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936B1 -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 Google Patents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936B1
KR100677936B1 KR1020050098833A KR20050098833A KR100677936B1 KR 100677936 B1 KR100677936 B1 KR 100677936B1 KR 1020050098833 A KR1020050098833 A KR 1020050098833A KR 20050098833 A KR20050098833 A KR 20050098833A KR 100677936 B1 KR100677936 B1 KR 10067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ishing
bundle
underline
t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두
Original Assignee
김종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두 filed Critical 김종두
Priority to KR102005009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밑줄에 낚시바늘을 묶어 놓은 묶음바늘의 낚시바늘 반대편 단부에 구슬이나 쿠션고무, 링 등의 밑줄고정구를 봉돌고리에 걸리도록 설치함으로서, 봉돌고리에 묶음바늘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밑줄(1)의 양단부에 낚시바늘(2)이 묶여진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반으로 접어서 낚시바늘(2) 반대편에 형성되는 구부려짐부(4)를 봉돌(6) 하측의 봉돌고리(7)에 묶어 결속하는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있어서, 상기 묶음바늘(5)의 구부려짐부(4)에는 밑줄(1)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0)이 형성되며 외경이 봉돌고리(7) 보다 커서 봉돌고리(7)를 통과하지 못하는 밑줄고정구(9)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시바늘, 묶음바늘, 밑줄고정구, 봉돌고리, 봉돌

Description

민물낚시용 묶음바늘{Fishhook set for fresh-water fishing}
도 1은 종래의 묶음바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묶음바늘이 봉돌고리에 묶여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묶음바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묶음바늘의 사시도.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묶음바늘을 봉돌에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일이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묶음바늘의 일사용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줄 2 : 낚시바늘 3 : 매듭부
4 : 구부려짐부 5 : 묶음바늘 6 : 봉돌
7 : 봉돌고리 8 : 홀쳐묶음부 9 : 밑줄고정구
10 : 관통구멍
본 발명은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밑줄에 낚 시바늘을 묶어 놓은 묶음바늘의 낚시바늘 반대편 단부에 구슬이나 쿠션고무, 링 등의 밑줄고정구를 봉돌고리에 걸리도록 설치함으로서, 봉돌고리에 묶음바늘을 간편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묶음바늘(5)은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밑줄(1)의 양단부에 낚시바늘(2)이 묶여진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반으로 접어서 낚시바늘(2) 반대편에 구부려짐부(4)를 형성하고, 이 구부려짐부(4)와 낚시바늘(2) 사이를 묶어서 매듭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부려짐부(4) 후방을 묶음에 따라 구부려짐부(4)와 매듭부(3) 사이에는 고리형으로 고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묶음바늘(5)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묶음바늘(5)의 구부려짐부(4)를 봉돌(6) 하측의 봉돌고리(7)에 홀쳐매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봉돌고리(7)에 구부려짐부(4)를 홀쳐 묶은 부위를 홀쳐묶음부(8)라고 칭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묶음바늘(5)은 구부려짐부(4)를 봉돌고리(7)에 홀쳐 묶어서 결속하였음에 따라 낚시 중에 낚시바늘(2)의 크기가 적합하지 않아 묶음바늘(5)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홀쳐묶음부(8)를 풀기가 어려워 홀쳐묶음부(8)를 풀어서 묶음바늘(5)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구부려짐부(4)를 절단하여 버리고 새로운 묶음바늘(5)을 봉돌고리(7)에 다시 묶어서 사용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와, 묶음바늘(5)의 구부려짐부(4)를 절단하여 버림에 따라 