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28B1 -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28B1
KR101699828B1 KR1020160094572A KR20160094572A KR101699828B1 KR 101699828 B1 KR101699828 B1 KR 101699828B1 KR 1020160094572 A KR1020160094572 A KR 1020160094572A KR 20160094572 A KR20160094572 A KR 20160094572A KR 101699828 B1 KR101699828 B1 KR 10169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water
heavy water
rain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텍
Priority to KR102016009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의 초기 유입부에 설치하여 최초 유입되는 우수 또는 중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로 이송하는 전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측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유출구가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일측 바닥에 놓이는 청소 스크린; 상기 청소 스크린의 상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이루면서 상기 경사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분리 패널;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전동기와 축 결합되는 회전 스크린; 및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 스크린의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우수나 중수의 유입시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면서도 소규모의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에 적용 가능하고, 스크린에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달라붙거나 끼는 것을 방지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Pre-cleaning filter using rotating screen for rainwater}
본 발명은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의 초기 유입부에 설치하여 최초 유입되는 우수 또는 중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로 이송하는 전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수 또는 중수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시설은 초기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으로서 여과장치가 구성되고, 이와 같이 여과장치를 거친 우수 또는 중수가 저장조로 이동되어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다.
이에, 종래 여과장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스크린은 바(bar) 스크린, 시브(sieve) 스크린, 오토 바 스크린, 드럼 스크린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크린은 기존에 오폐수 처리장에서 사용하는 형태를 변형하여 적용한 것들이기 때문에 이를 우수 또는 중수 처리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바 스크린이나 시브 스크린의 경우 바(bar)나 철망의 간격이 넓으면 그 사이로 많은 량의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쉽게 통과하고, 간격이 좁으면 그 사이에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쉽게 걸리면서 막히기 때문에 여과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 스크린이나 시브 스크린이 적용된 여과장치의 경우 관리자가 수시로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 오토 바 스크린이나 드럼 스크린은 대용량의 하수처리장 또는 오수처리장에 적용되기 때문에 소규모의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에는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상기 오토 바 스크린의 경우에는 바(bar)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쉽게 통과하여 여과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발명: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2439호(2002.09.16. 공개)
본 발명은 우수나 중수의 유입시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소규모의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에 적용 가능하고, 입형 스크린을 자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유입수인 원수에 섞인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외면으로부터 제거하고 여과 수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스크린이 고장 난 경우에도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원활하게 걸러낼 뿐만 아니라 우수 또는 중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의 초기 유입부에 설치하여 최초 유입되는 우수 또는 중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우수 또는 중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전처리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 또는 중수가 유입되도록 하되, 일측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일측 바닥에 놓인 상태로 상기 이물질이 모여 저장되도록 하는 청소 스크린; 상기 청소 스크린의 상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이루어 수조의 공간을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하는 한편, 상기 경사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청소 스크린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되, 상기 경사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분리 패널;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 또는 중수가 경사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통과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된 전동기와 축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의 구동시 회전하면서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떨어내도록 형성된 회전 스크린; 및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하면 상기 회전 스크린의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 패널의 경사면 상단으로부터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넘은 우수 또는 중수가 상기 유출구로 빠지도록 하면서 상기 우수 또는 중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모여 저장되는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 패널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 스크린이 올려지도록 스크린 받이;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 패널의 관통구보다 낮은 수위의 우수 또는 중수가 배출되는 드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 스크린이 회전시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떨어내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에 의하면 우수나 중수의 유입시 회전 스크린이 자동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고, 소규모의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 또는 중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이 회전하면서 외면에 달라붙는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털어내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에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달라붙거나 끼는 것을 방지 함으로써 관리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에 의하면 회전 스크린이 고장 난 경우에도 보조 스크린을 통해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원활하게 걸러내면서 우수 또는 중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내부 구조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상부에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유출구(120)가 형성된 수조(100), 상기 수조 내부의 일측 바닥에 놓이는 청소 스크린(200), 상기 청소 스크린의 상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310)을 이루면서 상기 경사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320)가 형성된 분리 패널(300),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전동기(410)와 축 결합되는 회전 스크린(400) 및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 스크린의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 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위감지 센서에 의한 수량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기(4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800)이 포함되는데, 이와 같은 제어반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거나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조(100)는 상기 우수 또는 중수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일측 상부에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유출구(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 상부로 유입된 우수 또는 중수가 타측 하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00)는 실시 예로서 일측 하부에 드레인(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드레인(130)은 후술하는 분리 패널(300)의 관통구(320)보다 낮은 수위의 우수 또는 중수가 배출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130)은 수조 내부로 더 이상 우수 또는 중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 상기 관통구보다 낮은 수위의 물이 갇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드레인(130)은 관리자가 임의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10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폐판을 설치함으로써, 항상 밀폐된 상태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수조 내부를 청소하거나 보수할 때에는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청소 스크린(200)은 상기 수조 내부의 일측 바닥에 놓인 상태로 상기 이물질이 모여 저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청소 스크린(200)은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이나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패널을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우수 또는 중수는 잘 빠지도록 한다. 상기 청소 스크린(200)은 수조로부터 간편하게 들어내어 내부에 담긴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높이가 높은 손잡이를 형성한다.
