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201B1 - 용량성 결합을 갖는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용량성 결합을 갖는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201B1
KR100668201B1 KR1020017001961A KR20017001961A KR100668201B1 KR 100668201 B1 KR100668201 B1 KR 100668201B1 KR 1020017001961 A KR1020017001961 A KR 1020017001961A KR 20017001961 A KR20017001961 A KR 20017001961A KR 100668201 B1 KR100668201 B1 KR 10066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ng element
radiating
dielectric substrate
frequency band
conducti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675A (ko
Inventor
헤이에스제러드제임스
루트고우스키킴
루디실찰스
윈스테드러셀이반스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에릭슨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7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0Element having extended radia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32Vertical arrangement of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가 전자 장치에 선회적으로 접속되어 동축 커넥터가 필요로되지 않도록 한다. 자신 위에 배치된 다수의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유전체 기판(61)은 전자 장치 하우징(35)에 선회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소정의 회전 경로를 갖도록 한다. 유전체 기판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방사 소자(63)는 소정의 경로 전체에 걸쳐서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도성 소자(64)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로 유지되어 전도성 소자와 용량성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유전체 기판, 방사 소자, 무전전화 하우징, 전도성 소자.

Description

용량성 결합을 갖는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PIVOTABLE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WITH CAPACITIVE COUPL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선 전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화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링크를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라 칭한다. 셀룰러 전화, 지상-이동국(예를 들면, 경찰서 및 소방서), 및 위성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전화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핸드셋, 개인 휴대 단말기(PDA), 랩탑 컴퓨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용 무선 전화는 저장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선회하는 안테나를 사용한다. 종래 무선 전화 안테나는 전자 장치 내의 송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컨덕터 및 접지에 접속된 다른 컨덕터를 포함한다.
종래의 선회가능한 안테나의 컨덕터 둘 모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동축 커넥터가 종종 사용된다. 불행하게도, 동축 커넥터는 다소 값이 비싸며 다소 부피가 클 수 있다. 무선 전화 및 다른 통신 장치가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 내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은 다소 제한될 수 있다. 무선 전화 제조와 관련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소형화하기 위하여, 동축 커넥터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선회가능한 안테나를 무선 전화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출 커넥터 없이도 선회가능한 안테나의 다중 컨덕터를 무선 전화 또는 다른 통신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 제조와 관련된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 및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소형화 노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와 같은 전자 장치용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선회가능한 안테나와 내부 회로를 접속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는 필요로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유전체 기판은 자신 위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를 포함하여, 제 2 방사 소자가 제 1 방사 소자와 기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유전체 기판이 선회적으로 장착된 전자 장치의 하우징은 선회적인 장착물에 인접하여 배치된 접지된 전도성 소자를 포함한다.
유전체 기판은 하우징에 선회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제 2 방사 소자는 실질적으로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용량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제 1 방사 소자는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내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유전체 기판은 자신 위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를 포함하여, 제 2 방사 소자가 제 1 방사 소자에 기생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전도성 소자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송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 기판은 하우징에 선회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제 1 방사 소자는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전도성 소자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전도성 소자와 용량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제 2 방사 소자는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선회가능한 안테나와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를 접속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포함된 선회가능한 안테나는 전자 장치의 내부 회로와 간단하게 접속될 수 있으며, 이 접속은 전자적인 복잡성을 감소시키며 그 내부에 공간 요구량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구나, 기계적인 마모 및 파손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신뢰할 수 없는 동축 커넥터의 제거가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이 될 수 있다.
본원 내에 포함되며 본원의 한 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무선 전화가 전기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동축 커넥터를 가지고 접속 축에 대해 선회하도록 배치된 종래의 무선 전화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동축 커넥터 없이 접속 축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배치된 무선 전화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의 라인(4B-4B)을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5A-5B는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도 5A)로부터 제 2 위치(도 5B)로의 안테나의 이동을 도시한 도 4A 및 4B의 안테나 시스템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의 투시도.
도 7A-7B는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도 7A)로부터 제 2 위치(도 7B)로의 안테나의 이동을 도시한 도 6A 및 6B의 안테나 시스템의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아야만 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철저하고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 할 것이다.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에는 동일한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무선 전화가 무선 전화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하는 종래의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무선 전화 통신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무선 전화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10)는 무선-주파수 송수신기(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 송수신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기(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기(14)는 자신(14)으로부터 무선 전화의 사용자에게 원격 신호를 송신하는 스피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기 (14)는 또한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기(14) 및 송수신기(12)를 통하여 원격 장치로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마이크로폰(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기(14)는 무선 전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키패드(20) 및 디스플레이(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무선 전화의 다른 구성요소는 이미 공지되어 있어 본원에 기술하지 않았다.
