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826B1 -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826B1
KR100667826B1 KR1020050103271A KR20050103271A KR100667826B1 KR 100667826 B1 KR100667826 B1 KR 100667826B1 KR 1020050103271 A KR1020050103271 A KR 1020050103271A KR 20050103271 A KR20050103271 A KR 20050103271A KR 100667826 B1 KR100667826 B1 KR 10066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a
controlling
image forming
storage medium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826B1/ko
Priority to US11/528,259 priority patent/US77016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image)를 읽어들여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병렬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방법은 복수의 저장매체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제어부들을 이용해 복수의 저장매체들 각각에 동시에 억세스(access)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저장매체를 병렬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저장매체 각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들의 읽기/쓰기 및 저장매체들 간의 데이터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a plural of storage included in or connected to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복수의 저장매체를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장매체를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저장매체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매체로부터 저장된 이미지를 읽어들여 인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작성하여 인쇄 요청한 문서를 부호화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용지 등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최근에는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USB 메모리 스틱(Universal Serial Bus memory stick)등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대용량 하드디스크(hard disk)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들이 나오고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저장매체를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중앙처리장치(100), USB제어장치(110),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 DSP(130), 인쇄부(140), 메모리카드제어장치(150), 제1 카드슬롯(160) 및 제2 카드슬롯(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와의 입출력을 제어하며, DSP(130)는 저장매체로부터 읽어들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쇄부(140)는 상기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USB제어장치(110) 및 메모리카드제어장치(150)는 각각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USB를 이용한 저장매체 및 제1, 2 카드슬롯(160, 170)을 통해 연결된 메모리 카드를 제어한다. USB제어장치(110)와 메모리카드제어장치(150)는 중앙처리장 치(100)로부터 요청된 하나의 저장매체에 대한 제어만이 가능하다. 즉,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USB메모리스틱, 컴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CF) 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SM) 메모리 카드 및 익스트림 디지털(eXtream Digital, XD) 메모리 카드 등 복수개의 저장매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 중 하나의 저장매체에 대한 데이터 읽기/쓰기 증의 억세스가 가능하며, 동시에 2 이상의 저장매체에 대한 억세스는 불가능하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카드제어장치(150)의 일반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메모리카드제어장치(150)는 파일시스템(200), 메모리카드선택부(205),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가능한 메모리카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드라이버들(210, 215, 220, 225, 230, 235) 및 메모리카드제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일시스템(200)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메모리 카드 각각에 대한 파일 시스템(file system) 구조, 예를 들어 파일이 저장된 위치 정보, 메모리 카드의 용량, 섹터(sector) 크기 등의 상기 메모리 카드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위 어플리케이션(apllication)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카드선택부(205)는 파일시스템(2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메모리 카드들 중 하나의 메모리카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메모리 카드에 대응되는 메모리카드 드라이버는 상기 선택된 메모리 카드의 제어 시퀀스(sequence) 및 프로토콜(protocol)에 맞추어 상기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된 작업의 수행을 위한 명령 신호들을 생성한다. 메모리카드제어부(240)는 상기 생성된 명령 신호 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 전원 공급, 초기화, 데이터 읽기/쓰기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함에 있어,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동시에 병렬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저장매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제어부들을 이용해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 각각에 동시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Hard Disk), 메모리 카드(memory card),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한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저장매체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상기 저장매체의 제어를 위한 신호들을 생성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생성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병렬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매체 제어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들의 위치 정보, 상기 저장장치의 용량 및 섹터(sector)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 저장매체들 각각에 대한 파일 시스템들, 드라이버들 및 제어부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매체 제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장매체를 병렬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중앙처리장치(300), USB제어장치(310), 사용자인터페이스부(320), DSP(330), 인쇄부(340), 제1 메모리카드제어장치(350), 제2 메모리카드제어장치(360), 제1 카드슬롯(370), 제2 카드슬롯(380), 하드디스크제어장치(390) 및 하드디스크(3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된 USB제어장치(310), 사용자인터페이스부(320), DSP(330), 인쇄부(340), 제1, 2 메모리카드제어장치(350,360) 및 하드디스크제어장치(390)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 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능 또는 값의 입력을 받고, LCD(Lyquid Cristal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DSP(330)는 저장매체로부터 읽어들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인쇄부(340)는 상기 변환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USB제어장치(310)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되는 USB 메모리 스틱 등의 USB를 이용한 외부 저장매체들을 제어하여, 상기 USB 저장매체에 대해 전원 공급, 초기화과정을 거친 후, 상기 USB 저장매체에 대한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제1, 2 메모리카드제어장치(350, 360)는 각각 제1, 2 카드슬롯(370, 38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 상기 USB 저장매체에 대해 전원 공급, 초기화과정을 거친 후, 상기 USB 저장매체에 대한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제1, 2 카드슬롯(370, 380)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 가능한 메모리 카드는 상기 메모리 카드는 컴팩트 플래쉬(Compact Flash, CF) 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SM) 메모리 카드, 익스트림 디지털(eXtream Digital, XD)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MS),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SD) 메모리 카드,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MMC) 등을 포함한다.