상기 분리 패널(300)은 상기 청소 스크린의 상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310)을 이루어 수조의 내부 공간을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하는 한편, 상기 경사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청소 스크린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되, 상기 경사면(310) 상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3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 패널(300)은 경사면(310)을 이용하여 수조의 공간을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하되, 경사면을 두어 일측 공간의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청소 스크린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관통구(320)를 통해 일측의 우수 또는 중수가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구(320)는 후술하는 회전 스크린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이물질은 걸러지는 상태로 우수 또는 중수의 여과수만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리 패널(300)은 실시 예로서 후술하는 보조 스크린이 올려지도록 타측 단부에 스크린 받이(3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 받이(330)는 우수 또는 중수가 유출구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및 바닥의 일부를 관통하거나 망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보소 스크린이 올려지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회전 스크린(400)은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 또는 중수가 경사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통과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된 전동기(410)와 축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의 구동시 회전하면서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떨어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스크린(400)은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우수나 중수가 원활하게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분리 패널의 관통구에 설치되어 있어도 우수나 중수의 흐름을 막지 않는 것이고 다만, 상기 경사면의 일측 공간에 모인 이물질은 회전 스크린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관통구를 통해 타측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스크린(400)은 회전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우수나 중수의 여과수만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스크린의 외면에 이물질이 달라붙어서 수위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회전 스크린이 회전하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떼어내는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 센서(500)는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하면 상기 회전 스크린의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수위감지 센서(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감지봉을 통해 수위를 감지함으로써, 수위의 하사점에서는 회전 스크린을 정지시키고, 일정 높이에서는 회전 스크린을 회전시키기 시작하며, 상사점에서는 회전 스크린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위감지 센서(500)는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포함하는 우수 또는 중수가 저장되는 일측 공간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수조 내부의 우수 또는 중수가 저장된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 센서(50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은 철망 등을 이용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서 상기 분리 패널(300)의 경사면 상단으로부터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넘은 우수 또는 중수가 상기 유출구로 빠지도록 하면서 상기 우수 또는 중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모여 저장되는 보조 스크린(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 스크린(600)은 상기 회전 스크린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 사용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스크린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스크린의 외면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 수위가 계속 높아지고 결국 상기 경사면의 상단을 넘었을 때 사용된다.
이때, 상기 보조 스크린(600)은 앞서 설명된 청소 스크린과 마찬가지로 철망이나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패널을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우수 또는 중수는 잘 빠지도록 한다. 상기 보조 스크린(600)은 수조로부터 간편하게 들어내어 내부에 담긴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높이가 낮은 손잡이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크린(400)이 회전시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떨어내기 위한 브러시(700)가 일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브러시(700)는 항상 회전 스크린(400)과 밀착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기 회전 스크린이 회전할 때 이물질을 쓸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우수나 중수의 유입시 회전 스크린이 자동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고 소규모의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 또는 중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스크린에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달라붙거나 끼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자가 수시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때문에 관리가 더욱 편리해진다.