통신 장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안테나는 전기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송신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개구(aperture) 또는 반사 면을 유도하거나 조명하여 전자기 필드를 방사하도록 하는 피드 어셈블리(feed assembly)를 포함한다. 수신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입사 방사 필드를 수집 피드(collecting feed)로 집중하며, 입사 방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개구 또는 표면을 포함한다. 안테나로부터 방사되거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양은 안테나의 개구 에어리어에 좌우되며 이득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종래의 무선 전화는 내부에 배치된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위치된 신호 처리 회로와 동작적으로 관련된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테나를 사용한다. 안테나 및 송수신기 사이의 전력 전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송수신기 및 안테나가 내부접속되어 그들 각각의 임피던스가 실질적으로 "정합되도록" 하는데, 즉 바람직하지 않는 안테나 임피던스 성분을 필터링 제거하거나 보상하도록 전기적으로 동조되어, 50ohm(Ω)(또는 소망) 임피던스 값을 회로 피드에 제공하도록 한다. 임피던스 정합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어서 더 논의될 필요가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축(131)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배치된 종래의 무선 전화 안테나(13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130)는 인접한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133, 134)를 포함하며 동축 커넥터(132)를 통하여 무선 전화(136) 또는 다른 통신 장치의 하우징(135)에 선회적으로 장착된다. 제 2 방사 소자(134)는 제 1 방사 소자(133)와 기생적으로 결합된다. 기생 방사 소자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기생 방사 소자(133, 134)는 상이한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동으로 공진할 수 있다. 가령, 제 1 방사 소자(133)는 800 MHz에서 공진하도록 동조될 수 있고 제 2 방사 소자(134)는 1900 MHz에서 공진하도록 동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133, 134)는 함께 다중 주파수 대역 무선 전화 동작을 인에이블하게 한다.
도시된 안테나(130)는 화살표(137)로 표시된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접속 축(132)에 대하여 회전한다. 제 1 방사 소자(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132)의 내부 컨덕터(140)를 통하여 무선 전화(136) 내의 송수신기(1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축 커넥터(132)의 외부 컨덕터(141)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며 캐패시터(149)를 통하여 제 2 방사 소자에 접속된다. (148a 및 148b)로 각각 표현된 임피던스 정합 성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 소자(133)의 임피던스를 송수신기 (138)와 정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동축 커넥터(132)의 안테나 측면 상에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접속 축(31)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구성된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무선 전화 안테나(3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30)는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33, 34)를 포함하며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핀(50) 또는 다른 기계 장치를 통하여 무선 전화(36)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35)에 선회적으로 장착된다. 안테나(30)는 화살표(37)로 표현된 바와 같은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접속 축(31)에 대하여 회전한다. 제 1 방사 소자(33)는 전자 장치 하우징(35) 내의 송수신기(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방사 소자(34)는 접지된 전도성 소자(5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는 않는다. 대신에, 제 2 방사 소자 (34)는 접지된 전도성 소자(52)와 이격된 관계로 유지된다. 접지된 전도성 소자 (52)는 제 2 방사 소자(34) 및 접지된 전도성 소자(52)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갭(D)로 표현됨)가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방사 소자(34)는 갭(D)을 사용하여 접지에 정확한 캐패시턴스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도시된 안테나(30)는 회전 평면에서 접지 접촉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시킨다. 따라서, 동축 커넥터가 필요로되지 않는다. 접지 접촉은 임피던스 정합 성분(48)(직렬 캐패시터 및 병렬 인덕터)을 송수신기 회로로 이동하여 안테나(30) 및 하우징(35) 사이의 갭(D)을 접지와의 용량성 결합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능적으로 대체된다.
