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956B1 -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 Google Patents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956B1
KR100670956B1 KR1020050000041A KR20050000041A KR100670956B1 KR 100670956 B1 KR100670956 B1 KR 100670956B1 KR 1020050000041 A KR1020050000041 A KR 1020050000041A KR 20050000041 A KR20050000041 A KR 20050000041A KR 100670956 B1 KR100670956 B1 KR 10067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rtical
drawer
horizontal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603A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금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to KR102005000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9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에 대한 열림 및 닫힘(잠금) 작동을 하나의 잠금장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에 대한 열림 및 닫힘(잠금) 작동을 하나의 잠금장치 및 이 잠금장치와 함께 연동하는 가로측과 세로측 링크 수단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오픈(open)시키면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오픈시킬 수 없고, 오픈되어 있던 서랍형 금고를 닫으면 서랍형 금고 전체가 자동으로 잠금되는 구조의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잠금장치, 가로바, 세로바, 회전핀, 링크판, 세로레일, 가로레일

Description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Drawer safe of electronic mechanical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작동전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세로레일은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조립 상태로서, 세로레일은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작동전후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세로레일 및 서랍형 금고는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세로레일 및 서랍형 금고는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로서, 가로바와 세로바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a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서랍형 금고가 열린 상태를, 도 7b는 서랍형 금고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에 철재케이스가 입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랍의 개폐 전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랍형 금고를 배제한 상태의 개폐 전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1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바와 세로바의 배열 상태 및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a,1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바와 세로바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2 : 가로레일
14 : 세로레일 16 : 관통 경로홈
18 : 가로바 20 : 인출홈
22 : 장착판 24 : 전판
26 : 후판 28 : 회전핀
30 : 세로바 32 : 밀림면
34 : 가이드 바 36 : 철재 케이스
38 : 밀침면 40, 40' : 구속홀
42, 42' : 슬롯 44 : 절개홈
46 : 고정단 48 : 복원스프링
50 : 링크판 52 : 삽입단
54 : 걸림홀 56 : 차단판
58 : 연동바 60 : 보강판
62 : 잠금장치 64 : 잠금쇠
66 : 솔레노이드 68 : 비밀번호 입력판
70 : 가로레일 72 : 인출홈
74 : 가로바 76 : 삽입단
77 : 수용면 80 : 차단면
82 : 세로레일 84 : 세로바
86 : 수용면 88 : 차단면
90 : 가이드 바 92 : 가이드 레일
94 : 인입단 100 : 서랍형 금고
181 : 제1가로바 182 : 제2가로바
301 : 제1세로바 302 : 제2세로바
303 : 제3세로바 304 : 제4세로바
305 : 제5세로바 741 : 제1가로바
742 : 제2가로바 743 : 제3가로바
744 : 제4가로바 841 : 제1세로바
842 : 제2세로바 843 : 제3세로바
844 : 제4세로바 901 : 제1가이드 바
902 : 제2가이드 바 903 : 제3가이드 바
본 발명은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에 대한 열림 및 닫힘(잠금) 작동을 하나의 잠금장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오픈(open)시키면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오픈시킬 수 없고, 오픈되어 있던 서랍형 금고를 닫으면 서랍형 금고 전체가 자동으로 잠금되는 구조의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그 사용처별로 크기 및 부피 그리고 형태 및 기능을 달리하여 적용되지만, 공통적으로 현금, 보석 등 귀중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여러가지 금고의 종류중 서랍형 금고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며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가 배열된 금고를 말한다.
대개, 보석상 및 전당포 등과 같은 점포에서는 예를들어, 보석류 또는 고가의 카메라 등 크기가 작은 귀중품을 식별 보관하는데 여러칸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상기 서랍형 금고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서랍형 금고는 하나의 서랍형 금고에 하나의 잠금장치가 적용된 형태로서, 선택된 하나의 서랍형 금고를 열고 닫을 때 해당 잠금장치를 반드시 해제하거나 잠금시키는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적인 측면에서 불편하고 비효율적인단점이 있다.