묶음바늘(5)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묶음바늘(5)의 탈 부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낚시도중에 낚시바늘을 달지 않은 찌맞춤선을 잘하였는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구부려짐부(4)를 포함한 밑줄(1)이 봉돌고리(7)의 아래로 수직 고정됨으로 밑줄(1)의 구부려짐부(4) 부분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어 봉돌(6) 하단부가 불필요하게 위에 위치하므로 입질 초기에 올림표현이 아닌 내림표현이 먼저 나타날 소지가 많아서 유연한 올림표현에 장애가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고기가 입질을 할 경우에 밑줄(1)의 매듭부(3)가 물속의 모래와 같은 이물질과 접촉되어 어신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과, 고기가 입질을 하는 경우에 입질 운동량이 봉돌(6)의 하단부에 전달되기 전에 옆바늘의 영향을 받아 입질표현이 정확하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밑줄에 낚시바늘을 묶어 놓은 묶음바늘의 낚시바늘 반대편 단부에 구슬이나 쿠션고무, 링 등의 밑줄고정구를 봉돌고리에 걸리도록 설치함으로서, 봉돌고리에 묶음바늘을 간편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종래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밑줄의 양단부에 낚시바늘이 묶여진 묶음바늘의 밑줄을 반으로 접어서 낚시바늘 반대편에 형성되는 구부려짐부를 봉돌 하측의 봉돌고리에 묶어 결속하는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있어서, 상기 묶음바늘의 구부려짐부에는 밑줄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외경이 봉돌고리 보다 커서 봉돌고리를 통과하지 못하는 밑줄고정구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은, 밑줄(1)의 양단부에 낚시바늘(2)이 묶여진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반으로 접어서 낚시바늘(2) 반대편에 형성되는 구부려짐부(4)를 봉돌(6) 하측의 봉돌고리(7)에 묶어 결속하는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묶음바늘(5)의 구부려짐부(4)에는 밑줄(1)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0)이 형성되며 외경이 봉돌고리(7) 보다 커서 봉돌고리(7)를 통과하지 못하는 밑줄고정구(9)가 결속된 것이다.
상기 밑줄고정구(9)는 소형구슬이나 쿠션고무, 링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묶음바늘(5)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의 (가)와 같이 밑줄고정구(9)가 묶인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봉돌고리(7)에 감거나, 또는 도 5의 (나)와 같이 밑줄고정구(9)가 묶인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봉돌고리(7)에 묶지 않고 삽입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가)(나)에 도시된 두 가지 실시예 모두 낚시바늘(2)을 봉돌고리(7)로 삽입시키면, 봉돌고리(7)를 기준으로 하여 묶음바늘(5)의 일측에는 봉돌고리(7)를 빠져 나갈 수 없는 밑줄고정구(9)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후크형태로 구부려 진 낚시바늘(2)이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봉돌(6)의 봉돌고리(7)에 묶음바늘(5)을 설치할 수 있으며, 봉돌고리(7)에 끼워진 묶음바늘(5)은 사람의 손으로 일부러 빼내기 전에는 거의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묶음바늘(5)을 봉돌고리(7)에 설치할 때 도 5의 (나)와 같이 밑줄고정구(9)가 묶인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봉돌고리(7)에 묶지 않고 삽입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의 (가)와 같이 밑줄고정구(9)가 묶인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봉돌고리(7)에 감아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도 5의 (가)와 같이 밑줄고정구(9)가 묶인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봉돌고리(7)에 감아매는 경우는 낚시바늘(2)의 크기가 봉돌고리(7) 보다 많이 크지 않을 경우에 물살에 의해 묶음바늘(5)의 밑줄(1)이 흔들리면서 낚시바늘(2)이 봉돌고리(7)를 통하여 빠질 염려가 있을 경우에 안전을 위하여 밑줄(1)을 봉돌고리(7)에 감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일측에 밑줄고정구(9)가 매달리고 타측에 낚시바늘(2)이 설치된 묶음바늘(5)을 봉돌고리(7)에 설치한 상태로 낚시를 즐기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묶음바늘(5)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묶음바늘(5)을 봉돌고리(7)에 끼울 때와 반대로 봉돌고리(7)에서 묶음바늘(5)을 용이하게 빼낸 뒤에 교체하고자 하는 또 다른 묶음바늘(5)을 