12)이 후술하는 승강 기구에 안내되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10)에는, 바닥 샷시2B를 제거한 상태의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B을 전진 후퇴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배치되고, 그 주요부의 구성을 도 5에 도시한다. 이 구동기구는,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픽업(13)을 내장한 캐리어 블록(14)이 승강 프레임(10)과 일체가 되는 틀부재(10d)에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15·16)에 지지되어 전진 후퇴가 가능하게 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승강 프레임(10)에는 가이드 샤프트(15)와 평행하게 스크류 샤프트(17)가 배치되고, 이 스크류 샤프트에는 기어 트레인 유닛(18)에 의해 스레드 모터(19)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17)의 리드 홈(17a)에 맞물리는 너트(20)가 종동하고, 이 너트(20)를 유지하고 있는 캐리어 블록(14)과 일체의 베어링(14a)이 가이드 샤프트(15)에 안내되어 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캐리어 블록(14)에 내장된 광픽업(13)은, 캐리어 블록(14)의 왕복운동에 따라,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고,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1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클램프 헤드(8)에 의해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의 클램프 및 클램프 상태의 해제를 행하기 위해, 이 승강 프레임(10)은 완충 지지에 의한 부유 상태에서 베이스 패널(6)에 부착되고, 승강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4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10)의 외주의 3개소에는 지지 설편(舌片)(10a·10b·10c)이 일체로 마련되고, 이 지지 설편(10a·10b)의 대응 위치인 베이스 패널의 이면에,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부압연 처리 등의 적절수단으로 포스트 핀(21)을 세운다. 그리고, 포스트 핀(21)에 스페이서(22)를 끼운 유연성을 구비한 완충 부재(23)를 장착하고, 이 완충 부재(23)에 형성된 홈(23a)에 상기 지지 설편(10a·10b)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지지 설편(10c)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를 끼우지 않고 포스트 핀(21)에 장착한 완충 부재(23)만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지지 설편(10a·10b)보다 상하 이동의 스트로크가 커지도록 하고, 승강 프레임(10)이 요동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포스트 핀(21)의 다른쪽의 단부는, 바닥 샷시2B에 나사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광디스크D의 반입 및 반출을 하는 구동기구C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단에 홀더(25)를 구비한 디스크 지지 암(24)의 요동 지점이 되는 단부는,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26)과 일체로 되고 있으며, 이 지지판(26)이 피벗 핀(27)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지판(26)의 선회에 따라 베이스 패널(6)상의 디스크 지지 암(24)이 슬릿(6a) 의 범위 내에서 요동한다. 이 디스크 지지 암(24)의 홀더(25)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단에 수단부(25a)가 형성되고, 측부에 유지 홈(25b)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디스크 지지 암(24)의 구동기구C이 구성되어 있는 상태를 베이스 패널(6)을 제거하여 나타낸 것으로, 디시크 지지 암(24)을 직접 구동하는 제 1 링크 암(28)은 지지판(26)의 피벗 핀(26a)에 의해 연결되고 있고, 인장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상시 가압되고 있다. 한편, 제 2 링크 암(30)에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릿(30a·30b)이 형성되고 있고, 이 슬릿(30a·30b)으로부터 리벳 핀(31a·31b)이 삽입되고, 그 선단이 제 1 링크 암(28)의 통과구멍(28a·28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1 링크 암(28)과 제 2 링크 암(30)은 슬릿(30a·30b)의 범위 내에서 신축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링크 암(28)과 제 2 링크 암(30)에는, 후술하는 록 기구가 작용하는 절개부(28c·30c)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32는, 제 2 링크 암(3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 암이며, 지점이 되는 통과구멍(32a)이 피벗 핀(32d)으로 지지되고,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레버 암(32)의 작용단에는 피벗 핀(32b)이 고정되고, 이 피벗 핀(32b)은 제 2 링크 암(30)의 통과구멍(30d) 및 락 레버(33)의 통과구멍(33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 암(30)과 락 레버(33)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4)이 마련되어, 그 일단(34a)이 제 2 링크 암(30)의 오목한 절개부(30e)에 걸리고, 타단(34b)은 락 레버(33)의 오목한 절개부(33b)에 걸려있다.
이에 따라 락 레버(33)의 걸림단(33c)은 제 1 링크 암(28)의 절개부(28c)와 제 2 링크 암(30)의 절개부(30c)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는 제 1 링크 암(28)이 소정의 각도가 되었을 때, 그 후단부에서 스위치 레버(35a)가 눌려 작동하는 리밋 스위치(35)가 마련되고, 그리고 제 2 링크 암이 소정의 위치에 달했을 때, 락 레버(33)의 후단부(33d)를 누르기 위한 기동 핀(36)이 바닥 샷시2B에 세워져 있다.
다음에, 디스크 지지 암(24)의 구동기구C로의 동력전달요소가 되는 슬라이더 기구 및 반송 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송 기구는, 크게 나누어 로딩기어유닛G1과 랙기어 유닛G2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고 있고, 우선, 도 11 내지 도 12에 의해 로딩기어유닛G1의 구성 및 동작 양태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부호 37은 동력원이 되는 로딩 모터이며, 이 로딩 모터(37)의 출력축에는 웜 기어(38)가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고, 이 웜 기어(38)의 회전력이 기어 베이스(42)에 축지지된 더블 기어(39·40·41)로 순차적으로, 소경 기어로부터 대경 기어로 감속되면서 전달된다.