또한, 상기 회전 스크린이 고장 난 경우에도 보조 스크린을 통해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원활하게 걸러면서 우수 또는 중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100: 수조 110: 유입구
120: 유출구 130: 드레인
200: 청소 스크린
300: 분리 패널 310: 경사면
320: 관통구 330: 스크린 받이
400: 회전 스크린 410: 전동기
500: 수위감지 센서
600: 보조 스크린
700: 브러시
800: 제어반

Claims (5)

  1. 우수 또는 중수 처리시설의 초기 유입부에 설치하여 최초 유입되는 우수 또는 중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우수 또는 중수 저장조로 배출하는 전처리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 또는 중수가 유입되도록 하되, 일측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일측 바닥에 놓인 상태로 상기 이물질이 모여 저장되도록 하는 청소 스크린;
    상기 청소 스크린의 상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이루어 수조의 공간을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하는 한편, 상기 경사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청소 스크린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되, 상기 경사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분리 패널;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되,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우수 또는 중수가 경사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통과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된 전동기와 축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의 구동시 회전하면서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떨어내도록 형성된 회전 스크린; 및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하면 상기 회전 스크린의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수위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패널의 경사면 상단으로부터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넘은 우수 또는 중수가 상기 유출구로 빠지도록 하면서 상기 우수 또는 중수와 함께 유입된 이물질이 모여 저장되는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리 패널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 스크린이 올려지도록 스크린 받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 패널의 관통구보다 낮은 수위의 우수 또는 중수가 배출되는 드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 스크린이 회전시 외부에 묻은 이물질을 떨어내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KR1020160094572A 2016-07-26 2016-07-26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KR10169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72A KR101699828B1 (ko) 2016-07-26 2016-07-26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72A KR101699828B1 (ko) 2016-07-26 2016-07-26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828B1 true KR101699828B1 (ko) 2017-01-25

Family

ID=5799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72A KR101699828B1 (ko) 2016-07-26 2016-07-26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6797A (zh) * 2019-09-28 2019-12-27 东莞市亿玩劳保用品有限公司 一种道路井杂质打捞装置
CN116556500A (zh) * 2023-04-24 2023-08-08 灌南东铭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下水道用杂物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13B1 (ko) * 2006-12-15 2007-11-27 여인봉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13B1 (ko) * 2006-12-15 2007-11-27 여인봉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6797A (zh) * 2019-09-28 2019-12-27 东莞市亿玩劳保用品有限公司 一种道路井杂质打捞装置
CN116556500A (zh) * 2023-04-24 2023-08-08 灌南东铭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下水道用杂物处理装置
CN116556500B (zh) * 2023-04-24 2024-01-02 灌南东铭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下水道用杂物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321B1 (ko) 고액 분리장치
US5013457A (en) Pressurized backwash filter
KR101699828B1 (ko)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KR100667709B1 (ko)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KR101830393B1 (ko)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춘 원형 슬러지 수집설비
CN112386994A (zh) 一种污水过滤装置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KR102574238B1 (ko)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 디스크 필터형 여과기
KR100471638B1 (ko) 섬유 가공기용 진공탈수장치
JP4420488B2 (ja) 排泥装置
CN109499152A (zh) 一种转鼓式过滤装置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TWI225802B (en) High-speed filtering device using fiber filter medium
JP3781297B2 (ja) ろ過機におけるセイフティースクリーンの洗浄装置
JP4270970B2 (ja) 夾雑物除去装置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951376B1 (ko)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JP4553287B2 (ja) 固液分離装置
CN218166196U (zh) 杂质分流过滤机构和污水处理装置
KR100707828B1 (ko)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
CN219431470U (zh) 一种水池相关平台
JP3815616B2 (ja) 上向流式ろ過装置
CN215310779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沉砂装置
JP7216922B2 (ja) 泥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泥水処理方法
KR200280551Y1 (ko) 저수조식 재활용 골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