하드디스크제어장치(390)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하드디스크(395) 를 제어하여, 상기 하드디스크(395)에 대한 전원 공급, 초기화 및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은 각각 하나씩의 독립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각각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들은 서로 간섭받지 않는 독립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한다. 상기 독립된 제어 장치들의 구조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 또는 구비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은 동시에 병렬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되는 USB 저장매체, 제1 카드슬롯(370)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메모리카드, 제2 카드슬롯(380)을 통해 연결되는 제2 메모리카드 및 하드디스크(395)는 각각 독립된 제어 장치들인 USB제어장치(310), 제1 메모리카드제어장치(350), 제2 메모리카드제어장치(360) 및 하드디스크제어장치(39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 장치들(310, 350, 360, 3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은 중앙처리장치(300)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된다.
도 4는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병렬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들인 USB제어장치(310), 제1 메모리카드제어장치(350), 제2 메모리카드제어장치(360) 및 하드디스크제어장치(390)에 대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제어 장치들(310, 350, 360, 390)은 각각 독립적으로 파일시스템, 드라이버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USB제어장치(310)는 제1 파일시스템(405), 제1 드라이버(410) 및 제1 제어부(415)를 포함하고, 제1 메모리카드제어장치(350)는 제2 파일시스템(420), 제2 드라이버(425) 및 제2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제2 메모리카드제 어장치(360)는 제3 파일시스템(435), 제3 드라이버(440) 및 제3 제어부(445)를 포함하고, 하드디스크제어장치(390)는 제4 파일시스템(450), 제4 드라이버(455) 및 제4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들(310, 350, 360, 390) 및 상기 제어 장치에 포함된 파일시스템, 드라이버 및 제어부는 다른 제어 장치 및 다른 제어 장치에 포함된 블록들과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USB 저장매체가 연결되면, 제1 드라이버(410)는 제1 제어부(415)를 통해 상기 연결된 USB 저장매체의 장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USB 저장매체를 제어 가능하도록 초기화한다. 상기 초기화 과정에서, 제1 드라이버(410)는 상기 USB 저장매체의 속성 정보, 예를 들어 용량, 쓰기 금지, 섹터 크기, 제조사, 시리얼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USB 저장매체가 읽기/쓰기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USB 저장매체의 제어를 위한 저장매체 속성 정보를 가지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제공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제1 파일시스템(405)를 초기화한다.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해, 제1 파일시스템(405)은 저장매체에 대한 파일 시스템 구조, 예를 들어 파일이 저장된 위치 정보, 메모리 카드의 용량, 섹터 크기 등의 상기 저장매체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USB 저장매체 및 제1 파일시스템(405)에 대한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400)에서 원하는 작업이 상기 USB 저장매체에 대해 수 행될 수 있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드라이버(410)는 상기 연결된 USB 저장매체의 제어 시퀀스(sequence) 및 프로토콜(protocol)에 맞추어 어플리케이션(400)으로부터 요청된 작업의 수행을 위한 명령 신호들을 생성하고, 제1 제어부(410)는 상기 생성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된 USB 저장매체에 대해 상기 요청된 전원 공급, 초기화, 데이터 읽기/쓰기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카드슬롯(37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제2 드라이버(425)는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한 USB 저장매체의 경우와 같이 상기 메모리 카드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제2 파일시스템(420)도 어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초기화된다. 상기 초기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USB 저장매체의 경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400)에서 원하는 작업이 상기 제2 드라이버(425) 및 제2 제어부(430)를 통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카드슬롯(38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경우도, 상기 제1 카드슬롯(370)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경우와 같이 전원 공급, 메모리 카드 및 제3 파일시스템(435) 초기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삽이된 메모리 카드에 대한 데이터 읽기 또는 쓰기 등의 작어비 가능하게 된다.
