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56B1 -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56B1
KR100677856B1 KR1020050063394A KR20050063394A KR100677856B1 KR 100677856 B1 KR100677856 B1 KR 100677856B1 KR 1020050063394 A KR1020050063394 A KR 1020050063394A KR 20050063394 A KR20050063394 A KR 20050063394A KR 100677856 B1 KR100677856 B1 KR 100677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ipe
printing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287A (ko
Inventor
조병우
조보행
조규행
Original Assignee
조병우
조보행
조규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우, 조보행, 조규행 filed Critical 조병우
Priority to KR102005006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56B1/ko
Priority to US11/368,218 priority patent/US20070012208A1/en
Publication of KR2007000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4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with duct-blades or like me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10Applications of feed or duct rollers
    • B41F31/12Applications of feed or duct rollers adjustable for regulating supply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셋인쇄시 잉크집으로 역류되는 에치액은 인쇄 잉크의 농도와 점도를 변화시키고, 각종 인쇄장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인쇄 잉크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프셋 인쇄 과정에서 잉크집으로 역류한 지분과 파우더 분말, 기타 이물질로 형성된 혼합물을 제거하고, 오프셋인쇄에서 인쇄기계의 사용을 개시함과 동시에 에치액이 잉크집에 역류하여 잉크의 농도를 저하시켜 최초의 인쇄 색상과 달라지게 되는 잉크 농도 변화의 감소를 방지하며, 일반적으로 공조설비가 없는 인쇄실에서 기계 가동열 등으로 인해 실온이 상승에 따른 잉크 점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인쇄시 잉크의 연속적인 수직운동으로 화상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의 잉크소모와 에치액의 소모량이 다른 잉크를 균일하게 교반시켜 인쇄물의 불량이 많았던 오프셋인쇄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프셋인쇄기, 에치액, 농도측정장치, 인쇄 적성 부여

Description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Method and equipment for endowment and maintenance of printability of offset printing}
도 1은 본 발명상의 오프셋인쇄 잉크의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오프셋인쇄기의 잉크집에 삽입되는 흡입관을 도시한 일측면도.
도 3은 모터에 의해 흡입된 잉크를 필터링하는 필터장치의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잉크에서 습수 에치액을 분리하기 위한 진공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진공장치에 사용되는 무축교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상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를 이용한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진공장치에서 습수 에치액을 분리한 후, 다시 잉크집으로 배출하는 것을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인쇄작업 종료시의 잉크집의 잉크를 진공장치로 흡입하는 것을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잉크흡입 2. 잉크가열 3. 잉크 필터링
4. 습수애치액 진공증발 5. 잉크냉각 6. 잉크회송
10. 잉크집 11. 흡입관 12. 배출관
13. 연결구 14. 펌프 15. 가열장치
16. 밴드히터 17. 필터장치 30. 진공장치
51. 펌프
본 발명은 오프셋인쇄시 에치액 등의 수분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셋인쇄시 잉크집으로 역류되는 에치액은 인쇄 잉크의 농도와 점도를 변화시키고, 각종 인쇄장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인쇄 잉크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프셋 인쇄는 물과 기름의 반발을 이용하여 인쇄판 위에서 화선부를 친유성으로하고 비화선부를 친수성으로 한다. 화선부에 인쇄잉크를 전이하게하고 이를 브랑켓을 통하여 용지에 화선부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물의 인쇄적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첨가제를 사용한 습수 에치액을 조제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치액은 잉크와 함께 기계 가동 중에 연속적으로 공급되 며, 기름과 물의 반발 원리를 이용하여 인쇄를 하게 되는 것이 오프셋 인쇄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셋인쇄는 기계 가동시 습수계통을 통하여 에치액이 잉크집에 연속적으로 역류하게 된다. 역류된 에치액은 잉크의 농도와 점도를 변화시키고, 각종 인쇄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인쇄 잉크는 통상 물 또는 에치액을 25 ∼ 30% 함유하는 에멀젼이 되어도 인쇄에는 지장이 없도록 설계하게되는 바, 이는 오프셋인쇄에서 에치액의 연속적인 잉크집으로의 역류를 피할 수 없는 까닭이다.
