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69B1 -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69B1
KR100609469B1 KR1020040104336A KR20040104336A KR100609469B1 KR 100609469 B1 KR100609469 B1 KR 100609469B1 KR 1020040104336 A KR1020040104336 A KR 1020040104336A KR 20040104336 A KR20040104336 A KR 20040104336A KR 100609469 B1 KR100609469 B1 KR 10060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vulcanization
rubber hose
far
h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860A (ko
Inventor
김준형
강창기
표현학
박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04010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77Apparatus with continuous transport of the material to be c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2Handling tubes, e.g. transferring between shaping stations, loading on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호스의 가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좌우에 설치된 원적외선 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고무호스를 가황시킴으로서 가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고무호스를 가황시킬 수 있는 고무호스 가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가황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맨드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와 ;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부에 양 측면 및 윗면에 각각 설치된 원적외선 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무호스, 원적외선 가황로, 가황경화, 고온챔버

Description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A vulcanization apparatus of the rub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에 구비된 맨드릴을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가황로 20 : 원적외선 열판
30 : 체인 컨베이어 40 : 맨드릴
50 : 베어링 60 : 맨드릴 고정구
70 : 입구 80 : 출구
S : 고무호스
본 발명은 고무호스 가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좌우에 원적외선 열판을 설치하여 가황로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서 고무호스의 가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가황할 고무호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많은 양을 짧은 시간내에 가황시킬 수 있는 가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무 제품은 가황 과정을 거처 굽혀지고 성형된다.
이러한 기존의 고무의 가황은 연질고무호스나 일정한 형상의 고무호스는 재질이나 형상적인 문제로 연속 가황 방식을 적용하기가 곤란하여 비연속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소정의 형상을 갖는 맨드릴에 미가황된 압출호스를 삽입하고, 스팀통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60℃에서 적어도 30분간 가열시킨 후, 스팀통에서 인출하고, 이를 냉각시킨 후, 맨드릴로부터 성형된 호스를 탈형시키는 일련의 공정들에 의해 호스를 제조하여 왔다.
이때 맨드릴에 압출호스를 삽입하고, 또한 가황경화 후 탈형하는 과정이 스팀통이 위치하는 작업장이므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팀통에서의 가열에 의한 경화는 비연속식이므로 압출호스가 삽입된 다수의 맨드릴을 사용한다 하여도 이들 맨드릴들을 투입하고, 또한 경화 후 인출하는 동안에는 상기 스팀통을 개방하여야 하며, 이는 스팀통 내의 가열된 스팀의 손 실을 유발하여 다시 스팀통 내로 스팀을 주입하여 승온시키는 시간이 많이 걸려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매 회 스팀을 손실시키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스팀을 생산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속적으로 고무호스 형성물을 가황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공되는 열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무 가황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하좌우에 원적외선 열판을 설치하여 가황로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서 고무호스의 가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가황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호스를 가열 경화시키는 가황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가황로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가황할 고무호스가 끼워진 다수의 맨드릴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와 ;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부에 양 측면 및 윗면에 각각 설치된 원적외선 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가황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가황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 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에 구비된 맨드릴을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는 가황로(10)의 내부에 체인 컨베이어(30)와 다수의 원적외선 열판(20)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황로(10)는 그 내부에 설치된 원적외선 열판(20)으로부터 발열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 및 보온성이 우수한 보온재로 만들어지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30)는 가황로의 외부에 설치된 전동 수단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구동된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30)의 외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맨드릴(40)이 소정의 간격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맨드릴(4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맨드릴(40)의 외주면으로 가황할 고무호스(S)가 수공에 의해 끼워져 상기 고무호스(S)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맨드릴(40)을 회전시키는 수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50)이 사용된다.
상기 베어링(50)은 고정구(60)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30)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50)에 맨드릴(40)을 고정시켜 맨드릴(4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맨드릴(40)은 케인 컨베이어(3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스스로 자전하여, 상기 맨드릴(40)의 외주면에 수공에 의해 끼워진 고무호스(S)에 상하 및 좌우측에 설치된 원적외선 열판(20)으로부터 조사되는 열이 미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적외선 열판(20)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열판으로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발열 수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황로(10)의 일부에는 맨드릴에 끼워져 가황할 고무호스를 넣기 위한 입구(70)부와 출구(80)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구(70)부와 출구(80)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열판(20)을 설치하지 않아 맨드릴(40) 외주면에 수공에 의해 끼원진 가황할 또는 가황된 고무호스(S)를 출입시키기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가황로(10)의 일부에 원적외선 열판(20)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을 형성하여 고무호스의 출입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가황로(10) 내부의 온도 즉, 가황되는 영역의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맨드릴(40)에 끼워진 고무호스(S)가 가황되는 동안에도 고무호스를 가황로의 내부에 출입시킬 수 있어 지속적으로 고무호스를 가황 시킬 수 있다.
상기 가황로(10)의 내부 중 가황 영역 즉, 원적외선 열판(20)이 설치된 영역과 출입 영역 사이에는 소정의 판을 설치하여 가황 영역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황 장치는 직선 형상 또는 굽혀진 형상 등의 입체적인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는 고무호스를 원적외선 조사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황 경화시킴으로써 고무호스를 단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특히, 고무호스 제조과정 중 원적외선 열판을 이용하여 가황로의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킴으로서 고르게 가황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스팀 경화 방법의 경우 가황된 고무호스를 가황로에서 회수한 후 다시 가황할 고무호스를 넣기 위해 스팀을 제거해야 하며 이러한 스팀 제거 및 재 충전하기 위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열 손실을 초래했으나 본 발명은 원적외선 열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에 의해 발열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황로의 일측에 가황된 고무호스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고무호스를 가황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고무를 가열 경화시키는 가황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가황로(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가황할 고무호스(S)가 끼워진 다수의 맨드릴(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30)와 ;
    상기 체인 컨베이어(30) 상부에 양 측면 및 윗면에 각각 설치된 원적외선 열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가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열판(20)은 다열로 배열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맨드릴(40)은 각각의 열 사이의 체인 컨베이어(30)에 설치되며,
    상기 맨드릴(40)은 그 하단에 베어링(50)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50)은 맨드릴 고정구(60)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3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가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열판(20)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의 내부에 발열선을 매설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가황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황로(10)의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부분에는 원적외선 열판(20)을 설치하지 않아 가황할 고무호스가 출입되는 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가황 장치.
KR1020040104336A 2004-12-10 2004-12-10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KR10060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36A KR100609469B1 (ko) 2004-12-10 2004-12-10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36A KR100609469B1 (ko) 2004-12-10 2004-12-10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860A KR20060065860A (ko) 2006-06-14
KR100609469B1 true KR100609469B1 (ko) 2006-08-08

