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971B1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971B1
KR100676971B1 KR1020050029543A KR20050029543A KR100676971B1 KR 100676971 B1 KR100676971 B1 KR 100676971B1 KR 1020050029543 A KR1020050029543 A KR 1020050029543A KR 20050029543 A KR20050029543 A KR 20050029543A KR 100676971 B1 KR100676971 B1 KR 10067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ld
cold storage
cold air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412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9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6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ld storage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의 후벽에 제공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냉기토출그릴; 상기 냉장고 본체의 냉기를 축냉하여 냉장고의 미가동시 방냉하는 축냉팩; 및 상기 축냉팩을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벽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축냉팩이 접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홀이 관통 성형되는 커버 케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커버 케이스를 사용자가 착탈할 수 있어 축냉팩을 적절히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를 착탈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아 불편함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축냉장치, 착탈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Refrigerator and cool storage apparatus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3은 커버 케이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버 케이스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축냉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압축기의 동작상태와 냉장고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
도 8은 축냉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압축기의 동작상태와 냉장고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8 : 냉기토출그릴
9 : 냉기토출구 10 : 축냉장치
11 : 커버 케이스 12 : 축냉팩
13 : 냉기방출홈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가동시 냉기를 축냉하였다가 정전이나 압축기의 오프타임 등에 따른 냉장고의 미가동시에 방냉하므로써 냉장고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축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착탈 가능한 축냉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냉장고의 부하에 따라 축냉장치와 축냉팩의 내용물을 사용자가 임의로 교체할 수 있어, 냉장고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축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온의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기기로서,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중에 발생되는 냉기가 고내로 공급되어 고내의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축냉재는 상변화가 가능한 액상의 물질로써, 상기 축냉재를 사용한 냉장고로써, 대한민국 실용등록 0136059에는 축냉재를 포함하는 축냉선반이 설치된 냉장고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축냉선반에는 축냉재 삽입홈을 두어 축냉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냉기방출홈을 두어 축냉재의 냉기가 방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축냉선반은 축냉선반 내부에 축냉재 삽입홈과 냉기방출홈을 동시에 형성시켜야하기 때문에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축냉선반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놓이는 경우 축냉선반이 투명하지 않기 때문에,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조명이 닿지않아 음식물을 잘 볼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축냉선반은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선반의 착탈 및 상/하 이동의 경우 축냉선반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에게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1995-05121에는 냉장고 좌/우 측벽과 단열재사이에 축냉재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측벽의 단열발포폼 안에 축냉재가 위치하는 경우 축냉재의 착탈이 불가능하고, 단열발포폼의 발포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축냉재를 함유하는 케이스는 두꺼운 사출물로 성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열재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므로, 고외와의 단열두께가 크게 줄기 때문에 축냉재가 보냉되는 효과가 약하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냉장고 측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어와의 위치가 가깝기 때문에 잦은 도어의 개폐로 인하여 축냉재가 보냉을 하기에는 온도분포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축냉재의 보냉 효과를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사용상 불편함이 없는 축냉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축냉팩을 적절히 교체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축냉장치를 착탈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상의 편리함을 주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의 큰 변화를 주지 않고도 축냉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의 후벽에 제공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냉기토출그릴; 상기 냉장고 본체의 냉기를 축냉하여 냉장고의 미가동시 방냉하는 축냉팩; 및 상기 축냉팩을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벽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축냉팩이 접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홀이 관통 성형되는 커버 케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축냉장치는 저장실의 냉기를 축냉하여 냉장고의 미가동시 방냉하는 축냉팩; 및 상기 축냉팩을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벽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축냉팩이 접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홀이 관통 성형되는 커버 케이스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에 의해서 사용자는 축냉장치를 임의로 착탈할 수 있어 축냉팩의 내용물을 적절히 교체할 수 있고, 축냉장치를 착탈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게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고 본체(2)와,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3)과, 영하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보관되도록하는 냉동실(4)과, 냉장실(3)을 개폐하도록 하는 냉장실 도어(5)와, 냉동실(4)을 개폐하도록 하는 냉동실 도어(6)가 포함된다.