에치액의 역류로 잉크의 농도가 저하되면 동일한 농도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량의 잉크를 사용하여야 하고, 잉크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에치액은 더 많이 역류하는 상황이 반복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기계 제작사는 인쇄잉크 농도 자동측정장치(Printing Density Control)로 인쇄물에서의 인쇄잉크 농도를 측정하고, 이 값을 인쇄 전에 입력한 교정본 또는 기준색상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쇄기의 잉크-키를 조정하는 일 등이 반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인쇄 잉크 농도 자동측정장치는 오프셋인쇄의 기술적인 요체는 에치액과 잉크의 바란스(Balance)를 맞추는 것이다.
인쇄기계 제작도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 또는 감소하기 위한 각종 보조 장치가 인쇄기계에 장착되지만, 이로 인하여 인쇄기계의 가동 부하가 증대함은 물론 기계 가격을 앙등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잉크는 화상의 배치와 요구 농도에 따라서 많게 또는 적게 소모된다.
따라서, 에치액은 인쇄판 전면에 고르게 공급하므로 화상이 많은 부위에는 에치액이 적게 함유되며, 적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에치액의 함량이 많게되므로 인쇄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인쇄 중에 잉크집으로 역류한 지분과 파우더 분말, 기타 이물질로 형성된 혼합물을 제거하고;
오프셋인쇄에서 인쇄기계의 사용을 개시함과 동시에 에치액이 잉크집에 역류하여 잉크의 농도를 저하시켜 최초의 인쇄 색상과 달라지게 되는 잉크 농도 변화의 감소를 방지하고;
일반적으로 공조설비가 없는 인쇄실에서 기계 가동열 등으로 인해 실온이 상승에 따른 잉크의 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쇄시 잉크의 연속적인 수직운동으로 화상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의 잉크소모와 에치액의 소모량이 다른 잉크를 균일하게 교반시키고;
인쇄작업을 종료할 때, 잉크를 다시 회수하고, 기계 재가동시 회수된 잉크는 피막이 건조되어 사용이 불가능하여, 통상 1kg 이하의 경우는 폐기되어 잉크의 손실 및 인쇄물의 불량이 많았던 오프셋인쇄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프셋 인쇄기의 잉크집(10)에 잉크를 재처리하기 위해 측면에 흡입구(11a)가 형성되고, 끝단에 삽입공(11b)가 형성된 흡입관(11)과, 상기 흡입관(11)에 연결되는 연결구(13)가 형성된 배관(P1)과 상기 배관(P1)에 형성된 밸브(V1)와, 상기 배관(P1)에 연결된 펌프(14)와, 상기 펌프(14)의 토출구에 연결된 배관(P2)과, 상기 배관(P2)에 형성된 밸브(V2)와, 상기 배관(P2)에 연결되고 밴드히터(16)으로 감싸져서 일정온도가 유지되는 가열장치(15)와, 상기 가열장치(15)에 연결된 배관(P3)와, 상기 배관(P3)에 연결되고 외측케이스(18)과 그 내부에 내측케이스(18)과 필터(20)이 끼워지고 상면에 커버(21)로 되는 필터장치(17)와, 상기 필터장치(17)에 연결되는 배관(P5)과 배관(P5)에 형성된 밸브(V5)와, 상기 배관(P5)과 배관(P10)이 연결되는 케이스(33)와 배관(P6)(P7)(P8)(P9)이 끼워지는 덮개(32)가 고정용 볼트(34)로 결합되고 내측에 교반장치(31)이 장착되는 진공장치(30)와, 상기 가열장치(15), 필터장치(17)와 진공장치(30)을 수납하는 보온용 하우징(50)과 상기 보온용 하우징(50)을 채우는 보온재와, 상기 배관(P6)(P7)(P8)(P9)에 형성된 밸브와, 배관(P10)에 형성된 쓰리웨이밸브(T1)과, 배관(10)에 연결되는 펌프(51)와, 상기 펌프(51)의 토출구에 연결된 배관(P11)과, 배관(P11)에 형성되고 배관(P9)에 연결된 쓰리웨이밸브(T2)와, 상기 배관(P11)에 연결된 냉각기(52)와, 상기 냉각기(52)에 연결된 배관(P12)와, 배관(P12)에 형성되고 배관(P13)과 연결되는 쓰리웨이밸브(T3)와, 배관(P13)의 선단에 끼워지는 배출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을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상의 오프셋인쇄 잉크의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오프셋인쇄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집(10)과 잉크집(10)에 공급된 잉크를 50 ∼ 60℃의 저온 환경에서 잉크의 이물질을 필터하고, 습수 에치액을 증발 추출하기 위해 다수개의 펌프(14)(51), 가열장치(15), 필터(17), 진공장치(30)와 냉각기(52)(53), 진공펌프(54)로 구성된다.
