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559B1 - 환자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559B1
KR100667559B1 KR1020040067599A KR20040067599A KR100667559B1 KR 100667559 B1 KR100667559 B1 KR 100667559B1 KR 1020040067599 A KR1020040067599 A KR 1020040067599A KR 20040067599 A KR20040067599 A KR 20040067599A KR 100667559 B1 KR100667559 B1 KR 100667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pper loading
rollers
partition wall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115A (ko
Inventor
박상윤
Original Assignee
박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윤 filed Critical 박상윤
Priority to KR102004006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5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4Rollers, rails or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6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atient, e.g. using flaps or additional ti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12)가 구비되며, 이 다수개의 롤러(12) 상에 환자를 탑재할 수 있도록 된 상부적재부(10)와, 지면과 접하면서 환자 이송방향(D)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롤러(22)를 구비하는 한편 상부적재부를 지지하는 하부운송부(20),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가 수용되는 구획을 형성하는 격벽부(30), 상기 상부적재부, 하부 운송부 및 격벽부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자체 선회 운동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을 유지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된 제동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선회운동에 따라서 상기 롤러와 접촉 해제되거나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적재, 환자, 이송장치, 롤러, 벨트, 접촉.

Description

환자이송장치{PATIENT TRANSFERR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환자이송장치의 일반적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제동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상부적재부 및 하부운송부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외부 격벽의 굽힘에 따라 상부적재부 및 하부운송부가 요철형상 또는 원호형상으로 굽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상부적재부, 11 벨트,
12 롤러, 20 하부운송부,
30 격벽부, 31 내부 격벽,
32 외부 격벽, 40 손잡이부,
44 접촉부.
본 발명은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침대 상에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환자이송장치(예컨대, 바퀴가 달린 침대)의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이송장치(M)에 의해 환자(P)를, 예컨대 검사실이나 수술실 또는 병실 등의 침대(B) 옆에 나란하게 배치시키고, 다수의 인원에 의해 환자(P)를 잡아들어서 상기 침대(B) 상으로 옮기고 있다. 그리고, 검사종료 후, 침대(B) 상의 환자(P)를 다시 잡아들어서 환자이송장치(M) 상으로 옮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환자이송장치(M)는, 예컨대 검사를 행할 경우에 환자를 돕기 위해 많은 인력이 소용되므로, 최소한의 움직임도 제한되어야 하는 환자에 있어서, 움직임의 발생할 수 있게 하는 여지가 많게 되어 환자의 상태를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중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면서도, 환자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된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환자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며, 이 다수개의 롤러 상에 환자를 탑재할 수 있도록 된 상부적재부와, 지면과 접하면서 환자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한편 상부적재부를 지지하는 하부운송부,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가 수용되는 구획을 형성하는 격벽부, 상기 상부적재부, 하부 운송부 및 격벽부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자체 선회 운동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을 유지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된 제동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선회운동에 따라서 상기 롤러와 접촉 해제되거나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롤러와 벨트를 구비하여 벨트 상에 환자가 탑재되면서 환자 이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상부적재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롤러와 벨트를 구비하여 환자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서 환자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부운송부,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가 수용되는 구획을 형성하는 격벽부, 상기 상부 적재부, 하부 운송부 및 격벽부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자체 선회 운동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상부적재부 및 하부운송부의 이송방향으로의 운동을 유지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연결대에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선회운동에 따라서 상기 벨트와 접촉 해제되거나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환자를 운송하는데 소수의 인원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환자에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발생시키면서 환자가 누워있는 한쪽 침대에서 다른쪽 침대로 환자를 자유롭게 운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폭방향으로 다수 구획되고, 이들 각 구획에서 롤러가 환자 이송방향을 따라서 다수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각 구획 내에서 폭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각 구획 내에서 각 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되므로, 상부적재부 및 하부운송부의 자유로운 운동이 보장되며, 각 구획에서 벨트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구김이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환자의 신체 크기 및 질량에 따라서 롤러의 크기를 적절히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환자운송장치를 변경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환자 이송방향을 따라서 그 직경이 감소한다.