상기 기어 구성에 있어서, 더블 기어(39)는 웜 기어(38)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기구를 구비한다. 이것은, 더블 기어(39)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홀더(43)의 단부(43a)가 피벗 핀(44)에 삽입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축지지됨으로써,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도 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웜 기어(38)와 더블 기어(39)는 정상적인 맞물림 상태가 된다. 또, 홀더(43)의 로딩 모터(37)측의 단부에는, 도그 헤드(43b)가 형성되고, 기어 베이스(42)에 고정된 리밋 스위치(46)의 노브(46a)를 작동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홀더(43) 단부(43a)의 밑면에는 피벗 핀(44)과 동축에서 축지된 슬라이더 부재(47)가 마련된다. 이 슬라이더 부재(47)의 피벗 핀(44)에 축지지되는 부분에는 긴홈(47a)이 형성되고, 홀더(43)의 단부(43a)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슬라이더 부재(47)는, 전단과 후단 사이에 경사면(47b)이 형성되고 있고, 슬라이더 부재(47)를 전진시켰을 때, 이 경사면(47b)이 홀더(43) 단부(43a)를 바닥면으로부터 밀어 올려, 홀더(43) 전체가 상승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부재(47)의 후단에는 피벗 핀(48)에 축지지되는 걸림 단부(47c)를 구비한 긴홈(47d)이 형성되고, 또한 후단부에는 밀봉돌기(47e)를 구비한 작용편(47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 부재(47)의 전단부에는, 랙기어 유닛G2의 움직임에 따라 기동되는 리셋편(47g)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체로 구성된 슬라이더 부재(47)는, 그 훅편(47h)과 기어 베이스(42)의 훅편(42a) 사이에 토글 작용을 주기 위한 인장 코일 스프링(49)이 경사 모양으로 마련되고, 슬라이더 부재(47)가 상시 후퇴하면서 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더 부재(47)가 구성되고 있는 것에 의해, 도 11에 도시하는 정상상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더 부재(47)는 피벗 핀(44)을 지점으로 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47)를 후단부로부터 눌러 전진시키고, 피벗 핀(48)의 위치에 긴홈(47d)의 걸림 단부(47c)가 도달하면,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 (49)의 장력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47)가 피벗 핀(44)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걸림 단부(47c)와 피벗 핀(48)이 결합하여 록 상태가 되어, 그 자세가 유지된다.
다음에, 랙기어 유닛G2은,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랙 주체(50)에 기어 열(50a·50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 열(50a)은 로딩기어유닛G1의 더블 기어(41)의 소경 기어와 맞물린다. 따라서, 로딩모터(37)를 구동함으로써, 랙 주체(50)는 샷시 케이스(2)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이렇게 랙 주체(5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이 랙 주체(50)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기구C가 구동하여 디스크 지지 암(24)이 요동함과 동시에, 도 2에 도시하는 베이스 패널(6) 면에서 랙 주체(50)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 암(51)에 의해 유인 암(57)이 요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랙 주체(50) 위에는, 이 랙 주체(50)의 선단부에서 전진 후퇴하는 기어 부재(52)가 유동 상태로 배치되고, 이 기어 부재(52)를 눌러 전진시키므로, 전후로 블록(53a·53b)을 구비한 가압 핀(53)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열(50b)과 기어 부재(52)를, 기어 프레임(55)에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더블 기어(54)에 맞물리게 하여 연결되고 있다. 이 경우, 더블 기어(54)의 대경 기어(54a)는 기어 열(50b)의 후단부에 맞물리고, 소경 기어(54b)는 상기 블록(53b)과 일체로 성형된 기어 부재(52)의 선단부에 맞물리도록 한다.
