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940B1 -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940B1
KR101480940B1 KR20140116728A KR20140116728A KR101480940B1 KR 101480940 B1 KR101480940 B1 KR 101480940B1 KR 20140116728 A KR20140116728 A KR 20140116728A KR 20140116728 A KR20140116728 A KR 20140116728A KR 101480940 B1 KR101480940 B1 KR 10148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wastewater
plate
liquid separating
separ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한구
Original Assignee
디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11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2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the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s being a combination of movements
    • B01D33/327Tipping buckets, trays or like s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신속한 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여과기 본체의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상부에는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 하부에는 제1,2,3여과부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대용량 오폐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형 바디의 외주면 상으로 다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고, 원통형 바디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사선 방향으로 위치한 분리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바디의 상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슬릿을 통해 배출하여 상기 분리패널과의 충돌을 유도하여 용수와 이물질(Particle)과의 물리적 분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진 패널 상으로 오수 또는 폐수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이물질과 용수 간의 질량차이에 의한 충돌 반사각도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용수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상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 여과함으로써,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신속한 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HIGH CAPACITY PURIFYING APPARATUS FOR WASTE WATER}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패널 상으로 오수 또는 폐수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이물질과 용수 간의 질량차이에 의한 충돌 반사각도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용수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상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 여과함으로써,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신속한 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있고, 이중에서 물리적 처리는 오, 폐수에 비용해 되어 있는 물질을 물과 분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상기 물리적 처리방법에는 침전조, 침전지, 침사지, 스크린 등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중의 부유물,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 침전조는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무거운 입자를 중력에 의해 침전시켜 상부의 상등수 만을 얻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침전조는 오,폐수의 흐름 연속여부에 따라 연속식과 회분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연속식은 오,폐수의 유입 및 유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회분식은 조내에 유입된 오,폐수가 일정시간 경과 후에 방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전조는 침전면적을 확장하고, 슬러지의 침강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침전조 내에 경사판을 삽입시키는 경사판 침전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된 경사판 침전조는 첨부된 특허문헌의 도 1과 같이, 오,폐수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조(10), 유출조(20), 경사판부(30), 및 슬러지 배출조(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조(10)는 일측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된다.
상기 유출조(20)는 상기 유입조(10)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타측에 유출구(21)가 형성되어 유입조(10)에서 유입된 오,폐수가 후술할 경사판부(30)를 통과한 후 슬러지는 하방으로 침강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폐수는 유출구(21)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부(30)는 유입조(10)와 유출조(20) 사이에 단위 경사판(31)을 복수개 적층하고, 상기 단위 경사판(31) 사이에 형성된 유로(32)를 통해 오,폐수가 이동되게 하며, 상기 단위 경사판(31)의 경사면을 따라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하방으로 침강되도록 하여 수면적이 분할됨과 아울러 수표면적을 확장시킨 것이다.
상기 단위 경사판(31)은 ∨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는 단위 경사판(31)의 적층시키도록 안착편(31a)이 형성되어 지며, 중앙에는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슬러지가 모이는 슬러지 공간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편(31a)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적층시킨 단위 경사판(31)을 체결볼트(33)로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러지 공간부(31b)는 하측으로 관통되어 후술할 슬러지 배출조(40)에 집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위 경사판(31)의 경사면 하측방향으로 복수의 슬러지 이송홈(31c)이 형성되어 경사판 사이에 형성된 유로(32)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중력에 의해 상기 슬러지 이송홈(31c)을 따라 하측으로 침강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조(40)는 경사판부(30)의 슬러지 공간부(31b)의 하방에 설치되어져 슬러지가 집적되는 공간이며, 일측에 외부로 슬러지를 인발하도록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져 있다.