이에 의하면, 환자와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 사이에 상부적재부 및 하부운송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격벽부의 각 구획에 따라 구획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부적재부 상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환자의 척추 등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적재부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구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를 간헐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부적재부가 하부운송부 상에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환자의 이송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굽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환자 이송방향(D)으로 회전하며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12)가 구비되여 롤러 상에 탑재된 환자(P)가 환자 이송방향(D)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상부적재부(10)와, 환자 이송방향(D)으로 회전하는 롤러(22)를 구비하여 환자(P)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서서 환자 이송방향(D)으로 환자이송장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부운송부(20), 상기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 사이를 연결하여 구획을 만들고 그 사이에 상기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의 롤러(12,22)를 수용하도록 된 격벽부(30) 및, 상기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30)는 판상부재인 외부 격벽(31)이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40)는 상기 상부적재부(10)나 하부운송부(20) 또는 격벽부(30)에 부착될 수 있는데(도시되지 않음), 사람이 손으로 잡는 일직선의 손잡이(41)와 이 손잡이(41)를 상부적재부(10)나 하부운송부(20) 또는 격벽부(30)에 연결하는 연결대(42), 연결대(42)의 회전축(43) 및, 상기 상부적재부(10)의 롤러(12) 또는 하부 롤러(22) 중 하나만의 회전운동을 제동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롤러(12,22) 모두의 회전운동을 제동하는 제동부(45:도 3에 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0) 및 제동부(45)의 동작은 도 3에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손잡이부(40)에 부착된 막대형상의 제동부(45)에 부리형상의 접촉부(44)가 각 롤러(12)의 수에 따라 복수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40)가 상기 회전축(43)을 매개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선회운동(S)함에 따라서 상기 제동부(45)의 접촉부(44)가 각각의 롤러(12)와 접촉 해제되거나(도 3의 (a)) 접촉하게 되어(도 3의 (b)), 각각 롤러(12)의 회전을 유지시키거나, 롤러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동부(45)의 기술적 사상은, 환자운송요원이 원할 때, 상부 및 하부 롤러(12,22) 중 적어도 한쪽을 제동하는, 즉 상부적재부(10) 또는 하부운송부(20)를 회전운동시키거나 회전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당업자에 있어서는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벨트(11)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롤러(12)를 구비하고, 벨트(11) 상에 환자(P)가 탑재되면서 환자 이송방향(D)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상부적재부(10)와, 벨트(21)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롤러(22)를 구비하여 환자(P)가 위치하는 지면상에서 환자 이송방향(D)으로 환자이송장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부운송부(20), 상기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 사이를 연결하여 구획을 만들고 그 사이에 상기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의 벨트 및 롤러를 수용하도록 된 격벽부(30) 및, 상기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의 회전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손잡이부(40)는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사람이 손으로 잡는 일직선의 손잡이(41)와 이 손잡이(41)를 상부적재부(10)나 하부운송부(20) 또는 격벽부(30)에 연결하는 연결대(42)를 구비하지만, 연결대(42)의 양쪽 선단부만 새의 부리형상으로 돌출한 접촉부(44)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손잡이부(40)에 의하면, 손잡이부(40)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선회함에 따라, 상기 연결대(42)에 구비된 접촉부(44)가 상기 상부적재부(10)의 벨트(11)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부(40)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선회하면, 상기 접촉부(44)와 벨트(11)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손잡이부(40)의 구성에 따른 장점은, 환자운송요원이 손잡이부(40)를 잡고, 도시생략된 환자와 환자가 누워있는 지면(예컨대, 침대) 사이에 환자이송장치를 끼워 넣을 때는, 환자운송요원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41)가 자연스럽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접촉부(44)와 벨트(11)와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동부(45)의 접촉부(44)와 다수의 롤러(12) 사이의 접촉이 해제됨), 상기 벨트(11,21)가 롤러(12,22)에 의해 회전하면서, 용이하게 환자와 환자가 누워있는 지면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환자이송장치를 환자와 지면 사이에서 빼낼 때에는 환자운송요원의 당기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손잡이부(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 게 되므로, 상기 접촉부(44)와 벨트(11)가 접촉을 이루게 되어(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동부(45)의 접촉부(44)와 다수의 롤러(12)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짐), 상부적재부(10)의 벨트(11) 및 롤러(12)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부적재부(10) 상에 위치되어지는 환자가 벨트(11) 및 롤러(12)의 회전에 의해 미끄러질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30)는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의 양 단부에서 이들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판상부재의 외부 격벽(31)이고, 외부 격벽(31) 사이의 구획 내에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의 롤러(12,22)가 환자의 이송방향(D)으로 다수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12,22)는 외부 격벽(31) 사이에 이어진 다수의 회전축(13,23) 상에 하나씩 구비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각 회전축(13,23) 상에서 폭방향(즉, 회전축(13,23)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원통형 롤러를 구비할 수도 있다(도시생략).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5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30)는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의 양 단부에서 이들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외부 격벽(31)과,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를 벨트(11,21)의 폭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는 내부 격벽(32)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외부 격벽(31)은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 사이를 전체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부 격벽(32)은 상부와 하부(32a,32b)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외부 및 내부 격벽(31,32)에 의해 구획된 각 구획 내에 롤러 (12,22)가 벨트(11,21)의 이송방향(D)으로 다수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롤러(12,22)는 외부 격벽(31)과 내부 격벽(32) 사이 및 내부 격벽(32)들 사이에 이어진 회전축(13,23) 상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게 된다 .
