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494B1 -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494B1
KR100669494B1 KR1020050087640A KR20050087640A KR100669494B1 KR 100669494 B1 KR100669494 B1 KR 100669494B1 KR 1020050087640 A KR1020050087640 A KR 1020050087640A KR 20050087640 A KR20050087640 A KR 20050087640A KR 100669494 B1 KR100669494 B1 KR 10066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n gear
block
lock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김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0138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694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102005008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을 출몰시키기는 출몰장치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에 있어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대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된 감속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그 종동기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몰장치에 연결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그 종동기어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종동기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locking block of digital door lock}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과 래치블럭이 잠김 상태에 있는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과 래치블럭이 풀림 상태에 있는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은 풀림 상태, 래치블럭은 잠김 상태에 있는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종동기어와 회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종동기어와 회전체의 Ⅷ-Ⅷ 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모터 320....구동기어
330....감속기어 340....종동기어
350....회전체 360....가변저항
341....걸림부 351....걸림턱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을 수동모드로 작동할 때,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감속기어와 모터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파손과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블럭(110)과 래치블럭(120)을 가지고 있다. 래치블럭(120)은 도어(200)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연결된 내측핸들(201)과 외측핸들(202)에 연동되어 도어(200)의 측면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록커블럭(110)은 실내측에만 마련된 회전손잡이(204)에 연동되어 도어(200)의 측면으로 출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커블럭(110)은 도어(200)의 실외측에 마련된 번호조작패널(203)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록커블럭 구동장치(400)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200)의 잠김상 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커블럭(110)의 출몰을 전자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잠김버튼(205)과 풀림버튼(206)을 도어(200)의 실내측에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400)는, 디지털 도어락(500)에 있어서 상기 록커블럭(110)을 번호조작패널(203)을 통해서 출몰시키거나 잠김버튼(205)과 풀림버튼(206)을 눌러서 출몰시키는 등 자동모드에서 출몰시킬 때, 후술하는 록커블럭 구동장치(400)의 회전체(450)가 회전됨으로써,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 에서의 괄호 내의 참조번호 300과 350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해 부여해 둔 번호이다.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110) 및 래치블럭(120)의 출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500)은, 도어(200)의 가장자리측에 내장되는 락케이스(100)와,상기 락케이스(100)에 수용되고 도어(200)의 가장자리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록커블럭(110) 및 래치블럭(120)과, 상기 도어(200)의 외측핸들(202)과 내측핸들(201), 상기 도어(200)의 내측 쪽에 마련된 회전손잡이(204), 상기 록커블럭(110) 및 상기 래치블럭(120)을 출몰시키는 출몰장치(150, 155, 111) 및 연동장치(160, 170, 121)를 포함한다.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는, 상기 회전손잡이(204)에 연결되고 상기 락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레버(151)가 형성되어 있는 록커작동블 럭(150)과, 그 록커작동블럭(150)에 소정구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록커블럭 구동장치(400)에 연결된 피동기어(155)와, 상기 록커작동블럭(150)에 형성된 작동레버(151)에 의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커블럭(11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슬라이더(111)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장치(160, 170, 121)는, 내측핸들(201) 및 외측핸들(202)이 결합된 래치작동블럭(170)과, 상기 래치작동블럭(170)에 소정구간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의 작동레버(151)와 연동되는 연동레버(163)를 가지는 연동블럭(160)과, 상기 래치작동블럭(170)에 형성된 섹터기어(172)와 맞물리는 랙기어(122)를 가지며 상기 래치블럭(120)에 연결되어 있는 제2슬라이더(121)로 구성된다.
먼저, 수동모드에서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실내에서 내측핸들(201)을 이용하여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키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블럭(110)과 래치블럭(120)이 도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동블럭(160)에 결합된 내측핸들(20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블럭(160)의 연동레버(163)가 록커작동블럭(150)의 작동레버(151)를 연동하여 록커작동블럭(1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록커작동블럭(15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작동레버(151)의 단부가 제1슬라이더(111)의 제1턱(113) 및 제2턱(114)을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제1슬라이더(111) 및 록커블럭(11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킨다.
실내에서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이용하여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키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손잡이(20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결합된 록커작동블럭(150)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레버(151)의 단부가 제1슬라이더(111)의 제1턱(113) 및 제2턱(114)을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제1슬라이더(111) 및 록커블럭(11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킨다.