따라서, 가압 핀(53)을 통한 외력에 의해 기어 부재(52)가 밀려 들어가면, 더블 기어(54)는 정위치에서 회전하므로, 기어 열(50b)에 대경 기어(54a)의 회전력이 전달하고, 랙 주체(50)가 이동한다. 또, 부호 56은, 전술한 로딩기어유닛G1의 슬라이더 부재(47)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셋편(47g)을 누르는 작용편으로, 로딩기어유닛G1이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작용편(56)이 슬라이더 부재(47)의 리셋편(47g)을 누르면, 피벗 핀(48)과 걸림 단부(47c)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으로부터,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랙 주체(50)에 의해 구동되는 유인 암(57)의 구성 및 동작 양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4는, 유인 암(57)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랙 주체(50)에 형성된 유도 홈(50d)에 중합하는 위치의 베이스 패널(6)에 가이드 슬릿(6b)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 홈(50d)과 가이드 슬릿(6b)에 레버 암(51)의 선단에 고정한 종동 핀(58)을 꽂아 넣은 상태로 되어 있으며, 전진 후퇴하는 유도 홈(50d)에 대한 정위치에 있는 가이드 슬릿(6b)이 서로 작용하여 상기 종동 핀(58)을 동작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유인 암(57)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벗 핀(59)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기단부에 레버 암(51)이 피벗 핀(60)으로 축지지되고 있다. 유인 암(57)의 선단에는 광디스크D의 유지 홈이 형성되고, 이 유지 홈 내부에 롤러(61)가 배치되어 있다. 유인 암(57)은 이렇게 구성되는 것으로, 레버 암(51)의 동작에 따라 샷시 케이스(2)내에서 회전하고, 광디스크D를 장치내부로 반입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상기 유인 암(57)의 동작 양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5는 광디스크D가 디스크 장치(1)내로 조작자에 의해 삽입된 상태이며, 이 때 광디스크D의 반입 방향의 전단측에서 복귀되어 디스크 지지 암(24)은 뒤쪽으로 회전하 고, 제 1 링크 암(28)이 리밋 스위치(35)를 작동하여 구동기구C가 동작을 시작하는 초기 상태에 있다. 따라서, 랙 주체(50)는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전단에 위치하고, 레버 암(51)은 유도 홈(50d)의 후단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구동기구C가 동작을 시작하면,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랙 주체가 후퇴를 시작한다. 이 때, 종동 핀(58)은 유도 홈(50d)의 후단의 경사면과 가이드 슬릿(6b)의 측벽에서 끼워지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랙 주체(50)의 전진에 따라 종동 핀(58)도 후퇴하고, 레버 암(51)이 견인됨으로써 유인 암(57)이 요동하여 디스크 지지 암(24)의 홀더(25)에 의해 광디스크D를 유지한 상태가 되고, 광디스크D의 반입이 개시된다.
도 17은, 랙 주체(50)가 다시 후퇴하고, 종동 핀(58)이 가이드 슬릿(6b)의 정상부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유인 암(57)의 요동에 의해 광디스크D의 반입이 계속되어,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이 클램프 헤드(8)와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한 상태가 된다. 도 18은, 랙 주체(50)가 도 17의 위치로부터 약간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종동 핀(58)이 유도 홈(50d)에 의해 가이드 슬릿(6b)의 정상부의 가로 홈으로 밀려들어가는 상태에 있다.
도 19는, 랙 주체(50)가 최종위치까지 후퇴한 상태이며, 도 18에서 도 19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종동 핀(58)이 유도 홈(50d) 전단의 긴 홈에 의해 가이드 슬릿(6b)의 정상부의 가로 홈으로 더욱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유인 암(57)은 동 도면의 가상 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약간 후퇴하고, 광디스크D의 유지를 해제한다. 이상의 도 16에서 도 19의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이 클램프 헤드(8)에 클램프 되어, 턴테이블(7) 위에 유지된다.
다음에, 디스크 지지 암(24)의 동작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지지 암(24)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C는, 도 10에 도시하는 기구요소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지만, 그 동작은 랙 주체(50)의 전진 후퇴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도 20에 있어서, 랙 주체(50)에 형성된 가이드홈(50e)에 레버 암(32)의 단부에 고정된 종동 핀(32c)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홈(50e)에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자가 광디스크D를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전단이 디스크 지지 암(24) 선단의 홀더(25)의 수단부(25a)에 들어간 상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는, 락 레버(33)의 후단부(33d)가 기동 핀(36)으로 눌려져 있는 것으로부터, 그 걸림단(33c)이 제 1, 제 2 링크 암(28·30)의 절개부(28c·30c)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 21 및 도 22은, 조작자가 광디스크D를 장치내부로 더욱 밀어넣은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디스크 지지 암(24)이 뒤쪽으로 회전하고, 이 디스크 지지 암(24)의 기단부에 피벗 핀(24a)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링크 암(28)이 견인된다. 이 때, 레버 암(32)은 정지하고 있는 랙 주체(50)에 연결되고 있으므로,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링크 암(30)은 정위치에 유지된 상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 암(28)이 제 2 링크 암(30) 위에서 슬라이드하여 뻗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2의 상태에 도달한 시점에서, 리밋 스위치(35)가 작동된다.
도 23은, 상기에 의해 작동된 리밋 스위치(3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반송 기구가 구동을 시작하고, 랙 주체(50)가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랙 주체(50)의 가이드홈(50e)에 의해 레버 암(32)이 회전되고, 제 2 링크 암(30)이 제 1 링크 암(28)에 따르도록 슬라이드 하여 전진하므로, 기동 핀(36)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해방된 락 레버(33)의 걸림단(33c)은 제 1, 제 2 링크 암(28·30)의 절개부(28c·30c)에 끼워짐으로써, 제 1, 제 2 링크 암(28·30)이 일체로 락 된 상태가 된다. 또, 도 22로부터 도 23의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유인 암(57)이 시동하고, 디스크 지지 암(24)의 홀더(25)와 이 유인 암(57)으로 광디스크D를 유지한다.
도 24은, 또한 랙 주체(50)가 후퇴하여 디스크 지지 암(24)이 뒤쪽으로 회전해서 광디스크를 반입하고, 그 중심구멍Da이 클램프 헤드(8) 위에 일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 이 시점까지는, 디스크 지지 암(24)의 홀더(25)와 유인 암(57)으로 광디스크D를 유지하고 있고, 디스크 지지 암(24)과 유인 암(57)은 동기하여 요동한다. 그리고, 도 24로부터 도 25에 이르는 과정에서, 클램프 헤드(8)가 상승하고,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을 클램프 한다.
