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202B1 -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202B1
KR100672202B1 KR1020050064225A KR20050064225A KR100672202B1 KR 100672202 B1 KR100672202 B1 KR 100672202B1 KR 1020050064225 A KR1020050064225 A KR 1020050064225A KR 20050064225 A KR20050064225 A KR 20050064225A KR 100672202 B1 KR100672202 B1 KR 10067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ipe
terminal device
remote monitor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157A (ko
Inventor
김영덕
현치웅
성준식
Original Assignee
(주)누리텔레콤
주식회사 삼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텔레콤, 주식회사 삼천리 filed Critical (주)누리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6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2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방지용 재질이 코팅된 도전성 금속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관과 동축을 이루며 연통된 절연체가 소정 길이 단위로 개재되며, 이 절연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구획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유체를 전달하고 전기신호전송라인으로도 기능하는 배관과;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구획된 배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구획된 배관에 대한 부식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상기 배관을 통하여 전송하는 신호감지단말장치와;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구획된 배관 사이에서 각 구획된 배관에 흐르는 방식 전류 및 부식 전류는 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호를 중계하는 복수의 신호중계단말장치와; 상기 복수의 신호감지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를 상기 배관과 상기 신호중계단말장치를 매개로 수집하여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상황실로 전송하는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배관, 원격 감시, 방식, 신호중계

Description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REMOTE MONITORING SYSTEM OF PIPE LINES BURIED IN THE EARTH}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식신호감지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부식신호감지/중계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조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신호데이터 포맷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부식신호감지/중계 단말장치의 데이터 중계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RTU)와 복수의 부식신호감지/중계 단말장치 및 부식신호감지 단말장치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부식신호감지 단말장치 및 부식신호감지/중계 단말장치에서 신호수신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부식신호감지 단말장치 및 부식신호감지/중계 단말장치에서 부식신호 측정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_1~10_9 : 배관 15 : 절연체
20 : 밸브 30 : 정압기
40 :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RTU)
50 : 부식신호감지 단말장치(신호감지단말장치)
50A,60A,60A' : 기준전극 50B,60B,60B' : 희생양극
50C,50C,50C' : 배관측정점 51,61,61A : 측정 인터페이스
52,62,62A : A/D변환부 53,63,63A : 제어부
54,64,64A : 저장부 55,65,65A : 신호변조부
56,66,66A : 신호복조부 57,67,67A : 송신부
58,68,68A : 수신부
60_1~60_n : 부식신호감지/중계 단말장치(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
69,69A : 통신인터페이스 70 : 상황실
본 발명은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배관을 통신 선로로 이용하여 지중 배관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배관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부식하게 되 는데, '부식(腐蝕)'이라 함은 물질이 주위환경과 반응하여 물질 자체가 변질되거나 혹은 물질의 특성이 변질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부식은 대부분 전자의 이동에 의한 전기 화학적 반응 때문에 발생하므로 전기 화학적 부식이라 부른다.
금속 구조물이 전해질 내에서 주위 환경과 반응하는 과정에서, 양극(anode), 음극(cathode), 전류경로(electric path)(또는 금속경로(metallic path)) 및 이온경로(ionic path)(전해질(electrolyte))의 4가지 조건이 갖추어지면, 부식전지상태가 되어 부식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더욱 액티브(active)하고 전위가 낮은 쪽이 양극이 되면서 부식된다.