반대로, 실내에서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이용하여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손잡이(20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결합된 록커작동블럭(150)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레버(151)의 단부가 제1슬라이더(111)의 제2턱(114) 및 제1턱(113)을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제1슬라이더(111) 및 록커블럭(11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킨다.
다음으로, 자동모드에서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번호조작패널(203)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전기신호가 상기 록커블럭 구동장치(400)에 인가되어 구동장치(400)의 회전체(4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회전체(450)에 맞물린 피동기어(155)에 록커작동블럭(150)이 연동되어 록커작동블럭(1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록커작동블럭(150)의 작동레버(151)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더(111) 및 록커블럭(110)을 우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록커블럭 (110)을 몰입시킨다.
디지털 도어락(500)의 실내측에 잠김버튼(205)과 풀림버튼(206)이 구비된 경우에는, 풀림버튼(206)을 누르면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0)의 회전체(4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번호조작패널(203)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록커블럭(110)이 몰입된다.
상기 잠김버튼(205)을 눌러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잠김버튼(205)을 누르면,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0)의 회전체(4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체(450)에 맞물린 피동기어(1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록커블럭(110) 및 제1슬라이더(111)를 좌측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킨다.
위와 같이 록커블럭(110)을 자동모드에서 출몰시킬 때,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4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블럭 구동장치(400)는, 케이스(470)와 그 케이스(470)에 수용되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410), 그 모터(410)의 회전축(411)에 고정된 구동기어(420)와, 이 구동기어(420)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 회전체(450)와, 구동기어(420)에 대한 상기 회전체(450)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어(430)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터(410)는 상기 케이스(47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420)는 상기 모터(410)의 회전축(4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어(430)는, 상기 구동기어(420)에 대한 상기 회전체(450)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420)와 상기 회전체(450)의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각각 대경기어와 소경기어를 가지는 복수의 기어들의 조합체이다. 감속기어(430)들의 수는 필요한 감속비에 따라, 다양한 수의 감속기어(430)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속기어(431), 제2감속기어(432), 제3감속기어(433), 제4감속기어(434)의 4개의 감속기어(431, 432, 433, 434)들을 가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감속기어(431)는 상기 케이스(470)에 고정된 제1고정축(4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1감속기어(431)의 대경기어(431a)는 상기 구동기어(4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감속기어(432)는 상기 케이스(470)에 고정된 제2고정축(4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2감속기어(432)의 대경기어(432a)는 상기 제1감속기어(431)의 소경기어(431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감속기어(433)는 상기 케이스(470)에 고정된 제3고정축(4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3감속기어(433)의 대경기어(433a)는 상기 제2감속기어(432)의 소경기어(43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4감속기어(434)는, 상기 제2감속기어(432)와 동축적으로 상기 제2고정축(4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4감속기어(434)의 대경기어(434a)는 상기 제3감속기어(433)의 소경기어(433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450)는 상기 구동기어(42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고정 축(4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450)의 일단부에 형성된 기어는 상기 제4감속기어(434)의 소경기어(434b)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 마련된 기어는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의 피동기어(155)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400)의 상기 모터(4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모터(410)의 회전축(411)에 결합된 구동기어(420)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420)가 회전하면 그 구동기어(420)에 연결된 상기 제1감속기어(431)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2감속기어(432), 제3감속기어(433), 제4감속기어(43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4감속기어(434)가 회전하면 그에 연결된 회전체(450)가 회전하면서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400)는 일반적으로 상기의 감속기어(430)에 의해 60 대 1 내지 300 대 1 의 감속비를 갖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록커블럭 구동장치(400)의 감속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출몰장치(150, 155, 111)가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킨다.
상기 감속기어(430)는 위와 같은 감속비로 상기 모터(4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대신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에 큰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록커블럭(110)과 상기 도어(200)의 도어프레임(미도시)의 록커블럭(110)이 들어갈 홈 사이에 마찰이 존재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록커블럭(110)이 그 홈에 대해 출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500)이 확실한 잠김과 풀림 기능을 갖게 한다.
