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303Y1 -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 Google Patents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303Y1
KR200334303Y1 KR20-2003-0027855U KR20030027855U KR200334303Y1 KR 200334303 Y1 KR200334303 Y1 KR 200334303Y1 KR 20030027855 U KR20030027855 U KR 20030027855U KR 200334303 Y1 KR200334303 Y1 KR 200334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manual
geared motor
tailpie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필
박찬웅
Original Assignee
선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7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Abstract

본 고안은 클러치 구조의 개선으로 부품의 조립 후 모터와 클러치간의 조립위치 설정 과정이 필요 없으며, 관련 부품간의 마찰을 없애주어 부품의 수명 연장이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동겸용 전동밸브를 구비하는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은 데드볼트를 도어측에서 록/언록시키는 일측 수동레버가 고정 설치된 테일피스와 테일피스의 타측과 제 1 및 제 2 기어를 통해 연결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되, 기어드 모터가 정지된 경우에 수동레버를 회전시켜 정지된 기어드 모터를 일체 회전시키지 않고 자연스런 회전력만으로 데드볼트를 수동으로 록/언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DOOR LOCK HAVING A FUNCTION OF OPENING AND SHUTTING OPERATED BY ELECTRIC AND MANUAL MODE}
본 고안은 도어를 디지털 신호로 개폐시키는 록킹장치(lock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드 모터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에서 수동 모드시 작은 힘으로 실내 측에서 무부하 상태로 록(lock)이 된 것을 언록(unlock)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록킹장치는 데드 볼트(dead bolt)와 래치 볼트(latch bolt)를 가지고 있다. 래치 볼트는 도어의 손잡이에 연동하여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데드 볼트는 해당 키(key)나 전기적 입력신호 또는 실내측 수동 레버에 의해서만 개폐조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데드 볼트는 키나 실내측 레버로 작동되는 수동모드와 전기적 입력신호로 작동되는 자동모드를 갖게 된다.
자동 모드란 외부에서 해당된 신호가 맞으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방식이고, 수동 모드란 외부의 키조작이나 외부에서 도어를 열어달라고 도어를 두드릴 경우 실내측 사용자의 레버조작에 의해 도어가 수동으로 열리는 방식을 일컫는다.
데드 볼트를 자동모드 상태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기어드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즉, 기어드 모터는 높은 감속비를 얻기 위해 감속 기어군을 통해 테일피스(tail piece)에 연결되어 있고, 테일피스는 데드 볼트가 설치된 록 케이스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테일피스가 연동 회전하여 데드 볼트가 록/언록킹 된다.
예를들면, 기어드 모터는 프론트 캐비넷측 입력패드의 숫자버튼 입력신호에 따른 해당 작동신호가 떨어지면 구동을 하고 테일피스를 매개로 데드 볼트가 록/언록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기어드 모터로 데드 볼트를 동작시키는데 기계적 메카니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도어록을 수동 조작에 의하여 개폐시킬 경우, 회전 초기 시 클러치 부위를 분리시키기 위해 힘을 넣게 되는데 이 경우 모터는 회전하지 않지만, 분리 시 발생되는 딸깍거리는 소리와 불균일한 힘의 전달로 인해 손 끝에 불쾌감이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클러치 구조의 개선으로 부품의 조립 후 모터와 클러치간의 조립위치 설정 과정이 필요 없으며, 관련 부품간의 마찰을 없애주어 부품의 수명 연장이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정지된 모터를 일체 회전시키지 않고 자연스런 회전력만으로 도어록을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록을 수동으로 조작 시 정지하고 있는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과도한 회전력을 투입할 필요가 없으며, 노브 조작에 부담을 갖는 노인 또는 어린이가 보다 편리하게 도어록을 개폐할 수 있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을 구비하는 도어록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수동 및 도어록이 수동으로 열린 상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어록이 수동으로 닫힌 상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어록 110 : 수동레버
112 : 테일피스 120 : 데드볼트
130 : 록 케이스 132 : 록 케이스 덮개
140 : 브래킷 150 : 기어드 모터
152, 154 : 제 1 및 제 2 기어 156 : 허브
