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849B1 -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849B1
KR100678849B1 KR1020060084205A KR20060084205A KR100678849B1 KR 100678849 B1 KR100678849 B1 KR 100678849B1 KR 1020060084205 A KR1020060084205 A KR 1020060084205A KR 20060084205 A KR20060084205 A KR 20060084205A KR 100678849 B1 KR100678849 B1 KR 10067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tabilizer
clamp
operation system
suppor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면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삼보지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지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지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2Couplings; joints
    • E21B17/08Casing joints
    • E21B17/085Riser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10Wear protectors; Centralising devices, e.g. stabilisers
    • E21B17/1014Flexible or expansible centering means, e.g. with pistons pressing against the wall of the wel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24Guiding or centralising devices for drilling rod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구경에 따라 유압실린더를 통해서 케이싱 클램프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이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더욱 강력하게 케이싱의 클램핑이 가능하며, 상기 케이싱 클램프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판에 의해 케이싱 클램프를 케이싱의 상부에 삽입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케이싱 클램프 상단의 장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케이싱 클램프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알씨디 장비와의 결합이 매우 용이한 케이싱 클램프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변 슬라이드부에 의해 케이싱의 구경 및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케이싱의 구경 또는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서 일일이 스테빌라이저를 교체하지 않고도 굴착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스테빌라이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사이즈 조절을 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 스테빌라이저{Casing clamp and stabilizer of RCD multi ope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of inserting inconcrete pile with variable distance-across}
도 1은 알씨디 장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케이싱 클램프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케이싱을 통해 굴착공에 삽입된 이너케이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상의 케이싱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상의 스테빌라이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상의 스테빌라이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측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상의 스테빌라이저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제1원호판 20. 제2원호판
31. 가로 리브 32. 세로 리브
40. 플랜지 41. 장홀
50. 경사판 60. 유압실린더
61. 플런저 70. 체결구
100. 케이싱 클램프 200, 200'. 스테빌라이저
210, 210'. 드릴 파이프 221, 221'. 리브
220, 220'. 상하 보강판 230, 230'. 지지보
240, 240'. 가변 슬라이드부 241. 수직판
242. 제1 좌우 힌지바 243. 제2 좌우 힌지바
244. 슬라이드판 245, 245'. 유압실린더
245a'. 플런저 246'. 삽입관
247'. 슬라이드판 250, 250'. 플랜지
251, 251'. 볼트체결공 260, 260'. 보강대
300. 알씨디 장비 310. 구동부
311. 기어박스 312. 클램프 어댑터
313. 석션 라인 320. 착공부
321. 드릴 파이프 322. 스테빌라이저
323. 비트바디 401. 준설면
401a. 굴착공 402. 수중 콘크리트
410. 잭업 바지선 420. 가이드 프레임
421. 클램프 440. 케이싱 클램프
500. 이너케이싱 510. 원통형 몸체
520. 고정테 C. 케이싱
본 발명은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구경에 따라 유압실린더를 통해서 케이싱 클램프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이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더욱 강력하게 케이싱의 클램핑이 가능하며, 상기 케이싱 클램프의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판에 의해 케이싱 클램프를 케이싱의 상부에 삽입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케이싱 클램프 상단의 장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케이싱 클램프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알씨디 장비와의 결합이 매우 용이한 케이싱 클램프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변 슬라이드부에 의해 케이싱의 구경 및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케이싱의 구경 또는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서 일일이 스테빌라이저를 교체하지 않고도 굴착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스테빌라이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사이즈 조절을 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씨디(RCD:Reverse Circulation Drill) 장비(3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어박스(311), 클램프 어댑터(312), 석션 