그러나, 전술된 경사판 침전조는 슬러지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정화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정화시간이 매우 길어 산업용 또는 공업용으로 적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대용량의 정화시설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수 개의 경사판을 통과하여 오폐수를 정화함으로써, 오폐수의 경로 과정에서 많은 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부하는 정화 능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해당 원리로 인한 대용량 적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64847, 공개일자 2004년 07월 21일, 발명의 명칭 '경사판 침전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고액 분리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패널 상으로 오수 또는 폐수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이물질과 용수 간의 질량차이에 의한 충돌 반사각도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용수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상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 여과함으로써,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신속한 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정화를 위하여 입자상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 여과하고 입자상 이물질에 의한 여과공의 막힘을 용이하고 깨끗하게 해소할 수 있고 컴팩트한 구성을 통해 좁은 면적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는, 여과기 본체의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상부에는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 하부에는 제1,2,3여과부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대용량 오폐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형 바디의 외주면 상으로 다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고, 원통형 바디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사선 방향으로 위치한 분리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바디의 상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슬릿을 통해 배출하여 상기 분리패널과의 충돌을 유도하여 용수와 이물질(Particle)과의 물리적 분리를 유도하며; 상기 제2여과부는 여과기 본체 내부의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하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수의 제1여과공이 구비된 제1고액 분리판, 제1고액 분리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제1고액 분리판의 세척시 액추에이터를 통해 전후진 운동하여 제1고액 분리판에 묻은 이물질을 교란에 의해 제거하는 상하부 세척판, 제1고액 분리판의 상면과 저면과 대응하는 상하부 세척판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제1고액 분리판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상하부 브러쉬로 구성되고; 상기 제3여과부는 제2여과부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제2여과공이 구비된 제2고액 분리판, 제2고액 분리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고액 분리판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분리패널은 고무재질과 같이 탄성이 부여된 플레이트가 이용되며, 상기 플레이트로 인해 질량이 큰 이물질과의 충돌 시 반발력이 저하되어 충돌 후 하향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고, 질량이 작은 용수는 상기 분리패널의 탄성에 관계없이 충돌 후 반사되어 상기 제2여과부로 낙하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여과부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콘형 하부 받침대를 구비한 원통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바디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개방면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슬릿이 원통형 바디의 외주면 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분리패널은 지면으로부터 30°내지 45°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오폐수와의 충돌 면을 탄성을 갖는 쿠션패널과, 상기 쿠션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는, 경사진 패널 상으로 오수 또는 폐수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이물질과 용수 간의 질량차이에 의한 충돌 반사각도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용수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상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 여과함으로써,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신속한 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의 정화를 위하여 입자상 이물질을 다단계에 걸쳐 여과하고 입자상 이물질에 의한 여과공의 막힘을 용이하고 깨끗하게 해소할 수 있고 컴팩트한 구성을 통해 좁은 면적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정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여과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3여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용 여과기(200)는, 먼저 공공하수와 공장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 수처리 시설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과기(200)는 하폐수의 여과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여과기 본체(210), 여과기 본체(210) 내부에 상부에서부터 일정 공간을 두고 3단으로 설치되며 하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여과하는 제1여과부(241), 제2여과부(220)와 제3여과부(230)로 구성된다.
여과기 본체(21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이며 상부에는 하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211), 하부에는 제1,2,3여과부(241, 220,230)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1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211)와 배출구(212)는 관 등을 통해 기존 하수/폐수 처리장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수처리 시설과 연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사용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였다. 여과기 본체(210)는 내부에 설치되는 제2여과부(220)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도어가 갖추어진다.
상기 제1여과부(24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 바디와, 바디의 외주면상으로 다수 개의 슬릿을 구비하며, 바디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사선 방향으로 위치한 분리패널(245)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바디는 구동모터(243)에 의해 회전되며, 원통형 바디의 상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회전시켜 슬릿을 통해 오폐수를 외부로 토출한다. 따라서, 오폐수는 상기 분리패널(245)과의 충돌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용수 대비 질량이 큰 이물질(Particle)이 분리패널(245)과 충돌한다.
상기 분리패널(245)은 용수와 이에 수용되는 이물질이 동시에 충돌하는데, 용수는 분리패널(245)과 충돌한 후 상기 제2여과부(220)로 낙수하는 반면, 상기 이물질은 용수 대비 질량이 크기 때문에, 용수에 비해 반사 각도가 크게 된다. 이는 이물질이 분리패널(245)과 충돌한 후 여과기 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패널(245)은 고무재질과 같이 탄성이 부여된 플레이트가 이용되며, 이러한 소재의 플레이트로 인해 질량이 큰 이물질과의 충돌 시 반발력이 저하되어 충돌 후 하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반면, 분리패널(245)과 충돌하는 용수는 질량이 작아 분리패널(245)의 탄성에 관계없이 충돌 후 반사되어 상기 제2여과부(220)로 낙하하는 것이다.