이에 따라, 지하에 금속 배관을 소유하고 있는 시설물 소유자들은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여러 가지 종류의 방식(防蝕)(Anticorrosion)시설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방식'이라 함은 상기 부식의 여러 요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을 제거 또는 억제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부식의 조건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부식 억제제(inhibitor), 절연판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양극 또는 음극반응을 억제하거나 전자 또는 이온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 등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경제성이나 적용의 편리성 등을 감안하여 현재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은 양극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의 일종인 음극방식법(Cathodic Protection)으로서 일반적으로 전기방식법(Electrolytic Protection)으로 통칭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방식 설비를 채택한 배관 소유자들은 배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배관의 부식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현재 방식분야에서 의 부식점검 활동현황은, 방식 대상물(가스배관, 송유관, 상하수도관, 석유화학단지의 각종 탱크, 기타 지하 금속매설물 등)을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가 자체 혹은 방식관련 업체에 의뢰하여 방식 대상물에 대한 부식 유무와 관련하여 부식 점검 활동을 비정기적 혹은 정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부식감지는 아날로그 메타(테스터기; tester) 혹은 휴대용 기록계(Strip Chart Recorder)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 경우 부식 전위측정용 단자함(Test Box) 내에 측정리드선(+에는 배관, -에는 기준전극)을 연결하고 측정이 용이한 지점으로 이동하여 일정시간 부식전위를 측정해야 하므로, 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제성 및 측정의 신뢰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식 전위측정용 단자함을 유선 또는 무선 의 공중통신망에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측정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상황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부식 전위측정용 단자함마다 유선 공중통신망 또는 무선 공중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구조물이 돌출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 공중통신망 접속용 구조물의 설치 및 관리가 곤란하며, 또한 그 시스템 구축 비용 및 그 운용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 배관을 통신 선로로 이용하여 지중 배관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 및 운용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도 구축 및 관리가 용이한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은, 부식방지용 재질이 코팅된 도전성 금속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관과 동축을 이루며 연통된 절연체가 소정 길이 단위로 개재되며, 이 절연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구획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유체를 전달하고 전기신호전송라인으로도 기능하는 배관과;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구획된 배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구획된 배관에 대한 부식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상기 배관을 통하여 전송하는 신호감지단말장치와;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구획된 배관 사이에서 각 구획된 배관에 흐르는 방식 전류 및 부식 전류는 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호를 중계하는 복수의 신호중계단말장치와; 상기 복수의 신호감지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를 상기 배관과 상기 신호중계단말장치를 매개로 수집하여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상황실로 전송하는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은 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배관(10_1~10_9)과, 부식신호 감지단말장치(50), 부식신호 감 지/중계장치(60_1~60_12),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40) 및 상황실(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10_1~10_9)은 도전성 금속관에 외부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이 코팅된 관으로, 내부 금속관이 통신라인으로 활용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은 PLP(Polyethylene-coated Line Pipe)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10_1~10_9)은 배관과 동축을 이루며 연통된 절연체(15)가 소정 길이 단위(대략 300m~1km)로 개재되어 이 절연체(15)에 의하여 인접 배관 사이가 절연된다. 이와 같이 절연체(15)가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구획된 상태로 배관(10_1~10_9)은 지중에 매설되어 예를 들면 도시가스와 같은 유체를 전달하고 신호 전송라인으로도 기능한다.
