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376B1 -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376B1
KR101951376B1 KR1020170023570A KR20170023570A KR101951376B1 KR 101951376 B1 KR101951376 B1 KR 101951376B1 KR 1020170023570 A KR1020170023570 A KR 1020170023570A KR 20170023570 A KR20170023570 A KR 20170023570A KR 101951376 B1 KR101951376 B1 KR 10195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lter
main tank
pipe
drum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018A (ko
Inventor
서형주
나국주
Original Assignee
물류와환경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류와환경연구소(주) filed Critical 물류와환경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17002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3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메인탱크;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하는 제1 드럼필터;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드럼필터가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드럼필터와 일체로 자전하는 제2 드럼필터; 상기 제1 드럼필터의 내측으로 오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메인탱크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를 이용하면, 다수 개의 드럼필터를 겹치도록 배열하여 드럼필터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오폐수 여과 시 드럼필터의 대부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단위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양의 오폐수를 여과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multiple drum fillter}
본 발명은 드럼필터를 이용하여 세척수 등과 같은 오폐수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드럼필터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겹쳐져 수직으로 세워지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렛트 등과 같은 플라스틱제품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수거된 플라스틱제품을 세척장치로 세척 및 탈수건조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제품을 세척할 때에는 다량의 세척수가 사용되는데, 세척수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척수의 탁도가 높아지고 불순물이 많아지는바 세정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악취로 인하여 인체에 피해를 미치는 등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세척수를 자주 교환해 주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세척수를 자주 교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다량의 오폐수를 발생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오폐수를 깨끗하게 여과시켜 세척수로 재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된바 있다.
종래의 오폐수 여과장치는 오폐수가 다수 개의 드럼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오폐수 유로가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다수 개의 드럼필터를 통과하는 동안 정화되어 세척수로 재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폐수 여과장치는 다수 개의 드럼필터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필터가 수평방향 또는 비스듬히 경사지게 뉘어지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드럼필터 중 하측에 위치하는 부위만이 오폐수 여과에 사용된다는 단점 즉, 여과성능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KR 20-028671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 개의 드럼필터를 사용하여 오폐수를 여과시키되 상기 다수 개의 드럼필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오폐수 여과 시 드럼필터의 대부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단위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양의 오폐수를 여과시킬 수 있는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메인탱크;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하는 제1 드럼필터;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드럼필터가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드럼필터와 일체로 자전하는 제2 드럼필터; 상기 제1 드럼필터의 내측으로 오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메인탱크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단이 상기 제2 드럼필터의 바닥면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드럼필터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드럼필터 및 제2 드럼필터와 일체로 결합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메인탱크에 장착되는 제1 센터파이프;
상단이 상기 메인탱크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메인탱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센터파이프와 내부가 연통되는 슬러지배출관;
상기 제1 센터파이프 중 상기 제2 드럼필터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메인탱크의 바닥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 센터파이프;
길이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지되, 하측이 상기 제1 센터파이프의 수직방향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센터파이프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센터파이프를 자전시키는 구동샤프트;
상기 구동샤프트 중 상기 제1 센터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크류 블레이드;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센터파이프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되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격판과, 상기 제1 관통공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도어와, 상기 제1 센터파이프 중 상기 제2 필터의 바닥판과 대응되는 높이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되 제2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 격판과, 상기 제2 관통공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럼필터 중 상기 제1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필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파이프의 측벽 중 상기 제1 드럼필터의 저면과 상기 제2 격판의 상면 사이의 지점에는 다수 개의 개구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드럼필터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의 양을 측정하는 슬러지 감지센서와, 상기 제1 드럼필터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의 양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도어와 상기 제2 개폐도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드럼필터의 외측면을 향해 역세수를 분사하는 역세수 분사관과, 상기 메인탱크 내의 물을 전달 받아 압축시킨 후 상기 역세수분사관으로 공급하는 역세수 공급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드럼필터의 외측면을 향해 역세공기를 분사하는 역세공기 분사관과, 상기 역세공기 분사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탱크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2 