따라서, 투입구(211)로 유입된 오폐수는 제1여과부(241)를 통해 1차적으로 용수와 이물질을 분리하며, 분리되지 않은 이물질은 이하의 제2여과부(220) 및 제3여과부(230)를 통해 여과된다.
전술된 제1여과부(241)는 도 3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211)와 연통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콘형 하부 받침대(303)를 구비한 원통형 바디(309)와, 상기 원통형 바디(309)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모터(243)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원통형 바디(309)의 개방면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슬릿(301)이 원통형 바디(309)의 외주면 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슬릿(301)을 통해 배출되는 오폐수는 상기 분리패널(245)과 충돌한다.
상기 콘형 하부 받침대(303)는 원통형 바디(309)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가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바디(309) 내부로 오폐수가 적재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즉, 원통형 바디(309) 내부로 적재되는 오폐수는 콘형 하부 받침대(303)를 통해 중앙 위치로 적재됨을 방지함으로써, 원통형 바디(309)의 회전 과정에서 원심력을 극대화시켜 오폐수의 토출을 유도한다.
상기 분리패널(245)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30°내지 45°의 기울기를 갖는다. 상기 분리패널(245)은 오폐수와의 충돌로 인해 반사되는 용수 및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충돌 후 반사되는 각도가 질량 차이에 따라 상이함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상기 분리패널(245)은 오폐수와의 충돌 면을 탄성을 갖는 쿠션패널(323)과, 상기 쿠션패널(323)을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3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패널(323)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용수 대비 질량이 큰 이물질과 쿠션패널(323) 사이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이물질의 충돌 후 반사 각도를 넓혀 제3여과부(230)로 낙하하도록 유도한다.
반면, 용수는 이물질 대비 질량이 작기 때문에, 상기 쿠션패널(323)의 쿠션 작용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로부터 쿠션패널(323)과 충돌한 용수는 상기 제2여과부(220)로 낙하한다. 따라서, 제1여과부(241)를 통해 분리된 용수는 제2여과부(220)로 공급되고, 동시에 제1여과부(241)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제3여과부(230)로 공급된다. 물론, 제1여과부(241)에서 분리된 용수 내에는 분리되지 않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제2여과부(220)를 통해 2차 여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여과부(241)는 구동모터(243)에 의해 회전 및 이물질 분류가 이루어짐에 따라, 1차적인 여과 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하게 된다. 즉, 제2여과부(220)는 다수 개의 분리막을 형성함에 따라, 대용량의 오폐수를 처리하기에는 많은 부하가 요구되어 빠른 시간 내에 오폐수 처리가 어렵게 된다. 상기 제1여과부(241)는 이러한 2차 여과 과정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 과정에서 오폐수를 정화함으로써, 2차 및 3차 여과 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여과부(220)는 여과기 본체(210) 내부의 투입구(211)와 배출구(212)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하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수의 제1여과공(221a)이 구비된 제1고액 분리판(221), 제1고액 분리판(2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제1고액 분리판(221)의 세척시 액추에이터를 통해 전후진 운동하여 제1고액 분리판(221)에 묻은 이물질을 교란에 의해 제거하는 상하부 세척판(222,223), 제1고액 분리판(221)의 상면과 저면과 대응하는 상하부 세척판(222,223)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제1고액 분리판(221)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상하부 브러쉬(224,225)로 구성된다.
제1고액 분리판(221)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인 판재이며 여과기 본체(210)에 지지브래킷과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하부 세척판(222, 223)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으며 단 고정체인 제1고액 분리판(22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전후진 운동에 의한 비빔 작용을 하여 제1고액 분리판(221)에 에 묻은 이물질을 교란에 의해 제거하고 또는 교란에 의해 제1고액 분리판(221)에 대한 고착력을 제거하여 상하부 브러쉬(224, 225)에 의한 브러싱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상하부 세척판(222, 223)은 하폐수가 제1고액 분리판(221)에 의해 여과되는 것을 막지 않으면서 상하부 브러쉬(224, 225)의 설치를 위하여 다수의 구멍(222a, 223a)이 있는 구조이다. 구멍(222a, 223a)은 제1고액 분리판(221)의 제1여과공(221a)에 비해 매우 큰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기능에 맞도록 상하부 세척판(222, 223)의 전후진을 위한 액추에이터(222b, 223b)(유압 실린더 등), 상하부 세척판(222, 223)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가이드(미도시함, 가이드는 상하부 세척판(222, 223)과 제1고액 분리판(221)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능도 겸한다)가 갖추어진다.
