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153B1 -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153B1
KR100678153B1 KR1019990062714A KR19990062714A KR100678153B1 KR 100678153 B1 KR100678153 B1 KR 100678153B1 KR 1019990062714 A KR1019990062714 A KR 1019990062714A KR 19990062714 A KR19990062714 A KR 19990062714A KR 100678153 B1 KR100678153 B1 KR 10067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one
address
cadenc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445A (ko
Inventor
노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4Clock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톤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해당 타임슬롯에 실어서 전송하기위한 톤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교환기의 톤 발생을 위하여 프레임동기신호(FS)와 소정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톤데이터와 톤종류의 단속비를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부와, PCM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와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버스선택부와, 상기 클럭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클럭신호를 받아 상기 어드레스 버스선택부로부터 선택된 톤데이터나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하기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와, 카덴스 데이터의 오프시간동안 해당 타임슬롯에 톤데이터를 삽입하기위한 아이들 패턴신호를 발생하는 아이들패턴 발생기와,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톤데이터나 카덴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톤데이터와 카덴스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아이들 패턴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패턴에 따라 상기 직렬변환된 톤데이터를 해당 타임슬롯에 삽입하고, 상기 직렬변환된 카덴스데이터에 의해 단속비를 결정하여 톤데이터를 출력하는 병직렬변환기로 구성한다.
톤송출,톤발생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THE TONE GENERATION CIRCUIT FOR EXCHANGE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발생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덴스 데이터 포맷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어드레스 클리어 데이터 포맷도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톤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해당 타임슬롯에 실어서 전송하기위한 톤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시스템은 각종 톤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톤발생회로를 구비하며, 톤발생회로에서 주로 사용되는 톤 종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다이얼톤(Dial Tone), 비지톤(Busy Tone), 링백톤(Ring Back Tone) 등 이 있다. 상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전화번호 키에 대응하여 상대측으로 송출되는 톤이며, 다이얼톤(Dial Tone)은 사용자에 의해 수화기가 들리는 경우 전화번호 입력 대기를 알리는 톤이다. 또한, 비지톤(Busy Tone)은 통화를 위해 호출한 상대측이 통화중임을 알리는 톤이며, 링백톤(Ring Back Tone)은 상대측이 연결되어 링이 울리고 있음을 알리는 톤이다.
상기한 톤 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고주파수와 저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를 더한 듀얼 톤(Dual Tone)으로 발생되거나,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인 싱글 톤(Single Tone)으로 발생된다. 상기 톤들은 소정 비로 속 상태(톤이 발생되는 상태)와 단 상태(톤이 끊어지는 상태)를 반복하며, 사용 주파수는 4KHz 이내로 한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톤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 이전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여 왔었다. 그러나 DSP를 사용하면, ASIC화할 경우 코어(core)를 함께 집적화해야 함으로써 게이트 어레이(gate array)로 구현할 수 없으며, 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는 각종 톤에 대응하는 톤 소스(source)를 저장하고 있는 롬(ROM)을 이용하여 톤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롬을 이용하여 톤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은 톤데이터와 단속비 제어데이터를 시퀀셜하게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어 단속비가 긴톤의 경우 메모리 용량이 커지게 되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톤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환기 톤발생을 위해 프레임동기신호(FS)와 소정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톤데이터와 톤종류의 단속비를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부와, PCM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와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버스선택부와, 상기 클럭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클럭신호를 받아 상기 어드레스 버스선택부로부터 선택된 톤데이터나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하기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와, 카덴스 데이터의 오프시간동안 해당 타임슬롯에 톤데이터를 삽입하기위한 아이들 패턴신호를 발생하는 아이들패턴 발생기와,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톤데이터나 카덴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톤데이터와 카덴스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아이들 패턴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패턴에 따라 상기 직렬변환된 톤데이터를 해당 타임슬롯에 삽입하고, 상기 직렬변환된 카덴스데이터에 의해 단속비를 결정하여 톤데이터를 출력하는 병직렬변환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발생회로도이다.