또한,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마다 잠금장치가 하나씩 설치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에 대한 열림 및 닫힘(잠금) 작동을 하나의 잠금장치 및 이 잠금장치와 함께 연동하는 가로측과 세로측 링크 수단들 또는 플라스틱 바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오픈(open)시키면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오픈시킬 수 없고, 오픈되어 있던 서랍형 금고를 닫으면 서랍형 금고 전체가 자동으로 잠금되는 구조의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슬라이드 레일 구조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는 서랍형 금고에 있어서, 좌우 등간격으로 인출홈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 의 가로레일과; 상기 가로레일에 좌우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와; 상단부에는 각각 구속홀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각각 슬롯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세로바와;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가 적층 삽입되어, 세로바들의 승하강 경로가 되는 세로레일과; 상기 세로바의 슬롯에 일측(상)단이 삽입되고 하향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의 타(하)단은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중 세로바쪽에 가장 가까운 가로바에 삽입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하게 되는 링크판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상하 방향 칸막이 및 받침 역할을 하는 판체로서, 상기 가로레일의 장착자리면이 되고, 상기 세로레일의 관통 경로홀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저면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로레일의 인출홈 입구에 힌지 장착되어, 전진하는 상기 가이드바의 앞단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기 세로바쪽으로 회전하는 회전핀과;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세로바의 상면과 접촉되며 배치된 연동수단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상기 가로레일은 인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전후판으로 구성되고, 이 전후판의 일측단부(세로바쪽)에는 상기 링크판이 힌지 체결되는 장착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판의 인출홈 입구에 상기 회전핀이 힌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회전핀의 형상은 힌지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세로바 쪽으로 수직 절곡된 형상으로 채택되고, 힌지고정점과 인접된 외표면은 둔각의 밀림면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랍형 금고의 저면에 장착된 가이드바의 앞단면은 상기 인출홈을 통하여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핀의 밀림면을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수직 절개형의 밀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가로레일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는 상기 서랍형 금고의 가이드바와 전후로 일치하는 상기 회전핀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로레일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중 세로바쪽에 인접한 제1가로바의 앞단끝은 상기 세로바의 구속홀에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형성되고, 제1가로바의 앞단부(삽입단에서 안쪽으로 들어온 위치)에는 걸림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판의 타(하)단이 상기 제1가로바의 걸림홀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링크판의 상단은 제1가로바의 삽입단이 삽입되는 세로바의 위쪽에 적층된 세로바의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로바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바들의 일측단(세로바쪽)은 상기 가이드바의 인출을 막아주는 차단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는 상기 서랍형 금고의 세로방향 배치 갯수와 동일한 갯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세로레일은 가로레일의 일측단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케 이스 형태로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가 적층 삽입되고, 상기 세로바의 구속홀 및 슬롯과 일치되는 구속홀 및 슬롯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동수단은 둔각으로 절곡된 연동바, 이 연동바의 중앙부분이 힌지로 고정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바의 일측단은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의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쇠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레일의 상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의 측면에는 고정단이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과 세로레일의 벽면 사이에는 세로바들의 하향 이동을 보조하는 복원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슬라이드 레일 구조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는 서랍형 금고에 있어서, 전후로 관통된 인출홈이 좌우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가로레일과; 상기 가로레일에 서로 면접촉되면서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와;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중 제1가로바와 인접되며 상하로 세워진 구조의 세로레일과; 상기 세로레일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세로바와; 상기 서랍형 금고의 저면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전후 이동 경로가 되며, 상기 가로레일의 각 인출홈과 일치되게 배열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세로바의 상면과 접촉되며 배치된 연동수단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 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중 제1가로바(세로바에 근접된 것)의 일측단은 사선으로 절개된 삽입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가이드 바의 앞단부는 사선으로 절개된 인입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바의 인입단은 상기 각각의 가로바의 면접촉점과 일치되며, 각 가로바의 면접촉점은 모따기 가공된 수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입단이 가로바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각각의 세로바들의 면접촉점은 모따기 가공된 수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가로바의 삽입단이 세로바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로바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바의 앞단 안쪽면은 상기 가이드 바의 인출을 막아주는 차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의 상단 안쪽면은 상기 제1가로바의 삽입단에 대한 차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동수단은 둔각으로 절곡된 연동바, 이 연동바의 중앙부분이 힌지로 고정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바의 일측단은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의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쇠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먼저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는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가 설계 또는 주문에 따라 2×5, 5×10, 10×10 등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게 되지만, 여기서는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2×5로 배열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대개, 서랍형 금고(10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 금고의 양측면에 부착된 레일이 전체 외관을 이루는 철재 케이스(36)의 내측면 트랙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가 이루어지는 형태의 금고이다.
본 발명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를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다수의 서랍형 금고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오픈(open)시키면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오픈시킬 수 없고, 오픈되어 있던 서랍형 금고를 닫으면 서랍형 금고 전체가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함으로써, 서랍형 금고의 작동 편의성 및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킨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외관을 외루는 철재 케이스는 배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조립 상태로서, 세로레일은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6a,6b는 가로바와 세로바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서랍형 금고(100)의 외관을 이루는 철재케이스에는 상하 등간격으로 받침판(10)이 장착되는 바, 이 받침판(10)은 상하 방향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가로레일(12)의 장착자리면이 되고, 상기 세로레일(14)의 고정 장착을 위한 관통 경로홀(16)이 형성된 판체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받침판(10)의 앞단 상면에 가로바(18)가 안착되는 가로레일(12)을 장착하게 되는데, 이 가로레일(12)은 "U"자형 인출홈(20)이 등간격으로 절개 형성된 전후판으로 구성되고, 이 전후판의 일측단부(세로바쪽)에는 후술하는 링크판이 힌지 체결되는 사각판 형상의 장착판(22)이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로레일(12)의 전(前)판(24)은 수직 절곡된 길다란 구조물이고, 상기 후(後)판(26)은 "U"자형 단면을 갖는 구조물로서, 서로 소정의 거리(가로바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거리)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받침판(10)의 앞단 상면에 스크류 등으로 장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판(26)의 각 인출홈(20)의 입구위치에는 회전핀(28)이 힌지 장착되는 바, 이 회전핀(28)의 형상은 힌지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세로바(30)쪽으로 수직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고, 힌지고정점과 인접된 외표면은 둔각의 밀림면(32)으로 가공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금고의 저면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바(34)가 부착되고, 이 가이드 바(34)는 상기 인출홈(20)을 통하여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핀(28)의 밀림면(32)을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수직 절개형의 밀침면(38)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레일(12)의 전후판(24,26) 사이에는 좌우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다수개의 가로바(18)가 일렬로 안착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각 가로바(18)는 상기 각 회전핀(28)의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가로레일(12)의 일측단부에는 다수개의 세로바(30)가 상하로 적층 배열되는 바, 각각의 세로바(30)의 상단부에는 구속홀(4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하로 긴 슬롯(42)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세로바(30)들은 상하로 길다란 중공 케이스 형태로서 승하강 경로가 되는 세로레일(14)에 적층 삽입된다.