그런데 상기 록커블럭 구동장치(400)의 회전체(450)는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의 피동기어(155)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록커블럭(110)을 수동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도어(200)의 실내측에 마련된 회전손잡이(204)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내측핸들(201)을 회전시켜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경우, 부득이하게 상기 록커블럭 구동장치(400)도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어(430)의 감속비로 인해, 상기 회전손잡이(204)나 내측핸들(201)을 회전시키는데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고, 또한, 사용자가 큰 힘으로 상기 회전손잡이(204)나 내측핸들(201)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감속기어(430)와 모터(410)에도 큰 힘이 작용하여 상기 감속기어(430) 또는 모터(410)가 파손되거나 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동모드에서 상기 록커블럭을 출몰시킬 수 있게 하고, 동시에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감속기어 및 모터에도 큰 힘이 걸리지 않게 함으로써, 감속기어와 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는,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을 출몰시키기는 출몰장치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에 있어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대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된 감속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그 종동기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몰장치에 연결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그 종동기어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종동기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종동기어와 회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500)에 종래의 구동장치(400) 대신에 적용되어서 그 디지털 도어락(500)의 출몰장치(150, 155, 111)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동장치(300)는 케이스(370)와, 그 케이스(370)에 수용되는 모터(310), 구동기어(320), 감속기어(330), 종동기어(340), 회전체(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31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37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320)는 상기 모터(310)의 회전축(31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어(330)는, 상기 구동기어(320)에 대한 상기 종동기어(340)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320)와 상기 종동기어(340)의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각각 대경기어와 소경기어를 가지는 복수의 기어들의 조합체이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300)는 제1감속기어(331), 제2감속기어(332), 제3감속기어(333), 제4감속기어(334)의 4개의 감속기어(331, 332, 333, 334)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감속기어(331)는 상기 케이스(370)에 고정된 제1고정축(3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1감속기어(331)의 대경기어(331a)는 상기 구동기어(3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감속기어(332)는 상기 케이스(370)에 고정된 제2고정축(3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2감속기어(332)의 대경기어(332a)는 상기 제1감속기어(331)의 소경기어(331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감속기어(333)는 상기 케이스(370)에 고정된 제3고정축(3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3감속기어(333)의 대경기어(333a)는 상기 제2감속기어(332)의 소경기어(33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4감속기어(334)는, 상기 제2감속기어(332)와 동축적으로 상기 제2고정축(3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제4감속기어(334)의 대경기어(334a) 는 상기 제3감속기어(333)의 소경기어(333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동기어(340)는, 상기 구동기어(32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감속기어(333)와 동축적으로 상기 제3고정축(3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4감속기어(334)의 소경기어(334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340)에는 걸림부(34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350)는, 상기 종동기어(34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3고정축(3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35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35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턱(351)이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체(350)는 상기 종동기어(340)와 함께 회전하고, 그 걸림턱(351)이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회전체(350)는 상기 종동기어(34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체(350)에는, 그 회전체(350)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회전각감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각감지수단은 적외선센서, 엔코더, 가변저항(360) 등 상기 회전체(350)의 상기 제3고정축(303)에 대한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각감지수단으로 가변저항(360)이 사용된다. 상기 가변저항(36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50)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되어 있어서, 그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3고정축(303)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전체(350)의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350)에는 기어가 마련되어 있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 은 록커블럭(110)의 출몰장치(150, 155, 11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30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3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키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록커블럭(110)이 돌출시키는 출몰장치(150, 155, 111)를 가진,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5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동모드에서 본 실시예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3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록커블럭(110)이 돌출된 상태에서, 풀림버튼(206)을 누르거나 번호조작패널(203)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록커블럭(110)이 몰입되도록 상기 모터(310)를 작동시키면, 그 모터(310)의 회전축(311)에 결합된 상기 구동기어(32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320)가 회전하면 상기 감속기어(330)들이 상기 구동기어(3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기어(320)의 회전비가 감소되어 상기 종동기어(3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가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기어(340)와 함께 상기 회전체(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가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에 걸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가 상기 회전체 (350)의 걸림턱(351)에 걸릴 때까지 상기 종동기어(340)만 회전하다가, 상기 걸림부(341)가 상기 걸림턱(351)에 걸린 후에는 상기 종동기어(340)와 상기 회전체(350)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종동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체(350)에 맞물린 출몰장치(150, 155, 111)의 피동기어(15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커작동블럭(150)과 제1슬라이더(111)가 연동하여 록커블럭(110)이 몰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입된 록커블럭(110)이 돌출되도록 상기 디지털 도어락(500)의 잠김버튼(205)을 누르면, 상기 모터(310)는 위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구동기어(320)와 감속기어(330)를 거쳐서 상기 종동기어(340)에 전달된다. 상기 종동기어(3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기어(34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대해서는 상기 걸림부(341)가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에 걸려 있지 않으므로,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340)만 회전하다가, 도 9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걸림부(341)가 상기 걸림턱(351)에 걸리게 되면, 상기 종동기어(340)는 상기 회전체(35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3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피동기어(15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결과 도 4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록커작동블럭(150)과 제1슬라이더(111)가 연동하여 록커블럭(110)이 돌출된다.
