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955B1 -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 Google Patents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955B1
KR100669955B1 KR1020050095131A KR20050095131A KR100669955B1 KR 100669955 B1 KR100669955 B1 KR 100669955B1 KR 1020050095131 A KR1020050095131 A KR 1020050095131A KR 20050095131 A KR20050095131 A KR 20050095131A KR 100669955 B1 KR100669955 B1 KR 10066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re
winding
coil
frame portion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모
손연호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H02K15/026Wound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내주측으로 로터(rotor)를 배치하는 형식(inner rotor)의 브러쉬리스 직류모터(brushless DC motor)의 스테이터(stator)에 사용되는 코어(core) 및 그 세그먼트(segment)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터 코어를 상의 수에 따라 분리형성하고 연결부재로 결합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형성하도록 하되, 슬릿을 스테이터 코어 외측부에 형성하고 각 상별로 코일을 권선함으로써 코일을 용이하게 권선할 수 있는 효과와 코깅 토크(cogging torque)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BLDC모터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권선량이 증가되어 모터의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 BLDC모터, 권선방법

Description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Coil Winding Method For Stator Core Of BLDC Mot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터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에 제공되는 스테이터 코어 및 그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상태에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적용한 브러쉬리스 직류모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스테이터 코어의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210 : 스테이터 코어
220 : 코일 230 : 로터 마그넷
231 : 샤프트 250 : 케이스
260 : 연결부재
본 발명은 모터의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코어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내주측으로 로터(rotor)를 배치하는 형식(inner rotor)의 브러쉬리스 직류모터(brushless DC motor, 이하 'BLDC모터'라 칭하기로 함)의 스테이터(stator)에 사용되는 코어(core, 이하 '스테이터 코어'라 칭하기로 함)에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DC모터는 정류자(commutator)편과 브러쉬의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발생, 브러쉬의 마모로 인한 분진 발생, 브러쉬의 한정된 수명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경제성, 속도제어의 용이성, 단순한 구조에 의한 설계의 용이성 등의 장점에 의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근래에 BLDC모터에 관련된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제어장치의 제작 및 코어의 제작에 따르는 문제점들이 감소하게 되어 BLDC모터의 원활한 속도제어가 가능해지고 넓은 가변속 범위에 걸쳐 우수한 효율을 갖는 BLDC모터의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BLDC모터가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은 공조기기의 압축기용 모터, 드럼 세탁기의 구동모터, 휴대폰 등 여러 분야에서 DC모터를 대체하게 되었다. 특히, 휴대폰과 같은 무선 정보기기에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장수명, 저소음, 높은 신뢰도를 갖는 모터가 요구되므로, 현재 모터의 내주측에 로터를 배치하는(inner rotor) 형식의 BLDC모터가 휴대폰의 자동 폴더 구동, 카메라 구동 등의 자동기능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BLDC모터는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coil)을 권선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따라서 코일 권선용 지그(jig)의 제작이 어렵고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BLDC모터 내의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높지 못하여 코일의 권선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므로 우수한 모터의 특성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BLDC모터의 스테이터 코어의 구조와 그에 따른 코일의 권선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터 코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터 코어(110), 코일 권취부(115) 및 슬롯(116)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스테이터 코어(110)는 실린더 형상의 프레임부(114)에 복수의 T자형 코일 권취부(115)가 프레임부(114)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코일 권취부(115)의 단부들 사이에는 좁은 틈인 슬롯(116)이 형성되고, 스테이터 코어(110)의 중심부에는 로터 삽입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에 대한 권선작업은, 일반적으로 원시적인 수작업으로 가능하나, 보통은 생산성을 감안하여 자동권선기(automatic winding machine)에서 자동으로 행해지고 있다. 자동권선기는, 도면에 도시되자 않았으나, 통상, 외부에서 도입되는 에나멜피복 동선을 이끄는 니들(needle)을 구비한 지그(Jig)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 권취부(115) 주위를 돌면서 와이어를 감도록 그 니들을 움직이는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BLDC 모터는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코일 권취부(115)의 구조상 인접한 코일 권취부(115)들 사이의 빈 공간인 슬롯(116)이 그다지 크지 않기 때 문에 전술한 권선기의 니들을 빠르게 움직일 수 없다. 더욱이, 프레임부(114)에 돌출된 코일 권취부(115)들에 대한 권선작업을 동시에 할 수 없고 각 코일 권취부(115)를 순차적으로 권선하여야 하므로 전체의 권선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것이다. 이러한 권선작업 시간의 지연은 코일 권취부(115)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소형일수록 더욱 가중된다.