특히, 상기 세로레일(14)은 가로레일(12)의 일측단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케이스 형태로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30)가 적층 삽입되고, 이들 세로바(30)의 구속홀(40) 및 슬롯(42)과 일치되는 구속홀(40') 및 슬롯(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30)는 상기 서랍형 금고(100)의 세로방향 배치 갯수와 동일한 갯수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세로레일(14)의 상단부에는 절개홈(44)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바(30)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3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단(46)이 상기 절개홈(44)을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고정단(46)과 세로레일(14)의 벽면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로바(30)들의 하향 이동을 보조하는 복원스프링(48)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판(24,26)의 장착판(22)에 링크판(50)이 힌지 체결되는 바, 이 링크판(50)의 일측단은 상기 각 세로바(30)의 슬롯(42)에 삽입되고 하향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의 타(하)단은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18)중 세로바쪽에 가장 가까운 제1가로바(181)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로레일(12)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18)중 세로바쪽에 인접한 제1가로바(181)의 앞단끝은 상기 세로바(30)의 구속홀(40)에 삽입되는 삽입단(52)으로 형성되고, 제1가로바(181)의 앞단부(삽입단(52)에서 안쪽으로 들어온 위치)에는 걸림홀(54)이 형성되며, 이 제1가로바(181)의 걸림홀(54)에 상기 링크판(50)의 타(하)단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로바(181)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바(18)들의 일측단(세로바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34)의 인출을 막아주는 차단판(56)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30)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세로바(30)의 상면에는 연동수단이 접촉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둔각으로 절곡된 연동바(58), 이 연동바(58)의 중앙부분이 힌지로 고정되는 보강판(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바(58)의 일측단은 상기 세로바(30)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30)의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잠금장치(62)는 서랍형 금고(10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전자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연동수단의 연동바(58)가 안착되는 잠금쇠(64)가 일측면에 노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상기 잠금쇠(64)의 잠금 및 해제 각운동를 위한 솔레노이드(66) 및 기판(미도시됨) 등이 내설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외관을 이루는 철재 케이스(36)의 상단부 전면에는 비밀번호 입력판(68)이 장착되고, 이 비밀번호 입력판(68) 은 상기 잠금장치(62)의 기판과 전기적인 신호 교환 가능하게 커넥터 등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작동전후 상태로서, 설명의 편의상 세로레일이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4b는 세로레일 및 서랍형 금고가 미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a,7b는 작동 전후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된 정면도이다.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고 있는 상기 서랍형 금고(100)들이 일단 모두 닫힘(잠금)상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도 2 내지 도 7에서는 4×1의 서랍형 금고로 도시됨)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비밀번호 입력판(68)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누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잠금장치(62)의 기판에 입력되어 기판의 연산부에서 입력번호와 저장번호를 비교하게 되고, 양자의 번호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장치(62)의 솔레노이드(66)에 작동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 후면에 형성된 잠금홈(65)에 끼워져 있던 솔레노이드(66)가 당겨지게 되어, 잠금쇠(64)의 잠금이 해제되고 결국 잠금쇠(64)의 하방향 각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서랍형 금고(100)들중 선택된 어느 하나(예를들어, 4×1의 서랍형 금고)를 전방으로 당겨서 열게 되면, 해당 서랍형 금고(100)의 저면에 부착 되어 있는 가이드 바(34)가 가로레일(12)의 후판(26)의 인출홈(20)을 통하여 돌출되면서 그 앞쪽의 회전핀(28)을 밀어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바(34)의 밀침면(38)이 상기 가로레일(12)의 후판(26)의 인출홈(20)을 통하여 돌출되면서 그 앞쪽의 회전핀(28)의 밀림면(32)을 밀어주게 됨으로써, 회전핀(28)은 그 힌지고정점을 중심으로 세로바(30)쪽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해당 서랍형 금고(100)를 당기게 되면, 상기 가이드 바(34)가 상기 회전핀(28)을 지나서 가로레일(12)의 전판(24)의 인출홈(20)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돌출되어, 결국 서랍형 금고(100)는 완전하게 열린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핀(28)이 세로바(30)쪽으로 회전을 하는 동작에 있어서, 회전핀(28)의 끝단이 상기 제1가로바(181)를 세로바쪽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제1가로바(181)는 세로바(이하 제4세로바로 칭하고, 그 위쪽의 세로바는 순서대로 제3세로바, 제2세로바, 제1세로바라 칭하며, 제4세로바 아래쪽 세로바는 제5세로바라 칭함)쪽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1가로바(181)의 삽입단(52)이 상기 세로레일(14)의 구속홀(40') 및 제5세로바(305: 위에서 5번째 세로바)의 구속홀(40)을 통하여 차례로 삽입되고, 제1가로바(181)가 제4세로바(304)쪽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가로바(181)의 걸림홀(54)에 삽입되어 있던 링크판(50)의 하단도 제4세로바(304)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가로바(181)가 제4세로바(304)쪽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홀(54)에 삽입 되어 있던 링크판(50)의 하단을 끌고 가게 되므로, 링크판(50)의 하단이 힌지점(가로레일(12)의 장착판(22)에 힌지 체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제4세로바(304)쪽을 향하여 각운동을 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링크판(50)의 상단(세로레일(14) 및 제4세로바(304)의 슬롯(42,42') 구간에서 가장 위쪽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위쪽으로 각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4세로바(304)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4세로바(304)가 위쪽으로 들여 올려짐에 따라, 그 위쪽의 제3,2,1세로바(303,302,301)도 위쪽을 향하여 들어 올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세로바(301)의 상단면이 상기 연동수단의 연동바(58)의 일측단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연동바(58)의 타단은 힌지점(보강판(60)에 장착된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세로바(301)의 고정단(46)과 세로레일(14)간에 연결된 복원스프링(48)은 늘어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연동바(58)의 타단이 아래쪽으로 각운동하면서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를 밑으로 눌러주게 되어, 첨부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쇠(64)의 잠금홈(65)과 솔레노이드(66)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5) 후면에 형성된 잠금홈(65)에 끼워져 있던 솔레노이드(66)가 당겨지게 되어, 잠금쇠(64)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이 잠금쇠(64)는 상기 연동바(58)의 타단에 의하여 밑으로 눌려지는 각운동을 하게 되고, 결국 잠금쇠(64)의 잠금홈(65)과 솔레노이드(66)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후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100)중 어느 하나를 열게 되면, 가로바(18)와 링크판(50) 그리고 세로바(30)들이 연동하여 최종적으로 잠금장치(62)의 잠금 해제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장치(62)내의 기판에 포함된 타이머(미도시됨)에 의하여 약 5초(솔레노이드의 당김 설정시간)후 솔레노이드(66)가 다시 전진하는 작동을 하더라도, 잠금쇠(64)의 잠금홈(65)과 솔레노이드(66)가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첨부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66)는 잠금쇠(64)의 잠금홈(65) 외주면에 닿아 있는 상태가 될 뿐, 잠금홈(65)으로 인입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는 서랍형 금고(100)가 열려 있는 동안에는 잠금 해제위치로 계속 유지된다.