또한, 냉동실(4)과 냉장실(3)에는 소정의 냉동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냉기 토출구(9)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토출구(9)의 사이에는 냉장고(1)의 가동시 냉기를 저장하였다가, 정전등에 따른 냉장고(1) 미가동시에 방냉하도록 하는 축냉장치(10)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축냉장치(10)는 상기 냉기 토출구(9)의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냉기 토출구(9)의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고(1)에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등의 부품이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에는 바텀프리저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양문형 냉장고, 탑 마운트형 냉장고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축냉장치(10)의 작동 또는 작용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소정의 냉동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는 냉동실(4)과 냉장실(3)에 형성되어 있는 냉기 토출구(9)로 유입되어 냉동실(4) 및 냉장실(3)을 저온의 환경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냉장고(1)가 가동중일 때는 축냉장치(10)는 냉기를 축냉하게 된다. 정전 등에 의해 냉장고(1)가 미가동될 때에는 축냉장치(10)는 방냉하게 되어, 냉장고(1)의 환경을 저온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냉장실(3)에 설치되는 축냉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버 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버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냉장실(3)의 후면에는 냉기가 냉장실(3)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냉기토출덕트(7)를 형성하는 냉기토출그릴(8)이 형성되고, 냉기토출덕트(7)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가 냉장실(3)로 유입되도록하는 냉기 토출구(9)가 복수개 형성되며, 냉기 토출구(9)의 사이에는 보냉기능을 하는 축냉장치(10)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축냉장치(10)는 냉기를 보냉하는 효과를 가지는 축냉팩(12)과, 상기 축냉팩(12)을 지지하는 커버 케이스(11)와, 상기 커버 케이스(11)에 형성되어 냉장실(3)과 축냉팩(12)사이에 열교환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냉기방출홈(13)이 포함된다.
상기 커버 케이스(11)는 냉장실(3)의 후면에 사용자에 의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착탈 가능한 구조로는 걸림구조일 수도 있고, 나사와 볼트의 결합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11)는 축냉팩(12)을 커버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냉기 토출구(9)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바로 커버 케이스(11)에 전달될 때에는 냉기와 축냉팩(12)사이의 열을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상기 커버 케이스(11)는 열전도도 가 높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기방출홈(13)은 냉장실(3)과 축냉팩(12)사이에 열교환이 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릿 형태나 일정간격을 가진 다수의 원형구멍, 다각형 구멍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기방출홈(13)의 형태가 슬릿 형태인 경우에는 많은 양의 냉기가 냉장실(3)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냉기방출홈(13)의 형태가 일정간격을 가진 다수의 구멍일 경우에는 냉기가 냉장실(3)내로 골고루 퍼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축냉팩(12)에는 보냉기능을 하는 소정의 물질인 축냉재가 들어있다. 상기 축냉재의 조성은 고내 유지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상변화가 일어나도록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융해열을 이용하여 최대한 보냉기능을 하도록 하여야하는데, 냉장실(3)의 경우에는 5도 정도의 융해열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냉재는 상변화가 가능한 액상의 물질, 예를 들면 알코올, 염화나트륨 수용액, 폴리에틸렌클리콜 이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함유한 화학재료, 또는 이들과, 물, 알코올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비열 및 열전도도가 큰 금속이나 고상의 물질도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서 축냉재의 교체가 가능하기 위해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축냉팩(12) 자체를 교체할 수 있고, 축냉팩(12)에 들어가는 축냉재를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실(3)에서의 축냉장치(10)의 작동 또는 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냉장고(1)가 가동되면, 소정의 냉동시스템에 의해 냉기가 생성되고 상기 냉동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냉장고(1) 후벽에 형성된 냉기토출덕트(7)를 통해 유동하며, 냉기 토출구(9)를 통해 냉장실(3)로 유입된다.
