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202B1 -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202B1
KR100671202B1 KR1020050020419A KR20050020419A KR100671202B1 KR 100671202 B1 KR100671202 B1 KR 100671202B1 KR 1020050020419 A KR1020050020419 A KR 1020050020419A KR 20050020419 A KR20050020419 A KR 20050020419A KR 100671202 B1 KR100671202 B1 KR 10067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isplay unit
link memb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254A (ko
Inventor
김현석
원범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2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힌지 결합하는 제1슬라이딩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텔레스코픽 신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된 링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컴퓨터, 디스플레이부, 본체부, 링크유닛, 래치부, 후크부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MOBILE COMPUTER}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측면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접철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컴퓨터 10 : 디스플레이부
12 : 제1힌지부 14 : 후크걸림부
16 : 래치걸림부 20 : 본체부
22 : 제2힌지부 24 : 걸림부
25 : 래치부 27 : 슬라이딩부
29 : 후크부 30 : 링크유닛
32 : 제1링크부재 34 : 제2링크부재
36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101)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본체부(120)와, 디스플레이부(110) 및 본체부(120)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101)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슬라이딩부(130)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부(112)와, 본체부(120) 및 슬라이딩부(130)의 타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힌지부(122)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딩부(130)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는 슬라이딩부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힌지 결합하는 제1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와 텔레스코픽 신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과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본체부의 연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철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연부를 파지 및 해제하는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래치부와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래치부의 파지 동작시 걸림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래치부의 해제 동작시 해제 상태로 이동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측면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1)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하는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 (10) 및 본체부(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10)와 본체부(20)를 연결하는 링크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1)는 디스플레이부(10)를 본체부(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래치부(25) 및 후크부(29)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 일영역에는 제1힌지부(12)가 마련되어, 링크유닛(3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는 링크유닛(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링크유닛(30)을 수용하는 제1링크유닛수용부(18)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후술할 후크부(29)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크걸림부(14)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0)의 절첩 상태에서 후크걸림부(14)에 후크부(29)가 걸림 유지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0)가 본체부(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10)의 상측 연부에는 래치부(25)의 돌기부(25a)와 맞물리는 래치걸림부(16)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10)의 절첩 상태에서 래치걸림부(16)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에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직접 작업을 할 수 있다.
링크유닛(30)은 일단이 디스플레이부(10)에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32)와, 일단이 본체부(20)에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34)와, 제1링크부재(32) 및 제2링크부재(34)의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4)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재(32)의 일부는 제2링크부재(34)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링크부재(32)는 디스플레이부(10)의 경사 각도에 따라 텔레스코픽(telescopic) 신축된다(도 3의 화살표 참고).
제2링크부재(34)는 내부에 제1링크부재(32)와 탄성부재(3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다. 제2링크부재(34)는 제2힌지부(22)에 의해 본체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부재(34)는 일단이 제1링크부재(32)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링크부재(34)의 내부에 고정된다. 탄성부재(34)는 제1링크부재(32)의 신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의 접철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상면에는 입력을 위한 키보드(도 5 참고)와, 디스플레이부(10)가 걸림 유지되는 복수의 걸림부(24)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부(20)의 상면에는 링크유닛(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링크유닛(30)을 수용하는 제2링크유닛수용부(28)가 마련된다. 본체부(20)는 디스플레이부(10)를 고정하기 위한 래치부(25) 및 후크부(29)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20)는 래치부(25)와 후크부(29)를 연결하는 슬라이딩부(27)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24)는 디스플레이부(10)의 개방 각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과 맞물린다. 걸림부(24)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는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래치부(25)는 본체부(20)의 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래치부(25)는 디스플레이부(10)를 파지하기 위한 돌기부(25a)를 포함한다. 돌기부(25a)에 의해 래치부(25)는 디스플레이부(10)의 접철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본체부(20)의 내부에 삽입된 래치부(25)의 일부 영역이 슬라이딩 부(27)와 연결된다. 래치부(25)는 디스플레이부(10)가 분리되면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래치부(25)가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부(27)를 후크부(29) 방향으로 밀게 된다. 래치부(25)가 디스플레이부(10)를 파지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슬라이딩부(27)가 래치부(25)에 연결되어 본체부(20)의 연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래치부(25)가 슬라이딩부(27)를 잡아 당기게 된다.
슬라이딩부(27)는 본체부(20)의 내부에 마련되며, 일단이 래치부(25)에 결합되고 타단이 후크부(29)에 결합된다. 슬라이딩부(27)는 래치부(25)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후크부(29)를 이동시킨다. 슬라이딩부(27)는 래치부(25)가 파지 위치에 있을 때, 후크부(29)를 걸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슬라이딩부(27)는 래치부(25)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후크부(29)를 걸림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후크부(29)가 래치부(25)에 연동될 수 있다.