도 26은, 클램프 헤드(8)가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을 클램프 한 후, 랙 주체(50)가 약간 후퇴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랙 주체(50)의 가이드홈(50e)의 세로홈의 종단부에서 레버 암(32)이 약간 요동하고,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 암(24), 그리고 유인 암(57)이 약간 요동하므로, 광디스크D의 유지가 해제되고, 턴테이블(7)에 의한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해 진다.
이상은, 광디스크D의 반입시의 구동기구C의 동작 양태이지만, 광디스크D의 반출시는, 이와 역 경로를 더듬어 각 부의 기구요소는 역 동작을 행한다. 즉 반송 기구E가 역으로 구동되고, 랙 주체(50)를 전진시켜 디스크 지지 암(24)이 도 26의 상태로부터 도 23의 상태까지 앞쪽으로 회전하며, 도 27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락 레버(33)의 후단부(33d)가 기동 핀(36)에 닿는다. 그리고, 또한 랙 주체(50)가 전진하면, 상기 후단부(33d)가 기동 핀(36)으로 눌리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도 27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락 레버(33)의 걸림단(33c)이 제 1 링크 암(28)과 제 2 링크 암(30)의 절개부(28c·30c)로부터 요동하여 이탈하고, 제 1 링크 암(28)과 제 2 링크 암(30)이 일체화된 록 상태가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이 작용하여 디스크 지지 암(24)이 도 20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요동하고, 반출의 최종과정의 최후 일순간에 광디스크D를 슬롯(3a)으로부터 팝아웃하여 반출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 반입 동작 개시 시에는, 제 1, 제 2 링크 암(28·30)은 락이 해제된 상태이며, 광디스크D가 삽입됨에 따라서, 제 1, 제 2 링크 암(28·30)은, 일단 뻗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나서,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23의 상태에 이르러 락 레버(33)에 의해 락 된다. 한편, 광디스크D의 반출 동작 개시 시에는, 제1, 제 2 링크 암(28·30)은 락 된 상태이며, 따라서, 제 1, 제 2 링크 암(28·30)은, 반입시와 같이 뻗기 때문에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 하지 않고, 도 27의 상태에 이르러 락 레버(33)에 의한 락이 해제된다. 이렇게, 광디스크D의 반출 시에는, 거의 모든 반출 공정에 있어서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을 사용하지 않고, 반출 기구E로 구동 제어하도록 했기 때문에, 반출 동작이 늘 일정하게 되고, 반출 종료시에 광디스크D가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노출하여 정지된 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다음에, 승강 프레임(10)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의 구성 및 동작 양태를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우선, 이 승강 기구에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구성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동작 양태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의 승강 프레임(10)은, 장치내부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배치되므로 경사 상태가 되고, 그 후단부는, 본체의 모서리 안쪽부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승강 프레임(10)의 요동 지점은, 보통, 동 도면의 축선S-S이 되고, 여기를 축심으로 하여 승강 프레임(10)의 선단부, 즉 클램프 헤드(8)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축선S-S로부터 종동 핀(11)까지의 거리는 L11이며, 축선S-S로부터 종동 핀(12)까지의 거리가 L12일 때, L11 <L12가 되는 조건에 의해, 종동 핀(12)은 종동 핀(11)보다 크게 상하 이동해야 한다. 즉 종동 핀(11·12)의 상하 이동거리는, 각 종동 핀으로부터 축선S-S까지의 거리에 비례하고, 종동 핀(11)의 상하 이동거리를 H11, 종동 핀(12)의 상하 이동거리를 H12로 하면,
H11/L11=H12/L12
의 관계가 되고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10)의 승강 기구는, 종동 핀(11·12) 및 랙 주체(50)에 형성한 캠 홈(50c)과, 슬라이드 부재(62)에 형성한 캠 홈(62a)으로 구성되지만, 상기와 같이 종동 핀(11)과 종동 핀(12)의 축선S-S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캠 홈(50c·62a)은 종동 핀(11·12)의 상하 이동의 궤적에 일치하도록 한다. 도 28은, 이러한 조건에 대응하도록 하여 형성된 캠 홈(50c·62a)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8(a)에 랙 주체(50)에 형성한 캠 홈(50c)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28(b)에 슬라이드 부재(62)에 형성한 캠 홈(62a)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랙 주체(50)가 X1-X2방향으로 전진 후퇴함에 따라 변화되는 캠 홈(50c)내의 종동 핀(11)의 상태를 위치JO∼J5로 나타낸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2)가 Y1-Y2방향으로 전진 후퇴함에 따라 변화되는 캠 홈(62a)내의 종동 핀(12)의 상태를 위치K1∼K5로 나타낸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62)의 단부는, 링크 부재(63)의 단부에 고정한 작용 핀(63a)에 연결되고 있고, 링크 부재(63)의 타단에는 종동 핀(63b)을 구비하며, 이 종동 핀(63b)이 랙 주체(50)의 가이드홈(50f)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 부재(63)의 지점(63c)이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되는 것으로, 랙 주체(50)의 전진 후퇴에 동기하여 슬라이드 부재(62)가 전진 후퇴한다. 따라서, 캠 홈(50c·62a)도 동기하여 전진 후퇴하고, 종동 핀(11)은 캠 홈(50c)의 높이H11 범위에서 상하 이동하고, 종동 핀(12)은 캠 홈(62a)의 높이H12의 범위에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캠 홈(50c)의 위치JO로부터 위치J1의 범위의 저위부는, 랙 주체(50)의 초기동작, 즉 전술한 광디스크D를 반입하는 도 20에서 도 23까지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수평상태로 해 두고, 종동 핀(11)이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초기동작의 스트로크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위치J1로부터 캠 홈 정상부의 위치J4까지의 사이가 승강 프레임(10)을 상승시켜서 광디스크D를 클램프 헤드(8)에 클램프 시키 기 위한 경사부가 되고, 위치J4로부터 위치J5까지가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위부가 된다.
