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750B1 -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750B1
KR100676750B1 KR1020060049588A KR20060049588A KR100676750B1 KR 100676750 B1 KR100676750 B1 KR 100676750B1 KR 1020060049588 A KR1020060049588 A KR 1020060049588A KR 20060049588 A KR20060049588 A KR 20060049588A KR 100676750 B1 KR100676750 B1 KR 10067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orkpiece
air
vulcanization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진
양승광
박병호
정국영
박은숙
Original Assignee
(주)일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일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04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77Apparatus with continuous transport of the material to be c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2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제품 제조를 위한 가황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황터널에 공급되는 고온공기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공물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고주파 조사장치 없이 가공물의 내부와 외부를 하나의 공정을 통해 가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치 및 시설라인을 단축시키고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형 고무제품 제조를 위한 연속 가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황장치는, 가공물(10)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5); 상기 컨베이어(105)의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내부에 가황공간(104)을 형성하는 가황터널(103); 상기 가황터널(10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공기 가열용 히터(146); 상기 가황터널(103)의 내부에 컨베이어(105)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분사방향이 상기 가공물(10)을 향하도록 된 다수의 분사노즐(141); 및 상기 히터(146)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분사노즐(141)로 공급하여 가공물(10)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이송수단을 포함한다.
고무, 가황, 분사노즐, 적외선 히터

Description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VULCANIZ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UBBER GOODS}
도 1은 종래의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황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가황시설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가황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가황장치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공물 103 : 가황터널
104 : 가황공간 105 : 컨베이어
110 : 캐리어 111 : 지지대
113 : 가이드바 115 : 스프링
117 : 푸셔 120 : 순환이동수단
121 : 체인 123 : 스프라켓
140 : 분사기 141 : 분사노즐
150 : 적외선히터
본 발명은 고무제품을 가열하여 가황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물의 처리속도를 높이고 시설구조를 단축 및 간소화하여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형 고무제품 제조용 연속 가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는 다른 소재에 비해 탄력성이 높아 광범위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 원재료 상태에서는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쉽게 노화되며, 온도저하에 따라 탄성이 매우 약해지는 등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산업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황처리를 하게 된다.
예전에는 천연고무에 유황 같은 가황제를 가하여 탄성, 인장강도 등을 증가시키는 공정을 가황이라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그 뜻을 확대하여 천연고무는 물론 합성고무에 대하여도 분자간의 공유결합을 유도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일련의 공정을 총칭하여 가황처리라 일컫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가황이라 함은 황을 첨가하고 열을 가하는 협의의 가황 뿐 아니라, 황을 첨가하지 않는 열처리 방식의 가황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열처리 방식의 가황공정은 제품 형태로 성형된 고무(이하, '가공물'로 칭함)를 소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요구되는 물성을 갖도록 분자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통상 가공물을 이송시키면서 처리하는 연속 공정을 이루도록 긴 라인 상으로 가황장치를 설치하게 되며, 도 1에 종래의 가황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가황장치(2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컨베이어(4)의 주위를 따라 가황터널(21)이 설치되고, 이 가황터널(21)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순환공급하는 히터(27) 및 송풍기(25)가 관로를 통해 연결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황장치(20)는 가황터널(21) 내부로 공급된 공기의 열이 단순히 열전도에 의해 가공물(10)로 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공물(10)에 효과적으로 열이 가해지지 못하여 가황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며, 상당한 시간 동안 가열이 이루어져도 가공물(10)의 내부조직까지 충분한 열이 전달되지 못하여 먼저 가열된 표층조직과 덜 가열된 내부조직 간의 온도 차에 의해 가공물에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고, 가공물(10)의 형태에 따라 가황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가황장치(2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가황장치(20)의 