158 : 위치 결정핀 159 : 기어드 모터 고정브래킷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데드볼트를 도어측에서 록/언록시키는 일측 수동레버가 고정 설치된 테일피스와; 테일피스의 타측과 제 1 및 제 2 기어를 통해 연결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되, 기어드 모터가 정지된 경우에 수동레버를 회전시켜 정지된 기어드 모터를 일체 회전시키지 않고 자연스런 회전력만으로 데드볼트를 수동으로 록/언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와 본 고안의 도어록이 사용자의 필요에따라 수동으로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100)은 록 케이스(130)의 하부에 기어드 모터(150)가 기어드 모터 고정 브래킷(152)을 통해 부설되어 있고, 기어드 모터(150)의 하부에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기어(152, 154)를 매개로 연결되어 데드 볼트(deadbolt)(120)를 도어(미도시)측에서 록/언록(lock/unlock)시키는 테일피스(tail piece)(11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일피스(112)는 그 일단이 록 케이스(130)의 데드 볼트 작동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세트 스크류와 같은 연결부에 의해 내측 수동레버(11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테일피스(112)는 그 일단이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록 케이스(130)에 회전 지지되고 그 타단이 록 케이스(130)에 부설된 테일피스 브래킷(140)과 연동하는 작동부(151)와 결합한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150)의 구동력으로 테일피스(112)의 회전에 따라 내측 수동레버(110)가 데드볼트(120)를 작동시키는 테일피스(11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데드볼트(120)가 언록킹 상태일 경우는 내측 수동레버(110)가 록 케이스(130)의 종방향으로 세워져 있고, 데드볼트(120)가 록킹 상태일 경우는 내측 수동레버(110)가 록 케이스(130)의 횡방향으로 놓여지게 되어 있다.
전술한 테일피스(112)에는 일단이 직경방향으로 소정량 돌출되도록 위치 결정핀(15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어(154)는 테일피스(112)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고, 제 2 기어(154)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허브(156)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허브(156)에는 위치 결정핀(158)이 위치되어 소정의 회전각도(θ)에서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되고 그 회전각도의 최종 위치에서 위치 결정핀(158)이 걸림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기어(152, 154)는 베벨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측 수동레버(110)를 실내측에서 직접 수동모드로 회전 조작하면 그 조작방향에 따라 테일피스(112)는 위치 결정핀(158)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하는 소정의 정지요소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테일피스(112)에는 제 2 기어(154)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링부재(156)) 내측에는 데일피스(112)의 회전에 부응하도록 사이드 커팅면이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기어드 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도어록(100)의 록킹 및 언록킹이 이루어진다. 이때, 록킹 신호는 프론트 캐비넷측 입력버튼을 누르거나 별도의 감지센서에 의해 일어나고, 언록킹 신호는 프론트 캐비넷측 입력버튼을 눌러서 일어난다.
기어드 모터(150)가 록/언록 신호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기어드 모터(150)의 축력단에 연결된 제 1 기어(152)가 회전하고, 제 1 기어(152)에 치합된 제 2 기어(154)가 연동 회전한다.
제 2 기어(154)의 회전으로 허브(156)에 삽입된 위치 결정핀(158)을 매개로 테일피스(112)가 제 2 기어(15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테일피스(112)에 삽입된 록 케이스(130)내의 데드볼트(120)가 연동하여 록 케이스(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상태 또는 데드볼트(120)가 숨어버리는 언록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록 케이스(130)의 내부에서는 미도시된 센서에 의해 다시 기어드 모터(1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역회전하고, 이때 감지도그가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켜 기어드 모터(150)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고 기어드 모터(150)는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모드로 작동되는 상황에서 제 2 기어(154)의 정지요소 및 위치 결정핀(158)의 위치가 기어드 모터(150)의 정역회전에 따라 바뀌게 된다.
즉, 언록킹 상태에서는 내측 수동레버(110)를 조작하여 테일피스(112)에 연결된 위치 결정핀(158)을 소정의 정지턱까지 무부하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어드 모터(150)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록킹이 이루어진다.
반면, 록킹 상태에서는 제 2 기어(15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 결정핀(158)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는 제 2 기어(154)가 위치 결정핀(158)을 매개로 테일피스(112)와 함께 회전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록킹이 완료되면 다시 기어드 모터(150)가 역회전하여 제 2 기어(154)가 위치하게 되고 이때 위치 결정핀(158)은 소정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내측 수동레버(110)를 조작하여 테일피스(112)에 연결된 위치 결정핀(158)을 소정의 정지요소 측에 위치시키면 기어드 모터(150)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무부하로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부품의 조립 후 모터와 클러치간의 조립위치 설정과정이 필요 없으며, 관련 부품간의 마찰을 없애주어 부품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자연스러운 회전력만으로 도어록을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내측 수동레버를 손으로 조작시켜 록킹을 해제시키는 언록킹시의 테일피스가 회전하여도 제 2 기어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기어드 모터에 부하가 걸리는 일은 없다.
