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709B1 -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709B1
KR100667709B1 KR20050093121A KR20050093121A KR100667709B1 KR 100667709 B1 KR100667709 B1 KR 100667709B1 KR 20050093121 A KR20050093121 A KR 20050093121A KR 20050093121 A KR20050093121 A KR 20050093121A KR 100667709 B1 KR100667709 B1 KR 10066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tating shaft
plate
frame
spir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700A (ko
Inventor
박갑종
박태순
박진희
박재일
Original Assignee
유진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1270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5003205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1271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50029164A/ko
Application filed by 유진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진엠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9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에 투입구(4)가 구비되고, 일측벽에 이물질배출구(6)가 구비되고, 바닥에 저장공간(8)이 구비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2)와, 상기 본체(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0)과, 상기 본체(2)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밀착되고 다수개의 관통 슬릿(22)이 구비된 걸름판(20) 및 상기 걸름판(2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4)과 상기 프레임(34)의 하방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나선가이드(36)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0)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0)에 결합된 회전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 없이 이물질이 분리되고, 협소한 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원료가 파손되지 않고, 걸름판의 마모가 감소되어, 선별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걸름판, 회전체, 스크래퍼, 나선가이드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A sorting apparatus for waste and foul water slud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의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름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체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본체 4: 투입구
6: 이물질배출구 8: 저장공간
10: 회전축 12: 구동모터
20: 걸름판 22: 슬릿
24: 제 1축공 26: 경사가이드
28: 원료배출구 30: 회전체
32: 제 2축공 34: 프레임
36: 나선가이드 38: 브러쉬
39: 절곡부 40: 스크래퍼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 및 자석에 붙지 않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 등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물질, 즉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등을 분류하고자 하는 경우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등의 재료를 체형상으로 형성된 횡으로 놓인 정지상태의 드럼통에 넣고, 이를 진동 또는 회전에 의해 선별시킨다.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드럼통을 정지시키고, 드럼통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임의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선별과정이 이루어졌다. 상기 전분을 걸러내는 식품제조용 원료에 대한 선별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된 재료에서 금속 등의 이물질은 자석등을 이용하여 선별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은 체형상의 드럼통을 정지시킨 후 원료를 넣고, 선별작동 후, 다시 드럼통을 정지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수작업에 의해 이물질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체 작용을 하는 드럼통이 횡으로 놓여 설치장소 및 비용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드럼통이 회전하는 중에 원료가 낙하되어 파손되거나 드럼통의 체부분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와 원료가 접하는 시간 및 면적이 적어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 등의 재료를 자석에 의해 제거하면 자석에 붙지 않는 금속의 경우 선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작업이 필요없는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 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원료가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원료가 파손되지 않는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원료가 체에 오랫동안 넓은 면적에 접하는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자석에 붙지 않는 금속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고, 일측벽에 이물질배출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밀착되고, 다수개의 관통된 슬릿이 구비된 걸름판 및 상기 걸름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걸름판 상부에 위치한 물질이 가장자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나선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고, 일측에 이물질배출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밀착되고, 다수개의 관통된 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걸름판 및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걸름판의 회전 에 따라 걸름판 상면에 위치한 물질이 가장자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나선가이드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름판의 하방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지고 중앙에 원료배출부가 형성된 경사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가이드의 하방에는 브러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가이드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밀수 있도록 절곡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가이드 상면을 쓸 수 있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름판에서 상기 각각의 슬릿 사이에는 걸름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걸름돌기는 상기 걸름판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 없이 이물질이 분리되고, 협소한 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원료가 파손되지 않고, 걸름판의 마모가 감소되어, 선별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의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름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선별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2)는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상단에는 재료가 본체(2)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4)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4)에는 재료의 원활한 투입을 위해 호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측면 일측에는 투입된 재료 중 이물질이 선별기에 의해 걸러져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배출구(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방에는 이물질이 걸러진 원료물질이 저장되는 저장공간(8)이 마련된다.