전 단계에 마이크로 웨이브(UHF)를 조사하여 가공물(10)의 내부를 우선적으로 가열하는 고주파 조사장치(30)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고주파 조사 및 고온공기에 의한 가열, 이 두 공정을 통해 가황이 이루어지도록 시설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가황장치(20) 자체의 낮은 가공물 가열 효율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에너지 낭비 문제는 여전할 뿐더러, 두 종류의 장치를 통해 가황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설라인이 길어져 생산성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 시설라인에 설치되는 장치가 증가되어 보다 넓은 시설 면적을 요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고주파 조사장치(30) 및 그 주변설비를 추가 설치하게 되므로, 시설 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으며, 그 운영비용에 있어서도 고주파 조사장치(30)가 설치된 라인을 추가로 운전함에 따라 에너지 비용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고주파 조사장치(30)에서 사용되는 고주파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예를 들어 자동차나 항공기 등에 사용되는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과 같은 선형 고무제품을 가황하는 경우에는 시설라인이 매우 길어지게 되는데, 설치 장소의 제한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을 분할하여 복수의 가황장치(20)를 병렬로 설치하고 그 전단에 고주파 조사장치(30)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각 라인에 설치된 가황장치(20) 간에, 또는 고주파 조사장치(30)와 가황장치(20) 간에 가공물이 전달되면서 외기와 접하여 온도가 내려가게 되므로, 각 라인의 장치마다 이를 재가열하기 위한 시간과 열량 투입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체 공정이 길어져 분할된 라인의 수가 증가할수록 재가열에 따른 에너지 낭비와 공정 지연도 더해지므로, 가황공정에 있어 장치 및 시설라인의 길이를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황터널에 공급되는 고온공기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공물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 및 시설라인을 단축시키고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고주파 조사장치 없이 가공물의 내부와 외부를 하나의 공정을 통해 가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치 및 시설라인의 단축과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가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황장치는, 가공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내부에 가황공간을 형성하는 가황터널; 상기 가황터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공기 가열용 히터; 상기 가황터널의 내부에 컨베이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분사방향이 상기 가공물을 향하도록 된 다수의 분사노즐; 및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여 가공물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이송수단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가황장치는 상기 가황터널의 내부에 컨베이어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가공물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황장치에서, 상기 공기이송수단은 상기 히터로부터 가황공간으로 연결된 흡기관로와, 상기 히터로부터 분사노즐로 연결된 급기관로와, 상기 흡기관로 또는 급기관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송하는 공기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황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분사노즐은 컨베이어의 양측에 대향 설치되어 가공물의 양측방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이 컨베이어의 벨트는 가공물 주위의 공기가 상하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가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경우, 이 컨베이어의 벨트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도 운전 가능한 금속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표면에 내열성 불화탄소수지코팅제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황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어 가황터널의 입구와 내부를 순환하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되, 컨베이어를 향하는 부분이 컨베이어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되는 순환이송수단과, 상기 순환이송수단에 장착되 어 이동되며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된 가공물의 선단부를 구속하여 가황터널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이 가황장치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황장치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컨베이어(105)와, 이 컨베이어(105) 주위를 감싸는 긴 덕트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에 가황공간(104)을 형성하는 가황터널(103)과, 이 가황터널(103)의 내부 상측을 통과하도록 상기 컨베이어(105)의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123) 및 이 체인(123)을 가동시키는 한 쌍의 스프라켓(121)과, 상기 체인(123)의 일측에 장착되어 가황터널(103) 내부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캐리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05)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며 소정 간격으로 분사노즐(141)이 형성된 다수의 분사기(140)와, 상기 가황터널(103) 내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각 분사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도록 분사기(140)로 공급하는 공기이송수단과, 이 공기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46)와, 상기 가황터널(103)의 내부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컨베이어(105)를 향해 설치된 적외선히터(150)로 구성 된다.