한편, 슬라이드 부재(62)는, 랙 주체(50)의 캠 홈(50c)의 위치J1로부터 위치J5의 범위에서 동기하여 전진 후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저위부의 위치K1로부터 즉시 경사부가 되어 캠 홈 정상부의 위치K4에 도달한다. 위치K4로부터 위치K5까지는 상기 캠 홈(50c)의 위치J4로부터 위치J5까지 같은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캠 홈(50c)의 위치J0∼J1의 저위부에서 정상부J4까지의 높이H1와, 캠 홈(62a)의 위치K1로부터 정상부K4까지의 높이H12의 관계는, H11 <H12이 되고,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위치JO∼J1이 위치K1보다 높아지는 상대적인 고저차h1를 일으킨다. 또, 캠 홈(50c)의 위치J1∼J4사이의 경사부의 폭과, 캠 홈(62a)의 위치K1∼K4사이의 경사부의 폭은 동일하기 때문에, 고저차가 작은 캠 홈(50c)의 경사부는 캠 홈(62a)의 고저차가 큰 경사부보다 완만한 경사가 된다. 따라서, 랙 주체(50)와 슬라이드 부재(62)의 같은 이동량으로 종동 핀(12)은 종동 핀(1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 또는 하강하고, 위치J4∼J5와 위치K4∼K5의 범위에서는, 종동 핀(11·12)은 동등한 높이 위치가 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축선R-R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10)의 동작 양태를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9는, 승강 프레임(10)이 상승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9(a)는, 승강 프레임(10)이 더욱 하강하고 있는 상태이며, 동 도면에서는 광디스크D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된 직후의 상태, 즉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이때, 종동 핀(11)은 캠 홈 (50c)의 위치JO에 있고, 종동 핀(12)은 캠 홈(62a)의 위치K1에 있다. 따라서, 종동 핀(11)과 종동 핀(12) 사이에는 고저차h1가 있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10)은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가 되고 있다.
도 29(a)의 상태로부터 광디스크D의 반입이 진행하면, 랙 주체(50)의 초기동작의 스트로크가 흡수되는 상태, 즉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랙 주체(50)가 X1방향으로 이동하고, 종동 핀(11)이 캠 홈(50c)의 위치JO로부터 위치J1로 이행한다. 그리고, 또한 랙 주체(50)가 X1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동 핀(11)이 캠 홈(50c)의 위치J2가 되며, 종동 핀(12)이 캠 홈(62a)의 위치K2에 달하면, 승강 프레임(10)은 도 2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초기의 위치보다 약간 상승한다. 이 때, 종동 핀(12)은 종동 핀(11)보다 상승 폭이 크기 때문에, 승강 프레임은 서서히 수평상태가 된다.
또한 랙 주체(50)가 X1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62)이 Y1방향으로 이동하면, 캠 홈(50c)의 종동 핀(11)은 위치J3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은 위치K3에 이른다. 이 공정에 있어서, 클램프 헤드(8)의 척 갈고리(8a)가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에 접촉하고, 그 상태에서 광디스크D를 밀어 올리며, 도 2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의 주연(周緣)이 커버 샷시2A 개구(2a)의 볼록부(2b)에 닿는다.
도 29(d)는,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4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4에 이른 상태이며, 클램프 헤드(8)가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으로 진입하여 클램프 하고, 턴테이블(7)에 유지한 도 25에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이르면, 종동 핀(11·12)이 같은 높이 위치가 되고, 승강 프레임(10)은 수평상태가 된다.
도 29(e)는,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5에,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5에 달한 상태이며, 승강 프레임(10)이 약간 강하하여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하도록 한 도 26에 일치하는 상태이다.