본 고안을 본 명세서 내에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개시된 본 고안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 및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록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폐하는 경우에 회전 초기 시 클러치 부위를 분리시키기 위해 힘을 넣게 되는데 이 경우 모터는 회전하지 않지만, 분리 시 발생되는 딸깍거리는 소리와 불균일한 힘의 전달로 인해 손 끝에 느껴지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치 구조의 개선으로 부품의 조립 후 모터와 클러치간의 조립위치 설정 과정이 필요 없으며, 관련 부품간의 마찰을 없애주어 부품의 수명 연장이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지된 모터를 일체 회전시키지 않고 자연스런 회전력만으로 도어록을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록을 수동으로 조작 시 정지하고 있는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과도한 회전력을 투입할 필요가 없으며, 노브 조작에 부담을 갖는 노인 또는 어린이가 보다 편리하게 도어록을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데드볼트를 도어측에서 록/언록시키는 일측 수동레버가 고정 설치된 테일피스와;
    상기 테일피스의 타측과 제 1 및 제 2 기어를 통해 연결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드 모터가 정지된 경우에 상기 수동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정지된 기어드 모터를 일체 회전시키지 않고 자연스런 회전력만으로 상기 데드볼트를 수동으로 록/언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기어가 베벨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가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록을 수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및 전동개폐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KR20-2003-0027855U 2003-08-29 2003-08-29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KR200334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55U KR200334303Y1 (ko) 2003-08-29 2003-08-29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55U KR200334303Y1 (ko) 2003-08-29 2003-08-29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303Y1 true KR200334303Y1 (ko) 2003-11-21

Family

ID=4934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55U KR200334303Y1 (ko) 2003-08-29 2003-08-29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30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20B1 (ko) 2006-09-14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KR100920199B1 (ko) * 2009-05-04 2009-10-06 송승진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52482Y1 (ko) 2009-09-28 2011-02-28 주식회사 아이레보 설치가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KR200479526Y1 (ko) * 2014-09-17 2016-02-05 한국가스공사 도어락 장치
CN109253214A (zh) * 2018-10-29 2019-01-22 深圳市罗曼斯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变速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20B1 (ko) 2006-09-14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록
KR100920199B1 (ko) * 2009-05-04 2009-10-06 송승진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52482Y1 (ko) 2009-09-28 2011-02-28 주식회사 아이레보 설치가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KR200479526Y1 (ko) * 2014-09-17 2016-02-05 한국가스공사 도어락 장치
CN109253214A (zh) * 2018-10-29 2019-01-22 深圳市罗曼斯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变速箱
CN109253214B (zh) * 2018-10-29 2023-09-08 深圳市罗漫斯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应急变速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310A (en) Motorized lock assembly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AU2006218948B2 (en) Independently interactive interconnected lock
US6918276B2 (en) Control device for a lock mechanism
EP0995635B1 (en) Rotatably closing antitheft covering for car apparatus.
US20080236214A1 (en) Tubular-type digital door lock with integrated driving unit-deadbolt structure
EP1113130B8 (en) Electronic lock including a clutch mechanism
EP1600583A3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EP1793068A3 (en) Door closing apparatus
KR20170119280A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CN102102467A (zh) 一种电动锁芯
JP5050275B2 (ja) ドア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KR200334303Y1 (ko)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US6032991A (en) Electrically operable tubular lock
US6406072B1 (en) Drive devic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lock
JP2020111958A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0402198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JP2007197991A (ja) 電気錠に於けるデッドボルト駆動機構
CN107250474B (zh) 门锁装置
FI121679B (fi) Lukon lisälaite
KR200292162Y1 (ko) 디지털 도어 록킹장치의 실내측 레버 무부하 회전장치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H05113074A (ja) 自動車用ドアの開閉装置
JP3455819B2 (ja) 安全装置
KR20180029375A (ko) 도어락의 노브 연결 구동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