여기서, 배관에 소정 길이 단위로 절연체가 개재되는 이유는, 배관의 부식을 촉진하는 부식전류가 배관을 따라서 흐르고 또한 배관의 방식을 위하여 방식전류가 배관을 따라서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배관의 부식신호의 측정구획 단위별로 절연체가 개재되어 이웃하는 부식신호의 측정구획 사이에서 신호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식신호 감지단말장치(50)(이하, 간단하게 '신호감지단말장치'라고 한다)는 예를 들면 상기 배관의 최단부에 위치하여 해당 구획된 배관(10_9)에 대한 부식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상기 배관(10_9)을 통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구체적인 블록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감지단말장치(50)는, 측정인터페이스(51),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52), 제어부(53), 저장부(54), 신호변조부(55), 신호복조부(56), 송신부(57), 수신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신호감지단말장치(50)는 예를 들면 지중에서 맨홀(83)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맨홀(83)의 상부에서 맨홀 덮개(80)와 맞닿는 부분인 덮개 지지부(82)는 통상적으로 주철로 이루어지고 땅과 맞닿으며 어느 정도의 습기가 있어 대략 50 오옴 미만의 접지저항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통신용 접지로서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동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덮개 지지부(82)에 접지선(59)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덮개 지지부(82)를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통신용 접지로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50)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부식신호 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에도 맨홀에 설치되는 경우 덮개 지지부를 부식신호 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의 통신접지로서 활용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50) 및 부식신호 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는 모두 통신접지로서 별도로 지중에 매립된 저저항 금속도체(대략 50 오옴 미만)를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측정인터페이스(51)는, 지중에 매설된 예를 들면 마그네슘으로 구성된 희생양극(50B) 및 예를 들면 구리로 이루어진 기준전극(50A) 그리고 배관(10_9)상의 배관측정점(50C)으로부터 부식신호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 신호는 희생양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n), 배관과 상기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ff), 희생양극과 배관 사이의 전류(Ecorr)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인터페이스(51) 는 상기 측정 신호중에서 상기 배관통신신호(본 실시예에서는 FSK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측정신호에 대하여 배관을 통한 통신신호의 영향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2)는 상기 측정인터페이스(5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신호로 변환하며, 저장부(54)는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수신부(58)를 통하여 수신되어 신호복조부(56)에서 복조된 복조신호를 일시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배관(10_1~10_9)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FSK(Frequency Shift Keying)변조신호이며, 이 FSK신호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01101"으로 표현되는 이진 데이터에 대하여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ASK1, ASK2)를 이용하여 "0"에 대해서는 제1주파수 신호(ASK1)로, 그리고 "1"에 대해서는 제2주파수 신호(ASK2)로 변조한 신호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배관에 대하여 여러 가지 통신 방식을 실험하였으며, 그 실험결과 FSK 변조신호는 배관을 통한 통신신호로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FSK신호의 주파수는 1~40kHz의 저주파수 범위에서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수신부(58)는 상기 배관(10_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관(10_9)으로부터 FSK 변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복조부(56)는 상기 수신부(58)에서 수신된 FSK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0"과 "1"로 표현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변조부(55)는 "0"과 "1"로 표현되는 전송될 데이터를 도 4에 도시 한 바와 같이 FSK신호로 변조하며, 상기 송신부(57)는 상기 배관(10_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관(10_9)으로 상기 FSK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저장부(54)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측정신호는 주시적으로 예를 들면 60초 마다 측정되며, 이때 측정 신호(예를 들면 Eon, Eoff, Ecorr)마다 그 측정 시각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54)는 대략 6개월 정도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저장용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수신부(58)에서 수신되어 상기 신호복조부(56)에서 복조된 신호를 상기 저장부(54)에 일시 저장해놓고 상기 복조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포맷의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이고 소오스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인지 확인한 후에, 자신이 목적지로 지정된 신호이고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부터 측정신호 데이터를 송출하라는 명령신호이면 상기 저장부(54)에 저장된 측정신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송출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 ID로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를 삽입하고 소오스 ID로서 자신의 식별코드를 삽입한 후 상기 측정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에 첨부하는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이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신호변조부(55)로 전달하여, 신호변조부(55)에서 FSK신호로 변조한 후에 송신부(57)를 통해서 배관(10_9)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수신부(58)에서 수신되어 상기 신호복조부(56)에서 복조된 후에 상기 저장부(54)에 일시 저장된 복조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폐기하고 무시한다.