다음에,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상태로부터 이 광디스크D를 반출하기 위해, 승강 프레임(10)을 하강하는 공정을 도 30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30(a)은, 도 29(e)와 마찬가지로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한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광디스크D의 언로딩의 지시를 받으면, 반송 기구의 반전 동작이 개시되고, 랙 주체(50)가 X2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62)가 Y2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도 30(b)은,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5로부터 위치J4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5로부터 위치K4에 도달한 상태이며, 승강 프레임(10)이 일단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c)은,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4로부터 위치J3를 거쳐 위치J2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4로부터 위치K3를 경과하여 위치K2로 이행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이 승강 프레임(10)이 강하하는 공정에 있어서, 클램프 헤드(8)에 클램프 되고 있던 광디스크D는, 해제 핀(64)으로 올리는 상태가 되므로, 광디스크D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도 30(d)은,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2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 동 핀(12)이 위치K2에 도달한 상태이며, 종동 핀(12)이 종동 핀(1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강하하므로,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10)이 점차로 경사를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0(e)은,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1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1에 도달한 상태이며, 종동 핀(11·12)의 상대적인 고저차h1에 의해 최대경사가 되어 승강 프레임(10)의 강하가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클램프 헤드(8)와 광디스크D 사이에 틈h2이 형성되어, 광디스크D의 반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경사 상태에 있어서, 바닥 샷시2B에 더욱 접근하는 승강 프레임(10)의 이면의 부위는, 가이드 샤프트(16)의 측단부분U(도 4, 도 5참조)이 된다.
도 31은, 전술한 승강 프레임(10)의 동작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승강 프레임(10)은 축선S-S을 축심으로서 요동하므로, 이 축선S-S으로부터 거리L12에 있는 종동 핀(12)에 지지되어 있는 승강 프레임(10)의 측부는, 캠 홈(62a)에서 정해진 높이H12상당의 가상 선의 위치까지 강하한다. 한편, 거리L11에 있는 종동 핀(11)에 지지되어 있는 승강 프레임(10)의 측부는, 높이H11상당의 가상 선의 위치까지 강하하지만, 캠 홈(50c)과 캠 홈(62a)의 저위부의 고저차h1에 상당할 뿐 부상한 상태가 된다. 이것은, 종동 핀(12)에 지지되어 있는 측부를 높이H12상당까지 강하시킴으로써 승강 프레임(10)이 경사지고, 클램프 헤드(8)의 정상부와 광디스크D와의 틈h2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지만, 고저차h1에 상당하는 폭만큼 박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 헤드(8)의 정상부와 광디스크D와 틈h2을 확 보하면서 바닥 샷시2B와 승강 프레임(1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승강 프레임(10)의 상하 이동을 기구적으로 제어하고, 바닥 샷시2B와 승강 프레임(10)의 바닥면과의 틈에 편차가 생기지 않도록 한 구성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32(a)에 랙 주체(50)에 형성한 캠 홈(50c)의 형상을 나타내고, 도 32(b)에 슬라이드 부재(62)에 형성한 캠 홈(62a)의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랙 주체(50)가 X1-X2방향으로 전진 후퇴함에 따라 변화되는 캠 홈(50c)내의 종동 핀(11)의 상태를 위치JO∼J5로 나타내고, 슬라이드 부재(62)가 Y1-Y2방향으로 전진 후퇴함에 따라 변화되는 캠 홈(62a)내의 종동 핀(12)의 상태를 위치K1∼K5로 나타낸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62)의 단부는, 링크 부재(63)의 단부에 고정한 작용 핀(63a)에 연결되고 있고, 링크 부재(63)의 타단에는 종동 핀(63b)을 구비하고, 이 종동 핀(63b)이 랙 주체(50)의 가이드홈(50f)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 부재(63)의 지점(63c)이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 되는 것으로부터, 랙 주체(50)의 전진 후퇴에 동기하여 슬라이드 부재(62)가 전진 후퇴한다. 따라서, 캠 홈(50c·62a)도 동기하여 전진 후퇴하고, 종동 핀(11)은 캠 홈(50c)의 높이H12의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하고, 종동 핀(12)은 캠 홈(62a)의 높이H12의 범위에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 상기 캠 홈(50c·62a)의 높이H11·H12는, 승강 프레임 및 바닥 샷시의 형상에 따라 승강 프레임과 바닥샷시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정하는 것으로, 반드시 동등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캠 홈(50c)의 위치JO로부터 위치J1의 범위의 저위부는, 랙 주체(50)의 초기동작, 즉 전술한 광디스크D를 반입하는 도 20에서 도 23까지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수평하게 형성하고, 종동 핀(11)이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초기동작의 스트로크를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위치J1로부터 캠 홈 정상부의 위치J4까지 사이의 승강 프레임(10)을 상승시켜서 광디스크D를 클램프 헤드(8)에 클램프 시키기 위한 경사부가 되고, 위치J4로부터 위치J5까지가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고위부가 된다.
한편, 슬라이드 부재(62)는, 랙 주체의 캠 홈(50c)의 위치J1로부터 위치J5의 범위에서 동기하여 전진 후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저위부의 위치K1로부터 바로 경사부가 되어 캠 홈정상부의 위치K4에 이른다. 위치K4로부터 위치K5까지는 상기 캠 홈(50c)의 위치J4로부터 위치J5까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캠 홈(50c)의 위치JO∼J1의 저위부에서 정상부J4까지의 높이H12와, 캠 홈(62a)의 위치K1로부터 정상부까지의 높이H11는, 본 실시예에서는 동등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축선R-R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10)의 동작 양태를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3은, 승강 프레임(10)이 상승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33(a)은, 승강 프레임(10)이 더욱 강하하고 있는 상태이며, 동 도면에서는 광디스크D가 프론트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삽입된 직후의 상태, 즉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이 때, 종동 핀(11)은 캠 홈(50c)의 위치JO에 있고, 종동 핀(12)은 캠 홈(62a)의 위치K1에 있다. 따라서, 축선R-R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10)의 바닥면은 바닥 샷시2B에 더욱 접근한 상태가 되고 있다.