오프셋인쇄기의 잉크집(10)에는 잉크를 재처리하기 위한 흡입(배출)관(11)(12)이 배관에 부착된다.
상기 흡입(배출)관(11)(12)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a)가 흡입관(11) 측면에 뚫려 있고, 흡입구(11a)는 잉크집(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구멍의 직경이 감소하여 흡입시 잉크의 유입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그 선단을 절곡하여 그 끝단에 삽입공(11b)를 형성시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 배관의 연결구(13)에 연결한다.
흡입관(11)은 잉크집(10)의 내측으로 밀어 분리되어, 사용 후 세척이 간편하고, 세척 후 산화 건조방지용 스프레이를 도포하여 관 내부에서 잉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흡입관(11)을 도시한 측면도로, 상기 흡입관(11)은 흡입구(11a)가 형성된 부분이 잉크집(10)의 잉크에 잠기어 인쇄기 가동시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를 위해 흡입구(11a)로 흡입된다.
상기 연결구(13)가 형성된 배관(P1)에는 인쇄 잉크의 정량적인 흡입을 위해 펌프(14)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14)는 인쇄 잉크가 상온에서 고점도이므로 모노펌프(mono pum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펌프(14)는 잉크집(10)의 잉크를 과다 흡입할 경우 인쇄에 지장을 주므로 일정한 량을 정량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량을 설정한다.
상기 펌프(14)에서 흡입된 잉크는 펌프(14)의 토출구에 연결된 배관(P2)에 의해 가열장치(15)로 이송된다.
상기 가열장치(15)에는 밴드 히터(band heater)(16)을 설치한다. 이는 상온에서 잉크가 일반 점도계로는 측정이 불가할 정도로 높지만, 50℃에서는 대개 22,000 ∼ 25,000CPS이며, 60℃에서는 14,000CPS 내외이므로 차후 공정인 필터링과 진공 공정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밴드히터(16)로 가열하여 준다.
상기 가열장치(15)를 통과한 잉크는 배관(P3)을 통해 필터장치(17)로 이송된다.
상기 필터장치(17)는 인쇄 중에 잉크에 혼입된 종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장치(17) 내부에 필터를 장착하며, 이때 필터는 스크린 메쉬(screen mes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쉬의 선정은 잉크와 지분의 정도를 검토하여 선정한다.
도 3은 필터장치(17)의 측단면도로, 필터장치(17)는 외측 케이스(18), 내측케이스(19), 필터(20)와 커버(21)로 구성되어 커버(21)를 열면, 외측 케이스(18)와 필터(20) 사이에 내측 케이스(19)가 끼워져 있고, 오염된 필터(19)의 청소와 교체 를 위해 내측 케이스(19)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 케이스(19)는 배관(P3)에 끼워지는 삽입공(19a)과, 내측 케이스(19)는 배관(P5)에 연결되는 삽입공(19b)이 형성되어서, 가열장치(15)에 연결된 배관(P3)에서 유입된 잉크가 외측 케이스(18)과 내측 케이스(19)를 관통해 필터(20)에 연결되어, 잉크가 배관(P3)에 의해 유입되면, 필터(20)에서 내측 케이스(19)로 옮겨 가면서 이물질 등이 제거된다.
상기 커버에 배관(P4)과 밸브(V4)를 연결하여서 잉크의 장기 보관시 산화방지제를 주입한다.
상기와 같이 필터링 된 잉크는 외측 케이스(18) 하단부에 형성된 배관(P5)를 통해 진공장치(30)으로 유입된다.
진공장치(30)에서는 여분의 습수 에치액을 진공 증발하여 잉크가 적정 수준의 습수를 함유하도록 정제한 후에 잉크집(10)에 회송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서 잉크 농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하여 각종 인쇄 장애 요소를 해소한다.
