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290B1 -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290B1
KR100674290B1 KR1020040091241A KR20040091241A KR100674290B1 KR 100674290 B1 KR100674290 B1 KR 100674290B1 KR 1020040091241 A KR1020040091241 A KR 1020040091241A KR 20040091241 A KR20040091241 A KR 20040091241A KR 100674290 B1 KR100674290 B1 KR 100674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optical
monitor
pedest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547A (ko
Inventor
유영싱
Original Assignee
영 베잉 엔터프라이지즈 컴페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베잉 엔터프라이지즈 컴페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영 베잉 엔터프라이지즈 컴페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4009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2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2Objectives
    • G02B21/025Objectives with variable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02B21/22Stereoscopic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8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details of associated display arrangements, e.g. mounting of LCD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미경 장치 관련 모니터 부품의 개량된 구조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으로, 주로 받침대 상방에 설치된 재치대(
Figure 112004052003963-pat00001
)에 연결기 하나를 간접 설치하고, 본 연결기의 한 방향으로 전자 촬영장치를 결합하며, 앞쪽을 향한 쪽에 고정결합부를 경유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식으로 전자 모니터를 연결하고, 본 연결기는 간격을 두고 설치 제공되므로 치환이 쉽고, 축선(軸線)과 같은 시각을 형성하며, 확대된 해상도를 제공하고, 전통적 광학부품의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
영상 현미경 장치

Description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Improved image microscope}
도 1은 종래 현미경 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현미경 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용 로직 전송시스템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별도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대 (2) …굴절장치 (51) …고정결합판
(11) …재치대 (20) …검시장치 (6) …모니터
(12) …회전판 (21) …분광장치 (7) …정보처리기
(13) …대물렌즈 (22) …접안렌즈 (71) …캡처장치
(14) …불투명유리판 (3) …촬영장치 (72) …매체
(15) …빔 장치 (31) …광학장치 (73) …전송장치
(16) …빔 변조장치 (32) …칩 (74) …네트워크
(161),(162),(163) …광학렌즈 (33) …확대회로 (75) …트랜스
(4) …연결기
(5) …고정결합부
본 발명은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로 개량된 현미경의 영상 검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특별히 연결기 간접 촬영장치와 모니터 동체 적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추가 미립체 현미경 영상 치환이 편리하고, 원가를 확실하게 절약할 수 있는 발명이다.
현미경의 응용과 관련하여, 주로 미립체 현미 영상(微立體 顯微 影像)을 다루는 물리 분야에서 사용되며, 종래 현미경은 굴절 광학 확대부품을 통하여 미립체 현미 영상을 확대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최근 전자시스템 기술이 성숙되고, 정보시스템의 전송저장 요구로 인하여, 전통적인 현미경에 전자식 촬영장치를 부착하여, 함께 응용하고 있는바, 이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으며, 본 현미경은 주로 받침대(1)이 있고, 중간부분에 높낮이를 조정하는 불투명유리판(14)가 설치되며, 바닥의 빛 전송관련 루트에 빔장치(15)가 설치되고, 받침대(1) 상방에 수평재치대(11)이 형성되며, 이 재치대(11)에 연결된 움직이는 회전판(12)가 있고, 회전판(12)는 서로 다른 확대배율의 대물렌즈(object lens)(13)을 가진다.
대물렌즈(13)에서 전송된 광학루트는 굴절장치(2)를 경유하여 분광장치(21)에 제공되며(본 광학작업은 대물렌즈(13)이 캡처한 단축결정이 쌍축결정으로 갈라지며, 두 접안렌즈(ocular lens)(22)가 투영한 광축의 갈라짐 기능에 분배됨), 다시 분광장치(21)에서 사용자 두눈의 동보 관찰에 맞춘 2세트의 접안렌즈(22)를 형성하고, 이로써 광학확대원리의 검시장치(20)을 형성하는 것이다.
별도로 굴절장치(2)의 한쪽에 현대정보시스템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자식 촬영장치(3)을 설치하는데, 본 촬영장치(3)은 다시 외부에 추가된 모니터에 신호를 제공하여, 이를 영상신호 획득의 근거로 삼는다.