상기 본체(2)의 중앙에는 본체(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1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0)은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체(30)와 스크래퍼(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2')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1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12)는 다수의 기어와 밸트 등에 의해 회전축(10)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원판형상의 걸름판(20)이 구비된다. 상기 걸름판(20)의 테두리는 상기 본체(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 이는 상기 걸름판(20)의 테두리와 상기 본체(2)의 내측면 사이로 이물질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름판(20)에는 일정한 크기의 슬릿(22)이 다수개 마련된다. 물론 상기 슬릿(22)은 정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름판(20)의 슬릿(22)은 걸름판(20)의 상면에 놓여진 재료의 자중과 슬릿(22) 크기에 의해 필요한 원료물질과 필요가 없는 이물질로 선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름판(20)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축공(24)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 1축공(24)과 상기 회전축(10)도 밀착되어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없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름판(20)의 걸름돌기(25)에는 상기 제 1축공(24)의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돌기(25')가 마련된다. 상기 경사돌기(25')는 상기 걸름판(20)을 따라 이동하던 이물질이 상기 슬릿(22)을 용이하게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름판(20)의 하방에는 경사가이드(26)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가이드(26)의 중앙에는 원료배출구(28)가 마련되어, 상기 저장공간(8)으로 원료물질이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가이드(26)는 상기 걸름판(20)을 통과한 원료물질이 원료배출구(28)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름판(20)의 상방에는 걸름판(20)과 대응되는 크기의 회전체(3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30)는, 중앙에 회전체(30)가 상기 회전축(10)과 결합되는 제 2축공(32)과, 회전체(30)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4)과, 상기 프레임(34)의 하방에 구비된 나선형상의 나선가이드(36)로 구성된다. 상기 나선가이드(36)는, 상기 투입구(4)로 투입된 재료 중 걸름판(20)을 통과할 수 없는 이물질을 나선을 따라 이물질배출구(6)로 안내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나선가이드(36)의 하방에는 브러쉬(38)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38)는 상기 걸름판(20)의 슬릿(22)에 끼여있는 재료를 제거하면서 걸름판(20)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4)는, 상기 회전축(1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4)가 상기 회전축(10)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은, 투입되는 재료가 상기 나선가이드(36)의 중앙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재료가 상기 걸름판(20)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넓은 면적에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나선가이드(36)의 선단은 상기 본체(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상기 나선가이드(36)와 상기 본체(2)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상기 나선가이드(36)의 선단에는 절곡부(39)를 두어 이물질을 회전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밀판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26)의 상면에는 스크래퍼(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래퍼(40)는 경사가이드(26)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가이드(26)를 따라 이동된 원료물질이 원활하게 원료배출구(28)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크래퍼(40)도 상기 회전축(10)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별기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모터(12)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구동모터 (12)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12)가 구동하게 되고, 다수개의 기어와 밸트에 의해 회전축(10)이 상기 구동모터(1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10)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10)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30)와 스크래퍼(4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2)에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투입구(4)로 선별할 재료가 투입된다. 상기 투입구(4)로 투입된 재료는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축(10)에 인접한 걸름판(2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걸름판(20)에 놓인 재료는 상기 회전축(1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30)에 의해 이동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체(30)의 나선가이드(36)를 따라 상기 재료는 상기 본체(2)의 벽면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재료가 상기 본체(2)의 벽면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재료 중 상기 걸름판(20)의 슬릿(22)보다 크기가 작은 재료, 즉 원료물질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슬릿(22)을 통하여 상기 걸름판(20)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22)보다 큰 재료, 즉 이물질은 상기 슬릿(22)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나선가이드(36)에 의해 이물질배출구(6)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 내측면까지 이동된 이물질이 내측면에 누적되지 않고 상기 이물질배출구(6)로 원활하게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나선가이드(36)의 절곡부(39)가 상기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배출구(6)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나선가이드(36)의 하방에 구비된 블러쉬(38)에 의해 상기 슬릿(22)에 재료등으이 끼여 폐쇄되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걸름판(20)을 관통한 상기 원료물질은 자중에 의해 경사가이드(26)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경사가이드(26)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원료물질은 경사가이드(26)를 따라 원료배출구(28)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원료물질이 상기 경사가이드(26)의 상면에 누적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원료배출구(28)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10)에 결합된 스크래퍼(40)가 회전하면서, 상기 경사가이드면(26)을 쓸어버린다. 따라서, 상기 원료물질이 상기 경사가이드면(26)에 누적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원료배출구(28)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원료배출구(28)를 통과한 원료물질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본체(2)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8)에 누적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에서는 걸름판(20)이 고정되어 있고 회전체(30)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걸름판(20)이 회전하고 회전체(30)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걸름판(20) 및 회전체(30) 모두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선가이드(36)가 회전체(30)에 고정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걸름판(20)의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는 회전하는 회전축에 회전체 또는 걸름판이 결합되어 회전하고, 회전체와 걸름판이 마주보는 어느 일 측면에 나선가이드를 구비하여 나선가이드를 따라 이물질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수작업 없이 이물질이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는 회전체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원료가 낙하될 염려가 없어 원료가 파손되지 않고, 걸름판의 마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는 회전체에 나선가이드를 설치하여 원료가 장시간 모든 회전체의 면을 접할 수 있게 되어 선별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는 금속으로 되지 않은 특히 가늘고 긴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선별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고, 일측벽에 이물질배출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밀착되고, 다수개의 관통된 슬릿이 구비된 걸름판 및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걸름판 상면에 위치한 물질이 가장자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나선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2.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고, 일측에 이물질배출구가 구비되고, 바닥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테두리가 밀착되고, 다수개의 관통된 슬릿이 구비되 며,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걸름판 및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걸름판의 회전에 따라 걸름판 상면에 위치한 물질이 가장자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나선가이드가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판의 하방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지고 중앙에 원료배출부가 형성된 경사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가이드의 하방에는 브러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가이드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으로 밀수 있도록 절곡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가이드 상면을 쓸 수 있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판에서 상기 각각의 슬릿 사이에는 걸름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걸름돌기는 상기 걸름판의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
KR20050093121A 2005-02-16 2005-10-04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KR10066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09 2005-02-16
KR1020050012709A KR20050032057A (ko) 2005-02-16 2005-02-16 음식물 쓰레기를 숯 원료화 하는 방법에 불붙는 숯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필요한 입자로 불붙는 숯 원료 제조방법
KR1020050012710A KR20050029164A (ko) 2005-02-16 2005-02-16 음식물 쓰레기를 원료화한 숯 원료를 숯으로 변화시켜 불붙는 연료 숯 제조방법.