봉돌고리(7)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묶음바늘(5)을 봉돌고리(7)로 끼울 때와, 또는 빼낼 때 후크형태로 구부려진 낚시바늘(2)을 낚시바늘(2)의 구부려진 형상대로 둥글게 호를 그리는 식으로 끼우거나 빼낼 수 있으므로 봉돌고리(7)에 묶음바늘(5)을 탈 부착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여 종래의 묶음바늘(5)을 교체시 구부려짐부(4)를 절단하는 일을 하지 않 아도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은, 밑줄의 한쪽에는 낚시바늘이 설치되고, 그 반대편에는 봉돌의 봉돌고리를 통과할 수 없는 밑줄고정구를 묶여져 있으며, 이를 봉돌고리에 설치할 때 묶음바늘의 밑줄이나 구부려짐부를 봉돌고리에 묶지 않고 통과시킴에 따라서, 묶음바늘을 봉돌고리에 교체할 때 종래와는 달리 묶음바늘의 교체를 위하여 구부려짐부를 끊지 않고 간편하게 착탈하는 장점이 있어 종래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와, 묶음바늘이 낭비되던 문제를 간단하게 해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묶음바늘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낚시바늘을 달지 않은 찌맞춤의 경우와, 낚시도중에 찌맞춤의 확인 및 점검이 쉬워지며, 찌맞춤이 영점조절된 상태에서 봉돌의 하단부가 최대한 지면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는 효과와, 밑줄의 장애요인인 매듭부가 없으므로 입질표현이 정확하게 표현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밑줄(1)의 양단부에 낚시바늘(2)이 묶여진 묶음바늘(5)의 밑줄(1)을 반으로 접어서 낚시바늘(2) 반대편에 형성되는 구부려짐부(4)를 봉돌(6) 하측의 봉돌고리(7)에 묶어 결속하는 민물낚시용 묶음바늘에 있어서,
    상기 묶음바늘(5)의 구부려짐부(4)에는 밑줄(1)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0)이 형성되며 외경이 봉돌고리(7) 보다 커서 봉돌고리(7)를 통과하지 못하는 밑줄고정구(9)가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KR1020050098833A 2005-10-19 2005-10-19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KR10067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33A KR100677936B1 (ko) 2005-10-19 2005-10-19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33A KR100677936B1 (ko) 2005-10-19 2005-10-19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936B1 true KR100677936B1 (ko) 2007-02-05

Family

ID=3810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33A KR100677936B1 (ko) 2005-10-19 2005-10-19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75Y1 (ko) 2023-09-14 2024-02-28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낚싯바늘 자동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75Y1 (ko) 2023-09-14 2024-02-28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낚싯바늘 자동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7412B2 (ja) 釣り針の根がかり防止装置
JP3853726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及びその固定方法
AU2011231456B2 (en) Fishing lure
GB2494429A (en) Hay net
US8910322B2 (en) Drain chai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drains
WO2010043912A1 (en) Hay net and method of filling a hay net
KR100677936B1 (ko) 민물낚시용 묶음바늘
KR200446455Y1 (ko) 훌치기 낚시
US4646464A (en) Crawfish harness
CA1098312A (en) Fish catcher
JP6389863B2 (ja) テンヤ用ワイヤーアシストフックおよびテンヤ
KR20100078164A (ko) 조립식 뜰채
CN203709084U (zh) 一种鱼钩
KR100786018B1 (ko) 찌매듭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13065U (ko) 통발
KR102040792B1 (ko) 미역 채묘틀
CN101658158B (zh) 自挂式鱼钩及其钩组
GB2411560A (en) Fishing tackle connector
US2875550A (en) Bait holding fish hook unit
KR200176859Y1 (ko) 쌍바늘 낚시채비
AU2007100717A4 (en) Rig and Hook keeper
JP2007097535A (ja) 釣糸の結束部付き釣り針
KR0126634Y1 (ko) 통발용 미끼통의 취부고리
JP2007089570A (ja) コマセを運ぶ巾着ネットウキ
KR200200555Y1 (ko) 낚시대부착용 스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