종래 현미경의 기초에서 광학검시장치(20)과 전자촬영장치(3)으로 나누어 전자신호를 형성하며, 쌍방향 루트로 관찰하였으나, 현재는 전자화의 편리를 위해, 물상자료 검지동일 요구가 전자화 되므로, 본 광학검시장치(20)(접안렌즈 광학시스템)은 실제로 존재할 필요가 없는 설계로서, 디지털화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검시장치(20)은 굴절장치(2) 및 분광장치(21), 그리고 2세트의 접안렌즈(22)등의 부품으로 함께 구성되어야 하며, 그 중에 각 부품 안에 다수의 편광 혹은 굴절등 프리즘이 장착되고, 또한 본 프리즘은 영상의 전송을 위하여, 반드시 고도로 정밀하게 갈아지고, 조합 연결사이에 광축안배가 반드시 고도로 정밀해야하기 때문에 원가의 상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접안렌즈(22)는 사용자의 눈으로 인해 습기를 받아 곰팡이가 끼어 보기가 쉽지 않으며, 사용자가 장시간 가까이 대고 관찰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피로를 쉽게 느끼고, 더욱이 각 장치가 비싼 공업원가와 공정을 필요로 하고, 상대적으로 공업적인 오염을 야기하기 때문에,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존재로 인식됨에 반해, 디지털화 영상의 저장, 열람이야말로 현대 연구 사업으로 가장 절박하게 필요한 것이다.
또한 현대 교육개혁이 제창하는 연구정신 및 정보전달이나 수집의 편리에 맞추어, 관련 과학 계측기의 원가는 적정가격의 대중화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므로, 원가 절감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통적인 받침대 위에서, 특별히 특정된 조합 구조치수를 갖는 연결기를 통해, 동체에 촬영장치와 정면동축 시각모니터를 연결하여, 같은 구조이면서도 변환장착이 가능하며, 그리고 전술한 원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여, 서민화, 디지털화, 실용화를 촉진하고 각계각층 인사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보급하며, 연구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정신적 근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촬영장치에 있어서, 연결기에 설치된 굴절장치를 거쳐, 그 설치각도를 변환하여, 조작습관과 기계공간 안배에 편리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본 촬영장치 출력단(output device terminal for photograph apparatus)으로서, 캡처장치를 거쳐 디지탈 정보처리기에 전송하여 매체의 자료저장이나 전송에 편리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본 받침대 관련 광학루트에 설치된 빔장치인데, 전자시스템화의 통합으로 인하여, 본 빔장치를 멀티빔 변조, 혹은 광도증폭 변조 등 영상응답 기능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어, 물상에 명도나 윤곽선 강화를 요구하는 데에 편리하고, 이차원 입체영상 대비효과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후광 투영루트에 있으며, 간격을 두어 광축변조장치를 설치하면, 후광을 세개의 광축으로 변조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각도에서 빛을 조사하여, 검시물 영상이 광학비교 대조로 입체강화효과를 거두도록 한것이다.
본 발명의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는 주로 하나의 받침대에, 빛 전송루트에 근거하여 바닥부에 빔장치를 설치하고, 중간부분에 불투명유리판을 설치하며, 상방에 재치대를 형성하고, 재치대와 이어지는 부분에, 회전판을 경유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를 장착하고, 광학 빛전송루트에 근거하여, 상대 접안렌즈 상방에 연결기를 착설하고, 본 연결기의 한 방향에 전자식 촬영장치를 결합하며, 정면을 향해 고정결합판을 경유하여 액정모니터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관련 모니터부품의 구조가 개량된 일종의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아가, 연결기와 수평 재치대 조합척도규격 근거가 전통적 굴절장치의 구조치수와 동일하고, 연결기 상방에 굴절 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촬영장치 위치변경설치가 가능하며, 빔장치와 불투명유리판 사이의 투광루트에 간격을 두어 다수의 광학렌즈를 갖는 빔변조장치가 있고, 연결기와 촬영장치 사이에 배율확대가 가능한 변조광학장치가 있으며, 촬영장치가 영상캡처장치를 경유하여, 영상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중앙정보처리기에 전송하며, 본 정보처리기에 기록매체 및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전송장치가 연결된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자세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곁들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나타난 것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동일 크기의 받침대(1), 하방에 광학루트를 따라, 빔장치(15)를 형성하고, 중간부분에 불투명유리판(14)를 설치한다.
받침대(1)상방에 회전판 수평의 재치대(11)을 형성하는데, 본 재치대(11)에 바로 이어져 회전판(12)가 지나고, 서로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object lens)(13)이 움직이도록 놓이며, 상대 대물렌즈(13) 광학루트에 연결기(4)를 맞추어 설치하면, 본 연결기(4)와 재치대(11) 사이에 조합구조는 전통적 굴절장치(2)의 조합구조척도와 동일하여, 직접 변환장착에 편리하고, 혹은 연결기(4)에 광범위한 기계를 받아들일 수 있는 범용조합구조로 설계되어있어, 이 모두 변환장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결기(4)의 기능은 광학전달 혹은 관통기능을 제공하는 것 외에, 특히 기계적인 연결인 집광 혹은 조리개 광학변조장치(31)을 가지고 있으며, 본 광학변조장치(31)에는 전자식 촬영장치(3)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기(4) 앞쪽의 한쪽에 고정결합부(5)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결합판(51)이 지나는데, 모니터(6)의 설치는 고정결합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체형의 사용자들이 시각에 맞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고, 관찰자가 조작위치에서 관찰시선이 동축을 보이고 있어 편리하다.