진공장치(30)에는 무축 방식의 교반장치(31)로 진공효과를 촉진을 위해 고속으로 교반한다.
도 5는 상기 무축 방식의 교반장치(31)를 사용하는 진공장치(30)를 도시한 단면도로, 진공장치(30)은 배관(P6)(P7)(P8)(P9)이 끼워지는 삽입공이 형성된 덮개(32)와, 교반장치(31)가 삽입되고, 배관(P5)(P10)이 끼워지는 삽입공이 형성된 케이스(33)가 고정용 볼트(3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진공장치(30)에 삽입되는 교반장치(31)는 케이스(33)의 내측에 끼워지 며, 내측에 끼우기 위해 케이스(33)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지지대(3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5)의 중심부에는 교반축(36)이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축(36)의 하부 선단에는 잉크교반을 위한 교반 날개(37)가 설치되고, 지지대(35)의 상측으로 돌출된 교반축(36)에는 교반축(36)을 회전시키기 위한 자석(38)이 부착된다.
상기 자석(38)이 부착된 교반장치(31)는 자석(38) 하부와 지지대(35) 사이에 베어링(39)이 설치되어 교반축(36)의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킨다.
상기 자석(38)과 베어링(39)이 부착된 교반축(36)의 상부에는 보호용 덮개(40)로 그 외측면을 감싸서, 고점도 잉크 유입에 따른 고장을 방지한다.
진공장치(30) 내부의 교반장치(31)는 외측에 구성된 자석(41)의 회전에 의해 작동한다.
진공장치(30)의 외부에는 자석(41)의 회전을 위해 모터(42)의 연결축(43)에 자석(41)이 연결되고, 자석의 상, 하 이동을 위한 이송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장치는 받침대(44)에 나사산(45)이 형성된 지지대(46)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지지대(46)에는 지지대(46)에 형성된 나사산(46)에 의해 수직 이동할 수 있는 기어박스(47)가 부착되고, 상기 기어박스(47)는 외부에 형성된 모터(48)가 회전운동을 하면 모터(48) 축에 연결된 웜기어가 나사산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 하로 이동하여, 진공장치(30)의 덮개(32)를 분해할 때는 모터(48)를 작동시켜 교반장치(31) 작동용 자석(41)을 상부로 들어올리고, 교반장치(31)를 작동 시킬 때에는 모터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하부로 내려서 교반장치(31)를 가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장치(30)는 케이스(33)와 덮개(32) 사이에 실링재를 삽입하여 진공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한다.
상기 가열장치(15), 필터장치(17)와 진공장치(30)는 보온용 하우징(50)으로 감싼 후, 밴드 히터로 보온하여 준다.
상기 보온용 하우징(50)은 가열장치(15), 필터장치(17)와 진공장치(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내측에 보온재를 넣어 구성된다.
상기 진공장치(30)에 필터장치(17)에서 배관(P5)을 통해 이송되는 잉크가 유입되는 배관(P5)과, 상부 커버에는 진공상태에서 단시간에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배관(P6)과, 진공장치(30)에서 잉크를 장기 보관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산화방지제를 투입하거나, 진공장치(30)의 내부 청소를 위한 용제주입구로 사용되는 배관(P7)과, 진공장치(30)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해 진공펌프와 연결된 배관(P8′)과, 진공펌프(54)가 연결되어 잉크 정제시 발생된 습수액의 증기를 냉각기(53)에 연결되어 응축된 증기가 이동되는 배관(P8)과, 응축된 습수액을 습수 탱크로 이송하는 배관(P14)과, 인쇄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 잉크집(10)에 잉크를 진공장치로 보내는 배관(P9)과, 진공장치(30)에서 잉크가 배출되는 배관(P10)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관(P6)(P7)(P8)(P9)에는 잉크 또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V6)(V7)(V8)(P9)가 구비되며, 이 중 진공장치(30)에서 잉크를 배출하는 배관(P10)은 쓰리웨이밸브(T1)에 의해 펌프(51)로 이송되고, 이송된 잉크는 배관(P11)(P12)과 냉각기(52)를 통해 잉크집(10)으로 배출된다.
