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899A -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99A
KR20080067899A KR1020070005379A KR20070005379A KR20080067899A KR 20080067899 A KR20080067899 A KR 20080067899A KR 1020070005379 A KR1020070005379 A KR 1020070005379A KR 20070005379 A KR20070005379 A KR 20070005379A KR 20080067899 A KR20080067899 A KR 2008006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protrusion
main body
latch hook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899A/ko
Publication of KR2008006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본체부(21)와 디스플레이부(25) 중 어느 일방에 디스플레이부(23)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안내면(37)과 해제안내면(39)이 구비되는 래치후크(L)와 상기 본체부(2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3)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L)가 걸어지거나 해제되고, 상기 래치후크(L)의 걸림 또는 해제를 위하여 상기 걸림안내면(37) 또는 상기 해제안내면(39)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33)이 구비되는 래치돌기(31)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L)가 상기 래치돌기(31)에 걸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L)에 부여하는 탄성부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사이의 체결을 위한 래칭장치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고,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이 보다 간단해진다.
휴대용 컴퓨터, 래치후크, 후크돌기, 걸림돌기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A latch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1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2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3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본체부 23: 디스플레이부
25: 힌지부 31,41,51: 걸림부
33,43,53: 경사안내면 34: 탄성부재
35,45,55: 후크몸체 36,46,56: 걸림돌기
37,47: 걸림안내면 39,59: 해제안내면
L: 래치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체결되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수신된 화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겹쳐진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선단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래칭장치가 구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용 컴퓨터로서 노트북 컴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노트북 컴퓨터는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부(1)와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힌지부(5)에 의해 상기 본체부(1)에 겹쳐지거나 펼쳐진다. 그리고 상기 디 스플레이부(3)의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의 선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상기 본체부(1)에 체결하기 위한 래칭장치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부(1)의 상면 선단에는 걸이홈(11)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홈(11)은 상기 본체부(1)의 상면 선단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의 상부로 개구된다. 상기 걸이홈(11)의 내부에는 걸이단(13)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의 전면 선단에는 상기 본체부(1)의 걸이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래치(15)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15)의 선단에는 상기 걸이홈(11)의 걸이단(13)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이턱(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15)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이턱(16)이 걸이단(13)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걸이단(13)에 걸이턱(16)이 걸어진 상태를 해지하기 위해 해제버튼(17)이 구비된다. 상기 해제버튼(17)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가 상기 본체부(1)에 겹쳐지게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해제버튼(17)은 상기 래치(15)와 일체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래칭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상기 본체부(1)에 대하여 펼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해제버튼(17)을 조작하여 래칭장치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 본체부(1)를 상대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들어올려야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를 펼치는 과정이 번거롭고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래칭장치의 조작을 위한 해제버튼(17)이 휴대용 컴퓨터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의 제약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래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래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양자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게 동작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일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안내면과 해제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후크와,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가 걸어지거나 해제되는 경사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돌기,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안내면이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해제안내면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래치후크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체결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해제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양자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게 동작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일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후크와,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가 체결되거나 해제되고, 경사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돌기,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 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가 래치돌기에 걸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안내면이 래치돌기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래치후크의 선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래치후크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체결되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체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양자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게 동작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일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해제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후크와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가 체결되거나 해제되고, 경사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돌기,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 기에 걸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래치후크의 선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선접촉된 상태로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해제안내면이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래치후크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제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에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체결을 위한 래칭장치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고,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1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21)는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납작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부(21)의 상면에는 키보드(27)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21)의 후단에는 힌지부(25)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23)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는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21)에 겹쳐지거나 소정 각도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1)의 상면 선단 양측에는 걸이홈(30)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홈(30)은 상기 본체부(21)와 디스플레이부(23)를 체결하기 위하여 후술할 래치후크(L)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홈(30)에는 래치돌기(31)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돌기(31)에는 그 저면이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안내면(3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본체부(21)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1)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일면에는 래치후크(L)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후크(L)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일측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후크(L)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23)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후크몸체(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 몸체(35)의 선단에는 상기 래치후크(L)에 걸어지는 걸림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6)의 일측에는 걸림안내면(37)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안내면(37)은 상기 걸림돌기(36)의 저면이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안내면(37)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본체부(2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과 선접촉된 상태로 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본체부(21)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36)에는 해제안내면(39)이 구비된다. 상기 해제안내면(39)은 상기 걸림돌기(36)의 상면이 선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해제안내면(39)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21)와 디스플레이부(23)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안내면(33)을 따라서 이동한다. 즉 상기 래치후크(L)가 상기 래치돌기(31)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제안내면(39)이 상기 경사안내면(33)에 면접촉된 상태로 경사안내면(33)을 따라서 도면상 좌측을 향햐여 상향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23)를 본체부(21)에 겹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21)를 향하여 회동시킨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후크(L)가 걸림홈(30)에 삽입된다. 그리고 걸림안내면(37)에 래치돌기(31)의 선단이 선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계속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걸림안내면(37)이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이때 탄성부재(38)는 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압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계속하여 회동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6)의 선단이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에 맞닿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8)는 최대로 압축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계속하여 회동시키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이 상기 걸림돌기(36)의 선단을 타고 넘어간다.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이 상기 걸림돌기(36)의 선단을 타고 넘어가면, 상기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후크(L)가 도면상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L)와 상기 래치돌기(31)가 걸리게 된다. 이때 경사안내면(33)과 해제안내면(39)이 면접촉되고, 상기 래치후크(L)는 상기 탄성부재(38)로부터 부여받은 도면상 우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하여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겹쳐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방향으로의 회동도 제한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펼치기 위하여 상 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회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해제안내면(39)이 상기 경사안내면(33)에 면접촉된 상태로 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경사안내면(33)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8)는 압축된다.
다음으로 상기 걸림돌기(36)가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에 위치하는 순간, 상기 걸림돌기(36)의 선단이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을 타고 넘어간다. 상기 걸림돌기(36)의 선단이 상기 래치돌기(31)의 선단을 타고 넘어가면, 상기 래치후크(L)가 상기 래치돌기(31)로부터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후크(L)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힌지부(25)를 중심으로 계속하여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완전히 펼쳐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2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홈(30)에는 래치돌기(41)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돌기(41)에는 그 저면이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안내면(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일측에는 래치후크(L)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후크(L)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후크몸체(45)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몸체(45)에는 걸림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6)에는 그 저면에서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걸림안내면(47)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안내면(47)은 상기 래치후크(L)가 상기 래치돌기(41)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돌기(41)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래치돌기(41)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펼쳐질 때, 상기 래치돌기(41)의 선단은 상기 경사안내면(43)에 선접촉한 상태로 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상향경사지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면접촉하는 경사안내면(33)(도4참조)과 해제안내면(39)(도4참조)의 접촉면적에 비하여 선접촉하는 상기 경사안내면(43)과 상기 걸림돌기(46)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즉 상기 경사안내면(43)과 상기 걸림돌기(46)는 양자사이의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본체부(21)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펼쳐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의 제3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홈(30)에는 래치돌기(51)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돌기(31)에는 그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안내면(5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일측에는 래치후크(L)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후크(L)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3)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후크몸체(55)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몸체(55)의 일단에는 걸림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6)의 저면은 수평한 방향으로 도면상 우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래치후크(L)가 상기 래치돌기(51)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몸체(55)의 선단은 상기 경사안내면(53)에 선접촉된 상태로 경사안내면(53)을 따라서 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56)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몸체(55)에서 상기 걸림돌기(56)의 선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해제안내면(59)이 구비된다. 상기 해제안내면(59)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3)를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펼치고자 할 때, 상기 래치돌기(51)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도면상 우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면접촉하는 경사안내면(33)(도4참조)과 해제안내면(39)(도4참조)의 접촉면적에 비하여 선접촉하는 상기 경사안내면(53)과 상기 걸림돌기(56)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즉 상기 경사안내면(53)과 상기 걸림돌기(56)는 양자사이의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3)가 상기 본체부(21)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펼쳐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장치의 체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별도의 해제버튼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부에서 분리시키는 동작이 단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칭장치의 조작을 위한 조작레버가 휴대용 컴퓨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이 보다 심플하면서도 미려하게 된다.