최근 액정판넬 생산기술이 성숙됨에 따라, 이미 원가가 대폭 낮아졌고, 이에 주로 형성된 검시장치는 종래의 광학부품 검시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그 원가를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기(4)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동체에 촬영장치(3)과 모니터(6)을 설치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전통적 검시장치(20)(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음)에 직접 응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 정보화 작업에도 더욱 합리적인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 빔장치(15)는 검시물의 영상상태 요구의 편의성을 위하여, 빛의 광도를 조절하거나, 스펙트럼 변조로 검시물의 형체를 명확하게 비교 대조해 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검시물의 원래 색이 검은 색이면, 빔(15) 광망 수요는 백색으로, 강렬한 비교대조 영상등을 얻을 수 있거나, 검시물이 만약 세포투광체이면, 즉 빔장치(15)를 통하여 그 광도를 변조할 수 있어, 투광정도를 조절, 교정한다.
상술한 빔장치(15)의 변조방식은 회로를 통해 빛을 조정하거나, 혹은 적(R), 녹(G), 청(B) 삼색 광원으로 회로 믹서를 거쳐 서로 다른 채도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변조해내는데, 본 변조회로는 일반적인 전자기술이므로,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 다.
검시물 영상의 각도별 비교대조 LV를 강화하기 위하여, 재치대(11) 하방관련 빔장치(15) 투광루트에 간격을 두어 빔변조장치(16)을 설치해야 하며, 본 장치는 다수의 광학렌즈(161),(162),(163)에서 집광 효과로 빔장치(15)가 발사하는 빔을 멀티빔으로 분배하고, 멀티채널 빔 변조후의 사각을 이용하며, 검시물 외형요구에 대한 빛 보충위치를 선택하여 맞춤형으로 조명하거나, 혹은 광편향으로 조정하고, 검시물 국소반사광선을 약화시켜, 물상이 강렬한 대비효과를 형성하도록 하거나, 나아가 확실한 입체영상을 교정해 내고, 또한 각 광학렌즈 161, 162, 163의 각도변화는 임의의 기계부품 조절위치에서 지원하는데, 관련 기계구조는 기계내부구조 분야이어서, 여기에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 협력정보시스템의 논리적 안배에 근거하고, 다시 도 3에 나타난 것을 참고하면, 본 대물렌즈(13)은 연결기(4)를 거쳐 전도된 후에, 물상 광축을 광학장치(31)에 전하고, 그 초점거리와 함께 조리개 크기를 변조한 후에, 촬영장치(3)이 설치된 칩(32)에 들어가며, 본 칩(32)에서 전환된 전류를 읽어내고, 확대회로(33)에 보내어 전자영상출력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CMOSE나 CCD 등 촬영장치로 영상신호를 내보내는 것을 아날로그 AV신호라 하는데, 본 AV신호는 AV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모니터(6)에 제공되어 영상구동의 근거로 삼거나, 혹은 캡처장치(71)을 거쳐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에 중앙연산처리기(CPU)(7)에 전송되는데, 본 처리기(7)에는 정보기록매체(72)가 설치되어, 전환된 영상신호정보를 기록하거나, 혹은 처리기(7)에 전송장치(73)을 설치 하여 네트워크(74)를 거쳐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촬영장치(3)이 정보처리기(7)로 전송하는 통신방식은 통신협정규격에 근거한다.
또 처리기(7)은 트랜스 75(R, G, B)를 거쳐 AV신호(디지털모니터 제외)를 형성하고, 모니터(6)에 제공하여 신호구동표시의 근거로 삼으며, 이는 도 3에 나타난 논리 시스템과 같고, 관련 정보처리기(7)이 요구하는 부품부분은 외장형 방식이거나, 혹은 개인 컴퓨터와 맞추어 사용함으로써, 정보의 광범위한 전달 및 저장처리를 구현한다.
다시 도 4에 나타난 것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받침대(1)의 상방에 형성된 재치대(11)이 있는데, 본 재치대(11)에 설치된 연결기(4)를 맞추고, 앞쪽으로 고정결합부(5)를 경유하여 모니터(6)을 결합하며, 상대 대물렌즈(13)의 광학루트는 굴절장치(32)를 거쳐 빛의 전송각도를 변환한 후에, 촬영장치(3)을 제공하여 수평식 설치를 형성하고, 본 촬영장치(3)과 굴절장치(32)의 사이는 동일하게 변조 가능한 광학장치(31)을 거쳐 연결된다.