필터의 저면보다 낮은 지점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역류방지메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를 이용하면, 다수 개의 드럼필터를 겹치도록 배열하여 드럼필터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오폐수 여과 시 드럼필터의 대부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단위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양의 오폐수를 여과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제1 필터 내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개폐도어와 제2 개폐도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세척수 등과 같은 오폐수를 다수 개의 드럼필터로 여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드럼필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드럼필터 전체에 걸쳐 오폐수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메인탱크(100)와,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드럼필터(210)와,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드럼필터(210)가 내부에 인입되는 제2 드럼필터(220)와,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내측으로 오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500)과, 상기 메인탱크(10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오버플로우관(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500)은 오폐수를 한 번 걸러낸 후 제1 드럼필터(2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필터(510)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탱크(100)의 측벽에는 메인탱크(10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윈도우(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는 일체로 결합되어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하도록 설치되는바, 급수관(500)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는 제1 드럼필터(210) 및 제2 드럼필터(220)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측벽과 제2 드럼필터(220)의 측벽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메인탱크(100) 내부에 저장된다. 메인탱크(100)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준 높아지면 오버플로우관(110)을 통해 배출되어 저장탱크(600)에 채워진다. 상기 저장탱크(600)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다시 한번 걸러낼 수 있도록 저장탱크필터(61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가 완전히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포개어지는 구조로 설치되는바, 상기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급수관(500)을 통해 제공된 오폐수가 제1 드럼필터(210)의 측벽 전체와 제2 드럼필터(220)의 측벽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여과되므로, 단위시간당 오폐수 처리량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는 구동모터(4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샤프트(400)에 의해 자전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는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자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량의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경우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내부에는 슬러지(S)(도 4 및 도 5 참조)가 쌓이게 되는데, 슬러지(S)가 일정 수준 이상 쌓이게 되면 제1 드럼필터(210)의 공극이 막혀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제1 드럼필터(210)의 내부에 쌓인 슬러지(S)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상단이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바닥면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드럼필터(210) 및 제2 드럼필터(220)와 일체로 결합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메인탱크(100)에 장착되는 제1 센터파이프(310)와, 상단이 상기 메인탱크(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메인탱크(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와 내부가 연통되는 슬러지(S)배출관과,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 중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메인탱크(100)의 바닥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 센터파이프(320)와, 길이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지되 하측이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의 수직방향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를 자전시키는 구동샤프트(400)와, 상기 구동샤프트(400) 중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크류 블레이드(41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터파이프(320)는 제1 센터파이프(310)의 외측면을 둘러싸되, 상단이 제2 드럼필터(220)에 접촉되고 하단이 메인탱크(100) 바닥면에 밀착되는바, 메인탱크(100) 내의 물이 제1 센터파이프(31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구동모터(42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샤프트(400)가 자전되었을 때 상기 구동샤프트(400)와 일체로 결합된 제1 센터파이프(310)와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 역시 구동샤프트(400)를 중심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과 제2 드럼필터(220)의 바닥은 슬러지(S)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바, 오폐수 중 물 성분은 원심력에 의해 제1 드럼필터(210)의 측벽과 제2 드럼필터(220)의 측벽을 통과하여 메인탱크(100) 내에 채워지고, 슬러지(S)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제1 센터파이프(310) 내부로 유입된 후 스크류 블레이드(410)에 의해 슬러지(S)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오폐수의 물성분과 슬러지(S)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배출되는바, 슬러지(S) 제거를 위해 여과공정을 중단시킬 필요가 없다는 장점 즉, 24시간 연속 구동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된 슬러지(S)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과 제2 드럼필터(220)의 바닥이 항상 개방되어 있으면 슬러지(S)뿐만 아니라 물성분까지 슬러지(S)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바,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과 제2 드럼필터(220)의 바닥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되 제1 관통공(312)이 형성된 제1 격판(311)과, 상기 제1 관통공(312)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도어(313)와,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 중 상기 제2 필터의 바닥판과 대응되는 높이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되 제2 관통공(316)이 형성되는 제2 격판(315)과, 상기 제2 관통공(316)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도어(317)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드럼필터(210)는 상기 제1 관통공(312)과 대응되는 부위에 필터관통공(21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개폐도어(313)와 