또, 제어부(53)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즉 희생양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n), 배관과 상기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ff), 희생양극과 배관 사이의 전류(Ecorr)를 분석한 결과, 배관상태가 예를 들면 회손되거나 또는 절단된 것을 판단되면, 그 측정신호 이상 상태를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송출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포맷과 같이 목적지ID를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의 식별코드로 하고 소오스 ID를 자신의 식별코드로 하며 데이터 영역을 측정신호 이상 상태 데이터로 채워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이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신호변조부(55)에서 FSK신호로 변조한 후에 송신부(57)를 통해서 배관(10_9)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부식신호 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이하, "신호감지/중계장치"라고 약칭한다)는 예를 들면 배관(10_2)(10_3)을 전기적으로 구획하는 절연체(15)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배관(10_2)(10_3)에서 부식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배관(10_2)(10_3)의 절연체(15)에 의하여 막힌 신호전송로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의 구체적인 블록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는, 측정인터 페이스(61)(61A),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62)(62A), 제어부(63)(63A), 저장부(64) (64A), 신호변조부(65)(65A), 신호복조부(66)(66A), 송신부(67)(67A), 수신부(68)(68A), 통신인터페이스(69)(69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정인터페이스(61)(61A)는, 지중에 매설된 예를 들면 마그네슘으로 구성된 희생양극(60B)(60B') 및 예를 들면 구리로 이루어진 기준전극(60A)(60A') 그리고 배관(10_2)(10_3)의 배관측정점(60C)(60C')으로부터 부식신호를 측정한다. 여기서도, 상기 측정 신호는 희생양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n), 배관과 상기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ff), 희생양극과 배관 사이의 전류(Ecorr)를 포함한다. 여기서도, 상기 측정인터페이스(61)(61A)는 상기 측정 신호 중에서 상기 배관통신신호(본 실시예에서는 FSK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거함으로써 측정신호에 대하여 배관을 통한 통신신호의 영향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62)(62A)는 상기 측정인터페이스(61)(61A)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저장부(64)(64A)는 상기 제어부(63)(63A)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수신부(68)(68A)를 통하여 수신되어 신호복조부(66)(66A)에서 복조된 복조신호를 일시 저장한다.
상기 수신부(68)(68A)는, 상기 배관(10_2)(10_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와 접속되는 통신인터페이스(69)(69A)를 매개하여, 상기 배관(10_2)(10_3) 또는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로부터 FSK 변조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복조부(66)(66A)는 상기 수신부(68)(68A)에서 수신된 FSK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원래의 "0"과 "1"로 표현되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변조부(65)(65A)는 "0"과 "1"로 표현되는 전송될 데이터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FSK신호로 변조하며, 상기 송신부(67)(67A)는 상기 배관(10_2)(10_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와 접속되는 통신인터페이스(69)(69A)로, 상기 신호변조부(65)(65A)에서 변조된 FSK 변조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통신인터페이스(69)(69A)는 상기 배관(10_2)(10_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어부(63)(63A)의 제어에 따라서 배관(10_2)(10_3) 및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로부터 수신되는 FSK 변조신호를 상기 수신부(68)(68A)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부(67)(67A)로부터의 FSK 변조신호를 배관(10_2)(10_3) 또는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로 전달하도록 스위칭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63)(63A)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62)(62A)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저장부(64)(64A)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도, 측정신호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면 60초 마다 측정되며, 이때 측정 신호(예를 들면 Eon, Eoff, Ecorr)마다 그 측정 시각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64)(64a)는 대략 6개월 정도를 저장 할 수 있는 충분한 저장용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3)(63A)는 상기 수신부(68)(68A)에서 수신되어 상기 신호복조부(66)(66A)에서 복조된 신호를 상기 저장부(64)(64A)에 일시 저장해놓고 상기 복조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포맷의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이고 소오스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인지 확인한 후에, 자신이 목적지로 지정된 신호이고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부터 측정신호 데이터를 송출하라는 명령신호이면 상기 저장부(64)(64A)에 저장된 측정신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송출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 ID로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를 삽입하고 소오스 ID로서 자신의 식별코드를 삽입한 후 상기 측정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에 첨부하는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이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신호변조부(65)(65A)로 전달하여, 신호변조부(65)(65A)에서 FSK신호로 변조된 후에 송신부(67)(67A) 및 통신인터페이스(69)(69A)를 통해서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69A)(69) 또는 배관(10_2)(10_3)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제어부(63)는 상기 수신부(68)에서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니고 소오스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인 경우 해당 신호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부터 배관(10_2)을 통해서 자신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64)에 일시 저장된 복조 데이터를 독출 하여 신호변조부(65)에서 변조한 후에 송신부(67) 및 통신인터페이스(69)를 통해서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의 통신인터페이스(69A)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3)는 상기 수신부(68)에서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인 경우 해당 신호가 