후크부(29)의 일단은 슬라이딩부(2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본체부(20)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후크부(29)는 본체부(20)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마련된 후크걸림부(14)에 걸림 및 걸림해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 및 고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가 90도 이상의 개방각을 가지며 링크부재()로부터 가장 바깥쪽의 걸림부(24)에 맞물리면, 탄성부재(34)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링크부재(32)도 신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디스플레이부(10)가 링크부재()에 가까운 걸림부(24) 중 하나에 맞물리면, 제1링크부재(32)는 디스플레이부(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신장된다. 제1링크부재(32)가 신장되면, 탄성부재(34)도 신장된다. 탄성부재(34)는 관성에 의해 수축하려고 하므로, 제1링크부재(32)의 신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체부(20)의 상면에 마련된 걸림부(24)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가 걸림 유지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는 개방각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는 화상이 표시되는 면과 본체부(20)가 접촉하거나,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이 본체부(20)와 접촉하도록 접철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 및 본체부(2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링크유닛수용부(18, 28)에 링크유닛(30)이 수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와 본체부(20)가 최소 이격 간격으로 접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가 접철된 상태에서, 래치부(25)는 디스플레이부(10)의 연부를 파지한다. 이 때, 래치부(25)에 형성된 돌기부(25a)가 디스플레이부(10)의 연부에 형성된 래치걸림부(16)에 맞물린다.
래치부(25)가 파지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부(27)에 의해 래치부(25)와 연동되는 후크부(29) 역시 걸림 위치에 놓인다. 래치부(25)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슬라이딩부(27)가 슬라이딩하여 후크부(29)를 움직인다. 이에 의해, 래치부(25)가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 후크부(29)도 걸림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링크유닛이 디스플레이부의 후방 일영역에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등 본 발명의 실시 범위 내에서 링크유닛의 위치와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는 일단이 제1링크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링크부재에 고정된다고 하였으나,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의 사이에 삽입되는 등 제1링크부재의 신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길이 가변형의 링크유닛이 제공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별도의 결합 수단이 마련되므로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본체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힌지 결합하는 제1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와 텔레스코픽 신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과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연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접철 상 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연부를 파지 및 해제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래치부와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래치부의 파지 동작시 걸림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래치부의 해제 동작시 해제 상태로 이동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20050020419A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 KR10067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419A KR100671202B1 (ko)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419A KR100671202B1 (ko)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254A KR20060098254A (ko) 2006-09-18
KR100671202B1 true KR100671202B1 (ko) 2007-01-19

Family

ID=376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419A KR100671202B1 (ko) 2005-03-11 2005-03-11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3948A (zh) * 2016-01-07 2016-03-30 吴江市金晟工艺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电子设备固定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426A (en) 1991-08-16 1992-12-01 Beaver Computer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cover panel of portable computer including slide mechanism
US6229693B1 (en) 1999-03-31 2001-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ulated display for notebook computer
JP2002023650A (ja) 2000-06-14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2222026A (ja) 2001-01-26 2002-08-09 Nec Yonezawa Ltd 携帯情報処理装置
US6532147B1 (en) 1999-09-24 2003-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monitor/display on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426A (en) 1991-08-16 1992-12-01 Beaver Computer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cover panel of portable computer including slide mechanism
US6229693B1 (en) 1999-03-31 2001-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ulated display for notebook computer
US6532147B1 (en) 1999-09-24 2003-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monitor/display on mobile device
JP2002023650A (ja) 2000-06-14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2222026A (ja) 2001-01-26 2002-08-09 Nec Yonezawa Ltd 携帯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254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665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KR10074580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US9380719B2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link mechanism of information apparatus
WO2012096035A1 (ja) 折り畳みハンガ
KR20120080182A (ko) 휴대형 전자기기
KR20080042548A (ko)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20150349830A1 (en) Sliding stand assembly
JP2020526688A5 (ko)
US20220410362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KR100541458B1 (ko) 휴대용 컴퓨터
JP5565760B2 (ja) 引出式収納装置
KR100671202B1 (ko) 휴대용 컴퓨터
JP4796818B2 (ja) 可動式モニタの保持機構
JP2006100671A (ja) 電子機器
TWI586245B (zh) 用於承載電子裝置之承載結構
JP4474568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動可能な表示部のロック装置
JP3617968B2 (ja) 電子機器
US20160007484A1 (en) Bag computer display panel improvements
KR100549082B1 (ko) 휴대용 컴퓨터
KR101539264B1 (ko) 전자기기의 힌지장치
JP5566273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0024782A (ja) 両つまみパチン錠
KR100642296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KR20080067899A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JP2004104496A (ja) 携帯型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