안테나(30)는 접속 축(31)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갭(D)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한다. 유전체 스페이서(dielectric spacer)가 사용되어 제 2 방사 소자(34) 및 접지된 전도성 소자(52)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갭이 유지되도록 한다. 안테나(30)가 자신의 소정의 이동 경로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갭(D), 및 갭(D)으로부터 발생되는 대응 캐패시턴스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되므로써 제어된다. 따라서, 안테나 (30)는 회전 위치와 관계없이 다중 주파수 대역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방사 소자(33)는 하우징(35) 상의 또는 그 내의 전도성 소자 위치와 용량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 2 방사 소자(34)는 소정의 회전 경로에 걸쳐서 접지에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 무선 전화 안테나 시스템(6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60)은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면(61a, 61b) 및 대향되는 근단부 및 말단부(61c, 61d)를 갖는 긴 유전체 기판(61)을 포함한다. 이 유전체 기판(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61) 근단부(61c)에서 형성된 개구(66)를 통해 확장되어 하우징 내의 개구(69) 내에 고착되는 핀(65)을 통하여 전자 장치(36)의 하우징(35)의 실질적으로 평활한 측면 부분(35a)에 선회적으로 장착되며, 전자 장치의 하우징에 안테나를 선회적으로 부착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기술될 필요가 없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도 재료는 유전체 기판 제 1 면(61a) 상에 배치되어 제 1 방사 소자(62)를 형성한다. 제 1 방사 소자의 위치 및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령, 제 1 방사 소자(62)는 제 2 면(61b) 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및 제 2 면(61a, 61b) 둘 모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방사 소자(62)는 유전체 기판(61) 내의 개구(66) 주위로 확장되도록 구성된 아치형 부분(arcuate portion)(62a)을 갖는다. 무선 주파수(RF) 접촉부(68)는 제 1 방사 소자(62)를 무선 전화(36) 내의 송수신기(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RF 접촉부(68)는 유전체 기판(61)의 소정의 회전 경로에 걸쳐서 제 1 방사 소자(62)의 방사형 부분(62a)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전도 재료의 다른 층이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 제 1 표면(61a) 상에 배치되어 제 2 방사 소자(63)를 형성한다. 제 2 방사 소자(63)는 또한,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방사 소자(63)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 소자(62)에 기생적으로 결합되어 다중 주파수 대역 동작을 인에이블하게 한다. 2개 이상의 방사 소자가 본 발명의 양상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유전체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전체 기판(61)이 형성될 수 있는 전형적인 재료는 유리섬유, 테플론, 폴리카버네이트 등등과 같은 중합 재료를 포함한다. 유전체 기판(61)은 대략 2.0과 5.0 사이의 유전 상수를 갖는다. 그러나, 상이한 유전 상수를 갖는 유전체 기판이 본 발명의 정신과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 (62, 63)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61) 내에서 직접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사 소자(63)는 제 1 방사 소자의 아치형 부분(62a) 주위로 확장되며 그 부분과 실질적으로 중심이 같은 아치형 부분(63a)을 포함한다. 접지된 전도성 소자(64)는 하우징(35)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 개구(69)와 실질적으로 중심이 같다. 대안적으로, 접지된 전도성 소자(64)는 하우징(35)의 표면 상에 또는 하우징(35)의 재료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전체 스페이서(67)는 유전체 기판(61) 및 본체의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어 제 2 방사 소자(63) 및 접지된 전도성 소자(64)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갭(D)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유전체 스페이서(67)는 또한, 기계적인 웨어 링(wear ring)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전체 스페이서(67)는 낮은 마찰 계수를 가져서 유전체 기판(61)의 부드러운 회전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제 2 방사 소자(63)는 갭(D)이 대략 0.01mm와 5.0mm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접지된 전도성 소자(64)와 이격된다. 갭(D)은 제 2 방사 소자(63)의 표면 에어리어를 조절함으로써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표면 에어리어가 증가될때, 갭(D)은 대응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유사하게, 표면 에어리어가 감소될때, 갭(D)은 대응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5a-5b를 참조하면, 도 4a 및 4b의 안테나 시스템(60)의 측,정면도는 화살표(70)로 표시된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B)(도 5a)로부터 제 2 위치(A)(도 5b)로 유전체 기판(61)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 시스템(60)은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62 및 63)가 제 1 및 제 2 위치 둘 모두에서, 그리고 그 사이에 소정의 경로를 따르는 임의의 위치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6 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 무선 전화 안테나 시스템(8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80)은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면(81a, 81b) 및 대향되는 근단부 및 말단부(81c, 81d)를 갖는 긴 유전체 기판(81)을 포함한다. 유전체 기판(81)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자신 (81)의 근단부(81c)에서 형성된 개구(66)를 통해 확장되어 공지된 장착 기술을 사용하여 하우징 내의 개구(69) 내에서 고착되는 핀(65)을 통하여 전자 장치(36)의 하우징(35)에 선회적으로 장착된다. 제 1 방사 소자(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 제 1 면(81a) 상에 배치된다. 제 2 방사 소자(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 소자(82)와 인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유전체 기판 제 1 면(81a) 상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 (82, 83)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방사 소자(82)는 유전체 기판(81) 내의 개구(66) 주위로 확장되도록 배치된 아치형 부분(82a)을 갖는다. RF 접촉부(68)는 제 1 방사 소자(62)를 무선 전화(36) 내의 송수신기(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RF 접촉부(68)는 유전체 기판(81)의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제 1 방사 소자(82)의 아치형 부분(82a)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제 2 방사 소자(8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 캡 플레이트(conductive cap plate)(84)에서 종단접속된다. 전도 캡 플레이트(84)는 자신으로부터 확장된 아치형 부분(85)을 포함하며, 그 부분은 하우징(35) 내에 배치된 접지된 전도성 소자(64)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도시된 접지된 전도성 소자(64)는 유전체 기판(81)이 선회적으로 장착된 실질적으로 평활한 측면 부분(35a)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측면 부분(35b)에 인접하여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접지된 전도성 소자(64)는 측면 부분(35b)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7b를 참조하면, 도 6a 및 6b의 안테나 시스템(80)의 측,정면도는 화살표(70)로 표시된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A)(도 7a)로부터 제 2 위치(B)(도 7b)로 유전체 기판(81)의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안테나 시스템(80)은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82 및 83)가 제 1 및 제 2 위치 둘 모두에서, 그리고 그 사이에 소정의 경로를 따르는 임의의 위치에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전도성 캡 플레이트(84)는 접지된 전도성 소자(64)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안테나 시스템(80)이 소정 경로 전체에 걸쳐서 동작하도로 한다.