상기 컨베이어(105)는 가공물(10)을 그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가황터널(103) 내부를 통해 이송시키는 것으로, 가공물(10)의 종류에 따라 통상적인 다양한 구조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컨베이어(105)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되, 그 벨트(106)가 금속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불화탄소수지계 코팅제(테프론)가 코팅되어 내구성 및 내열성을 높이고 가공물(10)이 열에 의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123) 및 스프라켓(121)은 상기 캐리어(110)를 컨베이어(105)를 따라 이송시킨 후 가황터널(103)의 입구 측으로 복귀시키는 순환이송수단(120)으로 예시된 것으로, 이 순환이송수단(120)은 상기 체인(123) 및 스프라켓(121)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벨트와 풀리와 같은 순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통상의 기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인(123)의 설치 경로에는 체인(123)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이송수단(120)이 가황터널(103) 전체에 걸쳐, 즉 컨베이어(105)가 설치된 구간 전체에 걸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모터(132)와 같은 구동수단을 가황터널(103)의 외측에 설치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구동수단과 스프라켓(121) 간의 동력 전달구조를 간결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조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의 설치 위치와 그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가황터널(103)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가황터널(103)의 내측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컨베이어(105)의 설치 경로 중간 정도까지만 상기 순환이송수단(120)이 설치될 수도 있 다.
상기 캐리어(110)는 가황터널(103)로 진입되는 가공물(10)의 선단부를 가황터널(103) 내측으로 이동시켜 가공물(10)이 컨베이어(105)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순환이송수단(120)의 일측, 즉 체인(123)에 결합되어 컨베이어(105)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지지대(111)와, 이 지지대(111)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바(113)와, 이 가이드바(113)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105) 상부에 놓여진 가공물(10) 측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푸셔(117)와, 상기 가이드바(113)의 지지대(111)와 푸셔(117)의 사이 부분에 설치되어 푸셔(117)를 가공물(10)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15)과, 상기 가이드바(113)의 상단부에 결합된 이탈방지탭(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115)은 푸셔(117)를 가공물(10)에 가압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지지수단으로 예시된 것으로, 이 탄성지지수단은 도시된 코일 스프링 외에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를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푸셔(117)의 저면, 즉 가공물(10)을 가압하는 면에는 가공물(10)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가공물(10)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공물(10)이 정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셔(117)의 양측에는 컨베이어(105) 양측단에 접촉되도록 하향 연장된 유동방지돌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캐리어(110)가 컨베이어(105)를 따라 이동될 때, 횡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진동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분사기(140)는 분사노즐(141)의 설치 예로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5)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 형태를 갖는 짧은 덕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분사기(140)의 내측에 형성된 분사공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급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통상의 노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105)를 따라 길게 설치된 관로에 소정 간격으로 분사노즐(141)이 구비될 수 있고, 각 분사노즐(141)의 형태는 돌출된 형태나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 또는 단순한 구멍 형태 등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41)은 컨베이어(105)의 양측에 대향 설치되어 가공물(10)의 양측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가공물(10)의 양측에 균일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이송수단은 상기 히터(146)를 기준으로 가황터널(103)에 연결된 흡기관로(145) 및 각 분사기(140)로 분기되어 연결된 급기관로(148)와, 이 급기관로(148)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흡기관로(145)를 통해 가황공간(104)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를 거쳐 가열된 공기를 급기관로(148)를 통해 각 분사기(140)로 압송하는 공기펌프(147)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펌프(147)의 경우에는 작동열의 냉각을 위해 가황터널(103)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히터(1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황터널(103)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가황터널(103)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든 공기펌프(147)의 과열 방지를 위해 공기펌프(147) 보다 후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히터(150)는 분사노즐(141)을 통해 분사된 