라인(313)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부(310)와, 상기 구동부(3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드릴 파이프(321), 상기 드릴 파이프(321)의 휨 방지를 위한 스테빌라이저(322), 상기 드릴 파이프(321)의 하단에 장착되고 다수의 비트가 형성된 비트바디(323)로 이루어진 착공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알씨디 장비(300)는 상기 클램프 어댑터(312)에 의해 케이싱(C) 상단에 고정 결합된 후 상기 알씨디 장비(300)의 기어 박스(311)에 연결된 드릴 파이프(321)가 회전하게 되면, 이 드릴 파이프(321)의 하단에 장착된 비트 바디(323)가 암반을 압지하면서 회전하여 암반을 갈아 굴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드릴 파이프(321)는 굴착이 진행되는 도중 필요 심도까지 점차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굴착 작업을 통해 생성된 파석은 공기압에 의해 순환수와 함께 역 순환되어 지상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 어댑터는 알씨디 장비가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알씨디 구동부 하단에 형성된 클램핑 장치이며,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케이싱 내에서 회전되는 드릴 파이프의 휨 방지를 위한 가이드 장치로서, 그 종류에는 싱글 스테빌라이저, 더블 스테빌라이저, 드럼 스테빌라이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클램프 어댑터와 결합되는 케이싱 클램프와, 싱글 스테빌라이저 및 더블 스테빌라이저(이하 스테빌라이저로 통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케이싱의 구경 또는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케이싱 클램프와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특허출원 제2006-33024호에 개시된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공법에 적용되고 있는 종래의 케이싱 클램프와 스테빌라이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심층 취ㆍ배수를 위한 해상수직구 시공공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준설면(401)에 케이싱(C)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잭업 바지선(410)을 위치 고정하는 단계;
상기 잭업 바지선(410)의 전면에 이 잭업 바지선(410)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고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골조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4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프레임(420)에 장착된 클램프(421)를 통해 케이싱(C)의 상부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싱(C)의 하부를 상기 준설면(401)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준설면(401)에 수중 콘크리트(402)를 타설하여 상기 케이싱(C)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케이싱(C)의 상부에 케이싱 클램프(44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 클램프(440)에 알씨디 장비(300)를 장착하여 상기 준설면(401)을 굴착하는 단계;
상부 임시 밀폐막과 하부 임시 밀폐막이 형성된 이너케이싱(inner casing)(500)을 상기 케이싱(C)을 통해 상기 준설면(401)의 굴착공(401a)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이너케이싱(500)의 외부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
수중 콘크리트(402)에 의해 상기 준설면(401)에 고정된 케이싱(C)의 하단부를 절단하여 상기 준설면(401)으로부터 케이싱(C)을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너케이싱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510)와 이 원통형의 몸체(510) 상부에 형성된 고정테(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법상에서 이 고정테(520)는 준설면(401) 상측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원통형의 몸체(510)만이 굴착공(401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싱의 몸체가 삽입될 수 있을 만큼의 내경을 가지도록 굴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과 알씨디 장비는 모두 계획된 굴착공의 크기에 맞게 사양이 맞춰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너케이싱을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하여 굴착공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이너케이싱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테의 외경보다 더 큰 구경을 가진 케이싱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알씨디 장비와 비트바디의 크기는 고정된 반면 케이싱만 구경이 큰 것을 적용함으로 인해 알씨디 장비에 형성된 클램프 어댑터가 케이싱의 구경과 일치하지 않게 되어 알씨디 장비를 케이싱의 상부에 장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스테빌라이저는 그 크기가 케이싱의 구경에 맞는 것으로 채용하게 되므로, 상기 드릴 파이프의 하단에 장착된 비트바디가 지반을 굴착하면서 삽입될 때 이 비트바디의 상부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의 직경이 비트바디의 직경보다 크므로 인해 비트바디와 함께 굴착공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지면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굴착을 진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임시적으로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별도의 케이싱 클램프를 제작하여, 그 상부에는 알씨디 장비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하부는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지반의 조건 및 환경에 따라 케이싱의 치수변경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싱의 크기도 달라지게 되므로, 그때마다 이에 맞도록 또 다른 케이싱 클램프를 제작하여야 했었다.
또한, 굴착을 시작하여 드릴 파이프의 비트바디가 굴착된 지중에 어느 정도 삽입되면 굴착을 중지하고 알씨디 장비를 해체한 후 비트바디의 상측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를 굴착공의 직경에 맞는 것으로 교체 설치하여야 했으며, 굴착이 진행되는 동안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했다.