상술된 것들은 본 발명의 실례를 위한 것이지만, 그것들에 국한되지 않아야만 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전형적인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개시사항과 이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경은 청구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내에 포함되어야만 한다. 청구항에서, 수단-이외에-기능 절은 상술된 기능 및 구조적인 등가 뿐만 아니라, 등가 구조를 수행함으로써 본원에 기술된 구조를 커버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술된 것들이 본 발명의 실례를 위한 것이고, 공개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아야만 하고, 공개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의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며, 그 청구항의 등가는 본원에 포함된다.

Claims (26)

  1. 무선 전화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유전체 기판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로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상기 제 1 방사 소자에 기생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 방사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선회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전체 기판이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회하도록 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용량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상이한 각각의 전기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0.01mm 및 5.0mm 사이에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방사 소자 사이에 위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내에서 1/2파 안테나로 공진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1/4파 안테나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7. 무선 전화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둘러싸며 긴 평활한 측면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근단부, 말단부, 및 면을 포함하는 긴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 1 방사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방사 소자에 기생적으로 결합되는 제 2 방사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의 근단부를 상기 평활한 측면 부분에 선회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전체 기판이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회하도록 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용량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상이한 각각의 전기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는 상기 하우징의 평활한 측면 부분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0.01mm 및 5.0mm 사이에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방사 소자 사이에 위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내에서 1/2파 안테나로 공진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1/4파 안테나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4. 무선 전화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으로서,
    유전체 기판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도성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로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상기 제 1 방사 소자에 기생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 방사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선회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전체 기판이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회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방사 소자가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전도성 소자와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용량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를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상이한 각각의 전기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는 0.01mm 및 5.0mm 사이에서 상기 전도성 소자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1 방사 소자 사이에 위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내에서 1/2파 안테나로 공진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1/4파 안테나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
  20. 전자 장치로서,
    무선 전화 통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둘러싸는 하우징과,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데,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긴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로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상기 제 1 방사 소자에 기생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1 및 제2 방사 소자와,
    상기 유전체 기판을 하우징에 선회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유전체 기판이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회하도록 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가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일정하게 이격된 관계를 유지하여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용량성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회전 경로 전체에 걸쳐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를 상기 송수신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 소자는 상이한 각각의 전기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는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0.01mm 및 5.0mm 사이에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된 전도성 소자 및 상기 제 2 방사 소자 사이에 위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 소자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내에서 1/2파 안테나로 공진하며 상기 제 2 방사 소자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내에서 1/4파 안테나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17001961A 1998-08-17 1999-06-21 용량성 결합을 갖는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KR100668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36,007 US5969685A (en) 1998-08-17 1998-08-17 Pivotable multiple frequency band antenna with capacitive coupling