이하, 상기 록커블럭(110)을 수동모드에서 출몰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모드에서 상기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키면,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 바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는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걸려 있게 되고,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은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걸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동모드로 상기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키도록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피동기어(155)에 상기 회전체(350)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350)도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은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어(330)와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도 함께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돌려야만 상기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330)와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가 회전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회전손잡이(204)에 힘을 가하면, 상기 록커블럭(110)은 돌출되고 상기 회전체(350)와 종동기어(340)는 함께 회전하면서 걸림부(341)와 걸림턱(351)은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상기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키면 상기 피동기어(155)에 의해 상기 회전체(3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도 1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은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걸려 있지 않으므로, 상기 종동기어(340)에 연결된 감속기어(330),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은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돌릴 수 있게 되고, 상기 감속기어(330)와 모터(310)에도 힘이 가해 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감속기어(330)와 모터(3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키면, 상기 회전체(350)는 상기 종동기어(34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경우에도 상기 걸림턱(351)은 상기 걸림부(341)에 걸려 있지 않으므로 쉽게 회전된다.
즉, 자동모드에서 상기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킨 후,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경우에는, 최초의 수동모드에 의한 록커블럭(110)의 돌출 시에만 상기 감속기어(330),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에 힘이 가해지고, 그 이후의 수동모드에 의한 록커블럭(110)의 출몰 작동에는 상기 감속기어(330),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자동모드에서 상기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킨 후,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는 경우에는, 최초의 수동모드에 의한 록커블럭(110)의 몰입 시에만 상기 감속기어(330),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에 힘이 가해지고, 그 이후의 수동모드에 의한 록커블럭(110)의 출몰 작동에는 상기 감속기어(330),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가변저항(360)을 이용하면, 위와 같이 자동모드로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킨 후, 최초의 수동모드에 의해 그 반대로 록커블럭(110) 출몰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감속기어(330)와 모터(310)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자동모드에서 상기 모터(310)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3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가 도 1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곳에 위치하고 상기 록커블럭(110)이 몰입된 후에는, 상기 모터(310)를 역회전시켜 상기 종동기어(340)를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만 회전시켜 놓으면 된다. 수동모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204)를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더라도 상기 회전체(350)의 걸림턱(351)에 걸리지 않을 위치에, 즉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상기 종동기어(340)의 걸림부(341)가 오도록 상기 모터(310)를 소정시간만큼만 작동시키면, 자동모드에서 록커블럭(110)을 몰입시킨 직후에 수동모드로 상기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키더라도 상기 걸림턱(351)이 상기 걸림부(341)에 걸리지 않고 상기 회전체(350)가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감속기어(330), 구동기어(320) 및 모터(310)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360)부로부터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모터(310)의 구동회로에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걸림부(341)가 상기 걸림턱(351)에 걸리지 않을 각도만큼만 역회전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310)와 상기 가변저항(360)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340)를 소정 각도만큼만 역회전시켜두 면, 자동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전환하더라도 언제나 상기 걸림부(341)는 상기 걸림턱(351)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모터(310)와 감속기어(330)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수동모드로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킬 수 있고, 상기 모터(310)와 감속기어(330)는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자동모드에서 상기 종동기어(3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킨 후,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310)와 가변저항(360)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340)를 소정 각도 만큼만 역회전시켜 두면, 수동모드로 록커블럭(110)을 돌출시키더라도 위에서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모터(310), 구동기어(320) 및 감속기어(330)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수동모드로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다가, 자동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걸림턱(351)이 상기 걸림부(341)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상기 종동기어(340)는 상기 회전체(350)에 대해 상대회전하다가, 상기 걸림턱(351)이 상기 걸림부(341)에 걸린 후에는 상기 회전체(350)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록커블럭(110)을 출몰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500)의 록커블럭 구동장치(300)가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상기 회전각감지수단으로 가변저항(360)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회전각감지수단은 적외선 센서, 엔코더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각감지수단이 없는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구성도 가능하다. 