제2 개폐도어(317)에 의해 개폐되는 제1 격판(311)과 제2 격판(315)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제1 개폐도어(313)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만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가 제2 드럼필터(220)로 떨어지고, 제2 개폐도어(317)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만 제2 드럼필터(220) 내의 슬러지(S)가 제1 센터파이프(310)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때에만 슬러지(S)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스러지 유동시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성분이 슬러지(S)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개폐도어(313)와 제2 개폐도어(317)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가 메인챔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제1 개폐도어(313) 및 제2 개폐도어(317)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오폐수 여과를 장시간 수행하게 되면 제1 드럼필터(210)의 공극과 제2 드럼필터(220)의 공극이 미세한 입자에 의해 막혀 여과성능이 떨어지게 되는바, 필터의 공극을 막고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역세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드럼필터(220)의 외측면을 향해 역세수를 분사하는 역세수 분사관(70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부로부터 별도로 물을 공급받지 아니하더라도 역세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탱크(100)에는 배수관(130)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130)을 통해 메인탱크(100) 내의 물을 전달받아 압축시킨 후 상기 역세수분사관으로 공급하는 역세수 공급펌프(7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세수 분사관(700)과 역세수 공급펌프(710)가 구비되면, 역세수 분사관(7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역세수에 의해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에 붙어 있던 미세입자가 떨어내어 지는바 여과성능이 높게 유지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물공급이 없더라도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를 지속적으로 역세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물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역세수의 분사압에 의해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가 역세되는 과정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는 압축공기의 분사압에 의해 역세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외측면을 향해 역세공기를 분사하는 역세공기 분사관(미도시)과, 상기 역세공기 분사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펌프(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역세수 분사관(700)과 역세수 공급펌프(710)와 역세공기 분사관과 공기펌프를 모두 설치하여,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의 역세효율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1 드럼필터(210)와 제2 드럼필터(220)를 통과한 물에도 약간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물질은 물보다 무거우므로 메인탱크(100)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관(110)을 메인탱크(100)의 측벽 상측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메인탱크(100)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외부 충격이나 파동이 발생되는 경우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이물질이 떠올라 오버플로우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탱크(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2 필터의 저면보다 낮은 지점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역류방지메쉬(1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메쉬(120)는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을 크기의 눈을 갖도록 제작되지만, 외부 충격이나 파동 발생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이물질이 위로 떠오를 때 떠오른 이물질 중 일부는 역류방지메쉬(120)에 부딪혀 다시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바, 이물질이 버플로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제1 필터 내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개폐도어와 제2 개폐도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메인탱크(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이 제1 개폐도어(313)에 의해 개폐되고 제2 드럼필터(220)의 바닥이 제2 개폐도어(317)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개폐도어(313)와 제2 개폐도어(317)가 동시에 개방되면,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가 필터관통공(212) 및 제1 관통공(312)을 통과하는 동안 제2 드럼필터(220) 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슬러지(S)뿐만 아니라 물까지 제1 센터파이프(310) 및 슬러지 배출관(3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S) 배출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도어(313)와 제2 개폐도어(317)를 모두 닫아 두었다가,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도어(313)만을 개방시켜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가 제2 격판(315)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가 아래로 떨어질 때 슬러지(S)뿐만 아니라 물까지 일부 떨어지더라도 떨어진 물이 제1 센터파이프(310) 내부로는 유입되지 아니하고 원심력에 의해 제2 드럼필터(220)의 측벽을 통해 메인탱크(100) 내부공간으로 모아진다. 슬러지(S)는 물에 비해 비중이 큰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물이 원심력에 의해 제2 드럼필터(220) 측벽을 통과할 때 슬러지(S)는 제2 드럼필터(220) 측벽으로 이동하지 아니한다.
이때, 제2 격판(315) 상의 물이 제2 필터의 측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의 측벽 중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저면과 상기 제2 격판(315)의 상면 사이의 지점에는 다수 개의 개구홀(h)(h)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드럼필터(210) 내의 슬러지(S) 하강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도어(313)를 닫고 제2 개폐도어(317)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슬러지(S)가 제1 센터파이프(310) 내측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1 개폐도어(313)는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바, 제1 드럼필터(210)로 오폐수가 투입되더라도 제1 드럼필터(210) 내의 물이 제1 관통공(312)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드럼필터(210)에 일정량의 슬러지(S)가 모였을 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슬러지(S) 하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S)의 양을 측정하는 슬러지(S) 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S)의 양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도어(313)와 상기 제2 개폐도어(317)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유닛(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센서와 제어유닛이 구비되면, 사용자가 일일이 슬러지(S) 침적량을 확인하지 아니하더라도 슬러지(S)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슬러지(S)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와 각 개폐도어를 구동시키는 제어유닛은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상용화된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h : 개구홀 100 : 메인탱크