여기서,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100)중 선택된 어느 하나(4×1의 서랍형 금고)만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열리게 된 후, 나머지 서랍형 금고가 열리지 않게 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b를 참조로 하면,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100)중 선택된 어느 하나(4×1의 서랍형 금고)의 가이드 바(34)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첫째, 5×1, 5×2의 서랍형 금고(100)가 열리지 않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로바(181)의 삽입단(52)이 제5세로바(305)의 구속홀(40)로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5세로바(305)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차단된다(도 4b 참조).
즉, 상기 제1가로바(181)의 삽입단(50)이 제5세로바(305)의 구속홀(40)에 삽 입되어 제5세로바(305)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잠금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제5세로바(305)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링크판(50)도 움직이지 않게 되고, 링크판(50)과 연결된 가로바(18) 등도 움직이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5×1, 5×2의 서랍형 금고(100)를 열더라도 그 저면에 부착된 가이드 바(34)가 회전핀(28)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5×1, 5×2의 서랍형 금고(100)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둘째, 4×1의 서랍형 금고(100)의 위쪽에 배열된 1×1, 1×2, 2×1, 2×2, 3×1, 3×2의 서랍형 금고(100)가 열리지 않는 이유는 상기 제4세로바(304)에 의하여 제3,2,1세로바(303,302,301)가 들어 올려져 위쪽으로 이동을 하였지만, 제3,2,1세로바(303,302,301)만이 위쪽으로 이동하였을 뿐, 링크판(50) 및 가로바(18)들은 전혀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도 4b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2,1세로바(303,302,301)가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링크판(50)의 상단은 제3,2,1세로바(303,302,301)의 슬롯(42) 구간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될 뿐, 링크판(50)은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제3,2,1세로바(303,302,301)의 구속홀(40)과 각 가로바(18)의 삽입단(50)이 일치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3,2,1세로바(303,302,301)가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로바(18)의 삽입단(50)은 제3,2,1세로바(303,302,301)의 측벽면에 가로막히게 되고, 결국 가로바(18)는 좌우로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서랍형 금고(100)를 열더라도, 상기 가로바(18)가 상기 제3,2,1세로바(303,302,301)의 측벽면에 가로막히게 되어, 4×1의 서랍형 금고(100) 의 위쪽에 배열된 1×1, 1×2, 2×1, 2×2, 3×1, 3×2의 서랍형 금고(100)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셋째, 4×2의 서랍형 금고(100)가 열리지 않게 되는 이유는 4×1의 서랍형 금고(100)가 열린 상태(가이드 바(34)가 전진된 상태)에서 제2가로바(182)의 일측단(세로바쪽)이 상기 전진된 상태의 가이드 바(34) 측면에 가로막히게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고, 회전핀(28)도 제2가로바(182)의 타측단면에 막혀 회전되지 않기 때문이다(도 4b 참조).
이에, 4×2의 서랍형 금고(100)를 열더라도, 상기 회전핀(28)의 밀림면(32)에 4×2의 서랍형 금고(100)의 가이드 바(34)가 걸리게 되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4×1의 서랍형 금고(100)를 오픈시킨 상태에서는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여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4×1의 서랍형 금고(100)를 밀어넣어 닫게 되면, 상기 잠금장치(62)가 자동으로 잠금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4×1의 서랍형 금고(100)를 밀어넣어 닫게 되면, 그 저면의 가이드 바(34)도 함께 원위치로 뒤돌아가게 되어, 가이드 바(34)와 회전핀(28)간의 접촉이 해제되어, 회전핀(28)이 원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4,3,2,1세로바(304,303,302,301)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되고, 이때 제4세로바(304)는 링크판(50)의 상단을 눌러주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4세로바(304)의 슬롯(42) 구간에서 가장 위쪽에 위 치되어 있던 링크판(50)의 상단이 낙하하는 제4세로바(304)의 자중에 의하여 눌리게 되어,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링크판(50)의 하단이 가로레일(12)쪽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로바(181)를 원래의 위치로 끌고 가게 된다.