고온공기에 의한 가공물(10)의 가황을 보완 및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외선 유전가열을 통해 가공물(10)의 내부조직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황되도록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컨베이어(105)의 벨트(106)는 소정간격으로 천공되거나 자체가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등 그 상하부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소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가공물(10) 주위의 공기 흐름이 정체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황장치는, 압출장치 등에 의해 성형되어 나오거나 권취된 롤로부터 풀려지는 등의 방식으로 공급되는 가공물(10)의 선단부를 가황터널(103) 입구 부분의 컨베이어(105) 상면에 배치한 다음, 상기 순환이송수단(120)을 가동시켜 캐리어(110)를 가공물(10) 상부에 위치시키면, 상기 푸셔(117)가 스프링(115)에 의해 가공물(10)을 가압하여 컨베이어(105) 상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105)와 순환이송수단(120)을 함께 가동시키면, 가공물(10)이 캐리어(110)와 컨베이어(105)에 의해 가황터널(103)의 내측으로 이송되면서 가황처리가 이루어지고, 일정 구간 이송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캐리어(110)는 순환이송수단(120)에 의해 가황터널(103)의 입구 부분으로 복귀되어 다음 작업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110)에 의해 가공물(10)의 투입이 이루어지므로, 초기 운전 시에 가황터널(103)을 개방시키고 수동으로 가공물을 이동시켜야 했던 종래의 가황장치와는 달리, 가공물(10) 투입 시에 외부로 버려지는 열이 발생하지 않 아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가공물(10) 투입 작업 중에 발생했던 작업자의 화상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가공물(10)의 선단부도 컨베이어(105) 및 캐리어(110)에 의해 이송되면서 가황터널(103) 전체 경로를 거쳐 처리되고, 가공물(10)의 투입 직후에도 가황터널(103) 내부가 항상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운전 초기에 가공물(10)의 가공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 생산성이 높아지고, 재료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된 가공물(10)은 상기 분사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 공기와 적외선히터(15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외부는 물론 내부 조직까지 동시에 가열되어 보다 단시간에 효과적인 가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141)을 통해 분사된 공기가 가공물(10) 주위로 고속으로 이동됨에 따라 공기의 열이 가공물(10)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가황장치에 비해 열전도 효율이 높아 가공물(10)의 가황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보다 시설라인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곧 장치의 설치 비용과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히터(150)에 의한 적외선 유전가열에 의해 가공물(10)의 내부조직도 하나의 장치를 통해 효과적으로 가황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경우와 같은 고주파 조사장치가 필요 없게 되고, 이에 따라 가황시설라인을 더욱 단축 및 간결화할 수 있어 전술한 생산성과 비용 면에서의 우수한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으로 고온공기를 분사하여 가공물에 대한 열전도를 촉진시킴으로써, 보다 단시간에 가황이 이루어져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소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의 시설 길이를 단축시켜 그 설치 비용 및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 공기 분사와 함께 적외선을 조사하여 유전가열을 통해 가공물의 내부조직도 동시에 가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조사장치의 부가에 따른 비용 및 설치공간 소요, 생산성 저하를 해결하여 전술한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Claims (7)

  1. 가공물(10)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5);
    상기 컨베이어(105)의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내부에 가황공간(104)을 형성하는 가황터널(103);
    상기 가황터널(10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공기 가열용 히터(146);
    상기 가황터널(103)의 내부에 컨베이어(105)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분사방향이 상기 가공물(10)을 향하도록 된 다수의 분사노즐(141); 및
    상기 히터(146)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분사노즐(141)로 공급하여 가공물(10)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공기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터널(103)의 내부에 컨베이어(105)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가공물(10)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히터(150)를 더 포함하는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이송수단은 상기 히터(146)로부터 가황공간(104)으로 연결된 흡기관로(145)와, 상기 히터(146)로부터 분사노즐(141)로 연결된 급기관로(148)와, 상기 흡기관로(145) 또는 급기관로(148)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송하는 공기펌프(147)를 포함하는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41)이 컨베이어(105)의 양측에 대향 설치되어 가공물(10)의 양측방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도록 된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5)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이 컨베이어(105)의 벨트(106)는 가공물(10) 주위의 공기가 상하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고무제품 성형용 