메모리(100)는 각각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톤데이터와 단속비 제어데이터인 카덴스 제어터이터를 저장한다. 카운터로직부(200)는 상기 메모리(100)로부터 톤데이터를 리드하여 해당하는 타임슬롯에 실어서 전송하고 25ms마다 단속비 제어데이터를 메모리(100)로부터 리드하여 각각의 톤에대하여 서로 다른 단속비를 제어한다.
상기 카운터로직(200)은 클럭발생부(202),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201), 어드레스 버스선택부(203), 아이들 패턴발생기(204), 병/직렬변환기(205)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덴스 데이터 포맷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어드레스 클리어 데이터 포맷도이다.
메모리(100)는 도 2와 같은 메모리 맵구성을 가지며, 예를들어 128kbytes의 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PCM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2.048bytes를 할당한다. 그리고 모두 30개의 서로다른 톤데이터의 최소공배수를 구하여 그 수만큼 각각의 PCM톤데이터를 해당 어드레스영역에 저장하여 놓는다. 타임슬롯 30에 해당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영역(F000H∼F800H)은 30개의 서로 다른 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 어드레스 발생부(201)의 클리어 데이터가 저장되며, 그 데이터는 "FFH"로 PCM톤데이터의 최소공배수 만큼 저장되며 마지막 바이트는 "00H"로 저장한다. 카덴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어드레스영역(10000H∼1FFFFH)은 도 3과 같은 카덴스 데이터 포맷을 가지고, 25ms마다 4바이트데이터를 리드하며 이 데이터의 각 비트는 30개의 서로다른 PCM톤 데이터의 단속비를 결정하며 비트값이 "1"인 경우 온상태를 나타내며, "0"인 경우 오프(OFF)를 나타낸다. 오프인 경우 아이들 패턴 "54H)가 해당 타임슬롯에 실려 전송된다. 나머지 남는 2비트는 카덴스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어드레스 카운터의 클리어 데이터가 저장되며, 그 값은 "11"로 저장되다가 온/오프 타이밍의 최소공배수가 결정되는 마지막 2개의 비트는 "00"로 저장한다.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201)는 30개의 PCM톤 데이터와 톤어드레스 클리어 데이터를 리드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 어드레스 카운터로직과, 카덴스데이터를 리드하는 제2어드레스 카운터로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어드레스 카운터로직은 카운터클럭으로 프레임동기신호와 2.048MHz클럭으로 분주한 256KHz의 변화에 따라 어드레스 000H를 시작으로 하여 어드레스 0800H, 어드레스 1000H와 같이 증가하며, 도 4와 같은 포맷을 갖는 톤어드레스 클리어 데이터에 의해 클리어된다. 그리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 로직은 25ms RTC클럭인이에블신호와 PCM스트림상의 타임슬롯 31(4.9us)기간동안만 발생되는 CA_CLK에 의해 어드레스 10000H를 시작으로 하여 25ms마다 리드한 4번째 바이트의 비트7의 값이 "1"인 경우 제2어드레스 카운터로직은 클리어된다.
어드레스 버스선택부(203)는 2개의 2×8 MUX로 구성되어 있으며, PCM톤 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와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신호를 선택하며, 하나의 메모리에 PCM톤데이터와 그에 따른 카덴스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어드레스 충돌을 방지한다.
아이들 패턴 발생기(204)는 예를들어 8비트 직/병렬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PCM코딩방식이 A-law인 경우 "54H", u-law인 경우 "7FH"로 카덴스 데이터의 오프시간동안 해당 타임슬롯에 삽입되어 2,048Mbps의 속도로 전송된다.
병/직렬변환기(205)는 PCM톤데이터 병/직렬변환기와 카덴스 데이터 병/직렬변화로 이루어져 있다. PCM톤데이터 병직렬변환기는 예를들어 8비트 쉬프트레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으며, 메모리(100)로부터 리드한 병렬 톤데이터를 2.048Mbps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타임슬롯에 삽입하도록 한다. 카덴스 데이터 병/직렬 변환기는 예를들어 4개의 8비트 병직렬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으며, 25ms마다 리드한 4바이트의 카덴스 제어데이터를 64Kbps의 속도로 해당 타임슬롯에 한 비트씩 모두 32비트들을 시리얼하게 전송하여 PCM톤데이터의 단속비를 결정한다.