냉장실(3)로 유입되는 냉기에 의해 냉장실(3)은 저온의 환경이 유지되며, 축냉팩(12)은 냉기를 보냉하게 된다. 냉장고(1)가 정전등에 의해 가동이 중단되거나, 냉동시스템이 작동하지 아니할 때에는, 냉장실(3)의 온도는 서서히 올라가게 되는데, 냉장실(3)의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들면 5도가 되면, 상기 축냉팩(12)에 들어있는 축냉재는 상변화를 하게 된다.
축냉재가 상변화를 하게 되면서 냉기를 방출하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방출된 냉기에 의해서 냉장실(3)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축냉장치(10)에 의해 냉장실(3)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는 축냉재를 교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축냉재의 보냉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냉동실(4)에 설치되는 축냉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동실(4)의 후면에는 냉매를 증발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20)와, 증발기(20)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4)로 송풍하도록 하는 송풍팬과(21), 상기 증발기(20)의 전단에 형성되며 증발기(20)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기토출그릴(8)과, 상기 냉기토출그릴(8)에 형성되며 증발기(20) 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4)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냉기 토출구(9)가 형성된다.
또한, 냉기토출그릴(8)에는 냉장고(1)의 가동시 냉기를 저장하였다가, 정전등에 따른 냉장고(1) 미가동시에 방냉하도록 하는 축냉장치(10)가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축냉장치(10)는 냉기토출그릴(8)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여 냉기를 보냉하는 효과를 가지는 축냉팩(12)과, 상기 축냉팩(12)을 커버하는 커버 케이스(11)와, 상기 커버 케이스(11)에 형성되어 냉동실(4)과 축냉팩(12)사이에 열교환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냉기방출홈(13)이 포함되며, 상기 냉기토출그릴(8)과 축냉팩(12)사이에는 축냉팩(12)과 냉기토출그릴(8)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일정길이의 리브(15)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20)의 하측에는 냉동실(4) 및 냉장실(3)로 유입된 공기중의 수분이 증발기(20)의 표면에 응결되는 성에 또는 서리를 제거할 수 있도록하는 제상히터(23)와, 상기 제상 히터(2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히터 브라켓(22)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커버 케이스(11)는 냉장실(3)의 후면에 사용자에 의해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착탈가능한 구조로는 걸림구조일 수도 있고, 나사와 볼트의 결합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11)는 축냉팩(12)을 커버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냉기 토출구(9)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바로 커버 케이스(11)에 전달될 때에는 냉기와 축냉팩(12)사이의 열을 전달 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상기 커버 케이스(11)는 열 전도도가 높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케이스(11)에 형성되는 냉기방출홈(13)은 냉동실(4)과 축냉팩(12)사이에 열교환이 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릿 형태나 다수의 구멍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축냉팩(12)에는 보냉기능을 하는 소정의 물질인 축냉재가 들어있다. 상기 축냉재의 조성은 고내 유지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상변화가 일어나도록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융해열을 이용하여 최대한 보냉기능을 하도록 하여야하는데, 냉동실(4)의 경우에는 -15도 정도의 융해열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냉재는 상변화가 가능한 액상의 물질, 예를 들면 알코올, 염화나트륨 수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비열 및 열전도도가 큰 금속이나 고상의 물질도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축냉재의 교체가 가능하기 위해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냉재는 액체와 고체가 혼재하는 상태에서 보냉의 효과가 더 뛰어나다.