이와 같은 스테이터 코어(110)에 코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슬롯(116)을 통과하여 코일의 권선이 행해져야 하는데, 슬롯(116)이 프레임부(11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의 권선이 어렵고, 권선을 위한 지그의 설계도 복잡해지고 권선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권취된 코일의 권선정렬이 매우 곤란하여 BLDC모터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복수의 슬롯(116)에 의해 코깅 토크(cogging torque) 및 소음과 진동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이밖에도, 종래에는 BLDC 모터를 생산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설비 중에서 전술한 자동권선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이를 구입하고 설치 및 운용하는 비용이 과중하여 모터의 원가상승 요인으로 크게 작용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의 권취가 용이하고, 모터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충분한 코일의 권선량을 확보하며, 코깅 토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그 생산공정 중 권선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제한된 크기에서 권선수를 늘릴 수 있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가상승 요인을 줄이기 위하여 고가인 기존의 자동 권선기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저렴한 권선기에서의 권선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로터 마그넷과 대향하는 내측 프레임부와, 상기 내측 프레임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코일 권취부와, 상기 코일 권취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복수개의 상기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의 코일 권취부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와; (c) 권선된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각각 고정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코일 권취부의 상기 내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에서부터 상기 외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 측으로 코일을 권선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단계 (b)는 상기 코일 권취부의 상기 외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에서부터 상기 내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 측으로 코일을 권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로터 마그넷과 대향하는 내측 프레임부와, 상기 내측 프레임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코일 권취부와, 상기 코일 권취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복수개의 상기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각 내측 프레임부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c) 연결된 복수개의 상기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의 코일 권취부에, 인접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들 사이의 슬롯을 통해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슬롯을 통하여 권선용 지그를 작동하여 상기 코일 권취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BLDC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에 제공되는 스테이터 코어 및 그 세그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코일이 권선된 상태에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도 3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적용한 브러쉬리스 직류모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스테이터 코어(210) 및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의 전체적인 구 성을 설명하기 위해 코일이 권선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다.
우선, 각각 내측 프레임부(214), 코일 권취부(215) 및 외측 프레임부(216)로 구성된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가 제공된다. 횡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는 내측 프레임부(214)의 외주면에는 코일 권취부(215)가 돌출 형성되는데, 내측 프레임부(214)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점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코일 권취부(215)의 단부에는 각각 외측 프레임부(216)가 형성되고, 외측 프레임부(216)는 BLDC모터(200)의 케이스(250) 외주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형성된다.
둘째로, 도 3에서와 같이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에 순차로 또는 동시에 코일을 권선한다. 코일 권취부(215) 상에 코일(220)을 권선하게 되는 데, 외부에서 도입되는 에나멜피복 동선을 이끄는 니들(needle)을 구비한 지그(Jig)가 코일 권취부(215) 주위를 돌면서 와이어를 감도록 자동권선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상별로 분할된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의 코일 권취부(215) 상에 코일(220)이 권선되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이 없어 빠른 속도로 권선이 가능하며, 정교한 권선정열이 용이하다. 또한,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를 지그에 장착한 채로 지그를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시킴으로써 코일(220)을 권선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 저가의 단순한 구조를 갖는 권선기를 사용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에 동시에 코일(220)을 권취시키는 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권선의 방향성을 갖을 필요나 권선기나 그 지그의 구조에 따라, 외측 프레임부(216) 측에서 내측 프레임부(214) 측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코일 권취부(215) 상에 코일(220)을 권선할 수 있어 권선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권선된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를 각각 고정하여 스테이터 코어(210)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이 제공된다.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는 BLDC모터의 상(phase)의 수와 같게 제공되고, 각각의 코일 권취부(215)에 코일이 권선된 후에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적 절연체인 연결부재(260)에 의해 결합되어 스테이터 코어(2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는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의 각각의 내측 프레임부(214)와 각각의 연결부재(260)에 의해 스테어터 코어(210)의 중심부에 로터 마그넷 삽입부(213)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상별로 별도의 코일(220)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코일(220)의 권선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분리 형성된 각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는 각각 상별로 코일(220)을 권선한 후에 서로 결합시켜 스테이터 코어(210)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이 더욱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어(210)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금형(도시되지 않음)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금형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각각 내측 프레임부(214), 코일 권취부(215) 및 외측 프레임부(216)로 구성된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를 제공하는 것은 앞서와 동일하다.
둘째로, 복수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의 각 내측 프레임부(214)를 상호 연결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측 프레임부(214) 사이에 자기적 절연체인 연결부재(260)를 개재하여 스테이터 코어(210)를 형성케 한다.
연결부재(260)의 양측부에는 인접한 각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211a, 211b)와 결합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를 결합시킨다. 연결부재(260)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대량생산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간의 결합방법은 돌기(211a)와 홈 뿐만 아니라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210a, 210b, 210c)의 코일 권취부(215)에, 인접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216)들 사이의 슬롯(217)을 통해 코일(220)을 권선함으로써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외측 프레임부(216)들의 사이에는 빈 공간인 슬롯(217)이 형성되는데, 슬롯(217)을 통하여 지그(미도시)를 작동하여 코일 권취부(215)에 코일(220)을 권선하게 된다.