도 5에 있어서, 상기 롤러(12,22)는 외부 격벽(31) 및 내부 격벽(32)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구획 내에서 벨트(11,21)의 폭방향으로 각 회전축(13,23) 상에 하나씩 구비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각 구획 내에서 각 회전축(13,23) 상에 하나 이상의 다수의 롤러가 구비될 수도 있다(도시생략).
한편, 상기 롤러(12,22)는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환자 이송방향(D)을 따라서 그 직경을 감소 또는 증가시킴으로써 환자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의 (a)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적재부(10)만을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 모두가 환자 이송방향(D)으로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상기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은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의 벨트(11,21)의 구조이다.
즉,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구획 내에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가 단일의 벨트(11,21)를 구비하고 있는 반면,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의 벨트가 각 구획마다로 나누워져서 개별 벨트(11a,11b,11c,11d;21a,21b,21c,21d)를 이루는 구성을 하고 있다. 하부운송 부(20)의 벨트(21a,21b,21c,21d)도 각 구획마다 나누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의 벨트(11,21)로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 중 하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격벽부(30)에 있어서는,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의 양 단부에서 이들을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외부 격벽(31)과,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를 벨트(11,21)의 폭방향으로 구획하는 내부 격벽(32)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외부 격벽(31)은 상부적재부(10)와 하부운송부(20) 사이를 전체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부 격벽(32)은 상부(32a)와 하부(32b)를 간헐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즉, 상부와 하부(32a,32b)가 연결대(32c)로 연결되게 하므로, 상부적재부(10)가 하부운송부(20) 상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7의 실시예의 특징은, 각 구획 상에서 각 벨트(11a,11b,11c,11d;21a,21b,21c,21d)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 4에 도시된 접촉부(44)도 각 벨트(11a,11b,11c,11d)에 대응하여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도 4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은 격벽부(30)의 구성이다. 즉, 격벽부가 외부 격벽(31)으로만 구성되고 내부 격벽이 구성되지 않으며, 이러한 외부 격벽(31)이 다수의 고정편(31a)과 다수의 축핀(31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축핀(31b)을 매개로 고정핀(31a)을 다수개 연결하므로써, 상부적재부(10) 및 하부운송부(20)가 굽혀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환자이송장치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 이송방향(D)에대해서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굽혀질 수 있게 되는데, 도 9의 (a)에서와 같이 요철형상으로 굽혀지거나,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이송장치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변형은 필요할 때만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할 염려가 있는 상황에서는 상기 굽힘 또는 휨이 자제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굽힘 또는 휨을 규제하는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고정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장치에 의해서 환자운송장치가 일직선인 상태에서 고정되거나, 도 9의 (a)에서와 같이 직선적으로 굽혀진 상태에서 고정되거나, 도 9의 (b)에서와 같이 원호상으로 굽혀지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굽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을 위해서는 상기 벨트(11,21)가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11,21)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게 위해서 엠보싱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양의 요철 형상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격벽만을 도시했지만, 필요에따라서 상기 축핀(31b) 및 고정핀(31a)으로 이루어진 내부 격벽을 만들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에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발생시키면서, 환자가 누워있는 한쪽 침대에서 다른쪽 침대로 환자를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적재부 상에서 환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환자의 척추 등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하부운송부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Claims (9)

  1. 환자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며, 이 다수개의 롤러 상에 환자를 탑재할 수 있도록 된 상부적재부,