즉, 상기 링크판(50)의 하단이 제1가로바(181)의 걸림홀(54)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링크판(50)의 하단이 가로레일(12)쪽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로바(181)를 본래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연이어 상기 제1가로바(181)의 타단에 의하여 상기 회전핀(28)도 본래의 위치로 회전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세로바(301)의 고정단(46)과 세로레일(14)간에 연결되어 늘어나 있던 복원스프링(48)이 복원되면서 세로바(30)들의 낙하운동을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로바(30)들이 낙하하는 동시에 제1세로바(301)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던 연동수단의 연동바(58)의 일측단이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밑으로 회전하게 되고, 타단은 위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바(58)의 타단이 눌러주고 있던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도 그 내부에 위치된 복원스프링(48)에 의하여 위쪽으로 각운동을 하여 원위치(잠금위치)로 복귀된다.
이에따라,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가 잠금위치로 복귀 이동되는 동시에 잠금쇠(64)의 후면에 형성된 잠금홈(65)으로 상기 솔레노이드(66)가 전진하여 삽입됨으로써,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는 잠금위치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잠금장치(62)가 잠기게 된 후, 원하는 서랍형 금고(100)를 다시 열고 자 하는 경우에는 재차 비밀번호 번호판(68)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다시 진행해야 한다.
여기서, 2열 이상에 배열되어 있는 서랍형 금고를 열었을 경우, 1열의 서랍형 금고가 열리지 않는 이유를 4×2의 서랍형 금고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4×2의 서랍형 금고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서랍형 금고 및 세로레일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4×2의 서랍형 금고(100)를 열게 되면, 그 저면에 부착된 가이드 바(34)가 회전핀(28)을 밀어서 회전시키고, 회전핀(28)은 제2가로바(182)를 세로바(30)쪽을 향하여 밀게 되며, 이어서 제2가로바(182)는 회전핀(4×1의 서랍형 금고와 대응되는 것)을 밀어서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핀(28)이 제1가로바(181)를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로바(181)는 제5세로바(305)의 구속홀(40)로 삽입되고, 링크판(50)의 상단은 위쪽으로 회전하여 제4세로바(304)를 들어올리게 되고, 연이어 제3,2,1세로바(303,302,301)도 함께 위쪽으로 승강하여,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잠금장치(62)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로바(182)가 세로바(30)쪽으로 이동된 상태인 바, 이 제2가로바(182)의 일측단, 즉 차단판(56)이 4×1의 서랍형 금고(100)의 가이드 바(34)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4×1의 서랍형 금고(100)를 열려고 하더라도 그 저면에 부착 된 가이드 바(34)가 제2가로바(182)의 차단판(56)에 막혀 전진 이동이 안되므로, 결국 4×1의 서랍형 금고(100)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랍의 개폐 전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a,10b는 서랍형 금고를 배제한 상태의 개폐 전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를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잠금 또는 잠금해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다수의 서랍형 금고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오픈(open)시키면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오픈시킬 수 없고, 오픈되어 있던 서랍형 금고를 닫으면 서랍형 금고 전체가 자동으로 잠금되도록 함으로써, 서랍형 금고의 작동 편의성 및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킨 점에 주안점이 있으며, 특히 전술한 일실시예와 달리 그 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부드러운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가로바 및 세로바 그리고 서랍형 금고의 저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바를 플라스틱 재질(특히, PE)로 성형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면에서,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의 골격 구조(받침판 및 철재 케이스)는 각 구성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며, 각 구성 및 그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서랍형 금고(100)의 받침판의 앞단 상면에 가로레일 (70)이 부착되는 바, 이 가로레일(70)은 요홈 단면 구조로 된 일체형의 길다란 레일이다.
특히, 상기 가로레일(70)에는 전후로 관통된 인출홈(72)이 좌우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로레일(70)에는 다수개의 가로바(74)가 서로 면접촉되면서 안착되는 바, 서랍형 금고(100)의 가로방향 배열수보다 1개가 더 많게 안착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74)중 제1가로바(741:세로바에 근접된 것)의 일측단은 사선으로 절개된 삽입단(76)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로바(741)을 제외한 나머지 가로바들의 타단 안쪽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랍형 금고(100)의 저면에 부착되는 각 가이드 바(90)의 인출을 막아주는 차단면(8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74)중 제1가로바(741)와 인접되면서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며 세로레일(82)이 상하로 세워지게 되는 바, 이 세로레일(82)은 가로레일(70)쪽이 개방된 요홈 단면 구조이며, 이 세로레일(8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세로바(84)가 적층되되, 서랍형 금고(100)의 세로방향 갯수와 동일한 수로 적층된다.