상하부 브러쉬(224, 225)는 상부 세척판(222)의 저면과 하부 세척판(223)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부 세척판(222, 223)의 교란 운동시 함께 움직이면서 제1고액 분리판(221)의 표면과 제1여과공(221a) 내부를 긁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상하부 브러쉬(224, 225)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등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여과부(230)는 제2여과부(220)의 저부에 일측을 설치되며 다수의 제2여과공(231a)이 구비된 제2고액 분리판(231), 제2고액 분리판(23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고액 분리판(231)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232)로 이루어진다.
제2고액 분리판(231)의 제2여과공(231a)은 제1여과공(221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여과공(221a)에 여과하지 못한 입도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제3여과부(230)의 제2고액 분리판(231)과 이물질 포집부(232)는 제2여과부(220)와 배출구(212)의 사이에 함께 설치되고, 이들(231, 232)은 제2고액 분리판(231)에 남은 이물질을 이물질 포집부(232)에 포집하도록 연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물질 포집부(232)의 상부에는 제2여과부(220)를 통과한 여과수를 제2고액 분리판(231)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233)이 포함된다.
가이드판(233)은 여과수를 제2고액 분리판(231)으로 유도하는 기능과 아울러 이물질 포집부(232)의 상부를 폐쇄하는 기능도 겸하도록 구성되며, 단 이물질의 포집을 위하여 이물질 포집부(232)에 유입구(234)를 형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하나의 가이드판(233)만 도시되었으나, 가이드판(233)의 상부에는 제2여과부(220)를 통과한 여과수를 가이드판(233)쪽으로만 흐르도록 유도하는 다른 가이드판이 추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물질 포집부(232)는 유입구(234)가 둘레부 또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조이면서 제2고액 분리판(231)의 둘레부와 연계하여 제2고액 분리판(231)을 통해 이물질을 전달받으며, 물론 포집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도어 등이 함께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폐수의 여과와 장비의 세척 공정을 구분할 수 있으며, 여과 공정에서는 여과수의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제2고액 분리판(231)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포집하지 않으며 세척 공정 시에는 제2고액 분리판(231)에 쌓인 이물질을 신속하게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2고액 분리판(231)은 중앙의 회전축(235)을 통해 여과기 본체에 시소 형태로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235)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등과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고액 분리판(231)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2고액 분리판(231)은 여과 공정시 이물질 포집부(232)의 유입구(234)와 연결되지 않으며 세척 공정시에는 이물질 포집부(232)의 유입구(234)과 연결된다. 제2고액 분리판(231)의 둘레부[이물질 포집부(232)로부터 먼 곳의 둘레부]에는 하폐수의 여과 공정시 여과된 이물질의 외부 이탈을 막는 이물질 가드턱(236)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포집부(232)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이 함께 갖추어짐으로써 이물질을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수단은 이물질 포집부(232)의 내벽면에 배선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열선 등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공공 하수처리장, 공장 폐수처리장 등에 유입되는 하폐수는 예를 들어 전처리 공정을 통해 큰 입도의 이물질 여과, 화학약품 등이 제거될 수 있고, 전처리된 하폐수 투입구(211)를 통해 여과기 본체(210)에 투입된다. 여과기 본체(210) 내부에 투입된 하폐수는 상부 세척판(222)의 구멍(222a) - 상부 브러쉬(224)들 사이의 공간을 경유한 후 제1고액 분리판(221)의 제1여과공(221a)을 통과하는 중에 제1여과공(221a)보다 큰 입도의 이물질이 여과된다. 이물질이 1차로 여과된 여과수는 하부 브러쉬(225)들 사이의 공간 - 하부 세척판(223)의 구멍(223a)을 통과하여 제3여과부(230)로 낙하한다.