Claims (12)

  1. 본체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양자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게 동작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일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안내면과 해제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후크와;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가 걸어지거나 해제되는 경사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돌기;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안내면이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해제안내면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래치후크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체결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해제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5. 본체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양자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게 동작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일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후크와;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가 체결되거나 해제되고, 경사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돌기;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가 래치돌기에 걸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안내면이 래치돌기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래치후크의 선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선접촉된 상태로 상기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래치후크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체결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9. 본체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양자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게 동작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일방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동궤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해제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후크와;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 중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후크가 체결되거나 해제되고, 경사안내면이 구비되는 래치돌기; 그리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래치후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에 걸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래치후크의 선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선접촉된 상태로 경사안내면을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해제안내면이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에 선접촉된 상태로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는 상기 래치후크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의 회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안내면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돌기의 선단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래치후크가 상기 래치돌기로부터 해제되도록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KR1020070005379A 2007-01-17 2007-01-17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KR20080067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79A KR20080067899A (ko) 2007-01-17 2007-01-17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79A KR20080067899A (ko) 2007-01-17 2007-01-17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99A true KR20080067899A (ko) 2008-07-22

Family

ID=3982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79A KR20080067899A (ko) 2007-01-17 2007-01-17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9152A (zh) * 2020-01-28 2022-09-09 大陆汽车科技有限公司 用于容纳部件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9152A (zh) * 2020-01-28 2022-09-09 大陆汽车科技有限公司 用于容纳部件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8456B2 (ja) 情報処理装置用機能拡張装置
KR100630956B1 (ko) 휴대용 컴퓨터
KR100727665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KR20050103840A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TWI344813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07501B1 (ko)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TWI526141B (zh) 電子裝置
TWM547690U (zh) 樞轉結構及具有其之電子裝置
GB2421542A (en) Portable computer case fastened by means of two simultaneously actuated pivoting hooks
TW200535593A (en) Positioning fastener of interface card
JP2009520565A (ja) 洗濯装置
TW201345254A (zh) 可限制樞轉功能的顯示器
TW201545634A (zh) 滑動支架組件
KR20080067899A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칭장치
JP2004258776A (ja) 電子機器
TW201306715A (zh) 槓桿循環釋放樞紐器及具有該樞紐器的插接裝置
TW201535150A (zh) 運算裝置安全性鎖
JP5956521B2 (ja) 電子機器
JP4234769B2 (ja) 情報処理装置用機能拡張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3158165U (ja) ハンガー
TW201328485A (zh) 具有多角度限位功能之滑蓋裝置
KR20080034646A (ko) 컨버터블 컴퓨터
KR20060098254A (ko) 휴대용 컴퓨터
KR100549082B1 (ko) 휴대용 컴퓨터
TWI574600B (zh) 具有承載裝置的機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