한편, 증발기(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상 히터(23)가 작동하는 경우 증발기(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증발기(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20)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축냉재에 열이 전달된다. 상기 축냉재는 상기와 같이 액체와 고체가 혼재하는 상태에서 보냉의 효과가 뛰어난데, 축냉재에 열이 전달되면 축냉재는 액체상태로 상변화하게 되어 보냉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발기(2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축냉재가 직접받을 경우 축냉재는 고체상태로 상변화하게 되어 보냉효과가 더 떨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냉동실(4)에 축냉장치(10)를 설치할 시에는 상기 축냉팩(12)과 증발기(20)와의 일정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해 냉기토출그릴(8)에 소정 길이의 리브(15)를 형성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도 5에서 본 바와 같이 축냉장치(10), 증발기(20), 송풍팬(21), 제상 히터(23), 히터 브라켓(22)등의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축냉팩(12)과 증발기(20)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이 다른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냉기토출그릴(8)의 전면에는 상기 축냉팩(12)과 증발기(20)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해 소정 두께의 단열재(16)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16)는 냉기토출그릴(8)에 사용자에 의해 탈착 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냉기토출그릴(8)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6)에 의하면 제상 히터(23)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축냉팩(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20)로 부터 생성되는 냉기가 직접 축냉팩(12)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축냉팩(12)의 보냉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같이 리브(15)를 형성하면 어느 정도 증발기(20)와 제상 히터(23)와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가 있으나, 증발기(20)에서 냉성되는 냉기나, 제상 히터(23)에 의한 열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축냉팩(12)과 냉기토출그릴(8)의 사이에 소정 두께의 단열재(16)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기(20)에서 생성되는 냉기와 제상 히터(23)에 의한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냉동실(4)에서의 축냉장치(10)의 작동 또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장고(1)가 가동되면, 소정의 냉동시스템에 의해 냉기가 생성되고 상기 냉동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냉기는 냉장고(1) 후벽에 형성된 냉기토출그릴(8)에 의해 형성되는 냉기 유로를 통해 유동하며, 냉기 토출구(9)를 통해 냉동실(4)로 유입된다.
냉동실(4)로 유입되는 냉기에 의해 냉동실(4)은 저온의 환경이 유지되며, 축냉팩(12)은 냉기를 보냉하게 된다. 냉장고(1)가 정전등에 의해 가동이 중단되거나, 냉동시스템이 작동하지 아니할 때에는, 냉동실(4)의 온도는 서서히 올라가게 되는데, 냉동실(4)의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들면 -15도가 되면, 상기 축냉팩(12)에 들어있는 축냉재는 상변화를 하게 된다.
축냉재가 상변화를 하게 되면서 냉기를 방출하고, 상기 축냉재에 의해 방출된 냉기에 의해서 냉장실(3)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냉장고(1)의 운전시간이 경과되면 증발기(20)에 착상되는 성에 또는 서리의 착상량이 증가하게 되고, 착상량이 일정량 이상 되는 시점에서 제상 히터(23)는 전원이 인가되어 열을 발생시켜 증발기(20)에 형성되는 성에 또는 서리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상 히터(23)가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냉기토출그릴(8)을 통하여 축냉팩(12)에 전달되는데, 상기와 같이 소정길이의 리브(15)를 형성하거나, 소정 두께의 단열재(16)를 형성함으로써 제상 히터(23)로부터의 열전달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축냉장치(10)에 의해 냉동실(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는 축냉재를 교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축냉재의 보냉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축냉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압축기의 동작상태와 냉장고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축냉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압축기의 동작상태와 냉장고의 온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좌표축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냉장고(1)의 온도를 나타낸다.
도 7과 같이 축냉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 냉장고(1)의 경우 일정 온도까지 하강하는 압축기(미도시)의 온(ON) 타임과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는 압축기(미도시)의 오프(OFF) 타임의 주기가 짧다.
반면에, 도 8은 축냉장치(10)를 사용하는 냉장고(1)의 경우로써, 일정온도까지 하강하는 압축기(미도시)의 온(ON) 타임과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는 오프(OFF) 타임의 주기가 길다.