이 과정에서 상하부 세척판(222, 223)은 고정 상태이기 때문에 하폐수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으며 따라서 하폐수의 처리용량 감소를 일으키지 않는다. 제2여과부(22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1차로 여과된 여과수는 가이드판(233)의 경사를 따라 제2고액 분리판(231)으로 유도된다.
여과 공정 시에는 제2고액 분리판(231)과 이물질 포집부(232)가 연결되지 않도록 제2고액 분리판(231)은 분리 상태를 유지한다. 즉, 가이드판(233)의 경사와 제2고액 분리판(231)의 경사는 동일한 하향 경사를 이루게 되며, 따라서, 가이드판(233)을 따라 흐르는 여과 수는 제2고액 분리판(231)의 제2여과공(231a)을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제2여과공(231a)보다 큰 입도의 이물질은 제2고액 분리판(231) 위에 남고 정화수만 제2여과공(231a)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2고액 분리판(231)이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여과수는 이물질 포집부(232)로 역류하지 않고 제2여과공(231a)을 통과하고 이물질은 제2고액 분리판(231)의 일측으로 모이게 된다. 이물질 가드턱(236)에 의해 이물질은 제2고액 분리판(23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210 : 여과기 본체 211 : 투입구
212 : 배출구 241, 220, 230 : 제1,2,3여과부
221, 231 : 제1,2고액 분리판 222, 223 : 상하부 세척판
224, 225 : 상하부 브러쉬 232 : 이물질 포집부
233 : 가이드판 234 : 유입구
235 : 회전축 236 : 이물질 가드턱
243 : 구동모터 245 : 분리패널
301 : 슬릿 303 : 콘형 하부 받침대
305 : 풀리 307 : 밸트
309 : 원통형 바디 321 : 지지패널
323 : 쿠션패널

Claims (7)

  1. 여과기 본체(210)의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상부에는 오폐수가 투입되는 투입구(211), 하부에는 제1,2,3여과부(241, 220,230)를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12)를 구비한 대용량 오폐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24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고 구동모터(243)에 의해 회전되는 원통형 바디(309)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형 바디(309)의 외주면 상으로 다수 개의 슬릿(301)을 구비하고, 원통형 바디(309)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사선 방향으로 위치한 분리패널(24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바디(309)의 상부로 유입된 오폐수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슬릿(301)을 통해 배출하여 상기 분리패널(245)과 충돌을 유도하여 용수와 이물질(Particle)과의 물리적 분리를 유도하며;
    상기 제2여과부(220)는 여과기 본체(210) 내부의 투입구(211)와 배출구(212)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하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수의 제1여과공(221a)이 구비된 제1고액 분리판(221), 제1고액 분리판(2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제1고액 분리판(221)의 세척시 액추에이터를 통해 전후진 운동하여 제1고액 분리판(221)에 묻은 이물질을 교란에 의해 제거하는 상하부 세척판(222,223), 제1고액 분리판(221)의 상면과 저면과 대응하는 상하부 세척판(222,223)의 저면과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제1고액 분리판(221)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상하부 브러쉬(224,225)로 구성되고;
    상기 제3여과부(230)는 제2여과부(22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제2여과공(231a)이 구비된 제2고액 분리판(231), 제2고액 분리판(23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고액 분리판(231)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232)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패널(245)은 고무재질과 같이 탄성이 부여된 플레이트가 이용되며, 상기 플레이트로 인해 질량이 큰 이물질과의 충돌 시 반발력이 저하되어 충돌 후 하향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고, 질량이 작은 용수는 상기 분리패널(245)의 탄성에 관계없이 충돌 후 반사되어 상기 제2여과부(220)로 낙하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부(241)는 상기 투입구(211)와 연통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콘형 하부 받침대(303)를 구비한 원통형 바디(309)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바디(309)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모터(243)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원통형 바디(309)의 개방면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슬릿(301)이 원통형 바디(309)의 외주면 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패널(245)은 지면으로부터 30°내지 45°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오폐수와의 충돌 면을 탄성을 갖는 쿠션패널(323)과, 상기 쿠션패널(323)을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3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부(220)의 제1고액 분리판(221)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 사각형, 다각형 구조를 갖는 판재이며, 상기 여과기 본체(210)에 지지 브래킷과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세척판(222, 223)은 상기 제1고액 분리판(22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전후진 운동에 의한 비빔 작용을 하여 제1고액 분리판(221)에 에 묻은 이물질을 교란에 의해 제거하고 또는 교란에 의해 제1고액 분리판(221)에 대한 고착력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여과부(230)의 제2고액 분리판(231)과 이물질 포집부(232)는 제2여과부(220)와 배출구(212)의 사이에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제2고액 분리판(231) 및 이물질 포집부(232)는 제2고액 분리판(231)에 남은 이물질을 이물질 포집부(232)에 포집하도록 연계하며;