클럭발생부(202)는 PCM ST-BUS인터페이스와 관련된 4.096MHz, 2048MHz, FS(Frame Sync)를 수신하여 8KHz(Foi), 256KHz(SQ3), 톤어드레스 카운터클리어신호(TA_CLR), 25ms RTC클럭, 카덴스 데이터 리드어드레스 카운터클리어신호(CA_CLR), PCM 톤데이터를 해당 타임슬롯에 실어주기 위한 로드신호(T_LOAD)를 생성시켜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201)로 제공한다. 상기 25ms RTC클럭은 기존의 톤종류별 단속비의 최소 제어주기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신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하나의 메모리에서 125us마다 PCM톤 데이터를 리드할 때와 25ms마다 단속비 제어 데이터를 리드할 때 버스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톤신호를 발생하므로 DSP등을 사용하지 않게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교환기의 톤 발생회로에 있어서,
    프레임동기신호(FS)와 소정의 클럭신호를 입력하여 톤데이터와 톤종류의 단속비를 제어하기 위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부와,
    PCM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와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버스선택부와,
    상기 클럭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클럭신호를 받아 상기 어드레스 버스선택부로부터 선택된 톤데이터나 카덴스데이터를 억세스하기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와,
    카덴스 데이터의 오프시간동안 해당 타임슬롯에 톤데이터를 삽입하기위한 아이들 패턴신호를 발생하는 아이들패턴 발생기와,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톤데이터나 카덴스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톤데이터와 카덴스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아이들 패턴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패턴에 따라 상기 직렬변환된 톤데이터를 해당 타임슬롯에 삽입하고, 상기 직렬변환된 카덴스데이터에 의해 단속비를 결정하여 톤데이터를 출력하는 병직렬변환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억세스 어드레스 발생부는,
    PCM톤 데이터와 톤어드레스 클리어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 어드레스 카운터로직과,
    카덴스데이터를 리드하는 제2어드레스 카운터로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KR1019990062714A 1999-12-27 1999-12-27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KR10067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714A KR100678153B1 (ko) 1999-12-27 1999-12-27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714A KR100678153B1 (ko) 1999-12-27 1999-12-27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445A KR20010060445A (ko) 2001-07-07
KR100678153B1 true KR100678153B1 (ko) 2007-02-01

Family

ID=1963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714A KR100678153B1 (ko) 1999-12-27 1999-12-27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90365B (zh) * 2007-06-29 2011-03-23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异步串行数据通信通道仿真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445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6409A (en) Control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private branch exchange
US3997727A (en) Time division multiplexed digital switching apparatus
KR860000980B1 (ko) 디지털 pbx시스템
US5220601A (en) Keypad status reporting system
US4571723A (en) Pulse code modulated digital telephony tone generator
KR100678153B1 (ko) 교환시스템의 톤 발생회로
JP2001517003A (ja) サブレートスイッチング遠隔通信スイッチ
US5040172A (en)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channel highway and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for realizing the same
RU2174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для электрон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елефонной станции
JP2921286B2 (ja) デジタルトーン発生回路
US58258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a caller to a selected extension
JPH0618373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KR950013137A (ko) 사설 교환기의 재난 경보 자동 통보 회로
KR0168795B1 (ko) 디지탈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이용한 톤발생회로
KR20000014862A (ko) 톤 송출회로
JPS645496B2 (ko)
GB2257329A (en) Telephone speech path recovery
KR100186231B1 (ko) 교환기의 자동전환장치 및 방법
CA1211875A (en) Tone generator
JP2923886B2 (ja) ディジタルトーン信号発生回路
KR0151931B1 (ko)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사설 전화교환장치
KR0135228B1 (ko) 음성신호 처리회로
KR100508689B1 (ko) 자동전환장치의음성녹음방법
US20030112830A1 (en) ISDN communications terminal apparatus
KR940013030A (ko) 디지탈신호프로세서 코아를 이용한 디티엠에프(dtmf)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