자신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단말장치에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전송되는 것으로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의 통신인터페이스(69A)를 통해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64)에 일시 저장된 복조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호변조부(65)에서 변조한 후에 송신부(67) 및 통신인터페이스(69)를 통해서 배관(10_2)으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의 상기 제어부(63A)는 상기 수신부(68A)에서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니고 소오스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인 경우 해당 신호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부터 인접한 상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통신인터페이스(69)를 통해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64A)에 일시 저장된 복조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호변조부(65A)에서 변조한 후에 송신부(67A) 및 통신인터페이스(69A)를 통해서 배관(10_3)으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3A)는 상기 수신부(68A)에서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인 경우 해당 신호가 자신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단말장치에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전송되는 것으로 배관(10_3)을 통해서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64A)에 일시 저장된 복조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호변 조부(65A)에서 변조한 후에 송신부(67A) 및 통신인터페이스(69A)를 통해서 인접한 상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통신인터페이스(69)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3)(63A)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62)(62A)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즉 희생양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n), 배관과 상기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ff), 희생양극과 배관 사이의 전류(Ecorr)를 분석한 결과, 배관상태가 예를 들면 회손되거나 또는 절단된 것을 판단되면, 그 측정신호 이상 상태를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송출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포맷과 같이 목적지ID를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의 식별코드로 하고 소오스 ID를 자신의 식별코드로 하며 데이터 영역을 측정신호 이상 상태 데이터로 채워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생성한 후에 이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신호변조부(65)(65A)에서 FSK신호로 변조한 후에 송신부(67)(67A) 및 통신인터페이스(69)(69A)를 통해서 상류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상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제어부(63)에서는 상기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에 대한 FSK신호가 송신부(67) 및 통신인터페이스(69)를 통해서 배관(10_2)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의 제어부(63A)에서는 상기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에 대한 FSK신호가 송신부(67A) 및 통신인터페이스(69A)를 통해서 상기 상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통신인터페이스(69)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즉, 예를 들면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에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3; 도 1 참조)로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도 6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 이 상기 신호는 배관(10_2), 상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통신인터페이스(69), 수신부(68), 제어부(63), 송신부(67), 통신인터페이스(69)를 경유하여, 하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의 통신인터페이스(69A), 수신부(68A), 제어부(63A), 송신부(67A), 통신인터페이스(69A)를 통해서 배관(10_3)으로 전송된다.
한편, 예를 들면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3; 도 1 참조)에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도 6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호는 배관(10_3), 하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의 통신인터페이스(69A), 수신부(68A), 제어부(63A), 송신부(67A), 통신인터페이스(69A)를 경유하여, 상위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의 통신인터페이스(69), 수신부(68), 제어부(63), 송신부(67), 통신인터페이스(69)를 통해서 배관(10_2)으로 전송된다.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는 자신이 관할하고 있는 구역에 위치하는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 및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전체적인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 및 신호감지단말장치(50)에서 측정된 신호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상기 배관을 통하여 수집하고 그 수집된 신호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공중통신망인 무선데이터통신망 또는 유선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상황실(70)로 전송하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12) 및 신호감지단말장치(5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 수신시에 그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무선데이터통신망 또는 유선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상황실(70)로 전송한다.
상기 상황실(70)은 복수의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에서 전송되어온 신호를 기초로 광역단위로 배관의 상태를 분석, 감시하고,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의 수신시에 이를 분석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여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RTU)(40)와 복수의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60_n) 및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신호 전달 체계에 대하여,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에서 신호감지단말장치(50)로 측정 신호 데이터를 업로드(upload)하라는 명령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라 신호감지단말장치(50)에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로 측정 신호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에서는 도 5의 포맷에서 목적지 ID가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식별코드이고 소오스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이며 데이터가 측정 신호 데이터를 업로드하라는 명령어로 된 명령신호를 생성하고 FSK변조하여 배관을 통하여 송출한다.