    상기 이물질 포집부(232)의 상부에는 제2여과부(220)를 통과한 여과수를 제2고액 분리판(231)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액 분리판(231)의 제2여과공(231a)은 제1여과공(221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여과공(221a)에 여과하지 못한 입도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가이드판(233)은 여과수를 제2고액 분리판(231)으로 유도하는 기능과,상기 이물질 포집부(232)의 상부를 폐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KR20140116728A 2014-09-03 2014-09-03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KR10148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728A KR101480940B1 (ko) 2014-09-03 2014-09-03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6728A KR101480940B1 (ko) 2014-09-03 2014-09-03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940B1 true KR101480940B1 (ko) 2015-01-14

Family

ID=5258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6728A KR101480940B1 (ko) 2014-09-03 2014-09-03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233A (zh) * 2017-11-13 2018-04-20 重庆鼎满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不易堵塞的过滤器
CN110143744A (zh) * 2019-06-13 2019-08-20 扬州中法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用过滤系统及其过滤方法
CN115105879A (zh) * 2022-08-02 2022-09-27 绍兴金祥惠纺织印染有限公司 一种印染面料的废水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43A (ja) * 1994-06-23 1996-01-09 Hokusei Kisou Kk 箇水分離装置及び箇水分離方法
KR20050108172A (ko) * 2004-05-11 2005-11-16 유명기 원심력과 관성과 충돌을 이용한 여과장치
KR101331598B1 (ko) * 2013-08-30 2013-11-21 주식회사 가나엔텍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용 여과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43A (ja) * 1994-06-23 1996-01-09 Hokusei Kisou Kk 箇水分離装置及び箇水分離方法
KR20050108172A (ko) * 2004-05-11 2005-11-16 유명기 원심력과 관성과 충돌을 이용한 여과장치
KR101331598B1 (ko) * 2013-08-30 2013-11-21 주식회사 가나엔텍 공공하수와 공장폐수용 여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233A (zh) * 2017-11-13 2018-04-20 重庆鼎满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不易堵塞的过滤器
CN110143744A (zh) * 2019-06-13 2019-08-20 扬州中法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用过滤系统及其过滤方法
CN115105879A (zh) * 2022-08-02 2022-09-27 绍兴金祥惠纺织印染有限公司 一种印染面料的废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9894A1 (en) Water treatment using magnetic and other field separation technologies
KR101744849B1 (ko) 오염토양의 정화처리 시스템 및 정화처리 방법
KR101282645B1 (ko) 판스크린이 구비된 하수 협잡물 연속처리장치
US20050263448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Z34051U1 (cs) Zařízení pro separaci disperzí
KR101480940B1 (ko) 대용량 오폐수 처리장치
US20140190897A1 (en)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JP4798619B2 (ja) 砂分離洗浄装置
CN105903252A (zh) 高效滚筒式无动力自清洗水过滤装置
CN113354142B (zh) 一种絮凝分级脱水装置
JP2006239546A (ja) 砂分離洗浄装置
KR101109551B1 (ko) 반도체 오염폐수 처리장치
KR102134251B1 (ko) 오염토 세척 정화 시스템
US6997328B2 (en) Grit removal assemblies
JP2012106158A (ja) 汚染土壌洗浄槽
AU2021275656B2 (en) Circular parallel plate grit remover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KR102069994B1 (ko) 선택집진이 가능한 여과시스템
KR101886425B1 (ko) Mbr 종합 전처리기
CA3233050A1 (en) Circular grit remover with tube settlers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JP2004113962A (ja) 水力分級機
JP2007136375A (ja) 固体の分離方法および固体の分離装置
RU215162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CA2870552C (en) Scrubbing backwash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