진공장치(30)에서 처리된 잉크는 펌프(51)의 작동으로 배관(P10)과 쓰리웨이밸브(T1)와 펌프(51)을 통해 냉각기(52)로 이송되며, 냉각기(52)에 유입된 잉크는 진공작업 시 상승한 잉크의 온도를 낮추어 인쇄작업의 적성 온도인 25℃도 내외로 냉각하여 잉크집(10)으로 회송시킨다.
배관(P12)에는 쓰리웨이밸브(T3)가 설치되고, 밸브에 연결된 배관에는 처리된 잉크를 다시 잉크집(10)으로 회송시키기 위한 배출관(12)이 부착되며, 그 구조는 흡입관(11)과 같은 구조로 되는 배출관(12)으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가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상의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 잉크흡입(1), 잉크가열(2), 잉크 필터링(3), 습수애치액 진공증발(4), 잉크냉각(5), 잉크회송(6) 순으로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시킨다.
먼저 잉크흡입(1)은 밸브(V1)(V2)(V5)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는 모두 폐쇄한 후, 펌프(14)를 작동시킨다.
펌프(14)의 작동으로 일정량이 펌프에 의해 정량이 유입되면, 밸브(V1)을 폐쇄한 후, 펌프내의 잉크를 가열장치(15)로 이송시켜 잉크가열(2) 작업을 실시한다.
잉크가열(2)은 가열장치에 이송 된 잉크는 밴드 히터에 의해 60℃ 내외로 가열한다.
잉크가열(2) 작업이 완료되면 잉크 필터링(3) 작업을 실시하게 되고, 여과된 잉크는 진공상태인 진공장치(30)에 흡입되어, 습수 에치액 진공증발(4)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작업 상태에서는 배관(P8′)에 연결된 진공펌프(54)의 작업을 위해 밸브(V8)를 개방하고, 그 외의 밸브는 모두 폐쇄한다.
상기 진공장치(30)에 의해 습수 에치액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잉크 정제시 발생된 습수액의 증기는 냉각기(53)를 통해 응축시킨 후, 다시 에치액 탱크로 회송하여 재사용 한다.
잉크에서 습수액 증발작업이 완료되면, 압축공기주입 배관(P6)과 이 배관(P6)에 연결된 밸브(V6)를 개방하여 진공장치(30)의 진공상태를 단시간에 해제시킨다.
도 7은 습수 에치액 진공증발(4) 작업을 완료한 후, 잉크회송을 도시한 도면으로, 잉크의 회송을 위해 쓰리웨이밸브(T1)을 개방하고, 펌프(51)로 잉크를 흡입하며, 이때 밸브(V5)(V6)(V8)(V9)는 폐쇄한다.
상기 펌프(51)로 유입된 잉크는 쓰리웨이밸브(T2)와 배관(P11)을 통해 냉각기(52)로 보내지며, 이때 진공작업시 상승된 잉크 온도를 낮추는 잉크 냉각(5)작업이 이루어지고, 인쇄 적정온도인 25℃ 내외로 유지된 잉크는 배관(P12)와 쓰리웨이밸브(T3)가 개방되어 잉크집(10)으로 잉크 회송(6)이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오프셋 인쇄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잉크집(10)내의 에치액 분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도 8은 잉크작업 종료시의 잉크의 흡입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인쇄 종료시 잉크집(10)의 잔여 잉크를 보관하기 위해 펌프(51)로 잉크집(10) 내부의 잉크를 흡입한다.
이때 쓰리웨이밸브(T1)(T2)(T3)와 밸브(V9)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밸브는 폐쇄한다.
먼저, 잉크집(10)의 잉크는 쓰리웨이밸브(T1)와 쓰리웨이밸브(T3)의 개방으로 흡입된 잉크는 배관(P13)을 통해 펌프(51)로 흡입되고, 흡입된 잉크는 쓰리웨이밸브(T2)의 개방으로 배관(P9)과 밸브(V9)을 통해 진공장치로 유입되어 다음 인쇄 작업의 시작 전까지 보관된다.