US09/136,007 1998-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75A KR20010072675A (ko) 2001-07-31
KR100668201B1 true KR100668201B1 (ko) 2007-01-17

Family

ID=2247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961A KR100668201B1 (ko) 1998-08-17 1999-06-21 용량성 결합을 갖는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69685A (ko)
EP (1) EP1118135B1 (ko)
JP (1) JP4283445B2 (ko)
KR (1) KR100668201B1 (ko)
CN (1) CN1312963A (ko)
AU (1) AU4702699A (ko)
DE (1) DE69941221D1 (ko)
HK (1) HK1040462A1 (ko)
TW (1) TW457743B (ko)
WO (1) WO2000010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5052B1 (en) * 1999-02-10 2001-02-27 Motorola Electronics Sdn Bh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6437746B1 (en) 2000-11-14 2002-08-20 Northrop Grumman Corp Cellular telephone antenna array
US20030038849A1 (en) * 2001-07-10 2003-02-2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interfacing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DE10141256A1 (de) 2001-08-23 2003-03-13 Kathrein Werke Kg Antenne für DVB-T-Empfang
US7027838B2 (en) * 2002-09-10 2006-04-11 Motorola, Inc. Duel grounded internal antenna
US7817096B2 (en) * 2003-06-16 2010-10-19 Andrew Llc Cellular antenna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KR100735286B1 (ko) * 2004-04-22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가변형 안테나 장치
CN1725554B (zh) * 2004-07-23 2010-09-15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机电天线
KR100710363B1 (ko) * 2005-08-24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
WO2008078142A1 (en) * 2006-12-22 2008-07-03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comprising a radio antenna element and a grounded conductor
US9680202B2 (en) 2013-06-05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ntenna windows on opposing housing surfaces
JP6152016B2 (ja) * 2013-08-26 2017-06-21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多共振アンテナ
EP3065214A1 (en) 2015-03-03 2016-09-07 Thomson Licensing Antenna device having rotatable structure
GB2571279B (en) * 2018-02-21 2022-03-09 Pet Tech Limited Antenna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TWI669852B (zh) * 2018-05-22 2019-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行動裝置及其天線結構
CN113193344B (zh) * 2021-04-28 2022-11-25 安徽华米健康医疗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天线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392A (en) * 1987-01-08 1989-01-24 Motorola, Inc. Integral laminar antenna and radio housing
FR2679086A1 (fr) * 1991-07-11 1993-01-15 Matra Communication Appareil d'emission et de reception a antenne.
JP2502426B2 (ja) * 1991-11-08 1996-05-29 原田工業株式会社 広帯域極超短波用アンテナ
US5440315A (en) * 1994-01-24 1995-08-08 Intermec Corporation Antenna apparatus for capacitively coupling an antenna ground plane to a moveable antenna
TW295733B (ko) * 1994-09-15 1997-01-11 Motorola Inc
AU708187B2 (en) * 1995-06-02 1999-07-29 Ericsson Inc. Multiple band printed monopole antenna
US6025816A (en) * 1996-12-24 2000-02-15 Ericsson Inc. Antenna system for dual mode satellite/cellular portab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3445B2 (ja) 2009-06-24
EP1118135B1 (en) 2009-08-05
EP1118135A4 (en) 2004-04-28
HK1040462A1 (zh) 2002-06-07
US5969685A (en) 1999-10-19
TW457743B (en) 2001-10-01
JP2002523003A (ja) 2002-07-23
EP1118135A1 (en) 2001-07-25
AU4702699A (en) 2000-03-06
CN1312963A (zh) 2001-09-12
WO2000010222A1 (en) 2000-02-24
KR20010072675A (ko) 2001-07-31
DE69941221D1 (de)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356B1 (en) Mechanical spring antenna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KR100668201B1 (ko) 용량성 결합을 갖는 선회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US6697022B2 (en) Antenna element incorporated in hinge mechanism
US6124831A (en) Folded dual frequency ban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US55614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osition antenna
US5945954A (en) Antenna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US6198442B1 (en) Multiple frequency band branch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US5170173A (en) Antenna coupling apparatus for cordless telephone
US6204826B1 (en) Flat dual frequency band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ors
JP3243825B2 (ja) 携帯電子装置
EP1505800B1 (en) Ground connecting apparatus for the foldable mobile terminal
WO2004102734A2 (en) Wideband internal antenna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25843A (ko)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WO2003094373A1 (en) Integrated antenna assembly
US6046699A (en) Retractable antenna
US5943021A (en) Swivel antenna with parasitic tuning
KR20010052132A (ko) 연장 피드를 구비한 축소가능한 무선전화기 안테나
US6259897B1 (en) Paging antenna and radiotelephones incorporating same
EP1646108B1 (en) Antenna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2234203B1 (en) Mobile apparatus
EP1359675A1 (en) Integrated antenna assembly
KR20010072710A (ko) 수축 및 선회가 가능한 다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
GB2293274A (en) Multi-position patch antenna and method therefor
CA215354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osition antenna
US8164523B2 (en) Compact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