그러면, 배관을 통하여 그 명령신호를 수신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1)는 FSK신호를 복조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니므로 상기 복조된 신호를 FSK변조하여 하류측 단말장치 쪽으로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명령신호를 수신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2~60_n)도 FSK신호를 복조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니므로 상기 복조된 신호를 FSK변조하여 하류측 단말장치 쪽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명령신호를 수신한 신호감지단말장치(50)는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측정 신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도 5의 포맷에서 목적지 ID 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이며 소오스 ID가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식별코드이고 데이터가 측정 신호 데이터로 된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고 FSK변조하여 배관을 통하여 송출한다. 그러면, 배관을 통하여 그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n)는 FSK신호를 복조하여 목적지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이므로 상기 복조된 신호를 FSK변조하여 상류측 단말장치 쪽으로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3~60_1)도 FSK신호를 복조하여 목적지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가 이므로 상기 복조된 신호를 FSK변조하여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 쪽으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에서는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50)로부터의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써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50)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3을 참조하여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3~60_n)에서 신호수신시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신부(68)(68A)에서 FSK신호가 수신되면 이 FSK신호는 신호복조부(66)(66A)에 전달되어 복조된 후 제어부(63)(63A)에 전달되고, 이 복조 데이터는 제어부(63)(63A)에 의하여 저장부(64)(64A)에 일시 저장된다(단계 S10~S14).
그후, 상기 제어부(63)(63A)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해석한 후 목적지 ID를 점검하여 해당 수신 데이터의 목적지를 확인하고, 목적지가 자신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6~S18).
상기 단계 S18의 판단결과,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로 판단되는 경우( 즉, 목적지가 자신인 경우), 상기 제어부(63)(63A)는 상기 복조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그 명령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20).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 복조된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의 명령어가 측정 데이터의 업로드 명령이면, 상기 제어부(63)(63A)는 저장부(64)(64A)에 저장되어 있는 측정 신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목적지 ID로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를, 소오스 ID로서 자신의 식별코드를, 그리고 데이터영역에 상기 독출한 측정 신호 데이터를 삽입하여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측정신호 데이터 메시지를 신호변조부(65)(65A)로 보내서 FSK변조한 후에 송신부(67)(67A) 및 인터페이스(69)(69A)를 통해서 상류측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8의 판단결과,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즉, 목적지가 자신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63)(63A)는 상기 저장부(64)(64A)에 일시 저장된 복조 데이터를 독출하여, 신호변조부(65)(65A)로 보내서 FSK변조한 후에 송신부(67)(67A) 및 인터페이스(69)(69A)를 통해서 하류측으로 송출하게 된다(단계 S22~S26).
다음으로, 도 9 및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신호감지단말장치(50) 및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60_3~60_n)에서 부식신호를 측정하는 제어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53)(63)(63A)는 시간 카운트를 개시하고(단계 S30), 측정인터페이스(51)(61)(61A)를 통하여 부식신호[희생양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n), 배관과 상기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Eoff), 희생양극과 배관 사이의 전류(Ecorr)를 포함한다]를 측정하도록 하여 그 측정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2)(62)(62A)를 통하여 수신한다(단계 S32).
그후, 상기 제어부(53)(63)(63A)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2)(62) (62A)를 통하여 수신된 측정신호를 그 측정 시간과 함께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54)(64)(64A)에 저장한다(단계 S34).
상기 제어부(53)(63)(63A)는 상기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예를 들면 배관의 손상 또는 절단 등의 우려를 나타내는 신호로 분류되는 것과 같이 측정신호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6).
상기 단계 S36에서 측정신호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3)(63)(63A)는 목적지 ID로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40)의 식별코드를, 소오스 ID로서 자신의 식별코드를, 그리고 데이터영역에 상기 측정 신호 데이터와 함께 측정신호 이상임을 통지하는 신호임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신호변조부(55)(65)(65A)로 보내서 FSK변조한 후에 송신부(57)(67)(67A)를 통해서 상류측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8).