도 33(a)의 상태로부터 광디스크D의 반입이 진행하면, 랙 주체(50)의 초기동작의 스트로크가 흡수되는 상태, 즉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랙 주체(50)가 X1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O로부터 위치J1로 이행한다. 그리고, 또한 랙 주체(50)가 X1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2가 되고,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2에 도달하면, 승강 프레임(10)은 도 3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약간 상승한다.
또한 랙 주체(50)가 X1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62)가 Y1방향으로 이동하면, 캠 홈(50c)의 종동 핀(11)은 위치J3으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은 위치K3에 도달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 클램프 헤드(8)의 척 갈고리(8a)가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에 접촉하고, 그 상태에서 광디스크D를 밀어 올려, 도 3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의 주연이 커버 샷시2A의 개구(2a)의 볼록부(2b)에 접촉한다.
상기 상태로부터 계속해서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4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4에 도달하면, 도 33(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8)가 광디스크D의 중심구멍Da으로 진입하고, 그 척 갈고리(8a)에 의해 중심구멍Da의 주연을 클램프하여 턴테이블에 유지한다.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4로부터 위치J5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4로부터 위치K5로 이행하면, 승강 프레임(10)이 약간 강하하여 도 33(e)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고,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해 지도록 한 도 26에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이 광디스크를 반출하기 위해, 승강 프레임(10)이 강하하는 공정을 도 3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34(a)는, 도 33(e)과 같이 광디스크D의 드라이브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광디스크D의 언로딩의 지시를 받으면, 반송 기구의 반전 동작이 개시되고, 랙 주체(50)가 X2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62)가 Y2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도 34(b)는,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5로부터 위치J4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5로부터 위치K4로 이행하고, 이 동안의 경사부에서 승강 프레임(10)이 일단 상승한 상태가 된다.
도 34(c)는,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4로부터 위치J3을 거쳐 위치J2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4로부터 위치K3를 거쳐 위치K2로 이행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이 승강 프레임(10)이 강하하는 공정에 있어서, 클램프 헤드(8)에 클램프 되고 있던 광디스크D는, 해제 핀(64)으로 올리는 상태가 되므로, 광디스크D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도 34(d)는, 캠 홈(50c)의 종동 핀(11)이 위치J2로, 동시에 캠 홈(62a)의 종동 핀(12)이 위치K2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또한 종동 핀(11·12)은 동기하여 강하하고, 위치J1·K1에 도달하면, 승강 프레임(10)은 도 34(e)에 도시하는 더욱 강하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전술한 승강 프레임(10)의 동작 양태는, 도 35의 모식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선부분에 있는 승강 프레임(10)의 가상선 까지의 강하는, 승강 프레임(10)의 대각선Q-Q에 직교하는 평면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경사 상태가 안되기 때문에, 축선R-R의 승강 프레임(10)의 이면과 바닥 샷시2B의 틈에 편차를 일으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동 핀(11)의 상하 이동거리H11, 종동 핀(12)의 상하 이동거리를 H12, 종동 핀(11)으로부터 축선S-S까지의 거리를 L11l, 종동 핀(12)으로부터 축선S-S까지의 거리를 L12로 했을 때,
H11l/L11>H12/l12
의 관계가 되며, 승강 프레임이 강하했을 때, 승강 프레임(10)의 종동 핀(11)측(우측)과 종동 핀(12)측(좌측)에서는, 종동 핀(11)측(우측) 쪽이 크게 경사지도록 되어있다.