이상과 같은 문제들로 인해 자재낭비와 공기지연 및 공수낭비가 심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의 구경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케이싱 클램프와, 케이싱의 구경 및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작업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반원형의 제1원호판 및 이 제1원호판과 대칭되는 반원형의 제2원호판, 상기 제1원호판 및 제2원호판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 상기 제1원호판과 제2원호판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판, 상기 제1원호판의 양 끝단에 장착된 유압실린더, 상기 제2원호판의 양 끝단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플런저와 체결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클램프와,
상면과 하면에 플랜지가 형성된 드릴 파이프, 상기 드릴파이프의 중도부에 형성된 상하 보강판, 상기 상하 보강판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보, 상기 지 지보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변 슬라이드부, 상기 지지보와 지지보 사이에 형성된 보강대로 이루어지는 스테빌라이저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1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원형의 제1원호판(10)과, 이 제1원호판(10)과 대칭되는 반원형의 제2원호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원호판(10)과 제2원호판(20)의 외주면에는 가로 리브(31)와 세로 리브(32)가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원호판(10)과 제2원호판(20)의 상단에는 각각 플랜지(4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0)에는 가로방향의 볼트체결용 장홀(41)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1원호판(10)과 제2원호판(20)의 하단에는 각각 상협하광의 경사판(5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원호판(1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유압실린더(60)가 힌지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원호판(20)의 양 끝단에는 상기 유압실린더(60)의 플런저(61)와 체결되는 체결구(70)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상의 케이싱 클램프(100)에 의해서, 케이싱(C)의 구경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60)를 통해서 케이싱 클램프(100)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해짐 과 더불어 상기 유압실린더(60)에 의해서 더욱 강력하게 케이싱(C)의 클램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원호판(10)과 제2원호판(2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경사판(50)에 의해서 케이싱 클램프(100)를 케이싱(C)의 상부에 삽입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제1원호판(10)과 제2원호판(20) 상단의 플랜지(4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장홀(41)에 의해서, 케이싱 클램프(100)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알씨디 장비(300)와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상의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스테빌라이저(20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릴 파이프(210)와 이 드릴파이프(210)의 중도부에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리브(221)가 형성된 상하 보강판(220)과, 상기 상하 보강판(220)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보(230)와, 상기 지지보(23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변 슬라이드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릴 파이프(210)의 상면과 하면에는 볼트체결공(251)이 형성된 플랜지(25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230)와 지지보(230) 사이에는 각각 보강대(26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는 상기 지지보(230)의 끝단에 형성된 수직판(241)과, 상기 수직판(241)의 상부와 하부에 힌지 형태로 각각 연결된 제1 좌우 힌지바(242) 및 제2 좌우 힌지바(243)와, 상기 제1 좌우 힌지바(242) 및 제2 좌우 힌지바(243)의 끝단에 힌지 형태로 연결된 슬라이드판(244)과, 상기 제1 좌우 힌지바(242)의 바깥쪽 힌지 연결부(242a) 및 상기 제2 좌우 힌지바(243)의 안쪽 힌지 연결부(243b)의 중간에 서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45)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200)의 작용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45)에 유압을 공급하여 플런저가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 제1 좌우 힌지바(242)와 제2 좌우 힌지바(243)가 바깥쪽으로 활개되면서 상기 제1 좌우 힌지바(242)와 제2 좌우 힌지바(243)의 끝단에 설치된 슬라이드판(244)이 케이싱(C) 또는 굴착공(401a)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드릴 파이프(2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케이싱(C) 또는 굴착공(401a)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드판(244)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다수의 지지보(230)에 설치된 가변 슬라이드부(240)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케이싱(C) 또는 굴착공(401a)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각의 가변 슬라이드부(2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45)가 하나의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도록 한다.
한편, 구경이 작은 케이싱(C) 또는 내경이 작은 굴착공(401a)에 스테빌라이저(200)를 삽입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의 유압실린더(245)에 유압을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플런저가 인입되도록 하면, 상기 제1 좌우 힌지 바(242)와 제2 좌우 힌지바(243)가 상방으로 접혀지게 되어 스테빌라이저(200)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구경이 작은 케이싱(C) 또는 내경이 작은 굴착공(401a)에 스테빌라이저(200)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상의 스테빌라이저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200')의 또 다른 형태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릴 파이프(210')와 이 드릴파이프(210')의 중도부에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리브(221')가 형성된 상하 보강판(220')과, 상기 상하 보강판(220')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보(230')와, 상기 지지보(23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변 슬라이드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릴 파이프(210')의 상면과 하면에는 볼트체결공(251')이 형성된 플랜지(25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230')와 지지보(230') 사이에는 각각 보강대(26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는 상기 지지보(23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245')와, 상기 지지보(23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45')의 플런저(245a')와 연결되어 이 유압실린더(245')에 의해 상기 지지보(230')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는 삽입관(246')과 이 삽입관(246')의 끝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판(247')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변형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저(200)의 작용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의 유압실린더(245')에 유압을 공급하여 플런저(245a')가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의 삽입관(246')이 돌출되면서 이 삽입관(246')의 끝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판(247')이 케이싱(C) 또는 굴착공(401a)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지지보(230')에 설치된 가변 슬라이드부(240')를 모두 동일하게 제어하여 케이싱(C) 또는 굴착공(401a)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200')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각의 가변 슬라이드부(240')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45')가 하나의 유압라인을 통해 유압을 공급받도록 한다.