상기 각각의 세로바(84)들의 면접촉점에서 그 안쪽면(가로레일쪽면)은 모따기 가공된 수용면(86)으로 형성되어, 도 1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으로 절개된 상기 제1가로바(74)의 삽입단(76)이 세로바(84)의 면접촉면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84)의 상단 안쪽면은 후술하는 작동상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가로바의 삽입단에 대한 차단면(88)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84)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제1세로바(841)의 상면은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연동수단과 밀착되고, 또한 상기 서랍형 금고(10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판(68)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 잠금장치(62)가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연동수단은 일실시예와 같이 둔각으로 절곡된 연동바(58)와, 이 연동바(58)의 중앙부분이 힌지로 고정되는 보강판(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바(58)의 일측단은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제1세로바(841)의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의 상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62)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솔레노이드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형 금고(100)의 저면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가이드 바(90)가 부착되고, 이 가이드 바(90)의 전후 이동 경로가 되는 가이드 레일(92)이 상기 받침판에 부착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92)은 가로레일(70)의 각 인출홈과 일치되게 배열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바(90)의 앞단부는 사선으로 절개된 인입단(94)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바(90)의 인입단(94)은 상기 각각의 가로바 (74)의 면접촉점과 일치되는 바, 각 가로바(74)의 면접촉점의 안쪽면(가이드바쪽의 면)은 모따기 가공된 수용면(77)으로 형성되어, 도 1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90)의 인입단(94)이 각 가로바(74)의 면접촉점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랍형 금고의 개폐 전후를 보여주는 첨부한 도 9a,9b와, 서랍형 금고를 배제한 상태의 개폐 전후를 보여주는 도 10a,10b를 참조로 한다.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고 있는 상기 서랍형 금고(100)들이 일단 모두 닫힘(잠금)상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도 9 내지 도 10에서는 2×3의 서랍형 금고로 도시됨)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비밀번호 입력판(68)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누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잠금장치(62)의 기판에 입력되어 기판의 연산부에서 입력번호와 저장번호를 비교하게 되고, 양자의 번호가 일치되면 상기 잠금장치(62)의 솔레노이드(66)에 작동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 후면에 형성된 잠금홈(65)에 끼워져 있던 솔레노이드(66)가 당겨지게 되어, 잠금쇠(64)의 잠금이 해제되고 결국 잠금쇠(64)의 하방향 각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서랍형 금고(100)들중 선택된 어느 하나(예를들어, 2×3의 서랍형 금고)를 전방으로 당겨서 열게 되면, 2×3의 서랍형 금고(100)의 저면에 부 착되어 있는 제3가이드 바(903)가 가로레일(70)의 인출홈(20)을 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3가이드 바(34)가 돌출되면서 그 앞단의 사선 형상의 인입단(94)이 제3가로바(743)와 제4가로바(744) 사이면, 즉 면접촉점에 형성된 수용면(77)을 벌리면서 돌출되어, 제3가로바(743)가 가로레일(70)을 따라 세로바쪽을 향하여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3가로바(743)가 세로바(84)쪽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제2가로바(742)와 제1가로바(741)를 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가로바(741)의 사선으로 된 삽입단(76)이 상기 제2세로바(842)와 제3세로바(843) 사이면 즉, 면접촉면에 형성된 수용면(86)을 벌리면서 돌출된다.
이렇게, 상기 제1가로바(741)의 삽입단(76)이 제2세로바(842)와 제3세로바(843)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세로바(842)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세로바(841)도 제2세로바(842)에 의하여 밀리면서 위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세로바(841)의 상단면이 위쪽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연동수단의 연동바(58)의 일측단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연동바(58)의 타단은 힌지점(보강판(60)에 장착된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연동바(58)의 타단이 아래쪽으로 각운동하면서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를 밑으로 눌러주게 되어, 일실시예(도 7b 참조)와 같이 상기 잠금쇠(64)의 잠금홈(65)과 솔레노이드(66)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5) 후면에 형성된 잠금홈(65)에 끼워져 있던 솔레노이드(66)가 당겨지게 되어, 잠금쇠(64)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이 잠금쇠(64)는 상기 연동바(58)의 타단에 의하여 밑으로 눌려지는 각운동을 하게 되고, 결국 잠금쇠(64)의 잠금홈(65)과 솔레노이드(66)는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후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100)중 어느 하나를 열게 되면, PE 재질의 가이드 바(90)와 가로바(74) 그리고 세로바(84)가 연동하여 최종적으로 잠금장치(62)의 잠금 해제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주게 된다.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잠금장치(62)내의 기판에 포함된 타이머(미도시됨)에 의하여 약 5초(솔레노이드의 당김 설정시간)후 솔레노이드(66)가 다시 전진하는 작동을 하더라도, 잠금쇠(64)의 잠금홈(65)과 솔레노이드(66)가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첨부한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66)는 잠금쇠(64)의 잠금홈(65) 외주면에 닿아 있는 상태가 될 뿐, 잠금홈(65)으로 인입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는 서랍형 금고(100)가 열려 있는 동안에는 잠금 해제위치로 계속 유지된다.
여기서,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100)중 선택된 어느 하나(2×3의 서랍형 금고)만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열리게 된 후, 나머지 서랍형 금고가 열리지 않게 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100)중 선택된 2×3의 서랍형 금고의 제3가이드 바(903)가 인출된 상태에서 1열의 서랍형 금고(100)가 열리지 않는 이유는 상기 제 1세로바(841)가 위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1열의 가로바(74)들은 제2세로바(842)의 상단면과 직면하게 된다.