이것으로, 승강 프레임(10)이 강하했을 때, 승강 프레임의 축선S-S측을 지지하는 지지 설편(10a·10b) 중,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 설편(10a)이 약간 떠오르고, 우측에 위치하는 지지 설편(10b)이 약간 가라앉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 프레임(10)의 강하시의 요동의 축심이 축선P-P(도 9참조)이 된다. 또, 지지 설편(10a·10b) 상하방향의 변위는, 완충 부재(23)가 변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6은, 본 발명을 실시하지 않는 디스크 장치와의 두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도 3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8)의 정상부와 광디스크D와의 틈h2을 유지하면서 바닥 샷시2B와 승강 프레 임(10)의 이면을 접근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6(b)에 도시하는 디스크 장치의 경우에는, 승강 프레임(10)이 강하하면 경사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전체의 두께가 H2가 된다. 이를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장치의 두께H1와 비교하면, H1 <H2가 되는 것이 명백하며,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디스크 장치의 이러한 박형화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 프레임이 강하했을 때, 승강 프레임의 바닥면과 바닥 샷시와의 틈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내부 공간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디스크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턴테이블 및 클램프 헤드를 구동축에 고정한 스핀들 모터를 전단부에 배치한 승강 프레임을 장치 내부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를 상기 클램프 헤드로 클램프하여 턴테이블 위에 유지, 또는 유지되고 있는 광디스크의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단부를 강하시켰을 때, 상기 승강 프레임의 대각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승강 프레임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턴테이블 및 클램프 헤드를 구동축에 고정한 스핀들 모터를 전단부에 배치한 승강 프레임을 장치내부의 대각선을 따르는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광디스크를 상기 클램프 헤드로 클램프하여 턴테이블 위에 유지, 또는 유지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을 경사지도록 할 때, 상기 승강 프레임 전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을 다른쪽보다 크게 경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의 후단부를 완충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20050095344A 2004-10-18 2005-10-11 디스크 장치 KR100679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2694A JP4196928B2 (ja) 2004-10-18 2004-10-18 ディスク装置
JPJP-P-2004-00302694 2004-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165A KR20060052165A (ko) 2006-05-19
KR100679172B1 true KR100679172B1 (ko) 2007-02-05

Family

ID=3618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44A KR100679172B1 (ko) 2004-10-18 2005-10-11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6702B2 (ko)
JP (1) JP4196928B2 (ko)
KR (1) KR100679172B1 (ko)
CN (1) CN100382180C (ko)
TW (1) TWI294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5418B2 (ja) * 2004-03-08 2008-10-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フレーム、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セット、電子機器
JP4339892B2 (ja) * 2004-10-29 2009-10-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TWI320924B (en) * 2005-02-02 2010-02-21 Teac Corp Disc device
US7770190B2 (en) * 2005-02-18 2010-08-03 Teac Corporation Disk unit having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size of an inserted disk
JP4265596B2 (ja) * 2005-11-14 2009-05-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7220176A (ja) * 2006-02-15 2007-08-30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4687566B2 (ja) * 2006-05-24 2011-05-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8034055A (ja) * 2006-07-31 2008-02-14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8165890A (ja) * 2006-12-27 2008-07-17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US20090055850A1 (en) * 2007-08-23 2009-02-26 Hung-Chi Teng Optical Disk Drive
JP2009211768A (ja) * 2008-03-04 2009-09-17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TWI372386B (en) * 2008-09-23 2012-09-11 Quanta Storage Inc Lift device of slot-in disk drive
KR101180521B1 (ko) * 2010-03-04 2012-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체형 디스크 구동 모듈
EP2472517B1 (en) * 2011-01-04 2015-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 drive apparatus
KR101806353B1 (ko) * 2011-01-04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7170E1 (en) * 1989-12-28 2001-05-08 Sony Corporation Disc loading mechanism in a disc player for positioning a disc and an optical pickup while reducing mechanical shocks to the disc tray
JP3673364B2 (ja) * 1997-04-01 2005-07-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装置
JP4041569B2 (ja) * 1997-12-26 2008-01-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3556088B2 (ja) * 1998-03-19 2004-08-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US6252839B1 (en) * 1999-03-01 2001-06-26 Behavior Tech Computer Corp. CD-ROM reader mechanism
JP2000311409A (ja) * 1999-04-23 2000-11-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光ディスク装置
KR100408394B1 (ko) 2001-01-2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JP3743276B2 (ja) 2000-10-11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218204B2 (ja) * 2000-11-14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6892386B2 (en) * 2002-03-26 2005-05-10 Mitsumi Electric Co. Ltd. Guide shaf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disc drive equipped with the adjustment mechanism
JP3959311B2 (ja) * 2002-07-08 2007-08-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156397B2 (ja) 2003-02-17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033067B2 (ja) * 2003-07-16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5122866A (ja) * 2003-10-20 2005-05-12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搬送装置
JP2005196922A (ja) 2004-01-09 2005-07-2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2180C (zh) 2008-04-16
TWI294118B (en) 2008-03-01
US7536702B2 (en) 2009-05-19
TW200614157A (en) 2006-05-01
KR20060052165A (ko) 2006-05-19
CN1783273A (zh) 2006-06-07
US20060085808A1 (en) 2006-04-20
JP2006114175A (ja) 2006-04-27
JP4196928B2 (ja)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72B1 (ko) 디스크 장치
JP4687566B2 (ja) ディスク装置
JP4882547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615997B1 (ko) 디스크장치
KR100719056B1 (ko) 디스크 장치
JP2007293981A (ja) ディスク装置
JP4277809B2 (ja) ディスク装置
JP4265596B2 (ja) ディスク装置
JP4325564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8034055A (ja) ディスク装置
KR100863321B1 (ko) 디스크 장치
JP4687688B2 (ja) ディスク装置
JP4123223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615996B1 (ko) 디스크장치
JP4259474B2 (ja) ディスク装置
US20050086671A1 (en) Disk carrying apparatus
JP4315108B2 (ja) ディスク装置
JP4315112B2 (ja) ディスク装置
JP4356802B2 (ja) ディスク装置
JP4371105B2 (ja) ディスク装置
JP4502033B2 (ja) ディスク装置
JP4687477B2 (ja) ディスク装置
JP3979357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8117464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