한편, 구경이 작은 케이싱(C) 또는 내경이 작은 굴착공(401a)에 스테빌라이저(200')를 삽입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의 유압실린더(245')에 유압을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플런저(245a')가 인입되도록 하면,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의 삽입관(246')이 상기 지지보(2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스테빌라이저(200')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구경이 작은 케이싱(C) 또는 내경이 작은 굴착공(401a)에 스테빌라이저(200')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스테빌라이저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케이싱의 구경 또는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서 일일이 스테빌라이저를 교체하지 않고도 굴 착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상의 케이싱 클램프는 케이싱의 구경에 따라 유압실린더를 통해서 케이싱 클램프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더욱 강력하게 케이싱의 클램핑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케이싱 클램프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판에 의해 케이싱 클램프를 케이싱의 상부에 삽입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케이싱 클램프의 상단에는 장홀이 다수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싱 클램프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알씨디 장비와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상의 스테빌라이저는 케이싱의 구경 및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케이싱의 구경 또는 굴착공의 내경에 따라서 일일이 스테빌라이저를 교체하지 않고도 굴착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스테빌라이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사이즈 조절을 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굴착작업시 자재비 절감, 공기 단축, 공수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볼트체결공(251)이 형성된 플랜지(250)가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드릴 파이프(210)와, 이 드릴파이프(210)의 중도부에 형성되고 상면 또는 하면에 다수의 리브(221)가 형성된 상하 보강판(220)과, 상기 상하 보강판(220) 사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보(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보(230)의 끝단에는 가변 슬라이드부(24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보(230)와 지지보(230) 사이에는 각각 보강대(26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스테빌라이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는,
    상기 지지보(230)의 끝단에 형성된 수직판(241)과;
    상기 수직판(241)의 상부와 하부에 힌지 형태로 각각 연결된 제1 좌우 힌지바(242) 및 제2 좌우 힌지바(243)와;
    상기 제1 좌우 힌지바(242) 및 제2 좌우 힌지바(243)의 끝단에 힌지 형태로 연결된 슬라이드판(244)과;
    상기 제1 좌우 힌지바(242)의 바깥쪽 힌지 연결부(242a) 및 상기 제2 좌우 힌지바(243)의 안쪽 힌지 연결부(243b)의 중간에 서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2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스테빌라이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슬라이드부(240')는,
    상기 지지보(23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유압실린더(245')와;
    상기 지지보(23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45')의 플런저(245a')와 연결되어 이 유압실린더(245')에 의해 상기 지지보(230')로부터 돌출 및 인입되는 삽입관(246')과;
    상기 삽입관(246')의 끝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판(24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 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스테빌라이저.