Family

ID=3716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336A KR100609469B1 (ko) 2004-12-10 2004-12-10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2596B (zh) * 2018-05-03 2021-03-02 旌德县瀚海星云智能化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平板硫化机自动进料装置
CN111216292A (zh) * 2019-11-08 2020-06-02 东莞市新杰电工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硫化方式
CN112519129A (zh) * 2020-12-04 2021-03-19 安徽特思通管路技术有限公司 一种橡胶管硫化模具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17A (ja) 1986-07-05 1988-01-21 Kurashiki Kako Kk ゴムホースの加硫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17A (ja) 1986-07-05 1988-01-21 Kurashiki Kako Kk ゴムホースの加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860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469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 가황 장치
KR100619662B1 (ko) 열풍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고무호스의 연속 경화 장치 및방법
EP0023316B1 (en) Mold equipment
JP4287447B2 (ja) 加硫システムおよびその生タイヤ加熱方法
KR100795108B1 (ko) 인라인 방식의 원적외선 라텍스 장갑 건조 경화장치
KR100704466B1 (ko) 고무 웨더스트립 연속 압출 가황 설비
KR101414809B1 (ko) 잔류 응력의 제거가 가능한 파이프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JP2800837B2 (ja) 凹部付きラテックスフォー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676750B1 (ko) 고무제품 제조용 가황장치
JPH0720674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ス製円筒の連続硬化装置
KR100589828B1 (ko) 엘라스토머 성형제품 및 듀로머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기계
KR20200005166A (ko) 열풍을 이용한 사출 성형물 표면 처리 장치
JP2000271937A (ja) ゴムロールの加硫装置及びその加硫方法
KR101312359B1 (ko) 유리섬유가 보강된 폐 열가소성합성수지의 재생처리방법
KR100867600B1 (ko) 무브래다 가류기의 코어 몰드 예열 장치
KR101103341B1 (ko) 고무제품 성형장치
KR20170112731A (ko)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유산 용기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폴리유산 용기 및 상기 폴리유산 용기 제조장치
CN219095671U (zh) 一种手套生产设备
JP4276244B2 (ja) プリフォームのネック部結晶化装置
JPH06293028A (ja) ゴムホースの加硫方法
WO2017171156A1 (ko)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유산 용기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폴리유산 용기 및 상기 폴리유산 용기 제조장치
TWI619592B (zh) 輪胎硫化裝置
JPH0519885B2 (ko)
KR200167075Y1 (ko) 이브이에이 스폰지 신발창 제조용 발포장치
EP3081360B1 (en) Tire vulca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