잔여 잉크의 흡입시에는 잉크집(10)의 완전한 흡입을 위해 흡입관(배출관)(11)(12)을 잉크집(10)의 로라까지 내려서 잔여 잉크를 최소화 하고 그래도 남아 있는 잉크는 로라 세척시 폐기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오프셋인쇄는 습수계통을 통하여 에치액이 잉크집에 연속적으로 역류하게 된다. 역류된 에치액은 잉크의 농도와 점도를 변화시키므로, 오프셋인쇄기 잉크집의 잉크의 계속적인 필터링을 통해 인쇄시 발생하는 지분, 파우더와 이물질을 계속하여 제거하고, 인쇄시 역류하는 습수 에치액 등의 수분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며, 잉크 온도를 작업적성에 맞게 유지하고, 잉크집 내부의 잉크는 수평이동을 통한 교반효과를 주어 잉크집 내부의 에치액 분포를 일정하게 하며, 작업 종료 후에는 잔여 잉크의 회수 및 보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오프셋 인쇄기의 잉크집(10)에 잉크를 재처리하기 위해 측면에 흡입구(11a)가 형성되고, 끝단에 삽입공(11b)가 형성된 흡입관(11)과, 상기 흡입관(11)에 연결되는 연결구(13)가 형성된 배관(P1)과 상기 배관(P1)에 형성된 밸브(V1)와, 상기 배관(P1)에 연결된 펌프(14)와;
    상기 펌프(14)의 토출구에 연결된 배관(P2)과, 상기 배관(P2)에 형성된 밸브(V2)와, 상기 배관(P2)에 연결되고 밴드히터(16)으로 감싸져서 일정온도가 유지되는 가열장치(15)와;
    상기 가열장치(15)에 연결된 배관(P3)와, 상기 배관(P3)에 연결되고 외측케이스(18)과 그 내부에 내측케이스(18)과 필터(20)이 끼워지고 상면에 커버(21)로 되는 필터장치(17)와, 상기 필터장치(17)에 연결되는 배관(P5)과 배관(P5)에 형성된 밸브(V5)와;
    상기 배관(P5)과 배관(P10)이 연결되는 케이스(33)와 배관(P6)(P7)(P8)(P9)이 끼워지는 덮개(32)가 고정용 볼트(34)로 결합되고 내측에 교반장치(31)이 장착되는 진공장치(30)와, 상기 가열장치(15), 필터장치(17)와 진공장치(30)을 수납하는 보온용 하우징(50)과 상기 보온용 하우징(50)을 채우는 보온재와;
    상기 배관(P8)에 연결된 냉각기(53)와, 상기 냉각기(53)에서 응축된 증기가 이동되는 배관(P14)과, 상기 냉각기(53)와 진공펌프(54)를 연결하는 배관(P8′)과;
    상기 배관(P6)(P7)(P9)에 형성된 밸브(V6)(V7)(V9)와, 배관(P10)에 형성된 쓰리웨 이밸브(T1)과, 배관(10)에 연결되는 펌프(51)와, 상기 펌프(51)의 토출구에 연결된 배관(P11)과, 배관(P11)에 형성되고 배관(P9)에 연결된 쓰리웨이밸브(T2)와, 상기 배관(P11)에 연결된 냉각기(52)와, 상기 냉각기(52)에 연결된 배관(P12)와, 배관(P12)에 형성되고 배관(P13)과 연결되는 쓰리웨이밸브(T3)와;
    배관(P13)의 선단에 끼워지는 배출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
  2. 삭제
  3. 밸브(V1)(V2)(V5)를 개방하고, 펌프(14)를 가동시켜 잉크집(10)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흡입하는 잉크흡입(1) 과정과;
    상기 펌프(14)에 의해 잉크가 유입되면, 밸브(V1)을 폐쇄하고, 흡입된 잉크를 가열장치(15)로 이송시켜 잉크를 가열장치(15)로 이송시켜 잉크를 가열하는 잉크가열(2) 과정과;
    상기 잉크의 가열이 완료되면 배관(P3)을 통해 필터장치(17)로 이송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잉크를 정제하는 잉크 필터링(3) 과정과;
    상기 정제된 잉크는 배관(P5)을 통해 진공장치(30)로 유입되고, 유입된 잉크는 진공장치에 의해 잉크에서 습수액을 증발시키며, 증발된 습수액은 냉각기(53)을 통해 응축시킨 후, 다시 에치액 탱크로 회송하여 재사용하고, 습수액의 증발작업이 완료되면 밸브(V6)를 개방하여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습수 에치액 진공증발(4) 과정과;
    에치액 진공증발이 완료되면 진공작업시 상승된 잉크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각기(52)에 통한 잉크냉각(5) 과정과;
    냉각기(52)를 통과한 잉크는 배관(P12)를 통해 잉크집으로 회송되는 잉크회송(4) 과정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를 이용한 유지 방법.