KR1020060084205A 2006-09-01 2006-09-01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KR10067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205A KR100678849B1 (ko) 2006-09-01 2006-09-01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205A KR100678849B1 (ko) 2006-09-01 2006-09-01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849B1 true KR100678849B1 (ko) 2007-02-06

Family

ID=3810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205A KR100678849B1 (ko) 2006-09-01 2006-09-01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8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99B1 (ko) 2011-11-18 2012-04-19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역순환 굴착 장치
CN102995690A (zh) * 2012-08-21 2013-03-27 福州市第三建筑工程公司 桩孔垂直度与断面校正机构及其施工方法
KR101495274B1 (ko) * 2013-11-01 2015-02-26 (주) 금강지오테크 대형 구조물의 기초파일 시공장비 및 공법
KR101547956B1 (ko) * 2014-03-12 2015-08-27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이중실린더형 리테이닝디바이스가 구비된 역순환 드릴 시스템
KR101576973B1 (ko) * 2014-03-25 2015-12-14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길이 가변형 스테빌라이저가 구비된 역순환 드릴 시스템
KR101605241B1 (ko) 2014-04-15 2016-04-01 주식회사 백양이앤지 천공기의 천공과정에서 발생된 흙탕물 유도장치
KR102422406B1 (ko) * 2021-12-16 2022-07-19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연마제 분사기능을 포함하는 회전노즐을 구비한 워터젯 대구경 암반 지반 천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087U (ja) * 1993-11-30 1995-06-23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ケーシングチューブ内掘削具への駆動力伝達構造
JPH10205258A (ja) 1997-01-24 1998-08-04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チゼル
KR20050051622A (ko) * 2005-05-11 2005-06-01 (주)부마건설기계 암반굴삭기의 일체형 파일 클램프
JP2005232930A (ja) 2004-02-23 2005-09-02 Kajima Corp 削孔装置および鋼管杭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087U (ja) * 1993-11-30 1995-06-23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ケーシングチューブ内掘削具への駆動力伝達構造
JPH10205258A (ja) 1997-01-24 1998-08-04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チゼル
JP2005232930A (ja) 2004-02-23 2005-09-02 Kajima Corp 削孔装置および鋼管杭形成装置
KR20050051622A (ko) * 2005-05-11 2005-06-01 (주)부마건설기계 암반굴삭기의 일체형 파일 클램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99B1 (ko) 2011-11-18 2012-04-19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역순환 굴착 장치
WO2013073879A1 (ko) * 2011-11-18 2013-05-23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역순환 굴착 장치
CN102995690A (zh) * 2012-08-21 2013-03-27 福州市第三建筑工程公司 桩孔垂直度与断面校正机构及其施工方法
KR101495274B1 (ko) * 2013-11-01 2015-02-26 (주) 금강지오테크 대형 구조물의 기초파일 시공장비 및 공법
KR101547956B1 (ko) * 2014-03-12 2015-08-27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이중실린더형 리테이닝디바이스가 구비된 역순환 드릴 시스템
KR101576973B1 (ko) * 2014-03-25 2015-12-14 삼보씨엠씨 주식회사 길이 가변형 스테빌라이저가 구비된 역순환 드릴 시스템
KR101605241B1 (ko) 2014-04-15 2016-04-01 주식회사 백양이앤지 천공기의 천공과정에서 발생된 흙탕물 유도장치
KR102422406B1 (ko) * 2021-12-16 2022-07-19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연마제 분사기능을 포함하는 회전노즐을 구비한 워터젯 대구경 암반 지반 천공기
KR102435620B1 (ko) * 2021-12-16 2022-08-24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연마제 분사기능을 포함하는 회전노즐을 구비한 워터젯 대구경 암반 지반 천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849B1 (ko) 단면이 변화하는 현장타설말뚝을 형성하기 위한 알씨디멀티 오퍼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케이싱 클램프 및스테빌라이저
KR100733263B1 (ko) 해상 또는 수상에서 강관의 항타 및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을위한 가이드프레임 장치
KR20210104789A (ko) 굴삭툴 교환장치 및 터널 굴진기
US20060179730A1 (en) Wall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JP4607974B2 (ja) 掘削スクリュー
JP2014118807A (ja) 新設杭造成工法及びそのためのカッターバケット。
KR20060006755A (ko) 인입식 선단확대 굴착비트
KR101018889B1 (ko) 수평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식 언더패스터널 구축방법
JP4478348B2 (ja) 鋼管杭の打設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2132239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502321B1 (ko) 곡선 경사형 철구에 다수의 초경팁이 형성된 천공스크류용 회전깍기식 굴삭헤드
JP2002129567A (ja) 垂直ガイドローラー及び垂直ガイドローラー使用施工方法
JP4251628B2 (ja) 境界杭の埋設具
JP6859004B1 (ja) 杭基礎工事に用いる掘削装置
JPH06264435A (ja) セメントミルク注入式のダウンホールハンマー
JPH1136788A (ja) 連続供給支保によるトンネル掘削工法
KR100669527B1 (ko) 흙막이 공사 장치
JPH0765451B2 (ja) 地表構造物下部への埋設物施工方法
JP2812041B2 (ja) 地中連続壁の構築工法及びその工法に使用される掘削機
JP2008025316A (ja) 土留め擁壁構造の選定方法、土留め擁壁の構築方法、及び土留め擁壁
JP2007002560A (ja) トンネル拡幅方法
JPH10195865A (ja) 連続地中壁の構築方法および圧入板
KR20200095706A (ko)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200414129Y1 (ko) 상수도,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암반굴착기
JP2024074320A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