이와 같이 축냉장치(10)를 사용하는 냉장고(1)에 있어서, 압축기(미도시)의 온(ON) 타임과 오프(OFF) 타임의 주기가 길어지는 이유는 축냉재가 댐퍼역할을 하여 압축기(미도시)의 온(ON) 타임시에는 냉장고(1)로 유입되는 냉기를 축냉재가 일정량 보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냉장고(1)의 온도가 서서히 낮아지게 되고, 압축 기(미도시)의 오프(OFF) 타임시에는 축냉재가 방냉하므로써 냉장고(1)의 온도가 빨리 올라가지 않고 서서히 올라가도록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축냉재에 의해 압축기(미도시)의 온(ON) 타임과 오프(OFF) 타임의 주기가 길어지게 되면, 압축기의 초기 가동시에 발생하는 비가역 손실과 냉매의 유동에 따른 비가역 손실이 줄어들게 되어 냉장고(1)의 소비 전력이 저감되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축냉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냉장고(1)의 내부를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1) 사용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축냉장치를 사용자가 착탈할 수 있어 축냉팩을 적절히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축냉장치를 착탈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아 불편함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가 간단하고, 냉장고 구조의 큰 변화없이도 축냉장치가 착탈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축냉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의 후벽에 제공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냉기토출그릴;
    상기 냉장고 본체의 냉기를 축냉하여 냉장고의 미가동시 방냉하는 축냉팩; 및
    상기 축냉팩을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벽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축냉팩이 접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홀이 관통 성형되는 커버 케이스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팩과 냉기토출그릴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은, 상기 냉기토출그릴에 형성되는 리브에 의해서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은 상기 축냉팩과 냉기토출그릴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냉장고.
  5. 저장실의 냉기를 축냉하여 냉장고의 미가동시 방냉하는 축냉팩; 및
    상기 축냉팩을 지지하고, 상기 저장실의 후벽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축냉팩이 접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홀이 관통 성형되는 커버 케이스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축냉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029543A 2005-04-08 2005-04-0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KR10067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543A KR100676971B1 (ko) 2005-04-08 2005-04-0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543A KR100676971B1 (ko) 2005-04-08 2005-04-0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412A KR20060106412A (ko) 2006-10-12
KR100676971B1 true KR100676971B1 (ko) 2007-02-01

Family

ID=3762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543A KR100676971B1 (ko) 2005-04-08 2005-04-0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05A1 (en) * 2017-02-21 2018-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6689B2 (en) 2008-05-06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cold storage unit
CN103597300B (zh) * 2011-03-14 2016-11-09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热存储器的制冷器具
US10288338B2 (en) 2015-08-2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508224B1 (ko) * 2015-08-28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46606B1 (ko) * 2017-09-08 2019-02-11 (주)지아이엠텍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냉장고
CN114777384A (zh) * 2022-05-12 2022-07-22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及冰箱的储能保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05A1 (en) * 2017-02-21 2018-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11344527A (zh) * 2017-02-21 2020-06-26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262117B2 (en) 2017-02-21 2022-03-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412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5087B2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067697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축냉장치
KR101650303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035601B2 (en) Refrigerator
AU2013242698B2 (en) Refrigerator and working method thereof
US7216499B2 (en) Refrigerator and icemaker for the refrigerator
ES2349135T3 (es) Refrigerador.
TWI639803B (zh) Cold storage
JP3392719B2 (ja) 冷蔵庫
US20190331395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JP6678542B2 (ja) 冷蔵庫
JP4356798B1 (ja) 冷蔵庫
JP2008107067A (ja) 冷却貯蔵庫
JP6422513B2 (ja) 冷凍冷蔵庫
KR20060107660A (ko) 냉장고, 냉장고의 축냉장치 및 축냉팩
JP5490614B2 (ja) 冷蔵庫
JP2001194047A (ja) 冷蔵庫
WO2012076451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JP2001099561A (ja) 冷蔵庫
JP4275077B2 (ja) 冷蔵庫
JP2004361082A (ja) 冷蔵庫
JP2008107068A (ja) 冷却貯蔵庫
JP2016205778A (ja) 冷蔵庫
JP2008107069A (ja) 冷却貯蔵庫
JP7522955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