즉, 제2세로바(842)의 상단면에 형성된 차단면(88)에 1열의 가로바(74)가 가로 막혀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1열의 서랍형 금고(100)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둘째, 3열 및 4열의 서랍형 금고(100)를 열 수 없는 이유는 상기 2열의 제1가로바(741)의 삽입단(76)이 제2세로바(842) 및 제3세로바(843) 사이로 삽입되면서 제2세로바(842)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가로바(741)의 삽입단(76) 저면이 제3세로바(843)의 상단면에 밀착되면서 일종의 차단판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제1가로바(741)의 삽입단(76) 저면에 막혀서 상기 제3세로바(843)는 상하로 움직일 수 없게 되고, 마찬가지로 제3세로바(843) 아래의 제4세로바(844)도 움직일 수 없게 되며, 결국 2열 및 3열의 가로바(74)도 제3세로바(843)와 제4세로바(844)에 막혀서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3열 및 4열의 서랍형 금고(100)도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셋째, 2×1, 2×2의 서랍형 금고를 열 수 없는 이유는 2×3의 서랍형 금고 저면의 제3가이드 바(903)가 돌출되면서 제3가로바(743)를 세로바(84)를 향하여 밀게 되고, 동시에 제3가로바(743)에 의하여 제2가로바(742)와 제1가로바(741)가 세로바(84)쪽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면, 제2 및 제3가로바(742,743)의 앞단 안쪽면 즉, 차단면(80)이 제1 및 제2가이드 바(901,902)의 인입단(94)과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제2 및 제3가로바(742,743)의 차단면(8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바(901,902)의 인입단(94)이 막히게 되어 돌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2×1, 2×2의 서랍형 금고(100)도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넷째, 2×2의 서랍형 금고가 열린 상태에서 2×3의 서랍형 금고를 열 수 없는 이유는 2×2의 서랍형 금고의 열림과 함께 제2가이드 바(902)가 돌출된 상태가 되면, 제2가이드 바(902)의 외측면(세로바쪽의 반대쪽)에 제3가로바(743)가 차단되어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제3가이드 바(903)의 돌출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고, 결국 2×3의 서랍형 금고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열려 있던 2×3의 서랍형 금고(100)를 밀어넣어 닫게 되면, 상기 잠금장치(62)가 자동으로 잠금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2×3의 서랍형 금고(100)를 밀어넣어 닫게 되면, 그 저면의 제3가이드 바(903)도 함께 원위치로 뒤돌아가게 되어, 제3,2,1 가로바(743,742,741)의 원위치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위로 상승 이동하였던 제2세로바(842)와 제1세로바(841)는 그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데, 그 이유는 제3,2,1 가로바(743,742,741)가 원위치로 움직인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상기 제2세로바(842)와 제1세로바(841)가 낙하하는 동시에 제2세로바(842)의 하단면이 제1가로바(741)의 사선으로 형성된 삽입단(76) 상면을 눌러주게 되어, 제1가로바(741)가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제1가로바(741)가 제2 및 제3가로바(742,743)를 원위치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세로바(842)와 함께 제1세로바(841)가 원래의 위치로 낙하하게 됨에 따라, 제1세로바(841))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던 연동수단의 연동바(58)의 일측단이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밑으로 회전하게 되고, 타단은 위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바(58)의 타단이 눌러주고 있던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도 그 내부에 위치된 복원스프링(48)에 의하여 위쪽으로 각운동을 하여 원위치(잠금위치)로 복귀된다.
이에따라, 상기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가 잠금위치로 복귀 이동되는 동시에 잠금쇠(64)의 후면에 형성된 잠금홈(65)으로 상기 솔레노이드(66)가 전진하여 삽입됨으로써, 잠금장치(62)의 잠금쇠(64)는 잠금위치에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잠금장치(62)가 잠기게 된 후, 원하는 서랍형 금고(100)를 다시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차 비밀번호 번호판(68)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다시 진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달리 가로바와 세로바 그리고 가이드 바를 플라스틱(특히, PE 재질)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그 작동 연결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부드러운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에 의하면,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에 대한 열림 및 닫힘(잠금) 작동을 하 나의 잠금장치 및 이 잠금장치와 함께 연동하는 가로측과 세로측 링크 수단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서랍형 금고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오픈(open)시키면 나머지 서랍형 금고는 오픈시킬 수 없고, 오픈되어 있던 서랍형 금고를 닫으면 서랍형 금고 전체가 자동으로 잠금되어, 금고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나의 잠금장치로 여러개의 서랍형 금고에 대한 잠금 및 해제 제어가 가능하여, 서랍형 금고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망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0)

  1. 슬라이드 레일 구조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는 서랍형 금고에 있어서,
    좌우 등간격으로 인출홈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가로레일과;
    상기 가로레일에 좌우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와;
    상단부에는 각각 구속홀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각각 슬롯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세로바와;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가 적층 삽입되어, 세로바들의 승하강 경로가 되는 세로레일과;
    상기 세로바의 슬롯에 일측단이 삽입되고 하향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의 타(하)단은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중 세로바쪽에 가장 가까운 가로바에 삽입되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운동하게 되는 링크판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상하 방향 칸막이 및 받침 역할을 하는 판체로서, 상기 가로레일의 장착자리면이 되고, 상기 세로레일의 관통 경로홀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저면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가이드바와;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들 사이 위치에서 가로레일상에 힌지 장착되어, 전진하는 가이드바의 앞단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기 세로바쪽으로 회전하는 회전핀과;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세로바의 상면과 접촉되며 배치된 연동수단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레일은 인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전후판으로 구성되고, 이 전후판의 일측단부(세로바쪽)에는 상기 링크판이 힌지 체결되는 장착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판의 인출홈 입구에 상기 회전핀이 힌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의 형상은 힌지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세로바쪽으로 수직 절곡된 형상으로 채택되고, 힌지고정점과 인접된 외표면은 둔각의 밀림면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금고의 저면에 장착된 가이드바의 앞단면은 상기 인출홈을 통하여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핀의 밀림면을 용이하게 밀어 줄 수 있도록 수직 절개형의 밀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가로레일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는 상기 서랍형 금고의 가이드바와 전후로 일치하는 상기 회전핀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레일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가로바중 세로바쪽에 인접한 제1가로바의 앞단끝은 상기 세로바의 구속홀에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형성되고, 제1가로바의 앞단부(삽입단에서 안쪽으로 들어온 위치)에는 걸림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판은 타(하)단이 상기 제1가로바의 걸림홀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링크판의 상단은 제1가로바의 삽입단이 삽입되는 세로바의 위쪽에 적층된 세로바의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8.