  4. 잉크 작업 종료시 잉크집(10)의 잉크는 쓰리웨이밸브(T1)와 쓰리웨이밸브(T3)의 개방으로 흡입된 잉크는 배관(P13)을 통해 펌프(51)로 흡입되고, 흡입된 잉크는 쓰리웨이밸브(T2)의 개방으로 배관(P9)과 밸브(V9)을 통해 진공장치로 유입되어 다음 인쇄 작업의 시작 전까지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를 이용한 유지 방법.
KR1020050063394A 2005-07-13 2005-07-13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KR100677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394A KR100677856B1 (ko) 2005-07-13 2005-07-13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US11/368,218 US20070012208A1 (en) 2005-07-13 2006-03-03 Offset prin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394A KR100677856B1 (ko) 2005-07-13 2005-07-13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87A KR20070008287A (ko) 2007-01-17
KR100677856B1 true KR100677856B1 (ko) 2007-02-05

Family

ID=3801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394A KR100677856B1 (ko) 2005-07-13 2005-07-13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9218B (zh) * 2022-01-07 2023-04-28 杭州爱森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恒温循环油墨槽及应用该油墨槽的装饰纸印刷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452A (ja) * 1995-09-20 1997-03-25 Nikken Kagaku Kenkyusho:Kk オフセット印刷機の湿し水供給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湿し水供給装置
JPH10114055A (ja) * 1996-10-09 1998-05-06 Toyo Ink Mfg Co Ltd 印刷インキの供給装置
JPH10337855A (ja) * 1997-06-10 1998-12-22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凹版印刷機のワイピング液循環装置
KR20010105688A (ko) * 2000-05-17 2001-11-29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452A (ja) * 1995-09-20 1997-03-25 Nikken Kagaku Kenkyusho:Kk オフセット印刷機の湿し水供給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湿し水供給装置
JPH10114055A (ja) * 1996-10-09 1998-05-06 Toyo Ink Mfg Co Ltd 印刷インキの供給装置
JPH10337855A (ja) * 1997-06-10 1998-12-22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凹版印刷機のワイピング液循環装置
KR20010105688A (ko) * 2000-05-17 2001-11-29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87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8779B2 (ja) 乳化液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06087899A1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677856B1 (ko) 오프셋인쇄 잉크의 인쇄 적성 부여 및 유지 장치와 이를이용한 유지 방법
US4818284A (en) Ink reclamation system
US11318492B2 (en) Hot glue unit for a labeling machine with extractor
CN108031333A (zh) 一种广告传媒印刷用油墨混合设备
US4874515A (en) Ink reclamation system
CN204472075U (zh) 一种凹版印刷机的墨池机构
CN112843863A (zh) 一种印刷色料回收装置
US20070012208A1 (en) Offset printing system
US7643776B2 (en) Ink building
JPH0286449A (ja) インキ供給装置
JP3796547B2 (ja) 凹版印刷機のワイピング液循環装置
US3983837A (en) Ribbon re-inking apparatus
CN107253395A (zh) 一种恒温恒湿自动供墨的印刷机
US4948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rifying used lubricating oil
JP2007196535A (ja) 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の印刷性能の改善と維持のための手法と機器
CN221090249U (zh) 一种单张纸平版印刷机自动供墨装置
DE1263020B (de) Vorrichtung an einer Offsetdruckmaschine zum Zufuehren von Befeuchtungsfluessigkeit
CN218925647U (zh) 一种彩印印刷设备的色料回收装置
CN213830967U (zh) 一种印刷机油墨循环回收装置
JPH0216280Y2 (ko)
JPH04101410A (ja) コンデンサ油充填含浸装置とコンデンサ油の充填含浸方法
US20240066427A1 (en) Assembly for removal of water from oil
CN213734116U (zh) 一种塑料薄膜印刷机循环供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