하드디스크(395)도 상기 다른 저장매체의 경우와 같이, 제4 드라이버(455)가 하드디스크(395)에 대해 전원을 공급한 후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400)은 제4 파일시스템(450)에 대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화 작업들이 완료된 후에는, 하드디스크(395)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제1, 2, 3, 4 드라이버(410, 425, 440, 465)의 저장매체 각각에 대한 초기화 작업 및 명령 신호 생성 작업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독립적이며, 상기한 어플리케이션의 제1, 2, 3, 4 파일시스템(405, 420, 435, 450) 각각에 대한 초기화 작업 또한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독립적이다. 또한, 상기한 제1, 2, 3, 4 제어부(415, 430, 445, 460)의 저장매체 각각에 대한 데이터 읽기 또는 쓰기 등의 작업 수행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독립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저장매체 각각에 대한 파일시스템, 드라이버 및 제어부의 독립적인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동시에 병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저장매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저장매체를 병렬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저장매체 각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들의 읽기/쓰기 및 저장매체들 간의 데이터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제어부들을 이용해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 각각에 동시에 억세스(access)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Hard Disk), 메모리 카드(memory card),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한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 제어 방법.
  3.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 각각에 대해,
    상기 저장매체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상기 저장매체의 제어를 위한 신호들을 생성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생성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매체들을 병렬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 제어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들의 위치 정보, 상기 저장장치의 용량 및 섹터(sector)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저장매체들 각각에 대한 파일 시스템들, 드라이버들 및 제어부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저장매체 제어 장치.
KR1020050103271A 2005-10-20 2005-10-31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6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71A KR100667826B1 (ko) 2005-10-31 2005-10-31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28,259 US7701607B2 (en) 2005-10-20 2006-09-28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mages stored in a plurality of storage media included in or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71A KR100667826B1 (ko) 2005-10-31 2005-10-31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826B1 true KR100667826B1 (ko) 2007-01-11

Family

ID=3786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71A KR100667826B1 (ko) 2005-10-20 2005-10-31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82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91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処理方法
KR101219428B1 (ko) 필터를 동적으로 호출 가능한 인쇄방법, 상기 인쇄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및 호스트장치
KR100601696B1 (ko) 다이렉트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83963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printer by using an external memory
KR100803598B1 (ko)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의 이미지 파일들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8145857B2 (en) Control of access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KR100667826B1 (ko)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의 저장매체들을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265857B1 (en) Medium where status information printing program is recorded, printer, print controller, status information printing method, and status information printing system
KR20090010418A (ko) 유니버셜 프린터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인쇄 환경에서화상형성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22316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表示方法
US20050257001A1 (en) Computer system
US77016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mages stored in a plurality of storage media included in or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3733290B2 (ja)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8059505B2 (en) Data writing control device, data writing control method, and data writing control program for writing to an optical disc
JP6492948B2 (ja) 情報処理装置、出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257628A (ja) 情報処理装置、文書集約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209512A (ja) 情報処理装置
KR100788677B1 (ko) Usb 디바이스 및 그에 구비된 저장매체의 제어 방법
JP2007076043A (ja) 印刷装置
US107688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82823B1 (ko)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 또는 연결된 복수 저장매체에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4852909B2 (ja) デバイス識別装置、デバイス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249885A (ja) 書き換え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082741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プログラム
JPH10124436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