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바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바들의 일측단부(세로바쪽)는 상기 가이드바의 인출을 막아주는 차단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는 상기 서랍형 금고의 세로방향 배치 갯수와 동일한 갯수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0.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세로레일은 가로레일의 일측단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케이스 형태로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가 적층 삽입되고, 상기 세로바의 구속홀 및 슬롯과 일치되는 구속홀 및 슬롯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둔각으로 절곡된 연동바, 이 연동바의 중앙부분이 힌지로 고정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바의 일측단은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의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쇠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로레일의 상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의 측면에는 고정단이 상기 절개홈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단과 세로레일의 벽면 사이에는 세로바들의 하향 이동을 보조하는 복원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3. 슬라이드 레일 구조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는 서랍형 금고에 있어서,
    전후로 관통된 인출홈이 좌우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가로레일과;
    상기 가로레일에 서로 면접촉되면서 안착되는 다수개의 PE 재질 가로바와;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중 제1가로바와 인접되며 상하로 세워진 구조의 세로레일과;
    상기 세로레일의 내부에 적층되는 다수개의 PE재질 세로바와;
    상기 서랍형 금고의 저면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부착된 PE 재질의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전후 이동 경로가 되며, 상기 가로레일의 각 인출홈과 일치되게 배열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중 가장 위쪽에 위치한 세로바의 상면과 접촉되며 배치된 연동수단과;
    상기 서랍형 금고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수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판과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된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중 제1가로바(세로바에 근접된 것)의 일측단은 사선으로 절개된 삽입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의 앞단부는 사선으로 절개된 인입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6. 청구항 13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의 인입단은 상기 각각의 가로바의 면접촉점과 일치되며, 각 가로바의 면접촉점은 모따기 가공된 수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입단이 가로바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7.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로바들의 면접촉점은 모따기 가공된 수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가로바의 삽입단이 세로바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8.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바를 제외한 나머지 가로바의 앞단 안쪽면은 상기 가이드 바의 인출을 막아주는 차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19.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세로바의 상단 안쪽면은 상기 제1가로바의 삽입단에 대한 차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둔각으로 절곡된 연동바, 이 연동바의 중앙부분이 힌지로 고정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바의 일측단은 상기 세로바중 가장 위쪽의 세로바의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쇠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KR1020050000041A 2005-01-03 2005-01-03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KR10067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41A KR100670956B1 (ko) 2005-01-03 2005-01-03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41A KR100670956B1 (ko) 2005-01-03 2005-01-03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03A KR20060079603A (ko) 2006-07-06
KR100670956B1 true KR100670956B1 (ko) 2007-01-19

Family

ID=3717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041A KR100670956B1 (ko) 2005-01-03 2005-01-03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72B1 (ko) * 2006-10-16 2008-03-31 주식회사 신진금고 전자식 금고비
KR200460555Y1 (ko) * 2011-09-21 2012-06-11 (주)유피스 동시개폐형 가구 락킹장치
CN110605698A (zh) * 2019-10-28 2019-12-24 苏州俊卿辉机械有限公司 一种抽屉式模具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90A (ja) * 1989-06-14 1991-01-25 Nippon Seiko Kk トランジスタブリッジ回路
JPH05202675A (ja) * 1991-04-16 1993-08-10 Mibunri:Kk 保管装置
JP2002121943A (ja) 2000-10-13 2002-04-26 Tokai Riken Kk カード式金銭ロッカ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90A (ja) * 1989-06-14 1991-01-25 Nippon Seiko Kk トランジスタブリッジ回路
JPH05202675A (ja) * 1991-04-16 1993-08-10 Mibunri:Kk 保管装置
JP2002121943A (ja) 2000-10-13 2002-04-26 Tokai Riken Kk カード式金銭ロッ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03A (ko)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992B2 (en) Drawer interlock mechanism
US7104619B2 (en) Anti-tip interlocking linkage mechanism for vertical cabinets
US5295743A (en) Secure cabinets
US20140130722A1 (en) Multiple user lockbox
WO20161494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dispensing
US8740319B1 (en) Recessed ganging lock and storage cabinet therewith
US5599077A (en) Cabinet locking system
CA2003513A1 (en) Drawer interlock
KR100670956B1 (ko) 전자기계식 서랍형 금고
US20050011423A1 (en) Device for storing objects
KR101304840B1 (ko) 도어잠금장치의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도어잠금장치
KR200456759Y1 (ko) 서랍형 내화 캐비넷의 잠금장치
KR10210686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US6173593B1 (en) Concealed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for use with drawers or cabinet doors or the like
JP2003184384A (ja) ロッカー装置
JPH0432465Y2 (ko)
US20180033231A1 (en) Coin operated door lock mechanism
JP3808875B2 (ja) 引出部ロック装置
CN211287218U (zh) 保险柜
JP3684924B2 (ja) 自動販売機の扉装置
DE202014003861U1 (de) Schließfach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Schließfächern
JP2007146564A (ja) 引き戸及び引き戸用のロック装置
GB2455990A (en) Drawer interlock mechanism
KR0125373Y1 (ko) 탁상용 금고
DE102014006694B3 (de) Schließfach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Schließfäch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