회전각감지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모터(310)의 각속도와 상기 감속기어(330)의 감속비에 의해 상기 종동기어(340)의 회전속도를 계산해 내면, 상기 모터(310)의 구동회로로 하여금 소정시간만큼만 상기 모터(310)를 역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턱(351)이 상기 걸림부(341)에 걸리지 않는 위치까지 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상기 회전체(350)에는 기어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록커블럭(110)의 출몰장치(150, 155, 11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어가 없는 형태의 회전체의 구성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디지털 도어락에 본 발명의 록커블럭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회전체에 별도의 기어 등을 결합하여 그 기어를 통하여 상기 출몰장치(150, 155, 111)에 연결함으로써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동모드에서 록커블럭의 출몰을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수동모드로 조작하는 경우에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내부의 감속기어와 모터에는 큰 힘이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감속기어와 모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을 출몰시키기는 출몰장치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에 있어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대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배치된 감속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그 종동기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몰장치에 연결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그 종동기어가 상기 회전체에 대해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종동기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회전각감지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각감지수단은,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3. 삭제
KR1020050087640A 2005-09-21 2005-09-21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KR10066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640A KR100669494B1 (ko) 2005-09-21 2005-09-21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640A KR100669494B1 (ko) 2005-09-21 2005-09-21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494B1 true KR100669494B1 (ko) 2007-01-16

Family

ID=3801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640A KR100669494B1 (ko) 2005-09-21 2005-09-21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4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47B1 (ko) * 2010-02-10 2011-05-11 김상민 감속기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KR101082177B1 (ko) * 2011-03-02 2011-11-09 김상민 감속기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KR101966285B1 (ko) * 2018-12-11 2019-04-05 주식회사 이엠티 차량용 출몰형 핸들 시스템
KR101983830B1 (ko) * 2018-04-25 2019-05-29 (주)솔리티 무부하 구간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용 감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46A (ja) * 1995-05-24 1996-12-03 Yuhshi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KR20010019650A (ko) * 1999-08-28 2001-03-15 이성권 디지털 보조 도어록
KR200353555Y1 (ko) 2004-03-18 2004-06-18 (주)대양디앤티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실내도어 개방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46A (ja) * 1995-05-24 1996-12-03 Yuhshi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KR20010019650A (ko) * 1999-08-28 2001-03-15 이성권 디지털 보조 도어록
KR200353555Y1 (ko) 2004-03-18 2004-06-18 (주)대양디앤티 전자식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실내도어 개방수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47B1 (ko) * 2010-02-10 2011-05-11 김상민 감속기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WO2011099786A2 (ko) * 2010-02-10 2011-08-18 Kim Sang Min 감속기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WO2011099786A3 (ko) * 2010-02-10 2011-12-22 Kim Sang Min 감속기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KR101082177B1 (ko) * 2011-03-02 2011-11-09 김상민 감속기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KR101983830B1 (ko) * 2018-04-25 2019-05-29 (주)솔리티 무부하 구간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용 감속기
KR101966285B1 (ko) * 2018-12-11 2019-04-05 주식회사 이엠티 차량용 출몰형 핸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494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록커블럭 구동장치
US7584572B2 (en)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door
US6591643B1 (en) Keyless locking system
EP2762661A1 (en) A lock activator
US5656899A (en) Control apparatus for door lock device
US7434354B2 (en) Power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sliding door
KR102655160B1 (ko) 도어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6107759A (en) Multi-function actuation apparatus
US9222289B2 (en) Actuator unit and door latch device provided with actuator unit
KR200334303Y1 (ko)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JP2010265714A (ja) ルーバー開閉装置
JP4200316B2 (ja) 棒状体切断機
JP4173982B2 (ja) キャビネットの施解錠装置
TWI832672B (zh) 電子鎖與電子鎖的開門設定方法
KR20160068138A (ko) 차량용 래치의 초기위치 보정구조
JPH11217962A (ja) 電気錠
JPH0384181A (ja) ドアロック駆動装置
JPH0639027Y2 (ja) 扉錠駆動装置
JP4738098B2 (ja)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KR100521884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겸용 도어 그립핸들 구조
JPS6320152Y2 (ko)
JPH11190451A (ja) 回転体の動作範囲設定装置
JP2006239311A (ja) 便座および便蓋の電動開閉装置
KR102167840B1 (ko) 차량용 래치장치
KR200307408Y1 (ko) 디지털 겸용 강화유리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25

Effective date: 201304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30610

Effective date: 201308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22

Effective date: 201310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