상기 단계 S36에서 측정신호가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단계 S38에서 측정신호 이상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한 후에, 상기 제어부(53)(63)(63A)는 상기 카운트한 시간(T)가 소정의 설정시간(T1)(예를 들면 60초)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40).
상기 단계 S40에서 상기 카운트한 시간(T)가 소정의 설정시간(T1)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3)(63)(63A)는 상기 카운트값을 리셋시키고(단계 S42), 제어가 상기한 단계 S30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배관을 통한 통신 신호로서 FSK 변조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배관을 통한 통신 신호로서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신호를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 배관을 통신 선로로 이용하여 지중 배관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 및 운용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도 시스템 구축 및 관리가 용이한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2)

  1. 부식방지용 재질이 코팅된 도전성 금속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관과 동축을 이루며 연통된 절연체가 소정 길이 단위로 개재되며, 이 절연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구획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유체를 전달하고 전기신호전송라인으로도 기능하는 배관과;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구획된 배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구획된 배관에 대한 부식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상기 배관을 통하여 전송하는 신호감지단말장치와;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구획된 배관 사이에서 각 구획된 배관에 흐르는 방식 전류 및 부식 전류는 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신호를 중계하는 복수의 신호중계단말장치와;
    상기 복수의 신호감지단말장치에서 측정된 신호를 상기 배관과 상기 신호중계단말장치를 매개로 수집하여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상황실로 전송하는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최단부에 위치하는 신호감지단말장치를 제외하고,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와 상기 신호중계단말장치는 일체형으로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최단부에 위치하는 신호감지단말장치는,
    지중에 매설된 희생양극 및 기준전극 그리고 배관측정점으로부터 부식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인터페이스와;
    상기 측정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배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복조부와;
    상기 배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배관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 전달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변조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신호복조부에서 복조된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일시 저장해놓고 상기 복조된 신호를 해석하여 그 해석된 신호가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부터 측정신호 데이터를 송출하라는 명령이면 해당 측정신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신호변조부에서 변조한 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그 측정신호 이상 상태 데이터를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신호변조부에서 변조한 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는,
    상기 절연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구획된 인접 배관의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와는 통신인터페이스 및 신호선을 매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되고,
    지중에 매설된 희생양극 및 기준전극 그리고 배관측정점으로부터 부식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인터페이스와;
    상기 측정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배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배관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복조부와;
    상기 배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배관으로 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 전달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변조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신호복조부에서 복조된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일시 저장해놓고 상기 복조된 신호를 해석하여 그 해석된 신호의 목적지가 자신이고 또한 그 해석된 신호가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부터 자신의 측정신호 데이터를 송출하라는 명령이면 해당 측정신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신호변조부에서 변조한 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조된 신호의 목적지가 자신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복조 신호를 목적지로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변조부에서 복조한 후에 상기 송신부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배관 또는 인접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측정신호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그 측정신호 이상 상태를 상기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신호변조부에서 변조한 후 상기 송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자신의 식별코드가 아니고 소오스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인 경우 상류측으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상기 송신부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류측으로 송출되도록 상기 송신부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여 목적지 ID가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인 경우 해당 신호가 자신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단말장치에서 원격감시제어단말장치로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상기 송신부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류측으로 송출되도록 상기 송신부 및 통신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두개의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는 