110 : 오버플로우관 120 : 역류방지메쉬
130 : 배수관 140 : 윈도우
210 : 제1 드럼필터 212 : 필터관통공
220 : 제2 드럼필터 310 : 제1 센터파이프
311 : 제1 격판 312 : 제1 관통공
313 : 제1 개폐도어 315 : 제2 격판
316 : 제2 관통공 317 : 제2 개폐도어
320 : 제2 센터파이프 330 : 슬러지 배출관
400 : 구동샤프트 410 : 스크류 블레이드
420 : 구동모터 500 : 급수관
510 : 급수필터 600 : 저장탱크
610 : 저장탱크필터 700 : 역세수 분사관
710 : 역세수 공급펌프

Claims (7)

  1.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메인탱크(100);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하는 제1 드럼필터(210); 개구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메인탱크(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드럼필터(210)가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드럼필터(210)와 일체로 자전하는 제2 드럼필터(220);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내측으로 오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500); 상기 메인탱크(10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오버플로우관(110); 을 포함하고,
    상단이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바닥면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드럼필터(210) 및 제2 드럼필터(220)와 일체로 결합되며, 수직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메인탱크(100)에 장착되는 제1 센터파이프(310);
    상단이 상기 메인탱크(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메인탱크(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와 내부가 연통되는 슬러지(S)배출관;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 중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둘러싸도록 상기 메인탱크(100)의 바닥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 센터파이프(320);
    길이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세워지되, 하측이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의 수직방향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를 자전시키는 구동샤프트(400);
    상기 구동샤프트(400) 중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크류 블레이드(41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되 제1 관통공(312)이 형성된 제1 격판(311)과, 상기 제1 관통공(312)을 개폐시키는 제1 개폐도어(313)와,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 중 상기 제2 필터의 바닥판과 대응되는 높이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되 제2 관통공(316)이 형성되는 제2 격판(315)과, 상기 제2 관통공(316)을 개폐시키는 제2 개폐도어(3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럼필터(210) 중 상기 제1 관통공(312)과 대응되는 부위에 필터관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센터파이프(310)의 측벽 중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저면과 상기 제2 격판(315)의 상면 사이의 지점에는 다수 개의 개구홀(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S)의 양을 측정하는 슬러지(S) 감지센서와, 상기 제1 드럼필터(210)의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S)의 양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개폐도어(313)와 상기 제2 개폐도어(317)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외측면을 향해 역세수를 분사하는 역세수 분사관(700)과, 상기 메인탱크(100) 내의 물을 전달 받아 압축시킨 후 상기 역세수분사관으로 공급하는 역세수 공급펌프(7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필터(220)의 외측면을 향해 역세공기를 분사하는 역세공기 분사관과, 상기 역세공기 분사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제2 필터의 저면보다 낮은 지점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역류방지메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KR1020170023570A 2017-02-22 2017-02-22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KR10195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70A KR101951376B1 (ko) 2017-02-22 2017-02-22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70A KR101951376B1 (ko) 2017-02-22 2017-02-22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18A KR20180097018A (ko) 2018-08-30
KR101951376B1 true KR101951376B1 (ko) 2019-02-22

Family

ID=6345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70A KR101951376B1 (ko) 2017-02-22 2017-02-22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3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162B2 (ja) * 2003-11-07 2010-08-11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595A (ja) * 1989-07-24 1991-03-12 Kuri Kagaku Sochi Kk 連続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162B2 (ja) * 2003-11-07 2010-08-11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18A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3457A (en) Pressurized backwash filter
KR101925321B1 (ko) 고액 분리장치
CN107268736A (zh) 一种升降式水槽排水过滤装置
BRPI0708697A2 (pt) dispositivo e processo para tratamento de fluido lavado em contracorrente
CN111359285A (zh) 一种过滤装置及污水处理设备和污水处理方法
JP2009529403A (ja) 濾過装置および濾過方法
JP3524447B2 (ja) 濾過装置
CN214597727U (zh) 一种圆筒过滤器
US3493112A (en) Filter apparatus including contaminant removal means
JP2016059912A (ja) 沈殿池
CN112691417B (zh) 可逆洗浮床式反向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1951376B1 (ko) 다중 드럼필터를 구비하는 여과장치
KR101699828B1 (ko) 입형 자동 회전 스크린을 이용한 우수 또는 중수 전처리 여과장치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JP2020093240A (ja) ろ過装置
CN112370857B (zh) 一种水利工程过滤装置
JP3090022U (ja) ストレーナ装置
CN208287648U (zh) 固液分离机
JP4270970B2 (ja) 夾雑物除去装置
KR101155063B1 (ko) 원심 분리형 필터링 장치
KR102030750B1 (ko) 침전조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0620438B1 (ko)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KR100707828B1 (ko)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
CN215310779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沉砂装置
JP7216922B2 (ja) 泥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泥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