    지면과 접하면서 환자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한편 상부적재부를 지지하는 하부운송부,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가 수용되는 구획을 형성하는 격벽부,
    상기 상부적재부, 하부 운송부 및 격벽부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자체 선회 운동하는 손잡이부,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을 유지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부착된 제동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선회운동에 따라서 상기 롤러와 접촉 해제되거나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2.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롤러와 벨트를 구비하여 벨트 상에 환자가 탑재되면서 환자 이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상부적재부,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롤러와 벨트를 구비하여 환자가 위치하는 지면 상에서 환자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부운송부,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가 수용되는 구획을 형성하는 격벽부,
    상기 상부 적재부, 하부 운송부 및 격벽부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자체 선회 운동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상부적재부 및 하부운송부의 이송방향으로의 운동을 유지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연결대에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선회운동에 따라서 상기 벨트와 접촉 해제되거나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폭방향으로 다수 구획되고, 이들 각 구획에서 롤러가 환자 이송방향을 따라서 다수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각 구획 내에서 폭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환자 이송방향을 따라서 그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격벽부의 각 구획에 따라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적재부와 하부운송부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환자의 이송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를 이루면서 굽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이송장치.
KR1020040067599A 2004-08-26 2004-08-26 환자이송장치 KR100667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99A KR100667559B1 (ko) 2004-08-26 2004-08-26 환자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99A KR100667559B1 (ko) 2004-08-26 2004-08-26 환자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115A KR20060019115A (ko) 2006-03-03
KR100667559B1 true KR100667559B1 (ko) 2007-01-11

Family

ID=3712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599A KR100667559B1 (ko) 2004-08-26 2004-08-26 환자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5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90B1 (ko) 2008-07-25 2011-04-15 박진수 환자이동용 의료보조기
KR101434715B1 (ko) * 2011-09-19 2014-09-0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용 목욕 보조구
KR102154939B1 (ko) 2019-12-24 2020-09-10 서울대학교병원 침상 간 환자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3730B2 (en) * 2011-05-31 2014-05-06 Lawrence R. Koh and Nina Merrell-Koh Medical transport device
CN107126317A (zh) * 2017-04-14 2017-09-05 杜洪峡 过床担架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90B1 (ko) 2008-07-25 2011-04-15 박진수 환자이동용 의료보조기
KR101434715B1 (ko) * 2011-09-19 2014-09-0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용 목욕 보조구
KR102154939B1 (ko) 2019-12-24 2020-09-10 서울대학교병원 침상 간 환자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115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559B1 (ko) 환자이송장치
JP2803449B2 (ja) 物体の保持装置
TW322460B (ko)
US20060242764A1 (en) Device including moveable support for examining persons
US6199552B1 (en) Bed with suspended platform
CN103857277A (zh) 收割机农作物递送系统
US7108217B2 (en) Device for storing a cable
KR101111193B1 (ko) 트레이 자세변환장치
JP2006256799A (ja) 搬送装置
JP2006256799A5 (ko)
CN113332047A (zh) 一种呼吸重症病人转运装置
CN109892240B (zh) 动物饲养设备
JPH06181952A (ja) 患者用ベッド移し替え装置
JP7268237B1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ガイド機構
CN109573651A (zh) 试管管理设备
JP2014083166A (ja) スケートボード装置
JPH07178135A (ja) 介護用ベッド
CN210472475U (zh) 一种手术室护士用病员辅助护送设备
EP2005928B1 (en) Backboard with integrated head immobilizer
JP2005014992A (ja) 画像形成装置の梱包装置、パレット及び物品梱包装置
JP7081182B2 (ja) 媒体供給装置
JPH0229875Y2 (ko)
JP3309341B2 (ja) チューブ容器供給装置
JPH0231484Y2 (ko)
JPH018093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