하나의 단자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을 통해 통신되는 신호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신호 또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SK변조신호 또는 ASK변조신호의 주파수는 1~40kHz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PLP(Polyethylene-coated Line Pi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 측정 신호중에서 상기 FSK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신호는 희생양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 배관과 상기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 희생양극과 배관 사이의 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 및 상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는, 상기 신호감지단말장치 및 상기 신호감지/중계단말장치를 지하에서 수용하는 맨홀에서 지면과 접하는 도체 부분을 통신접지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050064225A 2005-07-15 2005-07-15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67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25A KR100672202B1 (ko) 2005-07-15 2005-07-15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225A KR100672202B1 (ko) 2005-07-15 2005-07-15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57A KR20070009157A (ko) 2007-01-18
KR100672202B1 true KR100672202B1 (ko) 2007-01-22

Family

ID=3801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225A KR100672202B1 (ko) 2005-07-15 2005-07-15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21B1 (ko) 2013-09-13 2014-01-17 송인석 가스충전소의 가스저장탱크와 주유소 유류탱크 및 금속관로의 부식방지 원격제어 및 감시장치
KR101445095B1 (ko) 2013-09-13 2014-10-01 송하영 독립전원을 이용한 무선통신방식의 부식방지 원격 감시 및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63B1 (ko) * 2010-11-09 2013-03-29 전남도시가스(주) 표시못을 이용한 지중 관로 감시 시스템
KR101046865B1 (ko) * 2011-03-11 2011-07-06 영남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굴착공사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3494B1 (ko) * 2017-09-20 2019-10-21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배관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7894A (ja) * 1992-01-21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と受信装置
JPH07202762A (ja) * 1993-12-28 1995-08-04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配管内信号伝送装置
KR100269817B1 (ko) 1998-07-03 2000-10-16 기옥연 배관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311631B1 (ko) * 1998-11-23 2001-12-17 윤문수 원격부식감시및방식제어시스템
KR100406026B1 (ko) 2001-08-10 2003-11-17 삼한기술산업주식회사 지중에 군집하여 매설된 복수개 금속 탱크의 부식 예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7894A (ja) * 1992-01-21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と受信装置
JPH07202762A (ja) * 1993-12-28 1995-08-04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配管内信号伝送装置
KR100269817B1 (ko) 1998-07-03 2000-10-16 기옥연 배관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0311631B1 (ko) * 1998-11-23 2001-12-17 윤문수 원격부식감시및방식제어시스템
KR100406026B1 (ko) 2001-08-10 2003-11-17 삼한기술산업주식회사 지중에 군집하여 매설된 복수개 금속 탱크의 부식 예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21B1 (ko) 2013-09-13 2014-01-17 송인석 가스충전소의 가스저장탱크와 주유소 유류탱크 및 금속관로의 부식방지 원격제어 및 감시장치
KR101445095B1 (ko) 2013-09-13 2014-10-01 송하영 독립전원을 이용한 무선통신방식의 부식방지 원격 감시 및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57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639B1 (ko)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및 안전 관리 시스템
WO2007011082A1 (e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safety maintenance of pipe lines buried in the earth
KR100672202B1 (ko) 지중 배관 상태 원격 감시 시스템
US9873008B2 (en) Hydr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82243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pipeline testing
EP2620562A1 (en) System, method and use for minitor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 a storm drain
US20020196160A1 (en) Pipe-to-soi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2021584A (zh) 一种面向管道运输的阴极保护系统
KR101049691B1 (ko) 금속구조물의 유무선통신 원격부식 감시 및 방식 제어 시스템
EP3469339A1 (en) Remote communication and powering of sensors for monitoring pipelines
CN103592363A (zh) 监测埋地金属管道防腐涂层破损的方法及装置
KR100311631B1 (ko) 원격부식감시및방식제어시스템
KR20160113116A (ko) 원격 검침 단말기들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원격 배포
Abate et al. A networked control system for gas pipeline cathodic protection
WO2007011081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of pipe lines buried in the earth
US20100109886A1 (en) Retrofit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line moisture detection and removal
JP3361800B2 (ja) 電気防食設備監視システム
CN115627479A (zh) 一种多功能智能管道阴极保护系统及方法
CN211263679U (zh) 一种管道绝缘接头自动监测装置
KR100406026B1 (ko) 지중에 군집하여 매설된 복수개 금속 탱크의 부식 예측시스템
CN218546604U (zh) 基于物联网的埋地管路腐蚀监测系统
JP4455777B2 (ja) 防食管理方法
JPH09284236A (ja)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569886B1 (ko) 지하매설 배관 부식 원격 감시시스템
CN103822663A (zh) 一种电力电缆参数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