KR1020050012710 2005-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700A KR20060091700A (ko) 2006-08-21
KR100667709B1 true KR100667709B1 (ko) 2007-01-16

Family

ID=3759339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3128A KR100667703B1 (ko) 2005-02-16 2005-10-04 숯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50093116A KR100755792B1 (ko) 2005-02-16 2005-10-04 비닐선별분쇄기
KR20050093126A KR100667708B1 (ko) 2005-02-16 2005-10-04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열침투 분쇄탈수장치
KR20050093121A KR100667709B1 (ko) 2005-02-16 2005-10-04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3128A KR100667703B1 (ko) 2005-02-16 2005-10-04 숯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50093116A KR100755792B1 (ko) 2005-02-16 2005-10-04 비닐선별분쇄기
KR20050093126A KR100667708B1 (ko) 2005-02-16 2005-10-04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열침투 분쇄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0667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6297A (zh) * 2019-10-28 2020-02-07 安徽金寨乔康药业有限公司 一种灵芝孢子粉低温剪切式破壁装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187A (ko) * 2006-06-28 2006-07-20 김민식 페트병 압착 및 절단기
KR101107277B1 (ko) 2009-10-20 2012-01-19 박두헌 음식물쓰레기 분쇄탈수장치
KR101555807B1 (ko) * 2015-05-24 2015-09-24 김윤호 센서 컨베이어가 생략된 전자 중량선별기
KR101781588B1 (ko) * 2015-06-04 2017-09-25 황명회 저온 슬러지 건조기의 협잡물 제거장치
CN105058629A (zh) * 2015-08-05 2015-11-18 安徽省金正塑业有限公司 一种高效简易塑料粉碎机
CN111318557A (zh) * 2020-04-27 2020-06-23 台州黄岩康柏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挤出废液的生活垃圾粉碎机
KR102458192B1 (ko) 2022-05-03 2022-10-24 (주)장원리싸이클 Ai에 기반한 비닐 선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81A (ko) * 2000-09-08 2001-04-06 김선장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 처리장치
KR20020095486A (ko) * 2001-06-14 2002-12-27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병합처리 시스템
KR20040077288A (ko) * 2003-02-28 2004-09-04 (주)비앤이티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장치
JP2005185955A (ja) * 2003-12-25 2005-07-14 Suido Kiko Kaisha Ltd し渣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431B1 (ko) 1997-12-29 2000-06-01 박세준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의 퇴비화 시스템(system for making sastes of night soil and foostusfs into fertilizer)
KR20030026524A (ko)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자동분쇄선별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병합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81A (ko) * 2000-09-08 2001-04-06 김선장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 처리장치
KR20020095486A (ko) * 2001-06-14 2002-12-27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병합처리 시스템
KR20040077288A (ko) * 2003-02-28 2004-09-04 (주)비앤이티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장치
JP2005185955A (ja) * 2003-12-25 2005-07-14 Suido Kiko Kaisha Ltd し渣除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6297A (zh) * 2019-10-28 2020-02-07 安徽金寨乔康药业有限公司 一种灵芝孢子粉低温剪切式破壁装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708B1 (ko) 2007-01-16
KR100667703B1 (ko) 2007-01-16
KR20060091700A (ko) 2006-08-21
KR20060091701A (ko) 2006-08-21
KR20060091699A (ko) 2006-08-21
KR100755792B1 (ko) 2007-09-05
KR20060091702A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709B1 (ko)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CA2970745C (en) Rotary interstage screen apparatus
US4696353A (en) Drilling mud cleaning system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0904283B1 (ko)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EP1647336A1 (en) Drill fluid screening device
US8418856B2 (en) Vibratory screening apparatus
JP4003923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JP4620147B2 (ja) 固液分離装置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CN110237891A (zh) 一种固体破碎多级筛分装置
EP3150558B1 (de) Verfahren zum reinigen von gebrauchtem waschwasser aus fahrzeugwaschanlagen und fahrzeugwaschanlage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1480940B1 (ko)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WO1999047277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unwanted contaminants from fibrous slurry
KR102379522B1 (ko) 협잡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699828B1 (ko)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KR100705963B1 (ko) 여과재 재생선별장치 및 여과재 재생선별방법
US5221437A (en) Screening apparatus for paper making stock
Sutherland Centrifuge focus: solids removal–the options
JP2000317219A (ja) 排泥装置
KR100804141B1 (ko) 부유 이물질 선별장치
KR101192856B1 (ko)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KR200280551Y1 (ko) 저수조식 재활용 골재 선별장치
JPH07213951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