스테이터 코어(210)는 슬롯(217)이 스테이터 코어(2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220)을 설치하기 위한 권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별로 코일(220)을 형성하므로 코일(220) 설치 공정이 매우 단순해지며, 권선용 지그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지그 설계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코일(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부(214), 코일 권취부(215) 및 외측 프레임부(216)가 이루는 공간에 권취된 권선에 의해 형성되는데, 스테이터 코어(210)의 슬롯(217)이 외측에 형성됨으로써 코일 권취부(215)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권취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의 정렬이 용이하고, 많은 권선량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BLDC모터(200)의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210)에 코일(220)을 설치할 때에 보빈(미도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빈(bobbin)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빈을 수평으로 분할 형성하여 스테이터 코어(210)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로터 마그넷(230)은 내측 프레임부(214)와 인접하고 슬롯(217)과는 인접하지 않기 때문에, BLDC모터(200)가 작동할 때에 코깅 토크(cogging torque)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외측 프레임부(216)는 케이스(250)의 내주면에 접하게 형성되거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체를 개재하여 스테이터 코어(210)가 케이스(2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 마그넷(230)은 샤프트(231)의 외주면에 원통형의 영구자석(235)을 착자하여 형성되는데, BLDC모터(200)에 적용할 상에 따라 2극, 4극, 6극 등 다양한 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 또한 2상, 3상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BLDC모터(200)를 제작할 수 있다. 샤프트(231)의 각 단부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고,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은 케이스(250)에 의해 지지된다. 스테이터 코어(210)의 축방향 길이는 영구자석(235)의 축방향 길이와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260)의 연결 길이는 최대한 짧게 형성하여 각 내측 프레임(214) 간의 자기적 절연된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로터 마그넷(230)은 샤프트(231)의 외주면에 원통형의 영구자석(235)을 착자하여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상별로 분할된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 트의 코일 권취부 상에 코일을 권선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이 없어 빠른 속도로 권선이 가능하며, 정교한 권선정열이 용이한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LDC모터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권선량이 증가되어 코깅 토크 현상을 감소시키는 등의 모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테이터 코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비를 절감시키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인 기존의 자동 권선기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저렴한 권선기에서의 권선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a) 로터 마그넷과 대향하는 내측 프레임부와, 상기 내측 프레임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코일 권취부와, 상기 코일 권취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복수개의 상기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의 코일 권취부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와;
    (c) 권선된 상기 복수개의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각각 고정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코일 권취부의 상기 내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으로 부터 상기 외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 측으로 코일을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코일 권취부의 상기 외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으 로 부터 상기 내측 프레임부와 인접한 부분 측으로 코일을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4. (a) 로터 마그넷과 대향하는 내측 프레임부와, 상기 내측 프레임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코일 권취부와, 상기 코일 권취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복수개의 상기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를 각 내측 프레임부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c) 연결된 복수개의 상기 스테이터 코어 세그먼트의 코일 권취부에, 인접한 상기 외측 프레임부들 사이의 슬롯을 통해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슬롯을 통하여 권선용 지그를 작동하여 상기 코일 권취부에 코일을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KR1020050095131A 2005-10-10 2005-10-10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KR10066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131A KR100669955B1 (ko) 2005-10-10 2005-10-10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131A KR100669955B1 (ko) 2005-10-10 2005-10-10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955B1 true KR100669955B1 (ko) 2007-01-16

Family

ID=3801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131A KR100669955B1 (ko) 2005-10-10 2005-10-10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9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738A (ja) 2000-12-08 2002-06-21 Sofutoronikusu Kk サーボモータおよびサーボ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4180383A (ja) 2002-11-26 2004-06-24 Aichi Electric Co Ltd 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738A (ja) 2000-12-08 2002-06-21 Sofutoronikusu Kk サーボモータおよびサーボ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4180383A (ja) 2002-11-26 2004-06-24 Aichi Electric Co Ltd 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924B1 (ko) 더블 스테이터-더블 로터형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의 직결형 구동 장치
US4774428A (en) Compact three-phase permanent magnet rotary machine having low vibration and high performance
US20100156216A1 (en) Slim type stator having integrated cover structure, slim type motor and direct drive apparatus for drum-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050138793A1 (en) Abduction-type motor and fabrication method of motor stator thereof
US20120306297A1 (en) Switched reluctance motor
GB2555354A (en) Permanent Magnet-Embedded Motor,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04517597A (ja) 電気機械のための構成エレメント
CN101378214A (zh) 电动马达
KR101405225B1 (ko) 보빈 및 그를 이용한 권선형 동기모터의 회전자
JP4815686B2 (ja) 電動機の製造方法
CN101529695B (zh) 外转子电动机及其制造方法
US6833637B2 (en) Reciprocating motor
JP2003047188A (ja) 電動機の固定子
KR101103363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모터
KR101079050B1 (ko) 분할 스큐 코어 구조의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bldc 모터 및 배터리 쿨링장치
KR100647835B1 (ko) 브러쉬리스 직류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KR100706193B1 (ko) 모터 고정자용 인슐레이터
KR100669955B1 (ko) 브러쉬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권선방법
KR100847731B1 (ko) 스테이터 코어,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및 그 조립방법
KR100708257B1 (ko) 브러쉬리스 직류모터용 스테이터 코어
CN214013962U (zh) 定子芯组件、定子组件、及电机装置
CN110350685A (zh) 马达
WO2023058420A1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JP3632721B2 (ja) 永久磁石形同期電動機
KR20100005890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