가황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5)는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이 컨베이어(105)의 벨트(106)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표면에 내열성 불화탄소수지코팅제가 코팅된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5)를 따라 설치되어 가황터널(103)의 입구와 내부를 순환하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되, 컨베이어(105)를 향하는 부분이 컨베이어(105)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이동되는 순환이송수단(120)과, 상기 순환이송수단(120)에 장착되어 이동되며 컨베이어(105) 상부에 배치된 가공물(10)의 선단부를 구속하여 가황터널(103)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110)를 더 포함하는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KR1020060049588A 2006-06-01 2006-06-01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KR10067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588A KR100676750B1 (ko) 2006-06-01 2006-06-01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588A KR100676750B1 (ko) 2006-06-01 2006-06-01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750B1 true KR100676750B1 (ko) 2007-02-01

Family

ID=3810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588A KR100676750B1 (ko) 2006-06-01 2006-06-01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7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332A (ko) * 2006-06-01 2007-12-06 유시엽 고온 설비용 컨베이어
KR100844188B1 (ko) * 2007-05-10 2008-07-07 한국기계연구원 유도가열방식 원적외선 고무가교 장치
KR100854448B1 (ko) * 2007-06-08 2008-08-27 한국기계연구원 유도가열을 이용한 밀폐형 원적외선 고무가교 장치
KR20160081672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극동기계 고무 가황장치
CN109421193A (zh) * 2017-08-31 2019-03-05 惠州优比贝柠科技股份有限公司 硫化加热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964A (en) 1994-08-01 1999-02-02 Barragan; Amelia Gomez Longitudinal continuous kiln for drying and vulcanizing rubber profiles
JP2000271937A (ja) 1999-03-26 2000-10-03 Shin Etsu Polymer Co Ltd ゴムロールの加硫装置及びその加硫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964A (en) 1994-08-01 1999-02-02 Barragan; Amelia Gomez Longitudinal continuous kiln for drying and vulcanizing rubber profiles
JP2000271937A (ja) 1999-03-26 2000-10-03 Shin Etsu Polymer Co Ltd ゴムロールの加硫装置及びその加硫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332A (ko) * 2006-06-01 2007-12-06 유시엽 고온 설비용 컨베이어
KR100844188B1 (ko) * 2007-05-10 2008-07-07 한국기계연구원 유도가열방식 원적외선 고무가교 장치
KR100854448B1 (ko) * 2007-06-08 2008-08-27 한국기계연구원 유도가열을 이용한 밀폐형 원적외선 고무가교 장치
KR20160081672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극동기계 고무 가황장치
CN109421193A (zh) * 2017-08-31 2019-03-05 惠州优比贝柠科技股份有限公司 硫化加热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750B1 (ko)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US41985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wave vulcanization of extruded rubber profiles
KR101938157B1 (ko) 콘크리트 블록 양생실
KR101593516B1 (ko)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CN205257265U (zh) 热板传输装置
ITFI20130143A1 (it) &#34;forno di essicazione per il trattamento di prodotti tessili e metodo di funzionamento di detto forno&#34;
KR101557021B1 (ko)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US9651303B2 (en) Curing oven for printed substratees
KR100619662B1 (ko) 열풍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호스의 연속 경화 장치 및방법
KR102129170B1 (ko) 열풍을 이용한 사출 성형물 표면 처리 장치
NZ216597A (en) Heat treating themoplastics sheet materials: hot air jets sweep over sheet material to ensure a uniform heating and a uniform temperature
KR101910427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세척장치
KR100760679B1 (ko) 선형 고무제품 연속 생산 장치
KR20070115332A (ko) 고온 설비용 컨베이어
RU2025468C1 (ru) Способ закалки листа стек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957825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열기 순환장치
JP6551739B2 (ja) 搬送装置
CN106003497A (zh) 一种热风硫化设备
KR200355132Y1 (ko) 도금 제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KR101103341B1 (ko) 고무제품 성형장치
KR100609469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JP6813727B1 (ja) 被着体接着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894893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가열장치
KR20140077297A (ko) 효율이 향상된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KR960003233Y1 (ko) 컴퓨터 조작식 슈퍼시멘트 건조참바의 벨트, 바콤베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