상기 도 1에서 도 4 까지를 다시한번 요약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현미경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관련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응용로직 전송시스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별도로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대 (2) …굴절장치 (51) …고정결합판
(11) …재치대 (20) …검시장치 (6) …모니터
(12) …회전판 (21) …분광장치 (7) …정보처리기
(13) …대물렌즈 (22) …접안렌즈 (71) …캡처장치
(14) …불투명유리판 (3) …촬영장치 (72) …매체
(15) …빔 장치 (31) …광학장치 (73) …전송장치
(16) …빔 변조장치 (32) …칩 (74) …네트워크
(161),(162),(163) …광학렌즈 (33) …확대회로 (75) …트랜스
(4) …연결기
(5) …고정결합부
본 발명의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는, 특히 현미경 장치 관련 모니터부품의 개량된 구조를 제공하며, 주로 받침대 상방에 설치된 재치대에 연결기 하나를 간접설치하고, 본 연결기의 한 방향으로 전자촬영장치를 결합하며, 앞쪽을 향한 쪽에 고정결합부를 경유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식으로 전자 모니터를 연결하고, 본 연결기는 간격을 두고 설치 제공되므로 치환이 쉽고, 축선과 같은 시각을 형성하 며, 확대된 해상도를 제공하고, 전통적 광학부품의 원가를 절약할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있다.

Claims (6)

  1. 하나의 받침대에, 빛 전송루트에 근거하여 바닥부에 빔장치를 설치하고, 중간부분에 불투명유리판을 설치하며, 빔장치와 불투명유리판 사이의 투광루트에 간격을 두어 다수의 광학렌즈를 갖는 빔변조장치를 설치한다음, 받침대 상방에는 재치대를 형성하고, 재치대와 이어지는 부분에 회전판을 경유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배율의 대물렌즈를 장착하며, 광학빛 전송루트에 근거하여, 상대 접안렌즈 상방에 연결기를 착설하고, 본 연결기의 한방향에 전자식 촬영장치를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연결기와 촬영장치 사이에 배율확대 가능한 변조광학장치가 있는, 정면을 향해 고정결합판을 경유하여 액정모니터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40091241A 2004-11-10 2004-11-10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KR10067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241A KR100674290B1 (ko) 2004-11-10 2004-11-10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241A KR100674290B1 (ko) 2004-11-10 2004-11-10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47A KR20060042547A (ko) 2006-05-15
KR100674290B1 true KR100674290B1 (ko) 2007-01-24

Family

ID=3714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241A KR100674290B1 (ko) 2004-11-10 2004-11-10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803B1 (ko) * 2011-09-20 2012-09-10 (주)오맥스 현미경용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5850A (zh) * 2016-10-28 2017-03-22 衡阳智源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糖尿病检测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803B1 (ko) * 2011-09-20 2012-09-10 (주)오맥스 현미경용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47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2269B2 (ja) コンパクトなビデオ顕微鏡
US6441958B1 (en) Digital imaging microscope
US6795238B2 (en) Electronic camera for microscope
JP4253381B2 (ja) 顕微鏡用電子カメラ
JP2002207169A (ja) 光学的観察装置
JP2002006225A (ja) 顕微鏡照明装置
CN107942530A (zh) 集成光波导超分辨显微成像系统
US6690520B1 (en) Optical system for visualizing an object in a light scattering medium
CN103168265A (zh) 成像系统和其关联的方法
KR100674290B1 (ko) 개량된 영상 현미경 장치
US20100118297A1 (en) Microscope having multiple image-outputting devices and probing apparatus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ing the same
CN108459408A (zh) 一种智能混合现实望远镜
JPH11212028A (ja) コントラスト改善機能を有する光学装置およびコントラスト改善方法
US6433814B1 (en) TV camera
CN208239718U (zh) 一种智能混合现实望远镜
JP3047831U (ja) デジタル式光学顕微鏡及び望遠鏡
US20020186178A1 (en) Optical observ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system delivering information visually perceptible in the observation beam path
JP2018063309A (ja) 顕微鏡装置
JPH11271639A (ja) 実体顕微鏡
KR200321785Y1 (ko) 실체 영상 현미경
CN216351510U (zh) 大视场增强现实显微镜
JPH09223478A (ja) 透過型電子顕微鏡
CN210864196U (zh) 带分光系统电子目镜
CN217739604U (zh) 一种裸眼3d显微镜设备
JP2519894Y2 (ja) 実体顕微鏡用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